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865B1 -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 Google Patents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865B1
KR102616865B1 KR1020220141124A KR20220141124A KR102616865B1 KR 102616865 B1 KR102616865 B1 KR 102616865B1 KR 1020220141124 A KR1020220141124 A KR 1020220141124A KR 20220141124 A KR20220141124 A KR 20220141124A KR 102616865 B1 KR102616865 B1 KR 10261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base plate
underground
hea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운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운건설
Priority to KR102022014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은 지중에 매설된 통신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매설되는 커버본체와, 커버본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protection cover for underground comunnication cable}
본 발명은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통신 케이블 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중에 공동구를 형성하여 배선하거나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중에 케이블을 매설시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전선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전선관은 보통 지중전선관(ELP)이나 PE 전선관, PVCHI 전선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지중전선관은 자유자재로 구부러지고 장애물의 우회시공이 가능하며, 편형강도가 크다.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장기간 동안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지중매설물의 보수 및 증선, 도로의 포장공사, 가스관이나 수도관과 같은 다른 지중매설물 공사가 있게 되면 부득이하게 지중선로를 재굴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때 부주의한 굴착으로 케이블이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전선관의 상부에 보호판이 매설된다.
이러한 보호판은 전선관을 보호하는 효과는 높지만, 단순한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매설시 보호판이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하여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66727호에는 지중케이블 보호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중케이블 보호판은 하부에 밀착돌기를 형성시키고 있으나, 짧게 튀어나온 밀착돌기만으로 보호판의 이동방지 효과가 높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27호: 지중케이블 보호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매설시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은 지중에 매설된 통신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매설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사이드부들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들과, 상기 장착홀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돌출립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립의 내측에 위치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둥부의 내부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진입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진입통로와 연결되는 슬라이딩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입통로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파이크바와, 상기 진입통로에 나사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상기 헤드부를 통과시 상기 스파이크바를 상기 헤드부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압박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본체에 대한 상기 포스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지지강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강화부는 상기 기둥부에 형성된 장공홀들과,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홀을 가로지르는 힌지핀과, 상기 장공홀에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힌지핀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와, 상기 틸팅바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진입통로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부를 통과하는 압박볼트에 의해 상기 틸팅바의 상부를 상기 기둥부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간섭윙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지중 전선관의 상부에 매설되어 전선관을 보호함으로써 굴착작업으로 인해 통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유닛을 설치하여 매설 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유닛이 커버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운반시 또는 보관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호판이 지중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10)은 지중에 매설된 전선관(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된다.
통신 케이블(5)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일정 깊이로 터파기 공사후 바닥에 모래층(1)으로 평탄을 유지하고 전선관(4)을 설치한다. 전선관(4)의 내부에 통신 케이블(5)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선관(4) 위를 모래로 일정두께 덮은 후 본 발명의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10)을 설치한다. 그리고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10) 위에 모래층(6)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한 후 자갈층(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포장층(8)을 형성하여 마감을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10)은 지중에 매설된 전선관(4)의 상부에 매설되어 전선관(4)을 굴착 등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전선관(4) 및 통신 케이블(5)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은 통신 케이블(5)이 수용된 전선관(4)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매설되는 커버본체(20)와, 커버본체(2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본체에 결합되는 지지유닛(30)을 구비한다.
커버본체(20)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본체(20)는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커버본체(20)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21)와, 베이스플레이트(2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사이드부들(23)과, 베이스플레이트(2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들(25)과, 장착홀(25)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돌출립(27)을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21)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저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리브가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부(23)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사이드부(23)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좌우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사이드부(23)는 커버본체(20)의 이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킨다.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다수의 장착홀들(25)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장착홀들(25)이 형성된다. 장착홀(25)은 베이스플레이트(2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시킨 원형의 홀로 이루어진다.
돌출립(27)은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저면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돌출립(27)은 장착홀(25)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돌출립(27)은 베이스플레이트(2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유닛(30)은 커버본체(20)에 결합되어 커버본체(20)가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유닛(30)은 장착홀(25)에 삽입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포스트(40)와, 포스트(40)를 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포스트(40)는 장착홀(25)에 삽입되어 돌출립(27)의 내측에 위치하는 헤드부(41)와, 헤드부(41)의 상부에 형성되며 장착홀(2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43)와, 헤드부(41)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기둥부(45)와, 헤드부(43)를 관통하여 기둥부(45)의 내부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진입통로(47)를 구비한다.
헤드부(4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헤드부(41)의 외경은 장착홀(25)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된다. 헤드부(41)는 돌출립(27)의 내측에 위치한다.
걸림부(43)는 헤드부(41)의 상부에 형성된다. 걸림부(27)의 외경은 헤드부(41)의 외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걸림부(43)의 외경은 장착홀(2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걸림부(43)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 걸린다.
기둥부(45)는 헤드부(41)의 하부에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둥부(45)의 외경은 헤드부(4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기둥부(45)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기둥부(45)의 하단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포스트(40)의 내부에는 진입통로(47)가 형성된다. 진입통로(47)는 헤드부(43)를 관통하여 기둥부(45)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진입통로(47)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진입통로(47)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통로(47)의 상부측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고정수단은 포스트(40)를 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시킨다.
고정수단은 헤드부(41)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진입통로(47)와 연결되는 슬라이딩홀(42)과, 슬라이딩홀(42)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진입통로(47)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파이크바(51)와, 진입통로(47)에 나사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헤드부(41)를 통과시 스파이크바(51)를 헤드부(41)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압박볼트(55)를 구비한다.
슬라이딩홀(42)은 헤드부(4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홀(42)은 헤드부(41)에 2개 또는 3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42)은 헤드부(41)의 중심을 향한다.
스파이크바(51)는 슬라이딩홀(4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4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스파이크바(51)의 일측, 즉 진입통로(47)를 향하는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크(51)의 타측, 즉 헤드부(41)의 바깥을 향하는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다.
압박볼트(55)는 진입통로(47)로 삽입되어 진입통로(47)에 나사결합된다. 압박볼트(55)를 회전시키면 압박볼트(55)는 진입통로(47)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압박볼트(55)의 하부에는 푸싱부(56)가 형성된다. 푸싱부(56)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푸싱부(56)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압박볼트(55)를 진입통로(47)의 입구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압박볼트(55)가 진입통로(47)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압박볼트(55)가 헤드부(41)를 통과하고, 이때 푸싱부(56))가 스파이크바들(51) 사이로 진입하면서 푸싱부(56)의 측면과 스파이크바(51)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한다. 압박볼트(55)가 계속 진입하면 도 4에 나타나 바와 같이 스파이크바(51)가 헤드부(41)의 바깥으로 밀리면서 스파이크바(51)의 뾰족한 단부가 헤드부(41)의 바깥으로 돌출되면서 돌출립(27)에 박힌다. 이에 따라 포스트(40)가 커버본체(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고정수단은 커버본체(20)에 대한 포스트(40)의 지지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한 지지강화부를 더 구비한다.
지지강화부는 기둥부(45)에 형성된 장공홀들(46)과, 기둥부(45)에 설치되어 장공홀(46)을 가로지르는 힌지핀과, 장공홀(46)에 설치되며 하부가 힌지핀(61)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63)와, 틸팅바(63)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진입통로(47)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간섭윙(65)을 구비한다.
장공홀(46)은 기둥부(45)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형성된다. 기둥부(45)의 상부측에 2개의 장공홀(46)이 180도 간격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기둥부(45)의 하부측에 2개의 장공홀이 180도 간격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장공홀(46)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힌지핀(61)은 기둥부(45)에 설치되어 장공홀(46)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힌지핀(61)은 장공홀(46)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틸팅바(63)는 장공홀(46)에 설치된다. 틸팅바(46)의 하부는 힌지핀(61)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틸팅바(63)는 힌지핀(6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간섭윙(65)은 틸팅바(63)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진입통로(47)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간섭윙(65)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압박볼트(55)가 헤드부를 통과한 후 기둥부(45)로 진입하면서 푸싱부(56)의 측면과 간섭윙(65)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한다. 압박볼트(55)가 계속 진입하면 도 4에 나타나 바와 같이 틸팅바(63)의 상부가 기둥부(45)의 바깥으로 밀리면서 틸팅바(63)가 기둥부(45)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모래나 흙 등에 매설된 상태에서, 기둥부(45)의 바깥으로 벌어져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틸팅바(63)에 의해 커버본체(20)가 상방으로 압력을 받더라도 커버본체(20)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커버본체 21: 베이스플레이트
23: 사이드부 25: 장착홀
27: 돌출립 30: 지지유닛
40: 포스트 55: 압박볼트

Claims (3)

  1. 삭제
  2. 지중에 매설된 통신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매설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사이드부들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들과, 상기 장착홀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돌출립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립의 내측에 위치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둥부의 내부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진입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진입통로와 연결되는 슬라이딩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입통로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파이크바와, 상기 진입통로에 나사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상기 헤드부를 통과시 상기 스파이크바를 상기 헤드부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압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본체에 대한 상기 포스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지지강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강화부는 상기 기둥부에 형성된 장공홀들과,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홀을 가로지르는 힌지핀과, 상기 장공홀에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힌지핀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와, 상기 틸팅바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진입통로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부를 통과하는 압박볼트에 의해 상기 틸팅바의 상부를 상기 기둥부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간섭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KR1020220141124A 2022-10-28 2022-10-28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KR10261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124A KR102616865B1 (ko) 2022-10-28 2022-10-28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124A KR102616865B1 (ko) 2022-10-28 2022-10-28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865B1 true KR102616865B1 (ko) 2023-12-21

Family

ID=8932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124A KR102616865B1 (ko) 2022-10-28 2022-10-28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79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트림(Trim) 두께에 따라 조정 가능한 마운팅 클립(Mounting Clip)
KR100939657B1 (ko) * 2009-07-08 2010-02-03 제룡산업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보호판
KR200466727Y1 (ko) 2012-03-02 2013-05-06 제룡산업 주식회사 지중케이블보호판
KR20190026349A (ko) * 2017-09-05 2019-03-13 김광휘 앙카볼트
KR20210109134A (ko) * 2020-02-27 2021-09-06 사단법인 빛가람행복나눔복지회 폐 섬유강화플라스틱이 첨가된 일체형 지중케이블 보호판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79212B1 (ko) * 2021-04-23 2022-03-28 김봉래 앵커 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79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트림(Trim) 두께에 따라 조정 가능한 마운팅 클립(Mounting Clip)
KR100939657B1 (ko) * 2009-07-08 2010-02-03 제룡산업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보호판
KR200466727Y1 (ko) 2012-03-02 2013-05-06 제룡산업 주식회사 지중케이블보호판
KR20190026349A (ko) * 2017-09-05 2019-03-13 김광휘 앙카볼트
KR20210109134A (ko) * 2020-02-27 2021-09-06 사단법인 빛가람행복나눔복지회 폐 섬유강화플라스틱이 첨가된 일체형 지중케이블 보호판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79212B1 (ko) * 2021-04-23 2022-03-28 김봉래 앵커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542B1 (ko) 지중케이블 보호구조
US20100264390A1 (en) Safety railing for excavated areas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US3968601A (en) Handhole to receive and locate connections of underground secondary electrical power cable terminations
KR102616865B1 (ko)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KR102013354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충격흡수장치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230060281A (ko) 차수문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KR100650147B1 (ko) 건축물 지중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2536430B1 (ko)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
KR100656175B1 (ko) 지중 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2325687B1 (ko)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2616866B1 (ko) 통신케이블 보호용 지중커버
KR100872126B1 (ko) 케이블 매설용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1451B1 (ko) 도로 침하 방지패널
KR102331871B1 (ko) 건축 통신케이블 보호용 맨홀
KR101522595B1 (ko) 지하에 매설된 지중송전 케이블 연결관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JP5042733B2 (ja) 切断防止装置を備えた南京錠とこの南京錠を用いた地上設置型ポール装置
KR102632339B1 (ko) 송전과 변전 케이블 보호 시스템
JP2002302902A (ja) 道路拡幅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構造
KR101204530B1 (ko)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KR101912770B1 (ko) 스프링판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