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05B1 -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05B1
KR102616905B1 KR1020200148130A KR20200148130A KR102616905B1 KR 102616905 B1 KR102616905 B1 KR 102616905B1 KR 1020200148130 A KR1020200148130 A KR 1020200148130A KR 20200148130 A KR20200148130 A KR 20200148130A KR 102616905 B1 KR102616905 B1 KR 10261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oad nut
preload
flange
nut assembly
wash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770A (ko
Inventor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4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05B1/ko
Priority to PCT/KR2021/016084 priority patent/WO2022098182A1/ko
Publication of KR2022006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16C19/36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0Positive connections with threaded parts, e.g. bolt and nu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70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 F16C2226/74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with snap-fit, e.g. by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장치에 예압을 인가하는데 이용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베어링 장치에 나사결합되는 예압 너트와; 예압 너트의 일측에서 베어링 장치에 결합되는 와셔 부재와; 예압 너트와 와셔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고, 바디에는 복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은 예압 너트의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와셔 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PRE-LOAD NUT ASSEMBLY HAVING ANTI-RELEASE STRUCTURE AND WHEEL BEAR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어링 장치에서 예압을 인가하는데 이용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풀림 방지 구조가 구비되어 예압 너트의 의도치 않은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베어링 장치에 요구되는 예압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장치에서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부품으로, 휠베어링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일례로, 휠베어링은 휠이 장착되는 회전요소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에 전동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요소에 장착된 휠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휠베어링 등과 같은 구름 베어링은 강성을 향상시키고 성능 및 수명 요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예압(pre-load)이 인가된 상태로 조립되며, 이러한 예압의 인가는 예압 너트 등을 체결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런데,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 예압 너트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의도치 않은 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이 예압 너트의 풀림이 발생되면 베어링 장치는 적절한 예압 상태로 유지되지 못해 작동 성능이나 수명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예압 너트의 의도치 않은 풀림을 방지해 베어링 장치에 요구되는 예압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장치에 예압을 인가하는데 이용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베어링 장치에 나사결합되는 예압 너트와; 예압 너트의 일측에서 베어링 장치에 결합되는 와셔 부재와; 예압 너트와 와셔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고, 바디에는 복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은 예압 너트의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와셔 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돌기부가 베어링 장치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대응 리세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체결부는 예압 너트의 제1 플랜지의 외주부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체결부는 바디부로부터 일측 축방향으로 절곡된 축방향 절곡부와; 축방향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경방향 절곡부를 포함하고, 바디부, 축방향 절곡부 및 경방향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예압 너트의 제1 플랜지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의 제1 플랜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경방향 연장부와 경방향 연장부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구비되는 결합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체결 클립의 체결부는 결합 플랜지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플랜지부는 경방향 연장부에 비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축방향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결합 플랜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는 예압 너트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는 예압 너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는 일측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와셔 부재와의 장착을 보조하는 제2 플랜지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와셔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축방향 연장부는 체결 클립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축방향 연장부는 끝단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의 축방향 연장부에는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내면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예압 너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는 예압 너트가 베어링 장치에 고정된 와셔 부재에 체결 클립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베어링 장치의 작동 중에 예압 너트에 의도치 않은 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베어링 장치에 요구되는 예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가 장착된 휠베어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예압 너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와셔 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체결 클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의 체결 클립의 변형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100)가 장착된 휠베어링(1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베어링(10)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장치로, 차량의 휠이 장착되는 회전요소(20)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30)에 복수의 베어링(4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후술하는 예압 너트 조립체(100)가 나사결합되어 베어링(40)을 미리 설정된 예압 상태로 장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소위 1세대 구조의 휠베어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가 장착된 휠베어링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는 반드시 이러한 구조의 베어링 장치에만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는 다른 다양한 구조의 베어링 장치에도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 조립체(100)는 베어링 장치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에 예압을 인가하는 예압 너트(200)와; 예압 너트(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셔 부재(300)와; 예압 너트(200)와 와셔 부재(300)를 체결하는 체결 클립(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200)는 베어링 장치의 일측에 결합되어[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휠베어링(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샤프트 부재(3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베어링을 미리 설정된 예압이 인가된 상태로 장착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200)는 중심부가 관통된 대략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압 너트(200)의 내주면에는 나사부(210)가 구비되어 베어링 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휠베어링(10)의 샤프트 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200)는 와셔 부재(300)를 향하는 단부에 플랜지부(2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압 너트(200)의 플랜지부(220)에는 체결 클립(400)의 장착을 위한 제1 플랜지(230)와 와셔 부재(30)와의 장착을 보조하는 제2 플랜지(2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230)는 예압 너트(200)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플랜지(2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불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랜지(230)를 불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와셔 부재(300)에 균일한 간격으로 결합홀(320)을 형성한 경우 복수의 제1 플랜지(230) 가운데 체결 클립(400)의 결합이 가능한 제1 플랜지(230)를 이용해 예압 너트(200)와 와셔 부재(30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230)는 예압 너트(200)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경방향 연장부(240)와 경방향 연장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구비되는 결합 플랜지부(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결합 플랜지부(250)는 경방향 연장부(240)에 비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폭" 방향은 예압 너트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해당 부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선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플랜지부(250)의 반경방향 외주면과 와셔 부재의 반대측 축방향 단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체결 클립(400)의 장착성 향상을 위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260)는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랜지(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압 너트(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26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와셔 부재(300)를 향해 축방향으로 절곡된 패드부(270)가 구비되어 패드부(270)를 통해 와셔 부재(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압 너트(200)를 베어링 장치에 나사결합할 때 파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나사결합시 예압 너트(200)의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 일부에 대략 6각형 형상의 단면 구조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3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관통된 대략 링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압 너트(200)의 일측에서 베어링 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300)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10)를 구비해, 돌기부(310)가 베어링 장치[구체적으로는, 베어링 장치에서 와셔 부재(300)가 결합되는 부재;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와셔 부재(300)가 결합되는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대응 리세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와셔 부재(300)는 와셔 부재(300)가 결합되는 베어링 장치의 대응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300)는 바디에 복수의 결합홀(320)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홀(320)은 와셔 부재(300)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은 예압 너트(200)와 와셔 부재(300)를 함께 결합시켜, 예압 너트(200)가 와셔 부재(300)와 함께 회전하도록[즉, 예압 너트(200)가 와셔 부재(3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은 바디부(410)의 일측에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에 결합되는 체결부(420)와 바디부(41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셔 부재(300)의 결합홀(3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방향 연장부(4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은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 부분을 절곡해서 체결부(420)를 형성하고 다른 부분을 절곡해서 축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체결부(420)는 바디부(410)로부터 축방향으로 절곡된 축방향 절곡부(430)와 축방향 절곡부(430)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경방향 절곡부(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410), 축방향 절곡부(430) 및 경방향 절곡부(4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체결부(420)는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바디부(410)에는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함몰부(45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체결 클립(40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300)의 결합홀(3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방향 연장부(460)는 체결 클립(40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체결 클립(40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축방향 연장부(460)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축방향 연장부(460) 사이의 폭방향 길이는 제1 플랜지(230)를 구성하는 경방향 연장부(240)의 폭방향 길이 보다 크고 제1 플랜지(230)를 구성하는 결합 플랜지부(250)의 폭방향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클립(400)은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에 결합될 때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가 제1 플랜지(230)의 결합 플랜지부(25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해 결합 플랜지부(250)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클립(400)은 체결부(420)를 통해 예압 너트(230)의 제1 플랜지(230)를 반경방향 외측에 감싸도록 장착되면서 축방향 연장부(460)가 제1 플랜지(230)의 결합 플랜지부(250)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예압 너트(200)와 와셔 부재(300) 사이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단부가 와셔 부재(300)의 결합홀(320)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예압 너트(200)에 의도치 않은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와셔 부재(300)와의 결합성 향상을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연장부(460)의 단부를 절곡시켜 단부 절곡부(470)를 형성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연장부(460)의 폭방향 내측면에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내면 돌출부(480)를 형성하는 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100)는 와셔 부재(300)가 베어링 장치에 결합될 때 와셔 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310)가 베어링 장치의 외주면[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와셔 부재(300)가 결합되는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와셔 부재(300)가 베어링 장치의 대응 부재에 대해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예압 너트(200)가 체결 클립(400)을 통해 와셔 부재(300)에 체결됨에 따라 예압 너트(200)가 와셔 부재(300)에 대해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베어링 장치에 대한 예압 너트(200)의 의도치 않은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베어링 장치를 적절한 예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휠베어링 (베어링 장치)
20: 회전요소
30: 비회전요소
40: 베어링
100: 예압 너트 조립체
200: 예압 너트
210: 나사부
220: 플랜지부
230: 제1 플랜지
240: 경방향 연장부
250: 결합 플랜지부
260: 제2 플랜지
270: 패드부
300: 와셔 부재
310: 돌기부
320: 결합홀
400: 체결 클립
410: 바디부
420: 체결부
430: 축방향 절곡부
440: 경방향 절곡부
450: 함몰부
460: 축방향 연장부
470: 단부 절곡부
480: 내면 돌출부

Claims (15)

  1. 베어링 장치에 예압을 인가하는데 이용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100)이며,
    내주면에 나사부(210)가 형성되어 베어링 장치에 나사결합되는 예압 너트(200)와;
    상기 예압 너트(200)의 일측에서 베어링 장치에 결합되는 와셔 부재(300)와;
    상기 예압 너트(200)와 상기 와셔 부재(300)를 체결하는 체결 클립(400)을 포함하고,
    상기 예압 너트(20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230)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 부재(300)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10)가 구비되며, 바디에는 복수의 결합홀(320)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클립(400)은 상기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에 결합되는 체결부(420)와 상기 와셔 부재(300)의 결합홀(320)에 삽입되는 축방향 연장부(46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클립(400)의 체결부(420)는 바디부(410)로부터 일측 축방향으로 절곡된 축방향 절곡부(430)와; 상기 축방향 절곡부(430)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경방향 절곡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410), 상기 축방향 절곡부(430) 및 상기 경방향 절곡부(4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300)는 상기 돌기부(310)가 베어링 장치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대응 리세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너트(200)의 제1 플랜지(23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경방향 연장부(240)와 상기 경방향 연장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구비되는 결합 플랜지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클립(400)의 체결부(420)는 상기 결합 플랜지부(2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랜지부(250)는 상기 경방향 연장부(240)에 비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 플랜지부(25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230)는 상기 예압 너트(2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230)는 상기 예압 너트(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너트(200)는 일측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와셔 부재(300)와의 장착을 보조하는 제2 플랜지(260)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26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와셔 부재(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체결 클립(40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400)의 축방향 연장부(460)는 끝단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의 축방향 연장부(460)에는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내면 돌출부(480)가 구비되는,
    예압 너트 조립체.
  15.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예압 너트 조립체(100)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KR1020200148130A 2020-11-06 2020-11-06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KR10261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30A KR102616905B1 (ko) 2020-11-06 2020-11-06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PCT/KR2021/016084 WO2022098182A1 (ko) 2020-11-06 2021-11-05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30A KR102616905B1 (ko) 2020-11-06 2020-11-06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70A KR20220061770A (ko) 2022-05-13
KR102616905B1 true KR102616905B1 (ko) 2023-12-27

Family

ID=8145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30A KR102616905B1 (ko) 2020-11-06 2020-11-06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6905B1 (ko)
WO (1) WO20220981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2094A (en) * 1987-09-24 1989-03-14 Maclean-Fogg Company Locking fastener assembly for threaded joint
JPH0932835A (ja) * 1995-07-18 1997-02-04 Takeshi Kameyama ネジの緩み止め
US6290442B1 (en) * 1997-09-18 2001-09-18 Okabe Corporation, Inc. Locking fastener assembly for threaded joint
US8292373B2 (en) * 2010-06-01 2012-10-23 Consolidted Metco, Inc. Spindle nut
CN102628473A (zh) * 2012-04-26 2012-08-08 许松林 防松动螺纹紧固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8182A1 (ko) 2022-05-12
KR20220061770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4301A (ko) 너트와 록킹장치
EP3552839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re wheel, brake rotor, and hub
JPH06173959A (ja) 寿命特性を改善した軸受
US10259259B2 (en) Assembled structure for tire wheel, brake rotor, and hub
KR102616905B1 (ko)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예압 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US6330937B1 (en) Wheel hub and brake disc arrangement for heavy vehicles
JP5200418B2 (ja) 軸受ユニット
JP2011207298A (ja) 車輪用軸受装置の内輪
JPS61136021A (ja) ベアリング固定装置
KR102532781B1 (ko) 허브 볼트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휠베어링
JPH11294474A (ja) 締結方法及びベアリングの締結方法
JP6568287B1 (ja) 取付部材
KR101826201B1 (ko) 너클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20180050090A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KR101885141B1 (ko) 휠베어링 조립체
JPH09184538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102646826B1 (ko)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KR20240029019A (ko) 휠베어링
JPH0346256Y2 (ko)
CN108518402B (zh) 一种防松螺母
JPH0629540Y2 (ja) 転がり軸受の内輪固定構造
JP2009067339A (ja) 軸受ユニット
JP2022117685A (ja) 車輪係合構造および車輪装置
JP2022116843A (ja) 締結ピン
JP6616875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