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171B1 -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171B1
KR101240171B1 KR1020100118433A KR20100118433A KR101240171B1 KR 101240171 B1 KR101240171 B1 KR 101240171B1 KR 1020100118433 A KR1020100118433 A KR 1020100118433A KR 20100118433 A KR20100118433 A KR 20100118433A KR 101240171 B1 KR101240171 B1 KR 10124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tective plate
bent
pla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943A (ko
Inventor
백용
김진환
권오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1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시설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을 유닛화 함으로서 일부분의 파손 등의 경우 파손부분만 교체시공이 가능하여 사후적 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횡방향.종방향의 보강 및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A Fence For Preventing Rock-Falling And Method For It}
본 발명은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시설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을 유닛화 함으로서 일부분의 파손 등의 경우 파손부분만 교체시공이 가능하여 사후적 보강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횡방향.종방향의 보강 및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반암이 불량한 산악지역에 도로를 개설 또는 확장하거나, 철도, 택지 등을 건설하기 위해 사면을 절개할 시, 사면의 붕괴 및 낙석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절개면은 기반암의 종류, 불연속면의 발달 상태 및 풍화도에 따라 사면의 안정성이 좌우되며, 특히 불연속면의 발달 형태에 따라 붕괴의 빈도가 좌우된다. 이러한 암반의 불연속면은 해빙기나 우기에는 틈새로 유입된 많은 양의 지하수의 동결융해 등의 환경작용이 절취면의 낙석 또는 붕괴 현상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로프 등을 얽어매어 경사진 야산을 덮는 방법으로 낙석방지를 행하여 왔으나 이는 원시적인 임시방편에 불과한 것이다.
한편 호안블럭으로 상기 절개면을 덮거나 식생대 조성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낙석 및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절개면의 표면을 직접 덮어 낙석 및 토사의 흘러내림 자체를 저지하는 것으로서, 암벽으로 이루어진 절개면 또는 식생대가 형성된 비탈면 등 주변환경 또는 절개면의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기술로 낙석방지 울타리, 낙석방지 옹벽 및 피암터널 등이 있다.
이 중 낙석방지 울타리는 일반 PVC 코팅 철망과 와이어를 콘크리트기초에 형성된 지주에 설치하여 구축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소규모의 낙석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긴 절개면에 집중 호우 등에 의해 낙석이 예상될 경우 또는 도로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이 예상되는 장소나 도로 인접지에서 유용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낙석방지울타리는 지주에 철망과 와이어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어, 낙석에너지가 큰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절취면 내에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에너지가 단계적으로 흡수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철망 설치 시 와이어를 일정 간격(100m)으로 설치하는 한편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시공공정이 수반된다.
또한, 낙석 발생으로 인해 와이어와 철망에 파손부가 발생된 경우에는 파손된 와이어와 철망의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일정구간의 와이어와 철 망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보수가 번거로우며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수가 용이하며 경제적이고, 낙석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견고한 낙석방지시설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은 상면에 일정유격을 형성하며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내재된 콘크리트기초와; 상기 삽입홈에 장착되며 양측으로 장착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 간에서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방호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면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2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기해 콘크리트기초에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호판은 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절곡편이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절곡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바가 구성되어 방호판에 의해 형성되는 방호벽의 종방향 보강 및 낙석에너지 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파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형상에 기해 횡방향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2중벽구조로, 상.하로 개구된 형상이며, 테두리가 좁아지는 삽입부가 절곡형성 되도록 하여 2중벽 구조에 기해 방호판의 전체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방호판의 내부에는 몰탈을 충진시켜 합성구조로서 거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은 일정유격을 형성하는 2중벽 구조로, 2중벽 사이에 절곡형의 판형스프링이 하나이상 내재되어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주에는 센서와 연동하는 경고등이 구성되도록 하여 지주 및 방호판의 붕괴지점 등을 간파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센서는 변형감지센서 또는 하중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시공방법은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기초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홈에 지주를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지주에 방호판을 적층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은 각각의 구성을 유닛화 함으로서 일부분의 파손 등의 경우 파손부분만 교체시공이 가능하여 사후적 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은 각각의 구성에 있어 횡방향 및 종방향의 보강 및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한 구조를 제시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에 있어 체결구에 지주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방호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에 있어 체결구에 지주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방호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구(111)가 내재되는 콘크리트기초(110)와, 상기 체결구(111)에 삽입 체결됨에 의해 콘크리트기초(110)에 설치되는 지주(120)와, 상기 지주(120) 사이에 슬라이드에 의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방호판(130)에 의해 낙석방지시설을 유닛화 함으로서 하자 발생 시 해당 부분만의 교체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낙석방지시설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유닛화"라함은 전체 지주(120) 간을 와이어에 의해 고정하는 등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지주(120) 간에 방호판(130)을 장착함으로서 어느 일부분의 방호판(130) 및 지주(120)의 하자 발생이 타 방호판(130) 및 지주(1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기초(110)는 일반적인 낙석방지시설의 콘크리트기초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되, 그 상면에 일정 유격을 형성하며 내재되는 체결구(111)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111)는 그 내부에 삽입홈(111-1)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120) 하단이 삽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111)는 그 단면이 "H"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120)의 단면과 대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11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기초(110) 상면으로 돌출부(111-2)가 형성되도록 함이 타당한 바, 이는 상기 돌출부(111-2)에 복수의 체결공(111-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주(120)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공(111-3)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2체결공(122)이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결합(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기해 콘크리트기초(110)에서 지주(12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지주(120)를 콘크리트기초(110)에 견고히 고정을 하는 것이며, 기 제작된 지주(120)를 현장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콘크리트기초(110)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주(120)는 양측으로 장착홈(1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H"형 빔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지주(120) 사이에 각각의 장착홈(121)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방호판(130)이 제시되는 바, 상기 방호판(130)은 상기 지주(120)에서 슬라이드 적층이 됨으로서 지주(120) 사이에 복수의 방호판(130)으로 구성된 방호벽(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지주(120) 사이에 방호판(130)을 적층시킴에 의해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서 그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일정부분에서 방호판(130)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하자가 발생된 방호판(130)만을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호판(130)에 대해 4가지 실시 예가 제시된다.
첫번째 실시 예로서 방호판(130a)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절곡편(131a)이 절곡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절곡편(131a)은 직각으로 절곡된 걸림부(131a-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31a-1)에 연하여 하부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탄성부(131a-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a-1)에 하방향에 적층되는 타 방호판(130a)의 상단이 걸리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부(131a-2)의 끝단이 상기 지주(120)의 장착홈(121)에서 일 내측면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방호판(130a)의 일면에 작용하는 낙석에너지를 상기 탄성부(131a-2)가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상단에 적층되는 방호판(130a)은 그 상단(131a-3)이 상기 절곡편(131a)이 절곡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주(120)의 장착홈(121)에서 일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에 의해 방호판(130a) 상단이 하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절곡편(131a)에는 관통공(132a)이 형성되도록 하고, 적층된 방호판(130a)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32a)을 관통하도록 지지바(133a)가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바(133a)가 구성됨에 의해 상기 방호판(130a)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방호벽은 종방향으로 보강이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바(133a)에 의해 상,하로 적층된 방호판(130a)에 있어 부분적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방호판(130a)에 의해 형성된 방호벽 전체로서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두번째 실시 예로서 방호판(130b)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형으로 구성되는 바, 방호판(130b)이 횡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함에 따라 횡방향으로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파형으로 형성된 방호판(130b)은 지주(120)간 유격이 큰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세번째 실시 예로서 방호판(130c)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2중벽(131c)으로 구성하되 양 측면이 폐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상부에는 2중벽(131c) 간 유격이 좁아지도록 제어턱(132c)이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방호판(130c)의 하단 테두리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턱(132c)과 연하여 삽입부(133c)가 구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방호판(130c)의 하단 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방호판(130c)은 이중벽(131c) 구조에 의해 그 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자체적으로 탄성에 의한 낙석에너지 흡수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호판(130c)에 의해 형성된 방호벽 자체를 합성구조로 거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호판(130c)의 내부에 몰탈(134c)을 충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호판(130c)이 상,하로 개구된 구조이므로 상,하로 적층된 방호판(130c) 즉 방호벽 전체에 몰탈(134c)을 충진시킴으로서 방호벽의 구조적 강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한편 네번째 실시 예로서 방호판(130d)은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유격을 형성하는 2중벽(131d) 구조로, 상기 2중벽(131d)은 그 사이에 판형스프링(132d)이 내재됨으로서 일정 유격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2중벽(131d)은 상부에는 2중벽(131d) 간 유격이 좁아지도록 제어턱(133d)이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방호판(130d)에 있어 2중벽(131d) 하단이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턱(133d)과 연하여 삽입부(134d)가 구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방호판(130d)에 있어 2중벽(131d)의 하단 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판형스프링(132d)은 한쌍의 부착부(132d-1)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132d-1)를 연결하며 경사구배가 형성된 연결부(132d-2)가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132d-1)가 2중벽(131d)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132d-2)에 의해 탄성거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판형스프링(132d)이 내재된 2중벽(131d) 구조에 기해 상기 방호판(130d)은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120)에는 센서(123)와 연동하는 경고등(124)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서(123)에 기해 지주(120)에 작용하는 낙석에너지를 감지하여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경고등(124)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관리자 및 차량통행자 등에 대해서 위험감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123)는 변형감지센서 또는 하중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변형감지센서에 기해 지주(120)의 변형을 감지하거나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지주(120)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센서(123)는 제어부와 연동하도록 하여 센서(123)에 의해 임계치가 도달됨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기해 상기 경고등(124)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낙석방지시설의 시공방법은 우선 삽입홈(111-1)이 형성된 체결구(111)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기초(110)를 타설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본 단계에서 상기 체결구(111)가 상기 콘크리트기초(110) 상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체결구(111)에 형성된 체결공(111-3)과 상기 지주(120)에 형성된 제 2체결공(122)간을 대향하도록 하여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지주(120)를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 상기 지주(120) 하부를 상기 체결구(111)가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지주(120)를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삽입홈(111-1)에 지주를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주(120)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 체결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이렇게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주(120) 하단을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 체결하는 것은 노변을 따라 그 지형이 변화하고 일 부분에서 높은 방호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기 제작된 지주(120)를 이용하되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콘크리트기초(1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시공경제면에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주(120) 사이에 방호판(130)을 적층시키는 단계(S30)를 갖는다.
본 단계(S30)에 있어 지주(120) 사이에 상기 방호판(130a)을 적층하여 방호벽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방호판(130a)을 적층하고, 각각의 관통공(132a)을 관통하도록 지지바(133a)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본 단계(S30)에 있어 지주(120) 사이에 상기 방호판(130c)을 적층하여 방호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하로 적층된 방호판(130c)의 내부에 몰탈(134c)을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10 : 콘크리트기초 111 : 체결구
111-1 : 삽입홈 111-2 : 돌출부
111-3 : 체결공 120 : 지주
121 : 장착홈 123 : 센서
124 : 경고등 130 : 방호판

Claims (13)

  1.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내재된 콘크리트기초;
    상기 삽입홈에 장착되며 양측으로 장착홈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서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방호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구는,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면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호판은,
    판형으로 하부에 절곡편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은 직각으로 절곡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연하여 하부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에는 하방향에 적층되는 타 방호판의 상단이 걸리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부의 끝단은 상기 지주의 장착홈에서 일 내측면에 접하도록 하고, 최상단에 적층되는 방호판은 그 상단이 상기 절곡편이 절곡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주의 장착홈에서 일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곡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센서와 연동하는 경고등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변형감지센서 또는 하중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11.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기초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삽입홈에 지주를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체결하는 단계;
    상기 지주에 방호판을 적층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방호판은 제 1항의 방호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의 시공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118433A 2010-11-26 2010-11-26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33A KR101240171B1 (ko) 2010-11-26 2010-11-26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33A KR101240171B1 (ko) 2010-11-26 2010-11-26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43A KR20120056943A (ko) 2012-06-05
KR101240171B1 true KR101240171B1 (ko) 2013-03-07

Family

ID=466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33A KR101240171B1 (ko) 2010-11-26 2010-11-26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26B1 (ko) * 2020-09-08 2020-12-29 문광일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442A (zh) * 2018-02-02 2018-07-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防止落石碰撞冲击管道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88Y1 (ko) * 2000-04-17 2000-09-15 미강건철주식회사 토사 및 낙석 방호용 패널
KR200329996Y1 (ko) * 2003-07-11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KR100787817B1 (ko) * 2007-08-21 2007-12-21 한국씨엠이엔지(주) 도로 비탈면의 낙석 경고장치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88Y1 (ko) * 2000-04-17 2000-09-15 미강건철주식회사 토사 및 낙석 방호용 패널
KR200329996Y1 (ko) * 2003-07-11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KR100787817B1 (ko) * 2007-08-21 2007-12-21 한국씨엠이엔지(주) 도로 비탈면의 낙석 경고장치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26B1 (ko) * 2020-09-08 2020-12-29 문광일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43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85278A (en) Shallow bollard mounting
US9718613B2 (en) Secondary containment
RU2603677C2 (ru) Объемная георешетка для вариантов применения с умеренными и низкими нагрузками
US9777447B1 (en) Silt barrier support system
CN100535369C (zh) 栅栏
KR101240171B1 (ko)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120137437A (ko) 옹벽 성토 구조체
KR100749329B1 (ko) 도로 옹벽 변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797185B1 (ko) 옹벽용 또는 흙막이용 토류벽 조성장치 및 방법
Lelli et al. Innovative reinforced soil structures for high walls and slopes combining polymeric and metallic reinforcements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JP5161823B2 (ja) 落石・雪崩防止柵
KR101395136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JP4866264B2 (ja) 地中埋設用函体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20030011206A (ko)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101204530B1 (ko)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US8579551B2 (en) MSE anchor system
KR101130226B1 (ko) 도로 교각 안전진단 구조
WO2009153829A1 (ja) 地中埋設用函体
JP5161822B2 (ja) 支柱固定構造
KR102655752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넷 구조
KR102478730B1 (ko) 옹벽용 점검로 구조물
KR20170102617A (ko)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