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781B1 -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781B1
KR102172781B1 KR1020190051317A KR20190051317A KR102172781B1 KR 102172781 B1 KR102172781 B1 KR 102172781B1 KR 1020190051317 A KR1020190051317 A KR 1020190051317A KR 20190051317 A KR20190051317 A KR 20190051317A KR 102172781 B1 KR102172781 B1 KR 10217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restoration
gear
wi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민우
Original Assignee
하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민우 filed Critical 하민우
Priority to KR102019005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Abstract

컴팩트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조임대상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면측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가이더부가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 조작되되, 회전복원수단에 의해 타방향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복원기어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일방향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와 이격 배치되며 타방향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권취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권취기어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전달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조임대상체의 일면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권취기어부에 권취되도록 결속되는 조임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벗고 신기에 적당하도록 발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발끈을 꼭 맞도록 조여주는 것이 발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발끈은 종래에는 조임조작이 완료된 후 매듭을 지어 고정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보행시 신발끈이 쉽게 풀어지기도 하며,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단정치 못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으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매듭이 풀리게 되면 기록저하, 안전사고 등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신발끈의 풀림은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 중 쉬는 시간에는 신발끈을 손쉽게 풀 수 있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는 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동시에 필요시 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어야만 한다.
이에, 서로 상반되는 신발끈의 조임과 풀림을 원활화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개발된 바 있다.
한편, 도 1a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1)는 신발의 양측면을 지그재그로 경유하는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신발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1)는 회전커버(2)를 회전 조작시 중간부재(3)와 권취부재(4)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신발끈을 대체하는 와이어(w)가 상기 권취부재(4)에 권취되면서 신발이 발 사이즈에 맞게 조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재(3)에 형성된 형합구속부(3z)가 하우징(5)의 래칫기어(5c)에 물림 구속되므로 상기 권취부재(4)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w)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2)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중간부재(3)가 상기 회전커버(2)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간부재(3)와 상기 권취부재(4)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권취부재(4)가 자유 회전되면 와이어(w)를 당겨 풀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각 부품이 상기 회전커버의 승강방향에 대응하여 적층되는 구조로 조립되므로 외부로 과도하게 돌설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착된 신발을 신고 보행 중 장애물에 걸려 파손되거나, 외부충격에 의해 신발끈을 조이던 고정력에 해제됨으로 인하여 신발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의 외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므로 신발의 디자인과 조화롭지 못하여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각 부품이 복잡한 구조로 설계 및 제조되며 상호간의 정밀한 조립이 요구되므로 제작비용 및 제작공수가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095339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팩트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임대상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면측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가이더부가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 조작되되, 회전복원수단에 의해 타방향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복원기어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일방향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와 이격 배치되며 타방향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권취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권취기어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전달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조임대상체의 일면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권취기어부에 권취되도록 결속되는 조임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의 타측단부는 상기 전달기어부가 상기 권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이동되어 이격된 각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기준선과 상기 전달기어부의 슬라이드궤적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일단측이 상기 복원기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결속되되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타단부측에 상기 인출공의 직경을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원기어부에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견인되는 구동와이어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복원수단은 상기 복원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변형되되 상기 복원기어부가 타방향으로 자동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인출경로를 가이드하는 정렬돌기가 상기 인출공을 기준으로 상기 복원기어부와 반대측에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는 상기 복원기어부의 최외곽 회전궤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동심원 상의 슬라이드궤적에 대응하는 원호형 슬롯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기어부에는 외주면이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 지지되면서 이동되는 슬라이드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복원기어부를 일방향 회전 조작시 이와 맞물린 상기 전달기어부가 이동되어 상기 권취기어부와 맞물리면서 상기 조임와이어가 권취되되,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해제되기만 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달기어부가 반복적인 조임조작을 위한 초기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귀된다. 이때, 타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기 권취기어부의 권취동작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조임대상체의 조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둘째, 각 기어부가 맞물리거나 부분적으로 이격 분리되는 동작이 단순히 상기 구동와이어를 당기는 견인력 또는 상기 회전복원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조가 단순화되어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어 제조단가 및 공급단가가 낮아지면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인출공을 기준으로 상기 복원기어부와 반대방향측에 돌설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를 견인시 상기 장착공간 내에서의 인입 또는 인출거리가 증가하므로, 최소한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조임와이어가 권취되면서 조여지는 길이가 현저히 증가하며, 각 구성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되어 조작편의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전달기어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가 상기 복원기어부의 최외곽 회전궤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동심원 상의 슬라이드궤적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원기어부와 항상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력이 명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각 기어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회전 조작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복원 회전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각 기어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각 도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는 생략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조임대상체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며, 하우징부(10), 복원기어부(20), 권취기어부(30), 전달기어부(40), 구동수단(50) 그리고 조임와이어(w)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임대상체라 함은 조임와이어(w)를 통해 신체와 밀착되도록 사이즈가 조절되어 착용되는 물품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등과 같은 용품이 상기 조임대상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일방향(R)이라 함은 상기 조임와이어(w)가 상기 권취기어부(30)에 권취되도록 회전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타방향(CR)이라 함은 상술한 일방향(R)과 반대로 복원 회전되는 방향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이러한 회전방향은 상술한 권취기어부(30) 등의 구성부품의 형상을 반전함으로써 손쉽게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조임대상체에 고정되며, 상술한 구성부품이 장착되도록 내부에 장착공간(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일면측에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가이더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와이어(w)가 상기 장착공간(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와이어홀(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일면측 또는 일면이라 함은 상기 복원기어부(20), 상기 권취기어부(30) 및 상기 전달기어부(40)의 각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일면측 또는 일면이 바닥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10)는 경량이면서도 내부에 상술한 구성부품이 체결될 수 있는 격벽, 돌기 또는 홈 등의 사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0)를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구성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원기어부(20)는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공간(11)의 일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복원기어부(20)는 원통형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기어톱니(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부가 상기 제1회전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일방향(R) 회전되도록 조작되거나 회전복원수단(70)에 의해 타방향(CR)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권취기어부(20)는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공간(11)의 일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회전축(13)에 일방향(R)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권취기어부(30)는 원통형의 케이스부(31)와, 상기 케이스부(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기어톱니(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부가 상기 제2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방향(CR)으로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권취기어부(3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원기어부(20)와 권취기어부(30)의 각 회전중심(c1,c2) 사이 간격(s3)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최외곽 반경값과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최외곽 반경값의 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 또는 타방향(CR)으로 회전/복원 회전되더라도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에 직접 맞물려 연동 회전됨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최외곽 반경값이라 함은 각 기어부(20,30)의 회전중심(c1,c2)으로부터 각 기어톱니(22,32)의 최외곽 단부(22a,32a)까지의 길이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내측단 반경값이라 함은 각 기어부(20,30)의 회전중심(c1,c2)으로부터 각 기어톱니(22,32)의 내측단(22b,32b)까지의 길이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맞물려 회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2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상기 권취기어부(30)는 각 회전축(12,13)이 고정되어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반면,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된다.
상세히,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기어톱니(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부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에 체결되되,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회전 지지되면서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권취기어부(30)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연결되며,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조임와이어(w)는 상기 조임대상체의 일면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조임와이어(w)의 일부분(도 5의 wa)이 상기 와이어홀(15)을 통하여 상기 장착공간(11)으로 인입되며 상기 권취기어부(30)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해 일방향(R) 회전 조작되어 형성되는 회전력이 상기 전달기어부(40)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에 전달된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연동되어 일방향(R) 회전되면서 상기 조임와이어(w)가 권취되며, 상기 조임대상체가 조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는, 기설정된 가상기준선(d)과 기설정된 슬라이드궤적(m1)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기준선(d)은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리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기어부(40)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이격된 각 회전중심(c2,c3)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기준선(d)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회전중심(c2) 및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 상기 전달기어부(40)의 회전중심(c3)을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궤적(m1)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전달기어부(40)의 회전중심(c3)의 연속적인 이동궤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궤적(m1)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상기 전달기어부(40)의 각 회전중심(c1,c3) 사이의 간격(s1)이 각 기어부(20,40)의 최외곽 반경값의 합보다 작되, 내측단 반경값의 합을 초과하는 범위 내의 기설정된 궤적을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가 상술한 슬라이드궤적(m1)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에 항상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는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최외곽 회전궤적(r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정되는 상기 슬라이드궤적(m1)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일측단부(14a)는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맞물리되 상기 전달기어부(40)의 최외곽 반경값과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최외곽 반경값의 합을 초과하는 위치에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일측단부(14a)로 이동되면, 상기 권취기어부(30)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는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각 회전중심(c2,c3) 사이의 간격(s2)은 상기 전달기어부(40)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각 최외곽(32a,42a) 반경값의 합보다 작되, 각 내측단(32b,42b) 반경값의 합을 초과하는 위치에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달기어부(40)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각 최외곽 또는 각 내측단은 각 기어톱니(32,42)의 최외곽 또는 내측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기준선(d)과 상기 슬라이드궤적(m1)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으로 회전 조작되면, 상기 전달기어부(4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는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부(40)의 중앙부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권취기어부(40)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에 접촉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에 접촉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력이 상호 맞물린 상기 권취기어부(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으로 회전 조작되면서 형성되는 회전력이 상기 전달기어부(40)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기어부(30)는 상기 케이스부(31)와, 상기 기어톱니(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3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임와이어(w)의 일부분(도 5의 wa)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31)의 내측 중앙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드럼부(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드럼부(33)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부(31)의 내주면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드럼부(33)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부(31)의 내주면 사이에 링 형상의 권취공간(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33)에는 상기 관통공(31a)을 통하여 인입된 상기 조임와이어(w)의 일부분(도 5의 wa)이 결속되는 결속홈(3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부분(도 5의 wa)이 상기 드럼부(33)에 결속된 상기 조임와이어(w)는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일방향(R)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드럼부(33)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와이어(w)는 상기 케이스부(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권취되므로, 상기 권취공간(34)이 상기 장착공간(11)과 실질적으로 분리/격리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와이어(w)가 권취되면서 상기 장착공간(11)의 내부에 체결되는 각 구성부품과의 간섭 또는 엉킴이 최소화되므로 오작동이 방지되며,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는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최외곽 회전궤적(r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동심원 상의 상기 슬라이드궤적(m1)에 대응하는 원호형의 슬롯홈(14c)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부(40)에는 외주면이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슬롯홈(14c)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 지지되는 슬라이드돌기(4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단폭은 상기 슬라이드돌기(43)의 직경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돌기(4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축방향과 상기 복원기어부(20) 및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축방향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이동시 유동으로 인한 상기 각 기어부 간의 부정확한 맞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달기어부(40)의 명확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1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측에도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하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슬라이드돌기(43)가 상하측에 마주보게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가이더부(14)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장착공간(11)에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가 연장된 길이는 상술한 일측단부(14a)와 타측단부(14b)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는 소정의 원호길이를 갖는 상기 슬롯홈(14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돌기(43)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호형의 상기 슬롯홈(14c)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되, 상기 일측단부(14a) 또는 상기 타측단부(14b)에 접촉되면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동심원 상의 상기 슬라이드궤적(m1)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에 맞물린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중첩폭으로 맞물려 구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일방향(R) 회전력이 상기 권취기어부(30)에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타방향(CR)으로 복원 회전되더라도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항상 맞물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은 상기 복원기어부(20)를 일방향(R)으로 회전 조작시 변형되되,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타방향(CR)으로 자동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은 상기 복원기어부(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부(23)에 수납되는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탄성뱅드 또는 태엽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해 상기 복원기어부(20)에 일방향(R)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이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에 맞물려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권취기어부(30)와 맞물린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한 일방향(R)으로의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을 변형시키던 힘이 상실되므로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이 원래 형상으로 탄발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타방향(CR)으로 자동으로 복원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와 항상 맞물린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타방향(CR)으로 복원 회전되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으로 신속하게 복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와 이격 분리된다.
즉,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한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일방향(R) 회전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항상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일측단부(14a)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측으로 임의로 이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상기 구동수단(50)의 구동을 정지하기만 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반복적인 조임조작을 위한 초기위치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복귀된다. 또한,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측으로 임의로 이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조작편의성 및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일단이 상기 복원기어부(20)에 결속되되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타단측에 그립부(52)가 형성된 구동와이어(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와이어(51)의 일단측은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외주면(21a)에 소정의 길이만큼 권취되도록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에 형성된 인출공(16)을 통해 상기 구동와이어(51)의 타단출이 인출된다. 즉, 상기 인출공(16)을 통해 인출된 상기 구동와이어(51)의 타단측을 당기면서 견인력이 가해지면,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으로 회전 조작되며,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은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변형된다.
이때, 상기 구동와이어(51)를 당기던 견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이 탄발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타방향(CR)으로 자동으로 복원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51)는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외주면(21a)을 따라 권취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52)는 상기 인출공(16)의 직경을 초과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이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와이어(51)가 상기 복원기어부(20)에 권취되되, 상기 그립부(52)가 상기 인출공(16)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51)의 권취 동작이 정지되며, 상기 복원기어부(20) 및 이와 연동되는 상기 전달기어부(40)의 회전이 중지된다.
더욱이, 상기 그립부(52)는 상기 인출공(16)에 걸릴 수 있는 소정의 면적 및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52)를 취부하여 상기 구동와이어(51)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의 조작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복원기어부(20)와 연결되어 일방향(R)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이얼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불어, 상기 인출공(16)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와이어(51)의 인출 또는 인입 경로를 가이드하는 정렬돌기(17)가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돌기(17)는 상기 인출공(16)을 기준으로 상기 복원기어부(20) 등의 구성부품이 체결된 위치와 반대방향측으로 치우쳐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와이어(51)가 상술한 구성부품과 실질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복원기어부(20)에 권취되므로 엉킴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돌기(17)를 통해 상기 구동와이어(51)가 상기 장착공간(11) 내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와이어(51)를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최소한의 길이로 당기더라도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회전되는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조임와이어(w)가 상기 권취기어부(30)에 권취되면서 조여지는 길이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에는 상기 권취기어부(30)의 타방향(CR)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권취기어부(30)와 선택적으로 이격 분리되도록 조작되는 권취해제수단(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권취해제수단(6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기어톱니(32)와 맞물리되 상기 권취기어부(30)가 타방향(CR) 회전됨을 구속하는 대칠돌기(61)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칫돌기(61)는 일단부가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일측에 대응하는 일면(도 5의 61a)이 라운드지고 타면(도 6의 61b)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돌기(61)의 일면(도 5의 61a) 일측에는 상기 래칫돌기(61)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도 6의 63)이 돌설되며, 타면(도 6의 61b)측을 지지하도록 복귀스프링(도 5 내지 도 6의 6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상기 전달기어부(40)와 맞물린 상태에서 일방향(R)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기어톱니(32)에 상기 래칫돌기(61)의 일면(도 5의 61a)이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기어톱니(32)는 상기 래칫돌기(61)의 라운드진 일면(도 5의 61a)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상기 복귀스프링(62)이 탄발 변형되면서 용이하게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로부터 이격 분리되면, 상기 복귀스프링(도 6의 62)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칫돌기(61)가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으로 회동되도록 가압된다. 이때, 상기 래칫돌기(61)는 일측에 돌설된 상기 스토퍼돌기(도 6의 63)에 접촉되어 회동이 구속되며,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기어톱니(32)가 상기 래칫돌기(61)의 단부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기어부(30)에 사이 조임와이어(w)가 권취된 상태에서 타방향(CR)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에 상기 조임와이어(w)가 권취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조임대상체가 신체에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칫돌기(6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일면측과 타면측 사이에서 승강되는 등의 조작을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기어톱니(32)와 선택적으로 이격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일방향(R) 또는 타방향(CR)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와이어(w)가 권출되면서 상기 조임대상체를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권취해제수단(60)은 상기 권취기어부(30)의 원통형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래칫부에 탄발적으로 걸림 구속되되, 상기 권취기어부(30)와 선택적으로 이격 분리되는 기어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권취해제수단(60)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63868호, 등록특허 제10-1891098호 내지 등록특허 제10-1804801호에 개시되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구성부품이 상호 맞물리거나 부분적으로 이격 분리되는 동작이 단순히 상기 구동와이어(51)를 당기는 견인력 또는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구성부품 간의 회전 또는 이동을 위한 별도의 복잡하거나 전력이 요구되는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품이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비되는 상기 조임대상체와 조화를 이루어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된다. 또한,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되므로 제품의 공급단가가 낮아지면서 소비자의 비용 부담이 현저히 감소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회전 조작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복원 회전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상세히,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와이어(51)를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가하면, 상기 복원기어부(20)가 일방향(R)으로 회전 조작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되, 기설정된 상기 슬라이드궤적(m1)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에 접촉되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와도 맞물린다. 이에 따라, 상기 복원기어부(20), 상기 전달기어부(40) 및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일방향(R) 회전력이 상기 전달기어부(40)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기어부(30)가 일방향(R)으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조임와이어(w)가 상기 권취기어부(30)에 권취되면서 상기 조임대상체가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의 타측단부(14b)에 접촉되면서 이동이 구속되되 제자리에서 회전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부(40)와 상기 권취기어부(30)가 명확하게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권취해제수단(60)에 의해 상기 권취기어부(30)의 타방향(CR)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조임와이어(w)가 상기 권취기어부(30)에 권취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와이어(51)를 당기던 견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복원기어부(20)가 타방향(CR)으로 복원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에 맞물려 회전되되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권취기어부(30)와 이격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부(40)를 통하여 상기 권취기어부(30)로 전달되던 회전력이 제거되며, 상기 조임와이어(w)의 권취가 중단된다.
이때, 상기 권취기어부(30)는 상기 조임와이어(w)에 의해 상기 조임대상체가 조여지면서 발생하는 인장력과 상기 권취해제수단(60)에 의한 타방향으로의 구속력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와이어(w)에 의해 상기 조임대상체가 조여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착용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대상체가 조여진 상태에서 임의로 느슨하게 풀림이 방지되므로 상기 조임대상체가 신체로부터 이격되거나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상기 복원기어부(20)를 일방향(R) 회전 조작시 이와 맞물린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를 따라 상기 권취기어부(30)측으로 이동되어 맞물리면 상기 조임와이어(w)가 용이하게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기어부(2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해제되기만 하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상기 권취기어부(30)로부터 신속하게 이격 분리된다. 이때, 상기 권취기어부(30)는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전달기어부(30)가 이격 분리되기만 하면 상기 권취기어부(30)의 권취동작이 정지되므로 상기 조임대상체의 조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부(40)는 상기 복원기어부(20)를 일방향(R) 회전 조작시 탄발 변형되는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인 조임조작을 위한 초기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부(40)가 복귀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됨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조작편의성 및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돌기(17)가 상기 인출공(16)을 기준으로 상기 복원기어부(20)와 반대방향측에 돌설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51)를 견인시 상기 장착공간(11) 내에서의 인입 또는 인출거리가 증가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조임와이어(w)가 권취되면서 조여지는 길이가 현저히 증가하며, 각 구성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되어 조작편의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달기어부(4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14)가 상기 복원기어부(20)의 최외곽 회전궤적(r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동심원 상의 슬라이드궤적(m1)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원기어부(20)와 항상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력이 명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각 기어부(20,30,40)가 맞물리거나 부분적으로 이격 분리되는 동작이 단순히 상기 구동와이어(51)를 당기는 견인력 또는 상기 회전복원수단(7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가의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조가 단순화되어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어 제조단가 및 공급단가가 낮아지면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하우징부 11: 장착공간
12: 제1회전축 13: 제2회전축
14: 슬라이드가이더부 20: 복원기어부
30:권취기어부 40: 전달기어부
50: 구동수단 60: 권취해제수단
70: 회전복원수단 100: 와이어 조임장치

Claims (5)

  1. 조임대상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면측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가이더부가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 조작되되, 회전복원수단에 의해 타방향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복원기어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일방향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와 이격 배치되며 타방향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권취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되, 상기 복원기어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권취기어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전달기어부;
    상기 복원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조임대상체의 일면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권취기어부에 권취되도록 결속되는 조임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의 타측단부는 상기 전달기어부가 상기 권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이동되어 이격된 각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기준선과 상기 전달기어부의 슬라이드궤적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일단측이 상기 복원기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결속되되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타단부측에 상기 인출공의 직경을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원기어부에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견인되는 구동와이어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복원수단은 상기 복원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변형되되 상기 복원기어부가 타방향으로 자동으로 복원 회전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인출경로를 가이드하는 정렬돌기가 상기 인출공을 기준으로 상기 복원기어부와 반대측에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는 상기 복원기어부의 최외곽 회전궤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동심원 상의 슬라이드궤적에 대응하는 원호형 슬롯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기어부에는 외주면이 상기 슬라이드가이더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 지지되면서 이동되는 슬라이드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190051317A 2019-05-02 2019-05-02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7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17A KR102172781B1 (ko) 2019-05-02 2019-05-02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17A KR102172781B1 (ko) 2019-05-02 2019-05-02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781B1 true KR102172781B1 (ko) 2020-11-02

Family

ID=7339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17A KR102172781B1 (ko) 2019-05-02 2019-05-02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7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649A (en) * 1987-07-03 1989-06-27 Nordica S.P.A. Locking and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KR200314693Y1 (ko) * 2003-03-04 2003-05-2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US20030204938A1 (en) * 1997-08-22 2003-11-06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KR20060024377A (ko) * 2003-08-04 2006-03-16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케이블식 슈즈에 있어서의 인장 케이블, 특히 복수 라인의인장 케이블다발의 장착 장치
KR100953398B1 (ko)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649A (en) * 1987-07-03 1989-06-27 Nordica S.P.A. Locking and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US20030204938A1 (en) * 1997-08-22 2003-11-06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KR200314693Y1 (ko) * 2003-03-04 2003-05-2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KR20060024377A (ko) * 2003-08-04 2006-03-16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케이블식 슈즈에 있어서의 인장 케이블, 특히 복수 라인의인장 케이블다발의 장착 장치
KR100953398B1 (ko)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4431B2 (ja) 一体化されたクロージャー装置部品および方法
JP7394432B2 (ja) リール式クロージャシステム
JP7454267B2 (ja) リール式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
US20240138529A1 (en)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US11737519B2 (en) Reel based lacing system
TWI577301B (zh) 鞋帶捲取用捲盤
CN112969379B (zh) 带调节装置
KR1010535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7076843B2 (en) Shoestring tying apparatus
US11395527B2 (en) No bow lace loopers
JP7225264B2 (ja) ひも調節装置及び該ひも調節装置を備える製品
KR102172781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10575590B2 (en) No bow lace loopers
CN112660944B (zh) 一种线绳锁扣装置
CN108685270B (zh) 一种基于转子和定子的系带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40000369U (ko) 끈 조임 장치
WO2020079139A1 (en) Fastening device for shoes and technical items
KR20200102205A (ko) 와이어 조임 장치
WO2015010180A1 (en) Lace tigh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