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996Y1 -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 Google Patents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996Y1
KR200329996Y1 KR20-2003-0022455U KR20030022455U KR200329996Y1 KR 200329996 Y1 KR200329996 Y1 KR 200329996Y1 KR 20030022455 U KR20030022455 U KR 20030022455U KR 200329996 Y1 KR200329996 Y1 KR 200329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age
rockfall prevention
rockfall
stru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지주를 보강하여 낙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지주의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1)를 따라 그 측부를 따라 설치되는 낙석방지책(101)의 지주(10)를 고정하는 지주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홈(115)이 일측면에 형성된 소켓부(110)과, 상면에 상기 소켓부(110)의 홈(115)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소켓부(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콘크리트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는 공장에서 기제작된 정착구를 현장으로 이송한 후에 설치함으로써, 낙석방지책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낙석에 의해 지주가 변형되어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 있어서, 정착구의 소켓부에서 지주를 인출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지주를 정착구의 홈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를 재타설하고 양생하여야 하는 작업을 생략하여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Pillar Socket of Roof Fall Supporter}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주를 보강하여 낙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지주의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산 중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산의 일부분을 절토하여 평지를 형성하고 평지에 도로를 시공한다. 한편, 절토된 절토지는 자유면의 상태로서, 돌 또는 흙이 바람 또는 날씨변화에 따라 도로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 또는 흙이 도로 상에 위치하게 되면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로 양측에는 절토지를 따라 낙석방지책이 설치되어 낙석이 도로로 굴러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책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를 따라 양측에는 다수 개의 지주(10)들이 상하 평행하게 도로(1)에 수직으로 박혀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다수 개의 지주(10)들에는 메시(12)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낙석방지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주(10)는 H빔으로서, 일단부는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절곡된 부위는 도로(1)의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지면에 박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지주(10)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단 도로(1)의 측부를 절토지의 경사면(3)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다. 그리고, 이런 굴착된 부위의 내부에 철근작업 및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때 거푸집의 내부로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삽입시켜 위치한 후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지주(10)의 하단에 콘크리트 블록(15)이 고정되고, 지주(10)는 이런 콘크리트 블록(15)에 의해 지지되어 도로(1) 즉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15)에 고정되는 지주(10)에 있어서 지주(10) 상단의 절곡부는 도로(1)를 향해 위치한다. 이는 절토지의 경사면(3)에서 낙하하는 돌이 지주(10)의 상단을 넘어 도로(1)로 떨어지는 것을 지주(10)와 절토지의 경사면(3)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이다.
이와 같이 도로(1)를 따라 수직하게 위치하는 다수 개의 지주(10)에 메시(12)가 고정되어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폐쇄함으로써, 낙석방지책으로 떨어진 돌이 메시(12)에 걸려 도로(1)로 굴러가지 않게 된다.
하지만, 낙석방지책과 절토지의 자유면 사이에 과도한 돌이 적층되면 지주는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변형된 지주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지주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분쇄한 후에 지주를 제거한다. 새로운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보수전에 위치한 콘크리트와 보수 중에 있는 지주를 지지하는 콘크리트를 연결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책의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과도한 낙석이 떨어져 지주가 변형되었을 경우에 지주를 보수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지주를 설치 및 보수함에 어려움이 발생한 이유는 지주의 하단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수용되어 설치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낙석방지책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를 세움에 있어 편리하며, 또한 낙석에 의해 변형된 낙석방지책을 보수함에 있어 편리한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책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 정착구를 이용한 낙석방지책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주 정착구의 소켓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에 지주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12 : 메시
100 : 지주 정착구 101 : 낙석방지책
103 : 콘크리트 115 : 홈
117 : 바닥판 110 : 소켓부
120 : 콘크리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를 따라 그 측부를 따라 설치되는 낙석방지책의 지주를 고정하는 지주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홈이 일측면에 형성된 소켓부과, 상면에 상기 소켓부의 홈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소켓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 정착구를 이용한 낙석방지책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주 정착구의 소켓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부에 지주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정착구(100)에는 상면에 지주(10)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의 홈(115)이 형성된 소켓부(110)와, 이런 소켓부(110)의 홈(115) 입구가 상면에 열린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소켓부(110)를 수용하며 콘크리트부(120)를 포함한다.
소켓부(110)는 그 상면에 지주(10)인 H빔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홈(11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바닥판(117)이 상면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런 소켓부(110)는 콘크리트부(120)에 수용되어 위치하되, 소켓부(110)의 상면은 콘크리트부(120)의 상면과 일치한다.
이런 소켓부(110)를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된 지주 정착구를 설치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공장에서 제작된 지주 정착구(100)를 낙석방지책(101)이 시공되는 현장으로 이송하고, 굴착된 부위의 내부에 정착구(100)를 다수 개 위치한다. 그리고, 정착구(100)와 정착구(100)를 연결하는 콘크리트(103)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정착구(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115)에 지주를 삽입하여 다수 개의 지주(10)를 세워 고정한다.
이런 상태의 지주(10)에 메시(12)를 고정하여 낙석방지책(101)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낙석방지책(101)의 지주(10)를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 작업자는 지주(10)를 연결하고 있는 메시(12)를 제거하고, 보수하고자 하는 지주(10)를 정착구(100)의 홈(115)에서 인출한다.
그리고, 새로운 지주(10)의 하단을 정착구(100)의 홈(115)에 삽입한 후에 메시(12)를 재설치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는 공장에서 기제작된 정착구를 현장으로 이송한 후에 설치함으로써, 낙석방지책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낙석에 의해 지주가 변형되어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 있어서, 정착구의 소켓부에서 지주를 인출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지주를 정착구의 홈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를 재타설하고 양생하여야 하는 작업을 생략하여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도로(1)를 따라 그 측부를 따라 설치되는 낙석방지책(101)의 지주(10)를 고정하는 지주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홈(115)이 일측면에 형성된 소켓부(110)과,
    상면에 상기 소켓부(110)의 홈(115)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소켓부(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콘크리트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KR20-2003-0022455U 2003-07-11 2003-07-11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KR200329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55U KR200329996Y1 (ko) 2003-07-11 2003-07-11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55U KR200329996Y1 (ko) 2003-07-11 2003-07-11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996Y1 true KR200329996Y1 (ko) 2003-10-17

Family

ID=4933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455U KR200329996Y1 (ko) 2003-07-11 2003-07-11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9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50B1 (ko) 2007-05-31 2009-03-18 이상규 지주정착구
KR101240171B1 (ko) * 2010-11-26 2013-03-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349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성원안전 낙석방지책 시공방법
KR101915361B1 (ko) * 2016-10-31 2018-11-06 제일가설산업 주식회사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2124772B1 (ko) * 2019-08-19 2020-06-23 민경기술 주식회사 자립식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50B1 (ko) 2007-05-31 2009-03-18 이상규 지주정착구
KR101240171B1 (ko) * 2010-11-26 2013-03-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349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성원안전 낙석방지책 시공방법
KR101915361B1 (ko) * 2016-10-31 2018-11-06 제일가설산업 주식회사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2124772B1 (ko) * 2019-08-19 2020-06-23 민경기술 주식회사 자립식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1855B (zh) 塔的地基系统和塔的地基系统的安装方法
US9096986B2 (en) Cementitious foundation cap with post-tensioned helical ancho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726984B1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CN110777802A (zh) 深基坑高低跨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58497A (zh) 一种高悬臂落石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200329996Y1 (ko)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CN104452775B (zh) 用于基坑的预应力支撑及施工方法
CN108330849A (zh) 一种道路桥梁裂缝加固结构装置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ES2394569A1 (es) Metodo para la construccion de pasos inferiores y paso inferior construido con dicho metodo
KR101057003B1 (ko) 포스트 텐션 터널 공법
KR100632977B1 (ko) 플라즈마 앵커공법
KR102218755B1 (ko) 보강토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KR20060096705A (ko) 현장내 설치앵커장치를 이용한 가설 역타 공법
KR100941437B1 (ko) 시공성이 증진되며 상부거더 공극배제가 가능한 2 아치 터널의 시공방법
KR100597530B1 (ko) 난간 설치방법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KR101019735B1 (ko)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전도방지장치
JP2009144382A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945663B1 (ko) 앵커너트를 구비한 기초석
KR20200056827A (ko) 가철탑의 하중 분산장치
RU203692U1 (ru) Штифтовое основание
KR102476908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CN212404804U (zh) 拱形索道桥桥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