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530B1 -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530B1
KR101204530B1 KR1020110023953A KR20110023953A KR101204530B1 KR 101204530 B1 KR101204530 B1 KR 101204530B1 KR 1020110023953 A KR1020110023953 A KR 1020110023953A KR 20110023953 A KR20110023953 A KR 20110023953A KR 101204530 B1 KR101204530 B1 KR 10120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hread
waste
clos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090A (ko
Inventor
김세룡
Original Assignee
김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룡 filed Critical 김세룡
Priority to KR102011002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53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6Sealing of existing landfills, e.g. using min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4Covering of dumping si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지의 기저층(基底層)을 형성하여 침출수의 토양 혼입으로 지하수가 요염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시공되는 차수막의 보호를 위해 포설되는 치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립되어지는 폐기물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통폐타이어(10)의 외경인 트레이부(11)는 물론 내경인 비트부(12)에 압축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라이너(13) 내측에 폭방향으로 재단 형성되어진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가 삽입 설치되어지되, 상기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는 통폐타이어(10)의 타이어폭에 대하여 직각되게 위치하여 트레이부(22)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양단이 인라이너(13) 내측으로 삽입 조립형성되어 토양 오염 및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斜面)에 형성되는 차수막(4) 보호를 위해 상기 차수막(4)의 상면으로 펼쳐져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는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 체결구조에 있어서, 트레이드부(11)가 맞닿도록 차수막(4)위에 펼처져 통폐타이어(10)를 체결구(100)에 의해 결속하되, 상기 체결구(100)는 서로 맞닿아 접촉되어진 통폐타이어 (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 합체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선단에는 등선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를 천공할 때 천공되는 구멍의 내면에 칼집을 내주는 절개용 나사산(112)이 2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칼집에 파고들어가 위치하는 등선이 둥근 고정용 나사산(111)이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선단으로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을 천공시키는 드릴(120)과; 상기 체결부(110)의 후단에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질 수 있게 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체결용 공구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다각머리가 형성되어 있는 와셔붙이머리부(130)로 구성된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wasted tire for protective water pollution prevention shut off in waste saniitation reclaimd land}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지의 기저층(基底層)을 형성하여 침출수의 토양 혼입으로 지하수가 요염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시공되는 차수막의 보호를 위해 포설되는 치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들이 대량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폐기물은 그 종류에 따라 소각처리하거나, 재활용하기도 하나, 대개의 폐기물은 매립을 통해 처리되어 진다.
폐기물을 매립하는 쓰레기 매립장은 평평한 지형에 웅덩이를 파서 매립하는 방법과, 산간계곡에 매립할 경우에는 계곡 하류 병목지점에 제방을 축조하여 그 상류부에 폐기물을 매립하게 된다.
상기 쓰레기 매립장에 폐기물을 매립 처리할 때에는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를 분리, 차단하여 매립장 하부의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현상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매립지 바닥과 경사면에는 침출수를 차단할 수 있는 차수막을 포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수막이 형성된 쓰레기 매립장 내에 폐기물을 일정한 두께로 매립한 다음 그 상부에 토사로 복토를 하고, 복토 된 토사 위에 또 다시 폐기물을 일정한 두께로 매립한 후에 또다시 토사로 복토하는 순으로 쓰레기 매립장을 채워가게 된다.
상기 쓰레기 매립장에 폐기물의 매립이 진행되어 매립 높이가 높아지면, 폐기물 매립지는 폐기물의 성상, 매립시 다짐정도, 복토상태, 폐기물의 분해 정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매립 높이가 각 30%정도 침하하게 된다.
폐기물이 침하하면서 경사면의 차수막과 폐기물의 마찰력으로 차수막이 인장상태가 되어 차수막이 하부로 당겨져 얇아지게 되며 심한 경우는 차수막이 찢어지게 된다.
상기 침하로 발생하는 차수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가, 매립층내 저류되는 침출수를 신속히 하부로 배수시키는 방법인데, 이때 사용되어지는 것이 폐타이어로써, 폐타이어가 투수성이 큰 필터층을 형성하게 되어 침출수가 원할하게 배수되어지지 못하고 정체되어 야기되는 부등침하현상을 해소함과 더불어 매립되는 폐기물이 차수막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은, 사용하고난 폐타이어를 기저층을 이루는 차수막 위에 펼쳐 놓은 상태에서 개별적인 타이어를 와이어로 묶어 하나의 층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에 묶여 하나의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을 형성하는 폐타이어의 내측의 타이어휠과 결합되는 부위로 차수막이 노출되어서 매립되는 폐기물이 직접 접촉되거나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타이어 조각들을 충진하여 폐타이어층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폐타이어층의 단점을 해결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고, 그 예로는 특허 제10-0161639호의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쓰레기 위생매립지에 포설하는 통폐타이어층의 형성 방법"이 있고, 이 사건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 제10-0981450호"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폐타이어층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들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을 형성하는 폐타이어의 내측에 타이어조각들을 채워 차수막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개별적인 타이어가 서로 연결되어 폐타이어층을 이루도록 하는 방법이 와이어 연결방식이어서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하여 많은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 상승ㅇ으을dd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와이어의 결속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폐타이어의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폐타이어와 폐타이어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안정된 차수막 보호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하는대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한 폐타이어의 결속방법을 일반화되어 있는 볼트 체결방식을 채택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기존 볼트를 이용하여 폐타이어를 체결할 때에는 너트를 꼭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또한 작업공수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용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폐타이어의 체결을 위해서는 폐타이어에 먼저 천공작업을 수행한 다음, 천공된 구멍으로 볼트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결속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볼트 체결방식은 폐타이어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할 수 있으나, 작업공수가 많아 와이어에 의한 결속 방법에서와 같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없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작업에 따른 인력 투입이 많아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상기 볼트 체결방식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직결볼트를 이용한 폐타이어의 결속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직결볼트에 의한 폐타이어의 결속은 볼트에 의한 결속시 선행 작업을 수행해야 했던 천공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결속의 대상이 고무이어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였을 때 나타나는 볼트 및 너트의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조임력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한 결속을 도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사건출원인은 폐타이어에 대하여 조임력이 우수한 체결구를 이용한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 형성이 가능한 체결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선등록 발명의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단에 형성된 드릴이 통폐타이어의 바닥면에 구멍을 천공하면 체결부를 구성하는 선단의 2피치로 형성된 절개용 나사산이 천공 형성되는 구멍의 내면에 연속되는 나선형 칼집을 형성시키게 되고, 절개용 나사산의 산과 산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5㎜의 간격을 갖고 연속형성되진 고정용 나사산이 나선형 칼집으로 파고들어가 천공 형성된 구멍의 내면이 나선형 나사홈으로 위치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천공 형성된 구멍의 내면이 위치하여지는 나선형 나사홈은 그 깊이가 2.5㎜이어서 고정용 나사산의 비탈면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볼트에 대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너트 사용 없이도 고정용 나사산 비탈면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이 발생하여 종래와 같이 연결용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폐타이어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기존 볼트,너트를 사용할 때 보다 조립 작업이 단순하여 통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의 시공 생산성 향상을 꾀하였을 뿐만 아니라, 종래 연결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통폐타이어를 결속하여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을 형성할 때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 삽입 작업시 연결용 와이어에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가 간섭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 시공에 따른 공기(工期)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되어지는 폐기물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통폐타이어(10)의 외경인 트레이부(11)는 물론 내경인 비트부(12)에 압축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라이너(13) 내측에 폭방향으로 재단 형성되어진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가 삽입 설치되어지되, 상기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는 통폐타이어(10)의 타이어폭에 대하여 직각되게 위치하여 트레이부(22)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양단이 인라이너(13) 내측으로 삽입 조립형성되어 토양 오염 및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斜面)에 형성되는 차수막(4) 보호를 위해 상기 차수막(4)의 상면으로 펼쳐져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는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 체결구조에 있어서,
트레이드부(11)가 맞닿도록 차수막(4)위에 펼처져 통폐타이어(10)를 체결구(100)에 의해 결속하되, 상기 체결구(100)는 서로 맞닿아 접촉되어진 통폐타이어 (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 합체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선단에는 등선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를 천공할 때 천공되는 구멍의 내면에 칼집을 내주는 절개용 나사산(112)이 2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칼집에 파고들어가 위치하는 등선이 둥근 고정용 나사산(111)이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선단으로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을 천공시키는 드릴(120)과;
상기 체결부(110)의 후단에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질 수 있게 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체결용 공구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다각머리가 형성되어 있는 와셔붙이머리부(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 체결구조는, 선단에 형성된 드릴(120)이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구멍을 천공하면 체결부(110)를 구성하는 선단의 2피치로 형성된 절개용 나사산(112)이 천공 형성되는 구멍의 내면에 연속되는 나선형 칼집을 형성시키게 되고, 절개용 나사산(112)의 산과 산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5㎜의 간격을 갖고 연속형성되진 고정용 나사산(111)이 나선형 칼집으로 파고들어가 천공 형성된 구멍의 내면이 나선형 나사홈(111b)(112a)으로 위치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천공 형성된 구멍의 내면이 위치하여지는 나선형 나사홈(112a)은 그 깊이가 2.5㎜이어서 고정용 나사산(111)의 비탈면(111a)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볼트에 대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너트 사용 없이도 고정용 나사산(111) 비탈면(111a)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이 발생하여 종래와 같이 연결용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폐타이어(1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기존 볼트,너트를 사용할 때 보다 조립 작업이 단순하여 통폐타이어(10)를 이용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의 시공 생산성 향상을 꾀하였을 뿐만 아니라, 종래 연결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통폐타이어(10)를 결속하여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할 때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 삽입 작업시 연결용 와이어에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가 간섭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 시공에 따른 공기(工期)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를 이용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이 시공된 쓰레기 매립장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를 체결하는 체결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구에 의해 결속되어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용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에 형성하는 통폐타이어를 발췌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구에 의해 결속되는 통폐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용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구에 의해 통폐타이어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는, 매립되어지는 폐기물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통폐타이어(10)의 외경인 트레이부(11)는 물론 내경인 비트부(12)에 압축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라이너(13) 내측에 폭방향으로 재단 형성되어진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가 삽입 설치되어지되, 상기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는 통폐타이어(10)의 타이어폭에 대하여 직각되게 위치하여 트레이부(22)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양단이 인라이너(13) 내측으로 삽입 조립형성되어 토양 오염 및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斜面)에 형성되는 차수막(4) 보호를 위해 상기 차수막(4)의 상면으로 펼쳐져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는 통폐타이어(10)를 체결구(100)로 결속한다.
상기 체결구(100)는 체결부(110)와 체결부(110)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드릴(120)과, 상기 체결부(110)의 후단으로 형성되는 와셔붙이머리부(130)로 이루어 진다.
상기 체결부(110)는 ,서로 맞닿아 접촉되어진 통폐타이어 (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 합체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선단에는 등선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를 천공할 때 천공되는 구멍의 내면에 칼집을 내주는 절개용 나사산(112)이 2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칼집에 파고들어가 위치하는 등선이 둥근 고정용 나사산(111)이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110)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드릴(120)은 그 외경이 나선형 나사홈(112a)에 대응하는 굵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와셔붙이머리부(130)는, 체결용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각형을 이루되, 그 형상은 사각 또는 육각 및 팔각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 었고,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질 수 있게 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100)의 체결부(110)를 형성하는 절개용 나사산(112)과 고정용 나사산(111) 각각의 산과 산의 거리는 5㎜ 이다.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과 고정용 나사산(111) 사이의 각 나선형 나사홈(111b)(112a)의 깊이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이 천공됨과 동시에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절개된 칼집으로 고정용 나사산(111)이 파고들어가 천공 구멍의 내면이 고정형 나사산(111)의 비탈면(111a)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을 갖고 버팀지지되어 질 수 있는 2.5㎜의 깊이를 갖고 형성되어진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층을 시공할 때에는 먼저, 사용수명을 다한 통폐타이어(10)를 수집한다.
수집한 통폐타이어(10)를 그대로 사용하는 통폐타이어와 절단하여 사용하는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용으로 분리 한다.
이후,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용으로 분류된 통폐타이어를 절단프레스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를 가공하게 된다.
상기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는 통폐타이어(10)를 4등분이 되게 재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준비된 통폐타이어(10)와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를 운반수단 즉, 집게차를 이용하여 굴삭되어서된 쓰레기 매립장(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으로 운반한다.
상기와 같이 운반된 통폐타이어(10)와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기에 앞서 굴삭된 쓰레기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에 침출수가 토양으로 혼입되어 토양 오염은 물론,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차수막(4)을 시공함과 동시에 침출수의 수집처리가 가능하도록 바닥면 중앙에 배수펌프를 갖는 배수관(3)을 설치한다.
이후, 차수막(4) 보호를 위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할 때에는 쓰레기 매립장으로 운반된 통폐타이어(10)를 먼저 차수막(4) 위로 펼쳐 놓게 된다.
이후 통폐타이어(10)가 서로 맞닿은 바닥면을 결속하게 되는데, 통폐타이어의 결속은 체결구(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결구(10))로 통폐타이어(10)를 서로 결속시킬 때에는 체결구(100)의 와셔붙이머리부(130)를 채결용 공구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통폐타이어(10)의 비트부(12)쪽에서 체결구(10))의 선단 드릴(120)을 바닥면에 접촉시킨다.
이후 체결용 공구(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시켜 드릴(120)이 통폐타이어(10)의 다닥면을 파고들어가 천공하게 된다.
상기 드릴(120)에 의해 천공되어 형성되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으로 형서된 구멍(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의 내면은 드릴(120)과 이웃하는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칼집이 형성되어지 된다.
상기 칼집은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지게 되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따라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연이어 형성된 고정용 나사산(111)이 파고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용 나사산(111)이 드릴(120)에 의해 천공 형성된 구멍의 칼집으로 위치함에 따라 통폐타이어(10)의 구멍 내면이 나선형 나사홈(111b)(112a)으로 위치하여지게 된다.(도5참조)
상기와 같이 2.5㎜의 깊이를 갖는 나사형 나사홈(111b)(112a)으로 위치하여진 구멍의 내면은 고정형 나사산(111)의 비탈면(111a)에 대하여 버팀력을 발휘하게되어 너트 체결 없이도 견고한 조임력이 발생되어 지고 조임력의 유지는 와셔붙이머리부(130)의 와셔(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가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면접촉 버팀되어 짐으로써, 안정되게 유지되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체결구(100)를 이용한 통폐타이어(10)의 체결이 완료되어지면, 절단프레스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를 통폐타이어(10)의 내경인 비트부(12)를 통해 끼워서 양단이 인라이너(13)로 삽입 위치하도로 한다.(도 3, 도4 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현장 조립되어서된 통폐타이어(10)를 이용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시공하여 쓰레기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斜面)에 시공되어진 차수막(4)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폐타이어(10)를 이용하여서 형성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은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에 의해 통폐타이어(10)의 비트부 공간이 매워져 폐기물이 차수막(4)에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어서 차수막(14)의 안정된 보호는 물론, 두께가 두껍고 견고한 변형방지용보강타이어(20)가 통폐타이어(10)의 취약부분인 비트부(12)를 받쳐주어 폐기물 하중에 의해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이루는 통폐타이어(10)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 시공을 마친후, 바닥면 쪽에는 필터층(모래 자갈)(2)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구(100)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함에 따라 시공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체결로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의 내구수명의 향상을 꾀할 수도 있는 것이다.
1 : 차수막막보호용폐타이어층 10 : 통폐타이어
20 : 변형방지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 100 : 체결구
110 : 체결부 111 : 고정용 나사산
111a : 비탈면 111b,112a : 나선형 나사홈
112 : 절개용 나사산 120 : 드릴
130 : 와셔붙이머리부

Claims (2)

  1. 매립되어지는 폐기물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통폐타이어(10)의 외경인 트레이부(11)는 물론 내경인 비트부(12)에 압축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라이너(13) 내측에 폭방향으로 재단 형성되어진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가 삽입 설치되어지되, 상기 변형방지겸용비트부공간차단폐타이어(20)는 통폐타이어(10)의 타이어폭에 대하여 직각되게 위치하여 트레이부(22)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양단이 인라이너(13) 내측으로 삽입 조립형성되어 토양 오염 및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립장의 바닥면과 사면(斜面)에 형성되는 차수막(4) 보호를 위해 상기 차수막(4)의 상면으로 펼쳐져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층(1)을 형성하는 차수막보호용폐타이어 체결구조에 있어서,
    트레이드부(11)가 맞닿도록 차수막(4)위에 펼처져 통폐타이어(10)를 체결구(100)에 의해 결속하되, 상기 체결구(100)는 서로 맞닿아 접촉되어진 통폐타이어 (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 합체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선단에는 등선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를 천공할 때 천공되는 구멍의 내면에 칼집을 내주는 절개용 나사산(112)이 2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칼집에 파고들어가 위치하는 등선이 둥근 고정용 나사산(111)이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선단으로 형성되어 통폐타이어(10)의 트레이드부(11)인 바닥면을 천공시키는 드릴(120)과;
    상기 체결부(110)의 후단에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질 수 있게 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체결용 공구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다각머리가 형성되어 있는 와셔붙이머리부(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00)의 체결부(110)를 형성하는 절개용 나사산(112)과 고정용 나사산(111) 각각의 산과 산의 거리는 5㎜ 이고, 상기 절개용 나사산(112)과 고정용 나사산(111) 사이의 각 나선형 나사홈(111b)(112a)의 깊이는 통폐타이어(10)의 바닥면이 천공됨과 동시에 절개용 나사산(112)에 의해 절개된 칼집으로 고정용 나사산(111)이 파고들어가 천공 구멍의 내면이 고정형 나사산(111)의 비탈면(111a)에 대하여 견고한 조임력을 갖고 버팀지지되어 질 수 있는 2.5㎜의 깊이를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KR1020110023953A 2011-03-17 2011-03-17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KR10120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53A KR101204530B1 (ko) 2011-03-17 2011-03-17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53A KR101204530B1 (ko) 2011-03-17 2011-03-17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90A KR20120106090A (ko) 2012-09-26
KR101204530B1 true KR101204530B1 (ko) 2012-11-23

Family

ID=4711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53A KR101204530B1 (ko) 2011-03-17 2011-03-17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64B1 (ko) * 2014-10-24 2017-02-06 주식회사 에코피아 매트 고정용 부재
CN107570521A (zh) * 2017-09-21 2018-01-12 四川正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填埋场的覆盖膜压膜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946A (ja) 1998-11-25 2000-06-13 Shimizu Corp 遮水シート保護層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65876B1 (ko) 2008-06-04 2008-10-29 주식회사 건화 폐타이어를 활용한 매립지 측면 보호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946A (ja) 1998-11-25 2000-06-13 Shimizu Corp 遮水シート保護層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65876B1 (ko) 2008-06-04 2008-10-29 주식회사 건화 폐타이어를 활용한 매립지 측면 보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90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16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도로연약지반의 보강구조
US10227749B2 (en) Landfill liner system
KR101204530B1 (ko)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체결구조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1017948B1 (ko) 지하차도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20100012273A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KR100842372B1 (ko) 탑―다운 방식에 의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공법
KR101602935B1 (ko) 침하방지패널 및 이를 이용한 침하방지시공방법
JP2020033714A (ja) ドレイン管敷設工法
KR100776620B1 (ko) 바타입 앵커
KR101240171B1 (ko)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68757Y1 (ko) 상수도관의 보호장치
KR100697001B1 (ko) 다중방식 프로텍터
KR100981450B1 (ko)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폐타이어층 시공방법
KR100584661B1 (ko) 상수도관 매립장치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100524136B1 (ko)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그의 구축방법
JP4761052B2 (ja) 余裕幅無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土留開削工法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JP2016030992A (ja) 盛土用の排水パイプ
CN108677941A (zh) 一种钢板与槽钢带组合式面层土钉墙
KR102157073B1 (ko) 마감일체형 합벽식 목재마감옹벽의 시공방법
JP2003033759A (ja) 滞水式地中壁を用いた汚染物質拡散防止方法
KR20180010782A (ko) 나선형 스크류드릴 구조의 고정팩 및 제조 시스템
JP3580647B2 (ja) 地下水流の遮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