KR20180090065A - 끈 조임 장치 - Google Patents

끈 조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065A
KR20180090065A KR1020170015000A KR20170015000A KR20180090065A KR 20180090065 A KR20180090065 A KR 20180090065A KR 1020170015000 A KR1020170015000 A KR 1020170015000A KR 20170015000 A KR20170015000 A KR 20170015000A KR 20180090065 A KR20180090065 A KR 2018009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utton
spool
housing
switch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김장아
홍석준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박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박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박의지
Priority to KR1020170015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065A/ko
Priority to PCT/KR2018/001428 priority patent/WO2018143715A1/ko
Publication of KR2018009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끈 조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끈 조임 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평면 형상이 고리 형상이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감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풀도록 구성된 스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위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회전손잡이; 기둥 또는 핀 형태이고,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회전손잡이의 상면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상단부가 상기 회전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될 때 상기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스풀에 커플링되어 있는 회전전환버튼;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상기 회전손잡이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작용하여 하강하면 수축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하강 후 상승할 때 회전전환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 및 스풀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시작동작에 의해 회전전환버튼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스풀과 커플링된 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커플링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끈 조임 장치{STRAP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끈에 의해 두 부분이 선택적으로 당겨서 조여지고 헐거워지도록 된 임의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에서 상기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 하는 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끈 조임 장치는 끈에 의해 두 부분이 선택적으로 당겨서 조여지고 헐거워지도록 된 임의의 제품들에서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끈 조임 장치는 사이클 신발, 부츠, 다른 발 착용구, 벨트들, 모자들, 장갑들, 부목들, 헬멧들, 부츠 체결구들, 배낭 등의 착용 가능한 제품들에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끈 조임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9587호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회전 하우징이 회전되면 줄이 와인딩 및 언와인딩되는 구조를 갖고 있고, 회전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과 고정 하우징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 하우징을 가압 및 당기는 동작에 따라 와인딩 작동 및 언와인딩 작동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줄의 와인딩 작동 및 언와인딩 작동의 전환이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줄의 와인딩 작동 및 언와인딩 작동을 전환하게 되면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캡이 환형의 스프링을 통과하여 스프링의 위 아래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전 하우징을 수직 방향으로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에 비교적 많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1회 회전 하우징을 수직 방향으로 당기거나 누르는 과정에서 캡의 일부만이 스프링을 통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1회 동작에서 회전 하우징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줄을 와인딩 하기 위해 또는 줄을 언와인딩 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동작이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예시된 상기 특허와 같은 방식, 즉 끈의 와인딩 작동 및 언와인딩 작동의 전환이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환하는 구조를 이루는 끈 조임 장치의 경우 파손의 위험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끈에 의해 두 부분이 선택적으로 당겨서 조여지고 헐거워지도록 된 임의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에서, 사용자가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 하기 위한 조작이 큰 힘이 요구됨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끈의 와인딩 동작 및 언와인딩 동작의 전환을 위한 조작에 있어서 개선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끈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 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평면 형상이 고리 형상이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감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풀도록 구성된 스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위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회전손잡이; 기둥 또는 핀 형태이고,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회전손잡이의 상면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상단부가 상기 회전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될 때 상기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스풀에 커플링되어 있는 회전전환버튼;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상기 회전손잡이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작용하여 하강하면 수축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하강 후 상승할 때 회전전환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 및 스풀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시작동작에 의해 회전전환버튼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스풀과 커플링된 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커플링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풀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스풀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중공 및 상기 제1 중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제1 치합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제1 중공과 동심에 배치되는 버튼결합구멍 및 상기 버튼결합구멍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버튼결합구멍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제1 결합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버튼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 아래에 연장되어 상기 스풀과 커플링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에 결합되는 제2 결합요소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승 및 하강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치형부에 대응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치합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상기 제1 치합돌기들에 대응되면 상기 스풀과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상기 제1 치합돌기들로부터 이격된 후 상기 커플링 해제수단과 연결되면 상기 스풀과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 해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치합돌기들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중공과 동심에 배치되는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샤프트수용부; 상기 제2 중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하강할 때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돌기이동안내면 및 상기 돌기이동안내면 하부 끝으로부터 만입된 돌기수용면을 포함하는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 및 상기 각각의 샤프트하강 가이드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되게 일정 각도로 구배져있고 상기 돌기이동안내면을 따라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하강하는 경로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샤프트회전 가이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누름동작의 시작 및 해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돌기이동안내면 및 상기 회전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일정 반경 회전시킨 후 상기 돌기수용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과 동심에 배치되는 버튼위치정렬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버튼위치정렬기둥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버튼위치정렬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높이로 회전전환버튼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기둥수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기둥수용구멍과 결합되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손잡이 및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스풀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구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버튼삽입구멍과 동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속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은 상기 폴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타측면은 상기 폴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는 래칫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 장치에 의하면, 끈에 의해 두 부분이 선택적으로 당겨서 조여지고 헐거워지도록 된 임의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에서, 사용자가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 하기 위한 조작이 큰 힘이 요구됨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끈의 와인딩 동작 및 언와인딩 동작의 전환을 위한 조작에 있어서 개선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 및 샤프트회전 가이드부들 간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전개도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전환버튼이 스풀과 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끈을 언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의 제2 치합돌기가 안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전환버튼 및 스풀의 커플링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끈을 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의 제2 치합돌기가 안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는 하우징(100), 스풀(200), 회전손잡이(300), 회전전환버튼(400), 탄성스프링(500), 커플링 해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스풀(200)을 수용하기 위해 중공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스풀(2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중공의 내면의 형상은 원 또는 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외면이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끈이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끈삽입구멍(103)이 형성될 수 있다.
스풀(200)은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 한다. 스풀(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풀(200)은 제1 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감고, 제2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풀(200)은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풀(200)은 원형 고리 형상의 상판(210), 상판(21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원형 고리 형상의 하판(220) 및 상판(210)과 하판(220)을 연결하는 원통(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230)에는 끈이 감길 수 있다. 원통(230)의 일측에는 끈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구멍(231)이 원통(23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속구멍(231)에 끈을 결속하고자 하는 경우, 끈의 일측 단부를 하우징(100)의 끈삽입구멍(103)으로 삽입한 후 이어서 결속구멍(231)에 삽입하고, 결속구멍(231)에 삽입된 단부를 매듭지어서 끈의 일측 단부를 스풀(2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풀(2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스풀(200)의 중심부, 예를 들면, 원통(230)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중공(240) 및 제1 중공(24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제1 치합돌기들(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중공(240)은 상기 상판(2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삽입구멍(241), 제1 삽입구멍(24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1 삽입구멍(24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삽입구멍(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합돌기들(250)은 제1 삽입구멍(241)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삽입구멍(24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치합돌기들(25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회전손잡이(300)는 스풀(200)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회전손잡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하우징(100)의 위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손잡이(300)는 상면부(301) 및 상면부(301)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손잡이(300)가 하우징(100) 결합되기 위해, 예를 들면, 하우징(100)의 외면에 환형돌부(102)를 형성하고, 회전손잡이(300)의 측벽부(302)의 내면에 상기 환형돌부(102)와 체결되는 환형홈(3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환형돌부(102) 및 환형홈(330)은 회전손잡이(3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서로 체결되어 회전손잡이(3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회전손잡이(300)는 스풀(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자유롭게 회전되어야 하므로 환형돌부(102) 및 환형홈(330)은 회전손잡이(300)가 회전할 수 있게 어느 정도 이격된 간격을 갖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손잡이(30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이 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손잡이(300)는 버튼결합구멍(310) 및 제1 결합요소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결합구멍(310)은 회전전환버튼(400)이 관통되는 구멍이다. 버튼결합구멍(310)은 회전손잡이(300)의 상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제1 중공(240)과 동심에 배치되어 제1 중공(240)의 위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요소들(320)은 버튼결합구멍(310)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버튼결합구멍(3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요소들(320)은 버튼결합구멍(31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고, 홈 또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결합요소들(320)은 홈 형태일 수 있다. 홈의 상단부는 버튼결합구멍(310)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요소들(320)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회전전환버튼(400)은 스풀(20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 및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전환버튼(400)은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회전손잡이(300)의 상면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회전손잡이(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상단부가 회전손잡이(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스풀(200)이 회전되기 위해 회전전환버튼(400)은 제1 방향으로 회전손잡이(300)와 함께 회전될 때 스풀(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스풀(2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스풀(200)이 회전되기 위해 회전전환버튼(400)은 스풀(200)과 이격되어 스풀(200)과의 커플링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전환버튼(400)은 기둥 또는 핀 형태일 수 있고, 버튼결합구멍(310)에 삽입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아래에 연장되어 스풀(200)과 커플링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전환버튼(400)은 제1 영역으로서 헤드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으로서 샤프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410)는 버튼결합구멍(3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비되어 버튼결합구멍(310)에 삽입될 수 있고, 샤프트부(420)는 스풀(200)의 제1 중공(240)의 제1 삽입구멍(241)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비되어 스풀(200)의 제1 중공(2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헤드부(410)에는 회전손잡이(300)와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요소들(320)과 결합하는 제2 결합요소들(411)이 구비될 수 있고, 샤프트부(420)에는 스풀(200)과의 커플링을 위해 제2 치합돌기들(4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요소들(411)은 홈 또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결합요소들(411)은 홈 형태의 제1 결합요소들(320)에 체결되기 위해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2 결합요소들(411)이 제1 결합요소들(320)에 결합되면 홈 형태의 제1 결합요소들(320)의 높이는 버튼결합구멍(3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이므로 제2 결합요소들(411)은 버튼결합구멍(310)의 상면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치합돌기들(421)은 스풀(200)의 제1 중공(240)의 제1 삽입구멍(241) 내면에 구비된 제1 치합돌기들(250)과 치합되도록 제1 치합돌기들(250)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치합돌기들(2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500)은 회전손잡이(300)가 항시 회전손잡이(300)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탄성스프링(5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전환버튼(400)의 아래에 배치되어 회전전환버튼(400)을 회전손잡이(3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500)은 회전전환버튼(400)에 압력이 작용하여 하강하면 수축하고 회전전환버튼(400)에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회전전환버튼(400)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탄성스프링(500)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커플링 해제수단(600)은 회전전환버튼(400)이 스풀(200)과 이격되어 커플링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커플링 해제수단(600)은 회전전환버튼(4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스풀(200)과 이격되게 하강된 회전전환버튼(4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커플링 해제수단(600)은 회전전환버튼(400)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에 의해 회전전환버튼(400)이 하강 후 상승할 때 회전전환버튼(400)과 연결되어 회전전환버튼(400) 및 스풀(200)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하고, 회전전환버튼(400)의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시작동작에 의해 회전전환버튼(400)의 회전이 시작되면 회전전환버튼(400)과 이격되어 회전전환버튼(400)이 스풀(200)과 커플링된 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커플링 해제수단(600)은 샤프트수용부(610),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 및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수용부(610)는 회전전환버튼(400)이 하강할 때 샤프트부(420)를 수용할 수 있다. 샤프트수용부(61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101)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1 치합돌기들(2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스풀(200)의 제1 중공(240)과 동심에 배치되는 제2 중공(611)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수용부(6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수용부(610)는 스풀(200)의 제1 중공(240)의 제2 삽입구멍(242)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풀(200)은 샤프트수용부(61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은 회전전환버튼(400)의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620)는 돌기이동안내면(621) 및 돌기수용면(622)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이동안내면(621)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1)과 수직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의 제2 치합돌기들(42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돌기수용면(622)은 돌기이동안내면(621)의 하부 끝으로부터 만입되게 배치되어 돌기이동안내면(621)을 따라 안내된 제2 치합돌기들(421)이 제2 중공(61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수용면(622)은 제2 치합돌기들(4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돌기이동안내면(621)의 하부 끝으로부터 만입되며 만입된 위치로부터 하우징(100)의 바닥면(101) 방향으로 구배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은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의 돌기이동안내면(621)을 통해 하우징(100)의 바닥면(101) 방향으로 하강된 제2 치합돌기들(421)이 돌기수용면(62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은 각각의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6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회전가이드면(63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면(631)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1)을 향해 하향되게 구배져있고 돌기이동안내면(621)을 따라 제2 치합돌기들(421)이 하강하는 경로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 및 샤프트회전 가이드부들 간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전개도 형태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의 구조는 도 3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커플링 해제수단(600)은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 및 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의 배치구조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의 시작 및 해제에 따라 각각의 제2 치합돌기들(421)은 순차적으로 돌기이동안내면(621) 및 회전가이드면(631)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전환버튼(400)이 일정 반경 회전되도록 한 후 돌기수용면(622)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버튼위치정렬기둥(104)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전환버튼(400)은 버튼위치정렬기둥(104)과 결합하기 위한 기둥수용구멍(43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위치정렬기둥(104)은 회전전환버튼(400)이 하강 및 상승할 때 유동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버튼위치위치정렬기둥(104)은 샤프트 수용부(610) 내에서 샤프트 수용부(610)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회전전환버튼(400)과 동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위치정렬기둥(104)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위치정렬기둥(104)에는 탄성스프링(500)이 결합될 수 있다.
기둥수용구멍(430)은 회전전환버튼(400)의 회전전환버튼(400)의 샤프트부(420)에 형성될 수 있고, 버튼위치정렬기둥(104)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높이로 회전전환버튼(40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수용구멍(430)은 회전전환버튼(400)이 하강 및 상승할 때 버튼위치정렬기둥(104)과 결합되어 버튼위치정렬기둥(10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는 회전구속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속부재(700)는 회전손잡이(300) 및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회전손잡이(300)가 스풀(20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회전구속부재(700)는 복수의 폴(710) 및 래칫톱니(7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폴(710)은 회전손잡이(300)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폴(710)을 구비하기 위해 회전손잡이(300)는 버튼결합구멍(310)과 동심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40)는 회전손잡이(3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부(34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폴(710)은 삽입부(34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래칫톱니(720)는 삼각 형상의 톱니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일측면은 회전손잡이(3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폴(71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풀(2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타측면은 폴(71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스풀(200)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한다. 이러한 래칫톱니(72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며, 회전손잡이(3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의 내측으로 삽입부(340)가 삽입됨에 따라 복수의 폴(710)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폴(710) 및 래칫톱니(720)의 구성 및 작동 관계는 통상의 래칫 구조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를 통해 끈이 와인딩되는 과정 및 끈이 언와인딩되는 과정을 도 2, 도 4, 도 5a 및 도 5b,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전환버튼이 스풀과 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끈을 언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의 제2 치합돌기가 안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전환버튼 및 스풀의 커플링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끈을 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의 제2 치합돌기가 안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회전전환버튼(400) 및 스풀(200)이 커플링된 상태 즉, 회전전환버튼(400)의 삽입부(340)에 구비된 복수의 폴(710) 및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내측에 구비된 래칫톱니(720)는 서로 대응되어 있고 회전전환버튼(400)의 제2 치합돌기들(421)이 스풀(200)의 제1 치합돌기들(250)과 결합되어 끈의 와인딩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스풀(200)에 와인딩되어 있는 끈을 언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400)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전환버튼(400)을 아래로 눌러서 회전전환버튼(400)에 수직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1)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고, 탄성스프링(500)은 수축될 수 있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치합돌기들(421)은 제1 치합돌기들(250)로부터 이격된 후 서로 이웃하는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의 돌기이동안내면(621)들을 따라 하강하여 회전가이드면(631)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면(631)에 접한 제2 치합돌기들(421)은 제2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30)의 회전가이드면(631)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면(631)을 따라 제2 치합돌기들(421)이 일정 거리 이동하면 회전전환버튼(400)은 일정 반경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회전전환버튼(400)에 가해지는 수직압력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이어서 버튼누름동작이 해제되면, 수축된 탄성스프링(500)이 복원되어 회전전환버튼(400)을 회전손잡이(300)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전환버튼(400)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때, 회전전환버튼(400)의 제2 치합돌기들(421)은 회전가이드면(63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승하여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의 돌기수용면(622)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전환버튼(400)이 하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회전전환버튼(400)의 돌기 형태의 제2 결합요소들(411)은 회전손잡이(300)의 홈 형태의 제1 결합요소들(320)을 따라 이동하고, 회전전환버튼(400)은 기둥수용구멍(430)이 버튼위치정렬기둥(104)과 결합된 상태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은 유동 없이 정위치에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회전전환버튼(400) 및 스풀(200)이 커플링된 상태가 해제되는 즉시 스풀(200)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풀(200)에 팽팽하게 당겨져서 와인딩되어 있던 끈은 느슨한 상태로 풀릴 수 있다.
스풀(200)에 언와인딩되어 있는 끈을 와인딩 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전환버튼(400)의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시작동작에 의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끈의 언와인딩 상태로 하강되어 있는 회전전환버튼(400)을 잡고 회전전환버튼(400)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은 탄성스프링(5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제2 치합돌기들(421)이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의 돌기수용면(622)에 접한 상태로 돌기수용면(622)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101)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고, 돌기수용면(622)의 끝까지 제2 치합돌기들(421)이 이동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치합돌기들(421)은 제1 샤프트이동 가이드부들(620)의 돌기수용면(622)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스프링(500)은 복원되고, 탄성스프링(500)이 복원됨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이 상승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치합돌기들(421)은 돌기이동안내면(621)을 따라 이동한 후 스풀(200)의 제1 치합돌기들(250)과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전환버튼(400) 및 스풀(200)이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회전전환버튼(400)의 돌기 형태의 제2 결합요소들(411)은 회전손잡이(300)의 홈 형태의 제1 결합요소들(320)을 따라 이동하고, 회전전환버튼(400)은 기둥수용구멍(430)이 버튼위치정렬기둥(104)과 결합된 상태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전환버튼(400)은 유동 없이 정위치에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회전전환버튼(400) 및 스풀(200)이 커플링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00)를 제1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300)와 함께 회전전환버튼(400)이 회전하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손잡이(300) 및 회전전환버튼(400)에 의해 회전전환버튼(400)과 커플링된 스풀(2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풀(2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끈은 스풀(200)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스풀(200)이 회전손잡이(300) 및 회전전환버튼(400)을 통해 수회 일정 반경으로 회전될 때 각각의 회수에서 스풀(200)이 회전한 상태는 회전구속부재(700)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역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회전손잡이(30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손잡이(300)의 삽입부(340)에 구비된 복수의 폴(710)은 하우징(100) 내의 래칫톱니(720)를 타고 넘으면서 회전할 수 있고, 회전손잡이(30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멈추면 복수의 폴(710)은 래칫톱니(720)에서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일측면에 지지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풀(200)에 와인딩되는 끈의 와인딩된 상태가 풀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는 회전전환버튼(400)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인 제1 동작 및 회전시작동작인 제2 동작에 의해 스풀(200)과 커플링되거나 커플링 해제되도록 상승 및 하강하여 스풀(20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 및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회전전환버튼(400)을 누르는 제1 동작 및 회전손잡이(300)를 일정 반경 회전시키는 제2 동작에 따라 스풀(200)의 회전방향을 쉽게 전환하여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 장치는 끈에 의해 두 부분이 선택적으로 당겨서 조여지고 헐거워지도록 된 임의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에서, 사용자가 끈을 와인딩 및 언와인딩 하기 위한 조작이 큰 힘이 요구됨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끈의 와인딩 동작 및 언와인딩 동작의 전환을 위한 조작에 있어서 개선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평면이 고리 형상이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감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을 풀도록 구성된 스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위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회전손잡이;
    기둥 또는 핀 형태이고,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회전손잡이의 상면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상단부가 상기 회전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와 함께 회전될 때 상기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스풀에 커플링되어 있는 회전전환버튼;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상기 회전손잡이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작용하여 하강하면 수축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에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누르는 버튼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하강 후 상승할 때 회전전환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 및 스풀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의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시작동작에 의해 회전전환버튼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스풀과 커플링된 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커플링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스풀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중공 및 상기 제1 중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제1 치합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제1 중공과 동심에 배치되는 버튼결합구멍 및 상기 버튼결합구멍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버튼결합구멍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제1 결합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버튼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 아래에 연장되어 상기 스풀과 커플링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에 결합되는 제2 결합요소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승 및 하강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치형부에 대응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치합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상기 제1 치합돌기들에 대응되면 상기 스풀과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상기 제1 치합돌기들로부터 이격된 후 상기 커플링 해제수단과 연결되면 상기 스풀과의 커플링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해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치합돌기들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중공과 동심에 배치되는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샤프트수용부;
    상기 제2 중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이 하강할 때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돌기이동안내면 및 상기 돌기이동안내면 하부 끝으로부터 만입된 돌기수용면을 포함하는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 및
    상기 각각의 샤프트하강 가이드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하강 가이드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되게 일정 각도로 구배져있고 상기 돌기이동안내면을 따라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이 하강하는 경로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샤프트회전 가이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누름동작의 시작 및 해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상기 제2 치합돌기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돌기이동안내면 및 상기 회전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전환버튼을 일정 반경 회전시킨 후 상기 돌기수용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과 동심에 배치되는 버튼위치정렬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버튼위치정렬기둥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기 버튼위치정렬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높이로 회전전환버튼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기둥수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환버튼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기둥수용구멍과 결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 및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스풀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구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버튼삽입구멍과 동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속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은 상기 폴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타측면은 상기 폴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는 래칫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 장치.
KR1020170015000A 2017-02-02 2017-02-02 끈 조임 장치 KR20180090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00A KR20180090065A (ko) 2017-02-02 2017-02-02 끈 조임 장치
PCT/KR2018/001428 WO2018143715A1 (ko) 2017-02-02 2018-02-02 끈 조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00A KR20180090065A (ko) 2017-02-02 2017-02-02 끈 조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065A true KR20180090065A (ko) 2018-08-10

Family

ID=6303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000A KR20180090065A (ko) 2017-02-02 2017-02-02 끈 조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0065A (ko)
WO (1) WO20181437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64A1 (ko)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복수의 열 블록을 구비한 핵산 증폭 장치
WO2020027565A1 (ko)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복수의 열 블록을 구비한 핵산 증폭 장치
RU2733880C1 (ru) * 2020-06-10 2020-10-07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алайко Устройство затягивания шнур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45B1 (ko) * 2018-09-07 2021-10-19 타이렌 주식회사 끈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82Y1 (ko) * 2004-07-12 2004-11-17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US20060021204A1 (en) * 2004-07-28 2006-02-02 Young Trevor A Pull-cord and pulley lacing system
KR200400568Y1 (ko) * 2005-06-27 2005-11-0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장치
EP2269479A1 (en) * 2009-06-30 2011-01-05 Campagnolo Sportswear S.r.l. Lace-like closing device for cycling shoe
KR101651401B1 (ko) * 2014-12-12 2016-08-26 주식회사 유닉유니온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64A1 (ko)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복수의 열 블록을 구비한 핵산 증폭 장치
WO2020027565A1 (ko)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복수의 열 블록을 구비한 핵산 증폭 장치
RU2733880C1 (ru) * 2020-06-10 2020-10-07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алайко Устройство затягивания шнур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715A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0065A (ko) 끈 조임 장치
US20230371655A1 (en) Fastening device
EP3539405B1 (en) Fasten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EP3440393B1 (en) Expandable sockets for use with portable media players
WO2017107724A1 (zh) 紧固装置
KR10172357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11607014B2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RU2401026C1 (ru) Безопасно действующий механизм ручк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кладного зонта
WO2018086570A1 (zh) 紧固装置
KR10155044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KR101810192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66123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ES2741899T3 (es) Máquina trenzadora
CN113317592A (zh) 鞋带收紧装置
US20110226295A1 (en) Safety central shaft extension and contraction control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20110192435A1 (en) Central shaft control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JP2024020177A (ja) 締結装置
TWI576060B (zh) 緊固裝置
KR20180130321A (ko) 끈 조임 장치
TWM537069U (zh) 緊固裝置
KR200411957Y1 (ko) 줄넘기 손잡이
KR102172781B1 (ko) 와이어 조임장치
CN102138720B (zh) 一种自动开合伞
EP4381984A1 (en) La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