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660B1 -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660B1
KR100856660B1 KR1020070045081A KR20070045081A KR100856660B1 KR 100856660 B1 KR100856660 B1 KR 100856660B1 KR 1020070045081 A KR1020070045081 A KR 1020070045081A KR 20070045081 A KR20070045081 A KR 20070045081A KR 100856660 B1 KR100856660 B1 KR 10085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le
inlet
pole body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택
한진우
강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4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관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 몸체와; 입상관로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와, 상기 전주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갖는 강관전주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포함하여, 입상관로가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통해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ELECTRICAL POLE OF STEEL PIPE AND INSTALLING STRUCTURE FOR STAND PIPE 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콘크리트 및 강관전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하나의 입상관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두개의 입상관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5 : 입상관로 10 : 강관전주
11 : 전주 몸체 12 : 플랜지
20 : 기초 콘크리트 21 : 기초 콘크리트 몸체
22 : 볼트 23 : 너트
31 : 제1 입상관로 인입부 32 : 제2 입상관로 인입부
본 발명은 입상관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입상관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선로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입상관로를 강관전주 외부에 설치하고, 입상관로 내에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반경철판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입상관로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입상관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떨어뜨리고,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입상관로 내에 수용된 케이블의 보완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입상관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한편, 입상관로가 강관전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강관전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상관로 설치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 몸체와; 입상관로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와, 상기 전주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갖는 강관전주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포함하여, 입상관로가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통해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마련된 제2 입상관로 인입부를 더 포함하여, 입상관로가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 및/또는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전주 몸체를 향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강관전주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와; 상기 전주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초 콘크리트의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마련된 입상관로 인입부를 포함하여, 입상관로가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 및/또는 상기 입상관로 인입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입상관로 인입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전주 몸체를 향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콘크리트 및 강관전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20)는 상부면(25)에 강관전주(10)가 결합되는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와,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로 구성된다.
기초 콘크리트 몸체(21)는 시멘트, 자갈, 모래, 물 등이 혼합되어 타설되고 양생되어 만들어지며, 필요에 따라 섬유 강화제, 급속 강화제 등이 첨가되기도 한다.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에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강관전주(10)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볼트(22)가 매설되어 있다.
볼트(22)는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의 길이와 거의 같거나 긴 길이를 가져,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의 철근으로서의 보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22)는 강관전주(10)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관통된 후 너트(23)로 조여짐으로써 기초 콘크리트 몸체(21)를 강관전주(10)에 결합시킨다.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는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강관전주(10)의 전주(電柱) 몸체(11)의 내부(11a)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상관로(3)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를 통해 전주 몸체(11)의 내부(11a)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기초 콘크리트(20)에 강관전주(10)의 내부(11a)와 연통되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가 마련됨으로써, 입상관로(3)를 강관전주(10)의 내부(11a)에 설치할 수 있어 입상관로(3) 및 이에 수용된 케이블(미도시)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입상관로(3)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관이 좋은 점에 있다.
강관전주(10)는 내부(11a)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11)와, 전주 몸체(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초 콘크리트(20)의 상부면(25)에 결합되는 플랜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주 몸체(11)는 내부(11a)가 빈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를 통해 인입된 입상관로(3)가 내부(11a)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입상관로(3)가 전주 몸체(11)의 내부(11a)에 수용됨으로써, 입상관로(3) 및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으며, 케이블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플랜지(12)는 기초 콘크리트 몸체(21)의 상부면(25)에 접촉되며, 판면에는 볼트(22)가 관통하여 너트(23)가 체결되는 체결공(12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2)의 일측에는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때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하나의 입상관로(3)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를 통해 전주 몸체(11)의 내부(11a)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입상관로(5)는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를 거쳐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두 개의 입상관로(3, 5)를 설치할 경우, 하나는 강관전주(10)의 내부(11a)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강관전주(10)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는 플랜지(12)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에 배 치된 전주 몸체(11)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입상관로 인입부가 플랜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면 제2 입상관로 인입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가 함몰 형성되면 입상관로(5)가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주 몸체(11)와 플랜지(12) 사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13)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입상관로(3)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상관로(3)의 일단이 지중(地中)에서 지표면(G)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후, 기초 콘크리트(20)의 일부를 매립하기 위한 매립 구덩이를 판다.
다음, 매립 구덩이에 기초 콘크리트(20)를 설치하는데, 이 때 입상관로(3)를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로 인입시킨 후, 기초 콘크리트(20)가 흔들리지 않도록 매립 구덩이를 흙으로 다진다.
그 후, 강관전주(10)를 기초 콘크리트(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전주 몸체(11)의 내부(11a)로 입상관로(3)의 일단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 볼트(22)를 체결공(12a)에 통과시킨다.
마지막으로, 체결공(12a)으로 돌출된 볼트(22)를 너트(23)로 조여서 강관전주(10)를 기초 콘크리트(20)에 조립시켜 입상관로(3)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도 5와 같이, 두개의 입상관로(3, 5)를 설치하기 위한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상관로(3, 5)의 각 일단이 지중(地中)에서 지표면(G)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후, 기초 콘크리트(20)의 일부를 매립하기 위한 매립 구덩이를 판다.
다음, 매립 구덩이에 기초 콘크리트(20)를 설치하는데, 이 때 입상관로(3)를 제1 입상관로 인입부(31)로 모두 인입시킨 후, 기초 콘크리트(20)가 흔들리지 않도록 매립 구덩이를 흙으로 다진다.
그 후, 강관전주(10)를 기초 콘크리트(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입상관로(3)의 일단은 전주 몸체(11)의 내부(11a)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입상관로(5)의 일단은 강관전주(10)의 제2 입상관로 인입부(3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 볼트(22)를 체결공(12a)에 통과시킨다.
마지막으로, 체결공(12a)으로 돌출된 볼트(22)를 너트(23)로 조여서 강관전주(10)를 기초 콘크리트(20)에 조립시켜 입상관로(3, 5)의 설치를 완료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4와 같이 하나의 입상관로만 설치하는 경우 입상관로가 전주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있으나, 제2 입상관로 인입부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관로를 강관전주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강관전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입상관로가 설치되도록 강관전주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입상관로를 현장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입상관로 인입부가 함몰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와 연통되어 입상관로가 인입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와, 상기 전주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일측에 제2 입상관로 인입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갖는 강관전주를 포함하여,
    입상관로는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통하여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와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로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전주 몸체를 향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로 설치구조.
  4. 삭제
  5. 기초 콘크리트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제1 입상관로 인입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전주(電柱) 몸체와;
    상기 전주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 몸체에 설치된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일측에 제2 입상관로 인입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여,
    입상관로는 상기 제1 입상관로 인입부를 통하여 상기 전주 몸체의 내부와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전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상관로 인입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전주 몸체를 향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전주.
KR1020070045081A 2007-05-09 2007-05-09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KR10085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81A KR100856660B1 (ko) 2007-05-09 2007-05-09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81A KR100856660B1 (ko) 2007-05-09 2007-05-09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660B1 true KR100856660B1 (ko) 2008-09-04

Family

ID=4002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081A KR100856660B1 (ko) 2007-05-09 2007-05-09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30B1 (ko) 2010-09-13 2011-01-07 주식회사 프레코 지주용 케이블 입상관
CN104949663A (zh) * 2015-06-26 2015-09-30 武汉光谷北斗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全球定位系统地基增强站的观测墩
KR20230052766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무찬 통신주 보강구조 및 통신주의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63U (ko) 1976-04-13 1977-10-17
JPH0567638U (ja) * 1991-11-07 1993-09-07 有限会社防長屋外施設 街路灯用基礎
JPH0735541U (ja) * 1993-12-17 1995-07-04 株式会社オーイケ コンクリート製基礎ブロック
KR19990011952U (ko) * 1998-12-24 1999-03-25 박용운 가로등설치용 콘크리트구조물
KR200205807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336491Y1 (ko) 2003-09-30 2003-12-18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도시개발에 의한 가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20012Y1 (ko) 2006-03-28 2006-06-30 변용창 가로등 기초콘크리트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63U (ko) 1976-04-13 1977-10-17
JPH0567638U (ja) * 1991-11-07 1993-09-07 有限会社防長屋外施設 街路灯用基礎
JPH0735541U (ja) * 1993-12-17 1995-07-04 株式会社オーイケ コンクリート製基礎ブロック
KR19990011952U (ko) * 1998-12-24 1999-03-25 박용운 가로등설치용 콘크리트구조물
KR200205807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336491Y1 (ko) 2003-09-30 2003-12-18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도시개발에 의한 가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20012Y1 (ko) 2006-03-28 2006-06-30 변용창 가로등 기초콘크리트용 거푸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30B1 (ko) 2010-09-13 2011-01-07 주식회사 프레코 지주용 케이블 입상관
CN104949663A (zh) * 2015-06-26 2015-09-30 武汉光谷北斗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全球定位系统地基增强站的观测墩
KR20230052766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무찬 통신주 보강구조 및 통신주의 시공방법
KR102654499B1 (ko) 2021-10-13 2024-04-04 주식회사 무찬 보강구조를 갖는 통신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WO2005017290A1 (en) Street light foundation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650147B1 (ko) 건축물 지중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0773773B1 (ko) 연결고리 설치용 앵커
KR102221209B1 (ko) 맨홀연결관 가변연결이 용이한 제수밸브 보호장치
KR100645024B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2632339B1 (ko) 송전과 변전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20080074523A (ko) 케이블 매설용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
JPH1146432A (ja) 電線地中管路用函体及びその管路用マンホール構造
KR200459236Y1 (ko) 소형 맨홀용 받침 구조물
KR200277616Y1 (ko) 피씨 콘크리트 조립식 도로 배수암거
KR100680157B1 (ko)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KR100565972B1 (ko) 맨홀 접속부의 플랜지 일체형 보강관 구조
KR102446074B1 (ko)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KR100680286B1 (ko) 건축물 기초말뚝구조
KR20190117920A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61222B1 (ko) 정화조 설치용 거푸집장치
KR101084756B1 (ko) 송,배전용 맨홀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6635B1 (ko) 도로 측구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의 설치 방법
KR100832264B1 (ko) 건축단지 내 케이블 보호구조물
KR200265425Y1 (ko) 맨홀 덮개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