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361B1 -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361B1
KR101915361B1 KR1020160143003A KR20160143003A KR101915361B1 KR 101915361 B1 KR101915361 B1 KR 101915361B1 KR 1020160143003 A KR1020160143003 A KR 1020160143003A KR 20160143003 A KR20160143003 A KR 20160143003A KR 101915361 B1 KR101915361 B1 KR 10191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esent
beam structure
beam cov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175A (ko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제일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H빔을 절단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 영역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H빔 커버 및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H빔을 포함하고, 상기 H빔 제거 시 상기 H빔 커버에서 상기 H빔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H BEAM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는 공사가 이루어지는 현장과 외부를 차단하여 공사 현장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나 낙하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음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음 구조물은 지면의 일정 깊이로 골을 굴착한 후 H빔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한 다음 이웃한 H빔 사이에 방음패널을 끼워 넣어 완성한다.
하지만, 방음 구조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된 H빔의 하부 영역을 절단한 후, 지면 상부로 노출되는 H빔의 상부 영역 만을 재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매립된 H빔의 하부 영역은 손실되는 것이며, 재사용하는 H빔의 상부 영역은 길이가 부족할 경우 추가의 H빔을 용접하여 재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H빔을 절단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은 하부 영역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H빔 커버 및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H빔을 포함하고, 상기 H빔 제거 시 상기 H빔 커버에서 상기 H빔을 인출한다.
또한,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H빔의 영역에서, 상기 H빔의 외주면은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의 내주면은 모든 면이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빔 커버와 상기 H빔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 부재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H빔 커버는 열경화성 수지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H빔 커버에 H빔을 삽입하는 제 1 단계, 천공하여 지면에 홀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홀에 상기 H빔이 삽입된 상기 H빔 커버의 하부를 삽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홀을 매립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H빔의 영역에서, 상기 H빔의 외주면은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의 내주면은 모든 면이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결속 부재를 통해 상기 H빔 커버와 상기 H빔을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 부재는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H빔 커버는 열경화성 수지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지면에 매립된 H빔을 절단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에서 H빔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
다음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에서 H빔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은 H빔 커버(100), H빔(200) 및 결속 부재(30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단일 H빔 커버(100), H빔(200) 및 결속 부재(300)의 결합 구조물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나, H빔 구조물은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H빔 커버(100)는 상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하부 일부 영역이 지면(10)에 매설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콘크리트(20)이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지면(10)을 육면체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10)는 H빔(200)의 단부가 삽입되며, 개구부(110)의 내주면은 H빔(200)의 외주면과 모든 면(全面)이 밀착되도록 H빔(200)의 외주면 대응되는 "H"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H빔 커버(100)의 외주면은 특별히 형상 제한이 되지 않으나, 사용되는 재질의 소요량을 줄이기 위해, 내주면 으로부터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H"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H빔 커버(10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금속 중 하나로 구성되며, 금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빔(200)은 종래의 H빔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속 부재(300)는 상기 H빔 커버(100)의 개구부에 H빔(200)이 삽입된 후, H빔 커버(100)와 H빔(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이들을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속 부재(300)를 가장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위해 접착 테이프로 한정하여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볼트/너트의 결합 또는 H빔 커버(100)와 H빔(200) 사이에 형성된 홈 및 돌기로 인한 억지 끼움 방식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다음은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H빔 커버에 H빔을 삽입하는 제 1 단계, 지면에 홀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홀에 H빔이 삽입된 H빔 커버의 하부를 삽입하는 제 3 단계 및 홀을 매립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H빔 커버(100)의 개구부(110)에 형상이 일치하는 H빔(200)을 삽입한다. 여기서, H빔 커버(100)의 하단은 막혀 있어, H빔(200)이 H빔 커버(10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H빔(200)이 H빔 커버(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접착 테이프(300)를 붙여, H빔(200)이 H빔 커버(100)에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탈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들 사이를 결속한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천공기(drilling equipment) 등을 통해 지면(10)을 천공하여, 지면(10)에 홀(11)을 형성한다.
여기서, 이러한 천공 방법은 공지된 다수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H빔(200)이 삽입 및 결속된 H빔 커버(100)의 하부 영역을 지면(10)의 홀(11)에 삽입한다. 여기서, 홀(11)에 H빔 커버(100)를 삽입 시, H빔 커버(100)의 상부 영역은 지면(10)의 상부로 노출되어야 추후에, H빔 커버(100)에서 H빔(200)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단계에서는 H빔 커버(100)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면(10)의 홀(11)에 콘크리트(20)를 매립한다. 이로써, H빔 커버(100)의 하부 영역은 지면(10)에 매설되어 고정되며, 추후 H빔(200)을 인출할 시 H빔 커버(100)는 지면(1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제거 방법>
다음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구조물의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H빔 구조물의 제거 방법은 결속 부재를 제거하는 제 I 단계 및 H빔을 인출하는 제 II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I 단계에서는 H빔 커버(100)와 H빔(200) 사이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300)를 제거한다. 이로써, H빔(200)은 H빔 커버(100)에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탈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II 단계에서는 H빔 커버(100)에서 H빔(200)이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H빔(200)을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다. 이로써, H빔(200)을 절단하지 않고 용이하게, 지면(10)에서 H빔(20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지면(10)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H빔 커버(100)의 상부 영역은 용이하게 절단하여, 지면(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지면 20: 콘크리트
100: H빔 커버 200: H빔
300: 결속 부재

Claims (10)

  1. 하부 영역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H빔 커버; 및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H빔; 을 포함하고,
    상기 H빔 제거 시 상기 H빔 커버에서 상기 H빔을 인출하고,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H빔의 영역에서, 상기 H빔의 외주면은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의 내주면은 모든 면이 밀착하며,
    상기 H빔 커버와 상기 H빔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는 접착 테이프이며,
    상기 H빔 커버는, 상기 H빔과 상기 결속 부재를 통해 결속된 후에, 상기 하부 영역 일부가 상기 지면을 천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빔 커버는 열경화성 수지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
  6.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H빔 커버에 H빔을 삽입하는 제 1 단계;
    천공하여 지면에 홀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홀에 상기 H빔이 삽입된 상기 H빔 커버의 하부를 삽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홀을 매립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H빔의 영역에서, 상기 H빔의 외주면은 상기 H빔 커버의 개구부의 내주면은 모든 면이 밀착하며,
    상기 제 1 단계에서,
    결속 부재를 통해 상기 H빔 커버와 상기 H빔을 결속하고, 상기 결속 부재는 접착 테이프이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H빔 커버는, 상기 H빔과 상기 결속부재를 통해 결속된 후에, 하부가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H빔 커버는 열경화성 수지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20160143003A 2016-10-31 2016-10-31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191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03A KR101915361B1 (ko) 2016-10-31 2016-10-31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03A KR101915361B1 (ko) 2016-10-31 2016-10-31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75A KR20180047175A (ko) 2018-05-10
KR101915361B1 true KR101915361B1 (ko) 2018-11-06

Family

ID=6218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003A KR101915361B1 (ko) 2016-10-31 2016-10-31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65A (ko) 2019-08-14 2021-02-24 김현빈 철 구조물 오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019A (ja) * 1998-06-15 2000-01-07 Nippon Light Metal Co Ltd 支柱の抜け防止構造
KR200329996Y1 (ko) * 2003-07-11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019A (ja) * 1998-06-15 2000-01-07 Nippon Light Metal Co Ltd 支柱の抜け防止構造
KR200329996Y1 (ko) * 2003-07-11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65A (ko) 2019-08-14 2021-02-24 김현빈 철 구조물 오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75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758B1 (ko) 기초블록을 이용한 수직 하향 증축 공법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915361B1 (ko) H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h빔 구조물의 설치 방법
JP2010163748A (ja) 山留め壁載荷試験方法
KR101672359B1 (ko)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KR101034782B1 (ko) 열순환 파이프의 시공 방법
KR101739266B1 (ko) Phc 파일 연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파 phc 파일의 보수 시공 방법
KR20110070188A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20200013275A (ko) 강관을 이용하여 phc파일(기성콘크리트말뚝) 근입 후 분리할 수 있는 장치
JP2008179961A (ja) 建物の基礎断熱構造
KR101460180B1 (ko) 소일네일링 공법용 이종 철근 연결구
JP6341027B2 (ja) 床版拡幅工法
KR101153314B1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100812845B1 (ko) 거푸집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JP4471211B2 (ja) 可変側溝及びその敷設工法
JP6322490B2 (ja) 分断材および現場造成杭の杭頭処理方法
JP6085239B2 (ja) 土留め壁用の芯材、及び、該芯材の上部芯材撤去方法
KR101699448B1 (ko) 토사천공장치
KR101219452B1 (ko) 연속벽구조물용 요철형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구조물 시공방법
JP2016148165A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伸縮継手設置方法
JP2010144469A (ja) 本設の地下外壁の構築方法及び地下外壁並びに山留め壁
KR20060026148A (ko) 장방형 대단면 실드 터널용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이를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JP5071320B2 (ja) 杭の引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