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174B1 - 차체 하부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하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174B1
KR102614174B1 KR1020160171998A KR20160171998A KR102614174B1 KR 102614174 B1 KR102614174 B1 KR 102614174B1 KR 1020160171998 A KR1020160171998 A KR 1020160171998A KR 20160171998 A KR20160171998 A KR 20160171998A KR 102614174 B1 KR102614174 B1 KR 10261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ening
lower panel
upper panel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984A (ko
Inventor
이문섭
장훈
김민수
송건하
임종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1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 복합재 재질의 로워패널; 하면이 상기 로워패널의 상면과 겹쳐지도록 연결되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합재 재질의 어퍼패널; 및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어퍼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로워실링과, 상기 어퍼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로워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어퍼실링으로 구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체 하부구조 {CAR BODY UNDERSTRUCTURE}
본 발명은 로워패널과 어퍼패널이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실링 처리된 플로어패널을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경우 플로어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로워패널과 어퍼패널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 후 스팟 용접 및 접착제를 통해 조립하였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충돌성능은 만족하나 중량이 과다하고 구조물의 부품수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복합재를 이용하여 플로어패널을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플로어패널의 경우 강성 등을 이유로 별도의 유출구가 마련될 수 없었다. 전착액에 담굴 경우 내부공간으로 전착액이 유입되어 전착액의 고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개구된 부분을 실링함으로써 전착액이 담긴 수조에 담궈도 내부공간으로의 전착액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체 하부구조를 제안하기로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4602호
본 발명은 로워패널과 어퍼패널이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실링 처리된 플로어패널을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 복합재 재질의 로워패널; 하면이 상기 로워패널의 상면과 겹쳐지도록 연결되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합재 재질의 어퍼패널; 및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어퍼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로워실링과, 상기 어퍼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로워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어퍼실링으로 구성된 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전방개구부; 및 상기 제1전방개구부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전방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후방개구부; 및 상기 제1후방개구부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후방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실링은 상기 제1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전방절곡부와, 상기 제1전방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1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1전방실링; 및 상기 제2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전방절곡부와, 상기 제2전방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2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2전방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실링은 상기 제1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후방절곡부와, 상기 제1후방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1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1후방실링; 및 상기 제2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후방절곡부와, 상기 제2후방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2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2후방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 상면의 전단부가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중앙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실링은 상기 중앙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중앙부의 상면까지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퍼패널의 양측으로 양방을 향하는 한 쌍의 어퍼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어퍼접합면에 마련된 복수의 양방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패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워패널의 양측으로 한 쌍의 로워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워접합면은 상기 어퍼접합면과 접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양방개구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로워리브와, 상기 어퍼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어퍼리브로 구성된 리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패널 및 상기 어퍼패널은 촙스트랜드(Chop Strand) 형태의 강화섬유 및 상기 강화섬유를 함침시키는 컴파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에 따르면 로워패널과 어퍼패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부를 실링함으로써 전착액이 담긴 수조에 담궈도 내부공간으로의 전착액 흐름을 차단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패널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패널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패널의 상면에 로워리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패널의 하면에 어퍼리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 복합재 재질의 로워패널(100); 하면이 상기 로워패널(100)의 상면과 겹쳐지도록 연결되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합재 재질의 어퍼패널(200); 및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100)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100)의 단부로부터 상기 어퍼패널(200)을 향해 형성되는 로워실링(310)과, 상기 어퍼패널(200)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200)의 단부로부터 상기 로워패널(100)을 향해 형성되는 어퍼실링(320)으로 구성된 실링부(300);를 포함한다.
차체를 이루는 플로어패널(10)(Floor Panel)의 구성요소인 로워패널(1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단부터 후단까지 만곡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다. 로워패널(100)의 경우 강화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한 종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의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란 차체를 기준으로 로워패널(100)이 전후방으로 연장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어퍼패널(2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하면이 로워패널(100)의 상면과 서로 접하도록 연결됨으로써 플로어패널(10)을 형성한다. 다만, 로워패널(100)의 상면과 어퍼패널(200)의 하면이 서로 이격된 부분이 존재하여 로워패널(100)과 어퍼패널(200)이 접할 때 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로워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어퍼패널(200)은 강화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한 종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의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로워패널(100)과 어퍼패널(200)은 접착제 또는 블라인드리벳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300)는 로워패널(100) 또는 어퍼패널(200)의 단부에 로워패널(100) 또는 어퍼패널(20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로워패널(100) 및 어퍼패널(200)과는 달리 복합재 재질로 이루어진 로워패널(100) 및 어퍼패널(200)의 경우 강성 저하의 우려로 인해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으로 전착액이 유입될 경우 내부공간으로 스며든 전착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에 형성된 개구부에 실링부(300)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한다. 전착액이란 전착도금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되며 로워패널(100)과 어퍼패널(200)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패널(10)을 전착액에 담구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100)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전방개구부(21); 및 상기 제1전방개구부(21)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100)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전방개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패널(100)의 상면에는 제1하방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방만곡면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다. 로워패널(10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퍼패널(200)과 접하도록 연결될 경우 제1하방만곡면에 의해 내부공간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방만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로워패널(100) 하부는 히터프로텍트(Heater Protect)의 마운팅을 제공한다.
제1전방개구부(21)의 경우 제1하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워패널(100)의 전단에 형성되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한다.
로워패널(100)의 상면에는 제2하방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방만곡면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하방만곡면에서 양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로워패널(10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퍼패널(200)과 접하도록 연결될 경우 제2하방만곡면에 의해 내부공간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방만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로워패널(100) 하부는 언터커버(Under Cover)의 마운팅을 제공한다.
또한, 어퍼패널(200)의 상면에는 중앙만곡면, 제1상방만곡면, 제2상방만곡면, 제3상방만곡면 및 제4상방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만곡면은 중앙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중앙부가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앙만곡면도 어퍼패널(20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만곡면과 로워패널(100)의 중앙부 상면 사이에 형성된 터널형태의 내부공간은 TGS케이블 및 콘솔(Console) 마운팅을 제공한다.
제1상방만곡면은 한 쌍으로 마련된다. 어퍼패널(200)에서 중앙만곡면을 시작으로 양단까지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워패널(100)과 접하도록 연결될 경우 제1상방만곡면에 의해 내부공간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방만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퍼패널(200) 상부는 전방좌석(Front Seat) 전방의 마운팅을 제공하고 리어덕트(Rear Duct)의 경로 안내면을 제공한다.
제2상방만곡면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워패널(100)의 제3하방만곡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어퍼패널(200)의 제1상방만곡면의 후방에 위치한다. 어퍼패널(200)에서 중앙만곡면을 시작으로 양단까지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워패널(100)과 접하도록 연결될 경우 제2상방만곡면에 의해 내부공간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하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과 제2상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2상방만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퍼패널(200) 상부는 전방좌석(Front Seat) 후방의 마운팅을 제공하고 풋룸(Foot Room)의 환경을 제공한다.
제3상방만곡면은 제1상방만곡면부터 전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이다. 로워패널(100)에서 제2하방만곡면 전방부분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하방만곡면의 전방부분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제3상방만곡면의 전단은 차량의 대쉬패널(Dash Panel)과 연결된다.
제4상방만곡면은 제3상방만곡면부터 양단까지 폭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어퍼패널(200)과 접하도록 연결될 경우 제3상방만곡면에 의해 내부공간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방개구부(22)의 경우 제2하방만곡면 및 제3상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워패널(100)의 전단에 형성되며, 제1전방개구부(21)로부터 양방으로 이격된 부분에 위치한다.
로워실링(310)은 제1전방개구부(21) 및 제2전방개구부(22)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됨으로써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100)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후방개구부(23); 및 상기 제1후방개구부(23)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100)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후방개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후방개구부(23)의 경우 제1하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워패널(100)의 후단에 형성되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한다. 제2후방개구부(24)의 경우 제2하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워패널(100)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1후방개구부(23)로부터 양방으로 이격된 부분에 위치한다.
로워실링(310)은 제1후방개구부(23) 및 제2후방개구부(24)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됨으로써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워실링(310)은 상기 제1전방개구부(21)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전방절곡부(331)와, 상기 제1전방절곡부(331)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200)과 접하는 제1전방접합부(332)로 구분되는 제1전방실링(330); 및 상기 제2전방개구부(22)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전방절곡부(341)와, 상기 제2전방절곡부(341)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200)과 접하는 제2전방접합부(342)로 구분되는 제2전방실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도 5의 B-B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경우 도 5의 A-A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1전방실링(330)은 제1전방개구부(21)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된다. 제1전방절곡부(331)는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고 제1전방접합부(332)는 제1전방절곡부(331)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다시 절곡되어 어퍼패널(200)과 서로 면접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제1전방개구부(21)를 폐쇄한다.
마찬가지로 제2전방실링(340)은 제2전방개구부(22)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된다. 제2전방절곡부(341)는 로워패널(10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고 제2전방접합부(342)는 제2전방절곡부(341)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다시 절곡되어 어퍼패널(200)과 서로 면접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제2전방개구부(22)를 폐쇄한다.
도 6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워실링(310)은 상기 제1후방개구부(23)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후방절곡부(351)와, 상기 제1후방절곡부(351)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200)과 접하는 제1후방접합부(352)로 구분되는 제1후방실링(350); 및 상기 제2후방개구부(24)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후방절곡부(361)와, 상기 제2후방절곡부(361)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200)과 접하는 제2후방접합부(362)로 구분되는 제2후방실링(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후방실링(350)은 제1후방개구부(23)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된다. 제1후방절곡부(351)는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고 제1후방접합부(352)는 제1후방절곡부(351)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다시 절곡되어 어퍼패널(200)과 서로 면접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제1후방개구부(23)를 폐쇄한다.
마찬가지로 제2후방실링(360)은 제2후방개구부(24)가 형성된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널(200)과 연결된다. 제2후방절곡부(361)는 로워패널(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고 제2후방접합부(362)는 제2후방절곡부(361)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다시 절곡되어 어퍼패널(200)과 서로 면접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제2후방개구부(24)를 폐쇄한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 상면의 전단부가 상기 어퍼패널(200)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중앙개구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실링(320)은 상기 중앙개구부(25)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패널(2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중앙부의 상면까지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서 C-C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로워패널(100) 및 어퍼패널(200)이 이루는 플로어패널(10)에서 중앙부 상면 및 어퍼패널(200)의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만곡면이 이격되어 터널형태의 내부공간 일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은 플로어패널(10) 전단부에는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는 중앙개구부(25)가 형성된다.
어퍼실링(320)은 어퍼패널(200)의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만곡면으로부터 중앙부의 상면까지 돌출되어 중앙개구부(25)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퍼패널(20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퍼패널(200)의 양측으로 양방을 향하는 한 쌍의 어퍼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어퍼접합면에 마련된 복수의 양방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패널(200)의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만곡면 양측에 위치하는 어퍼패널(20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퍼패널(200)의 하면으로부터 이어지며, 양방을 향하는 어퍼접합면이 마련된다. 한편, 어퍼접합면에는 복수의 양방개구부가 형성된다. 양방개구부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제1상방만곡면, 제2상방만곡면 및 제4상방만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6개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워패널(10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워패널(100)의 양측으로 한 쌍의 로워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워접합면은 상기 어퍼접합면과 접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양방개구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로워패널(100)에서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로워패널(10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워패널(100)의 상면으로부터 이어지며, 양방을 향하는 로워접합면이 마련된다.
로워패널(100)과 어퍼패널(200)이 연결될 때 로워접합면과 어퍼접합면이 서로 접합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양방개구부가 로워접합면에 의해 차폐되어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하부구조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100)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로워리브(410)와, 상기 어퍼패널(200)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2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어퍼리브(420)로 구성된 리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는 내부공간에 로워패널(100) 또는 어퍼패널(20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차체를 이루는 플로어패널(1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로워패널(100) 또는 어퍼패널(200)의 성형 시 리브부도 함께 형성시킬 수 있다. 로워패널(100)에 형성된 로워리브(410)의 경우 로워패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어퍼패널(200)에 형성된 어퍼리브(420)의 경우 어퍼패널(2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워리브(410)는 로워패널(100)의 상면을 이루며 어퍼패널(200)과의 연결로 내부공간을 이루는 제1하방만곡면, 제2하방만곡면 및 제3하방만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방만곡면 및 제2하방만곡면에 형성된 로워리브(410)는 플로어패널(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충돌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3하방만곡면에 형성된 로워리브(410)는 플로어패널(10)의 폭방향에 대한 충돌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퍼리브(420)는 어퍼패널(200)의 하면을 이루며 로워패널(100)과의 연결로 내부공간을 이루는 제1상방만곡면 및 제2상방만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방만곡면 및 제2상방만곡면에 형성된 어퍼리브(420)는 플로어패널(10)의 폭방향에 대한 충돌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퍼리브(420)는 어퍼패널(200)의 하면을 이루며 로워패널(100)과의 연결로 내부공간을 이루는 제3상방만곡면 및 제4상방만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상방만곡면에 형성된 어퍼리브(420)는 하방의 제2하방만곡면에 형성된 로워리브(410)와 함께 플로어패널(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충돌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상방만곡면에 형성된 어퍼리브(420)는 플로어패널(10)의 폭방향에 대한 충돌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워패널(100) 및 상기 어퍼패널(200)은 촙스트랜드(Chop Strand) 형태의 강화섬유 및 상기 강화섬유를 함침시키는 컴파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합재 재질로 이루어진 로워패널(100) 및 어퍼패널(200)은 구체적으로는 외형을 이루는 컴파운드(Compound) 및 컴파운드에 혼합되어 분산된 촙스트랜드 형태의 강화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촙스트랜드 형태의 강화섬유란 장섬유 또는 단섬유 형태로 이루어진 강화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강화섬유는 유리섬유로 구성되고 컴파운드에는 주제를 이루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충진제, 경화제, 증점제 및 이형제 등이 첨가되어 로워패널(100)과 어퍼패널(200)은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플로어패널 21 : 제1전방개구부
22 : 제2전방개구부 23 : 제1후방개구부
24 : 제2후방개구부 25 : 중앙개구부
100 : 로워패널 101 : 제1하방만곡면
102 : 제2하방만곡면 103 : 제3하방만곡면
200 : 어퍼패널 201 : 중앙만곡면
202 : 제1상방만곡면 203 : 제2상방만곡면
204 : 제3상방만곡면 205 : 제4상방만곡면
300 : 실링부 310 : 로워실링
320 : 어퍼실링 330 : 제1전방실링
340 : 제2전방실링 350 : 제1후방실링
360 : 제2후방실링 410 : 로워리브
420 : 어퍼리브

Claims (10)

  1.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의 중앙부가 형성된 복합재 재질의 로워패널;
    하면이 상기 로워패널의 상면과 겹쳐지도록 연결되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합재 재질의 어퍼패널; 및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어퍼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로워실링과,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어퍼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의 단부로부터 상기 로워패널을 향해 형성되는 어퍼실링으로 구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차체 하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전방개구부; 및
    상기 제1전방개구부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워패널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후방개구부; 및
    상기 제1후방개구부와 양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워패널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2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워실링은,
    상기 제1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전방절곡부와, 상기 제1전방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1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1전방실링; 및
    상기 제2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전방절곡부와, 상기 제2전방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2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2전방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워실링은,
    상기 제1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후방절곡부와, 상기 제1후방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1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1후방실링; 및
    상기 제2후방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로워패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후방절곡부와, 상기 제2후방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접하는 제2후방접합부로 구분되는 제2후방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앙부 상면의 전단부가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중앙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실링은 상기 중앙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중앙부의 상면까지 하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퍼패널의 양측으로 양방을 향하는 한 쌍의 어퍼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어퍼접합면에 마련된 복수의 양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워패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워패널의 양측으로 한 쌍의 로워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워접합면은 상기 어퍼접합면과 접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양방개구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로워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로워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로워리브와, 상기 어퍼패널과 일체로서 상기 어퍼패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어퍼리브로 구성된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패널 및 상기 어퍼패널은 촙스트랜드(Chop Strand) 형태의 강화섬유 및 상기 강화섬유를 함침시키는 컴파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하부구조.
KR1020160171998A 2016-12-15 2016-12-15 차체 하부구조 KR10261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98A KR102614174B1 (ko) 2016-12-15 2016-12-15 차체 하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98A KR102614174B1 (ko) 2016-12-15 2016-12-15 차체 하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984A KR20180069984A (ko) 2018-06-26
KR102614174B1 true KR102614174B1 (ko) 2023-12-14

Family

ID=6278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98A KR102614174B1 (ko) 2016-12-15 2016-12-15 차체 하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1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201A (ja) * 2012-04-09 2013-10-2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cfrp製キャビン
JP5988167B2 (ja) * 2013-09-25 2016-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192U (ko) * 1995-12-14 1997-07-29 차량 플로어 패널 구조
KR101882496B1 (ko) 2012-08-20 2018-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로어패널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201A (ja) * 2012-04-09 2013-10-2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cfrp製キャビン
JP5988167B2 (ja) * 2013-09-25 2016-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984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2198B (zh) 车辆尾门
JP6252507B2 (ja) 車両用外装部材及び車両のバックドア
JP5971234B2 (ja) 樹脂パネル構造
CN108791503B (zh) 车辆后部结构
CN105813928A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US9649917B2 (en) Vehicle resin back door structure
JP5768930B2 (ja) エアガイド構造
JP6315038B2 (ja) 自動車の整流構造
US9701347B2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JP2019034643A (ja) 車体上部構造
KR102614174B1 (ko) 차체 하부구조
JP4616015B2 (ja) 三角窓補強構造
KR102588926B1 (ko) 차체 하부구조
US1074506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102706246B1 (ko)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JP2017077759A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KR20200101550A (ko) 차량의 루프 구조
JP7161142B2 (ja) サイドメンバユニット
JP2013079009A (ja) 車両用開閉体構造
JP4326922B2 (ja) 車体前部構造
CN112455556A (zh) 车辆底部结构以及车辆底部结构的制造方法
JP5315085B2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16199199A (ja) 自動車用カバーの整流構造
JP2015033940A (ja) ドア構造
JP2016049839A (ja) 車両上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