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855B1 - 케이블 - Google Patents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855B1
KR102613855B1 KR1020187018998A KR20187018998A KR102613855B1 KR 102613855 B1 KR102613855 B1 KR 102613855B1 KR 1020187018998 A KR1020187018998 A KR 1020187018998A KR 20187018998 A KR20187018998 A KR 20187018998A KR 102613855 B1 KR102613855 B1 KR 10261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mmon mode
choke coil
mode choke
print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363A (ko
Inventor
요시타카 요시노
사토루 츠보이
도모미치 무라카미
마코토 마키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01B11/1058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using a coating, e.g. a loaded polymer, ink or print
    • H01B11/1083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using a coating, e.g. a loaded polymer, ink or print the coating containing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capacitive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케이블은, 차동 전송용의 적어도 1조의 신호 케이블,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부와, 케이블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본 개시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차동 시리얼 전송 규격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USB 규격에 사용되는 케이블(USB 케이블)은, 차동 전송용 1조의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과 그라운드 케이블(이하 「GND 케이블」이라고 칭함)을 갖고 있다. USB 케이블에서는, 차동 전송용 케이블의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하여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방사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하여, 1조의 차동 전송로의 한쪽 단부 부근에 하나의 전송 트랜스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306044호 공보
USB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기기(예를 들어 충전기,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칭함) 등)와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접속하여,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전력 공급 기기측에서 충분한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으면,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의 노이즈로, 전력 공급을 받는 디바이스가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는, 차동 전송용의 적어도 1조의 신호 케이블,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부와, 케이블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고 있는 케이블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USB 케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케이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IIIA-IIIA 선을 따른 USB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1의 IIIB-IIIB 선을 따른 USB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A의 IVA-IVA 선을 따른 USB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3의 A의 IVB-IVB 선을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USB 케이블의 접속도이다.
도 6은 신호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의 그래프이다.
도 7은 전원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의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의 그래프이다.
도 9는 몰드부의 로스 팩터의 주파수 특성의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 변형예에 관한 USB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USB 케이블의 구성
2. USB 케이블의 제조 방법
3. 변형예
[1. USB 케이블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USB 케이블은 케이블부(11)와, 케이블부(11)의 일단부에 접속된 표준 USB 커넥터(Type-A)(21)와, 케이블부(11)의 타단부에 접속된 마이크로(이하, 「μ」로 약칭함) USB 커넥터(Type-A)(31)를 구비한다. 표준 USB 커넥터(이하, 단순히 「USB 커넥터」라고 칭함)(21)가 호스트측(PC, 충전기(소위 AC 어댑터) 등)과 접속되고, μUSB 커넥터(31)가 디바이스측(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접속된다.
(케이블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부(11)는, 차동형 전송(디퍼렌셜 모드)을 위한 1조의 신호 케이블(12a, 12b)과, 전원 케이블(13a)과, GND 케이블(13b)의 4개의 케이블(전선)을 갖고 있다. 이들 케이블(12a, 12b, 13a 및 13b)은, 각각 심선으로서의 도선(14)의 주위를 절연 피막(15)으로 피복한 것이다.
도선(14)으로는, 구리가 사용되고, 하나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선과, 얇은 도선을 서로 꼬아서 하나의 도선으로 한 꼬임선의 어느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꼬임선을 사용할 경우, 인장 강도 및 선재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구리선 중심부에 아라미드 섬유의 실을 배치하고, 구리선과 실을 꼰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리선과 실을 꼰 것에 대해, 절연 수지의 피막이 형성된다. 이 구성은, 신호 케이블(12a, 12b), 전원 케이블(13a)과, GND 케이블(13b)의 모두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신호 케이블(12a, 12b)은, 예를 들어 꼬임 쌍선으로 구성해도 된다.
신호 케이블(12a, 12b)은, 금속 시트(16)에 의해 덮여 있다. 금속 시트(16)로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박으로 덮는 구성, 구리 또는 알루미늄 리본을 신호 케이블(12a, 12b)에 대해 감는 구성, 이들 두 방법을 병용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시트(16)는, 접지에 대해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망조선(網組線)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빅 테일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금속 시트(16)에 의해 덮인 신호 케이블(12a, 12b),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이 피복재(17)에 의해 덮인다. 피복재(17)의 내부에 자성분 혼합 수지(18)가 충전된다. 피복재(17)의 내주면과 신호 케이블(12a, 12b),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 사이에는, 자성분 혼합 수지(18)가 개재되게 된다. 금속 시트(16)에 의해 신호 케이블(12a, 12b)을 덮었으므로, 자성분 혼합 수지(18)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선(14)의 절연 피막(15) 및 피복재(17)로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폴리염화비닐), 엘라스토머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성분 혼합 수지(18)는, 자성분을 합성 수지에 혼합시킨 것이다. 합성 수지의 일례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이다. 이외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PVC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자성분의 일례는, Ni-Zn계 페라이트이다. 자성분으로는, Ni-Cu-Zn계 페라이트, Mn-Zn계 페라이트, 연자성 금속계, 구리계, 마그네슘계, 리튬계, 아연계, 철계(예를 들어 퍼멀로이), 코발트계 등의 자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자성분 혼합 수지(18) 중에서의 페라이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 예를 들어 89중량%이다. 페라이트의 함유량이 70중량% 이상이면 고주파 노이즈에 대한 흡수성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페라이트의 함유량이 95% 이하이면, 성형성, 유연성 및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
이하, 도 3의 A, 도 3의 B, 도 4의 A, 도 4의 B를 참조하여, USB 커넥터(21)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USB 커넥터(21)는, 프린트 기판(22)과, 프린트 기판(22)에 보유 지지된 플러그(23)와, 플러그(23)를 보유 지지하는 프린트 기판(22)을 덮는 몰드부(24)를 구비한다. 몰드부(24)의 일단부로부터 플러그(23)가 돌출되고, 몰드부(24)의 타단부로부터 케이블부(11)가 도출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2)의 한쪽 면에는 단자(25a, 25d), 전원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공통 모드 필터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26) 및 도시되지 않은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콘덴서)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25a, 25d)에는 각각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이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2)의 다른 쪽 면에는 단자(25b, 25c) 및 신호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25b, 25c)에는 각각 신호 케이블(12a, 12b)이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2)에는 단자(28a, 28b, 28c, 28d)가 설치되고, 이들 단자(28a, 28b, 28b, 28c)는 프린트 기판의 거의 중앙에서부터 일단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23)는 프린트 기판(22)의 단자(28a, 28b, 28b, 28c)가 설치된 부분을 덮도록 하여 프린트 기판(22)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몰드부(24)는, 프린트 기판(22)의 주위를 덮는 내측 몰드로서의 절연성 수지층(24a)과, 절연성 수지층(24a)의 주위를 덮는 외측 몰드로서 전자파 실드층(24b)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성 수지층(24a)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절연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층(24b)은 전자파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등 실드 효과를 가지며, 카본 또는 페라이트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블부(11)의 일단부에는, 신호 케이블(12a, 12b),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이 피복재(17) 및 자성분 혼합수지(18)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하, "비피복재"라 칭함)이 마련되고, 이들 케이블(12a, 12b, 13a, 13b)의 비피복부는 절연성 수지층(24a) 내에 묻혀 있다.
신호 케이블(12a, 12b)의 일단부의 비피복부는, 전자파 실드층(24b)에 접촉하지 않도록,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의 일단부의 비피복부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 케이블(12a, 12b)의 비피복부와 전자파 실드층(24b)의 접촉에 의한 신호의 감쇠를 억제할 수 있다. 신호 케이블(12a, 12b)의 비피복부와 전자파 실드층(24b)의 접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신호 케이블(12a, 12b)의 비피복부가 각각 단자(25b, 25c)를 향하여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케이블(12a, 12b)의 비피복부가 절연성 피복재(12c)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신호 케이블(12a, 12b)의 비피복부와 전자파 실드층(24b)의 접촉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절연성 피복재(12c)는 예를 들어 절연 튜브, 절연 테이프, 절연 필름, 열 수축성 튜브, 열 수축성 테이프 또는 열 수축성 필름 등이다.
μUSB 커넥터(31)도, 상술한 USB 커넥터(21)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을 몰드부로 덮은 구성을 갖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호스트(20)의 리셉터클에 USB 커넥터(21)가 접속되고, 휴대 단말기(30)의 리셉터클에 μUSB 커넥터(31)가 접속된다. USB 커넥터(21)의 단자(28a, 28b, 28c, 28d)는 각각 전원 단자(핀 1: Vbus 단자), 데이터 단자(핀 2: D-단자), 데이터 단자(핀 3: D+단자), 그라운드 단자(핀 4: GND 단자)이다. μUSB 커넥터(31)의 단자(36a, 36b, 36c, 36d, 36e)는 각각 전원 단자(핀 1: Vbus 단자), 데이터 단자(핀 2: D-단자), 데이터 단자(핀 3: D+단자), 식별용 단자(핀4: ID 단자), 그라운드 단자(핀5: GND 단자)이다.
USB 커넥터(21)의 단자(28b, 28c)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의 한쪽 2개의 단자가 접속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의 다른 쪽 2개의 단자가 신호 케이블(12a, 12b)을 통하여, μUSB 커넥터(31)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32)의 한쪽 2개의 단자에 접속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32)의 다른 쪽 2개의 단자가 단자(36b, 36c)에 접속된다.
USB 커넥터(21)의 단자(28a, 28d)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의 한쪽 2개의 단자가 접속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의 다른 쪽 2개의 단자 사이에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콘덴서)(29)가 삽입되어 있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의 다른 쪽 2개의 단자가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을 통하여 μUSB 커넥터(31)의 단자(36a, 36e)에 접속된다. μUSB 커넥터(31)는 페라이트 비드(33, 34)를 가지고, 페라이트 비드(33, 34)가 각각 μUSB 커넥터(31) 내의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36d, 36e) 사이에 식별용 저항(35)이 접속되어 있다.
신호 케이블(12a, 12b)에 대해 2개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 32)이 삽입되어 있지만, 한쪽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생략해도 된다. μUSB 커넥터(31)에 있어서,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에 페라이트 비드(33, 34)를 설치하는 대신,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USB Type-C의 커넥터 규격에서는 호스트측도 디바이스측도 전원 공급 가능하므로, 이 경우에는, 양쪽 커넥터측에 있어서,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 27, 32)은 공통의 코어에 대해 2개의 코일이 역방향으로 감겨진 것이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 32)은, 2개의 데이터선으로서의 신호 케이블(12a, 12b)에 대해 각각 코일이 삽입되어 있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은 2개의 전원 라인으로서의 전원 케이블(13a) 및 GND 케이블(13b)에 대해 각각 코일이 삽입되어 있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 27, 32)은 디퍼렌셜 모드의 신호 전류를 통과시켜, 공통 모드의 노이즈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디퍼렌셜 모드의 경우에는, 2개의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역방향이 되어, 인덕터로서 작용하지 않게 되고, 공통 모드의 경우에는 2개의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방향이 되어, 인덕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노이즈는 공통 모드이므로 제거할 수 있다. 실제로는, 각 코일에 발생하는 자속의 일부가 누설 자속으로 되기 때문에, 인덕턴스 성분은 0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 주파수가 매우 높은 영역에서는, 이 인덕턴스 성분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29)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페라이트 비드(33, 34)에 의해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전송에 대해 노이즈 제거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USB 커넥터(21)가 접속되는 충전기나, PC에서 발생한 노이즈에 의해, 휴대 단말기(30)의 수신 레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신호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27 (32))의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실선(41)으로 나타내는 특성이 공통 모드에 대한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이며, 파선(42)이 디퍼렌셜 모드에 대한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이다. 예를 들어 100㎒ 부근에서 디퍼렌셜 모드에 대한 임피던스가 낮은 것으로 되어, 신호 전송에 대한 영향이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전원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의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실선(43)으로 나타내는 특성이 공통 모드에 대한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이며, 파선(44)이 디퍼렌셜 모드에 대한 임피던스 주파수 특성이다. 예를 들어 100㎒ 부근에서 공통 모드 및 디퍼렌셜 모드의 양쪽에 대한 임피던스가 비교적 높은 것이 되어, 모든 모드의 고주파 성분(즉, 노이즈)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29)의 삽입 손실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캐패시터(29)의 값이 1.5μF로 되어 있다. 캐패시터(29)에 의해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페라이트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파 실드층(24b)의 로스 팩터 μ" 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고분자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전자파 실드층(24b) 중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의 함유율을 80중량%로 했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주파수에서, 로스 팩터 μ"을 약 4로 할 수 있다.
[2. USB 케이블의 제조 방법]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USB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USB 커넥터(21)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된다. 먼저, 프린트 기판(22) 위에 노이즈 대책의 칩 부품(노이즈 필터)으로서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26, 27) 등을 마운트한다. 다음에, 전원 케이블(13a), GND 케이블(13b)을 각각 프린트 기판(22)의 단자(25a, 25d)에 땜납에 의해 접속함과 함께, 신호 케이블(12a, 12b)을 각각 프린트 기판(22)의 단자(25b, 25c)에 땜납에 의해 접속한다. 다음에, 몰드 성형에 의해, 프린트 기판(22)의 주위를 덮도록 내측 몰드로서의 절연성 수지층(24a)을 형성한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몰드 성형에 의해, 절연성 수지층(24a)의 주위를 덮도록 외측 몰드로서의 전자파 실드층(24b)을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USB 커넥터(21)가 얻어진다.
μUSB 커넥터(31)는, 상술한 USB 커넥터(21)와 동일하게 하여 몰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상술한 USB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서는, 프린트 기판(22)의 주위를 몰드 성형에 의해 수지만으로 덮어서 USB 커넥터(21)를 제작하므로, USB 케이블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22)의 주위를 간극 없이 수지로 덮으므로, 실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3. 변형예]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용된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USB Type-C의 규격의 케이블 또는 커넥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USB 케이블 뿐만 아니라, HDMI(등록 상표) 케이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의 케이블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부로서는 일반적인 USB용 케이블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부(24)가, 전자파 실드층(24b)의 주위를 덮는 절연성 수지층(24c)을 더 구비하게 해도 된다. 절연성 수지층(24c)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절연성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몰드부(24)가 추가로 절연성 수지층(24c)을 더 구비함으로써, 보다 높은 실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몰드부가 절연성 수지층만을 구비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절연성 수지층이 프린트 기판의 주위를 메우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절연성 수지층이 프린트 기판의 주위에 공동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전원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신호용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이 프린트 기판의 동일한 면에 실장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차동 전송용의 적어도 1조의 신호 케이블,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부와,
상기 케이블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고 있는 케이블.
(2)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은, 노이즈에 대해, 공통 모드뿐만 아니라, 디퍼렌셜 모드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인, (1)에 기재된 케이블.
(3)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과 상기 전원 케이블의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를 더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케이블.
(4)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커넥터는,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이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덮는 절연성 수지층을 더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케이블.
(5)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커넥터는, 상기 절연성 수지층을 덮는 전자파 실드층을 더 갖는, (4)에 기재된 케이블.
(6)
상기 전자파 실드층은, 카본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5)에 기재된 케이블.
(7)
상기 1조의 신호 케이블은, 상기 전자파 실드층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5) 또는 (6)에 기재된 케이블.
(8)
상기 전자파 실드층을 갖는 커넥터측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신호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단부보다도 짧게 되어 있는, (5)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케이블.
(9)
상기 전자파 실드층을 갖는 커넥터측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신호 케이블의 일단부는, 절연성 피복재에 의해 덮여 있는, (5)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케이블.
(10)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한쪽은,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가지며, 다른 쪽은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에 설치된 페라이트 비드를 갖고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케이블.
(11)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1조의 신호 케이블에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더 갖고 있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블.
11: 케이블부
12a, 12b: 신호 케이블
13a: 전원 케이블
13b: GND 케이블
21: USB 커넥터(제1 커넥터)
31: μUSB 커넥터(제2 커넥터)
22: 프린트 기판
23: 플러그
24: 몰드부
24a: 절연성 수지층
24b: 전자파 실드층
26, 27: 공통 모드 초크 코일
29: 캐패시터

Claims (16)

  1. 차동 전송용의 적어도 1조의 신호 케이블,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피복되어 있는 피복부와 비피복부를 각 케이블이 갖는 케이블부와,
    상기 케이블부의 양측의 상기 비피복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비피복부가 접속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각각의 상기 비피복부 및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접속 개소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한쪽 면,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의 주위를 덮도록 설치된 절연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다른 쪽은,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에 설치된 페라이트 비드를 갖고 있는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층은, 절연성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층의 주위에 전자파 실드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층은, 카본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케이블의 상기 비피복부가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다른 쪽 면은 절연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케이블.
  8. 차동 전송용의 적어도 1조의 신호 케이블, 그라운드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부와,
    상기 케이블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이 접속된 제1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케이블이 접속된 제2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제1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각각의 비피복부 및 상기 제1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접속 개소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한쪽 면, 상기 제2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신호 케이블의 각각의 상기 비피복부 및 상기 제2 공통모드 초크 코일의 접속 개소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다른 쪽 면,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의 주위를 덮도록 설치된 절연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다른 쪽은, 상기 그라운드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에 설치된 페라이트 비드를 갖고 있는 케이블.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한쪽 면에 캐패시터를 갖는 케이블.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의 상기 신호 케이블은 금속 시트에 의해 덮여 있는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박인 구성, 또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리본을 상기 신호 케이블에 감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인 케이블.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자성분과 합성 수지가 혼합된 자성분 혼합 수지로 충전된 케이블.
  13.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의 신호 케이블은, 절연성 피복재로 덮여 있는 케이블.
  1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USB 커넥터인 케이블.
  15.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μUSB 커넥터인 케이블.
  16.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USB Type-C의 규격에 대응 가능한 케이블.
KR1020187018998A 2016-01-15 2016-10-21 케이블 KR102613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5896 2016-01-15
JPJP-P-2016-005896 2016-01-15
PCT/JP2016/004655 WO2017122236A1 (ja) 2016-01-15 2016-10-21 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363A KR20180101363A (ko) 2018-09-12
KR102613855B1 true KR102613855B1 (ko) 2023-12-15

Family

ID=5931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998A KR102613855B1 (ko) 2016-01-15 2016-10-21 케이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013630A1 (ko)
EP (1) EP3404672B1 (ko)
JP (2) JP7007037B2 (ko)
KR (1) KR102613855B1 (ko)
CN (1) CN108475560B (ko)
WO (1) WO2017122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236A1 (ja) 2016-01-15 2017-07-20 ソニー株式会社 ケーブル
JP6338750B1 (ja) * 2017-03-03 2018-06-06 株式会社トーキン 装置
KR102488640B1 (ko) * 2018-01-30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24299B2 (en) 2018-10-01 2023-11-2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onnector
DE102019128575A1 (de) * 2019-10-23 2021-04-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rad mit USB-Ladeanschluss
EP4066347A4 (en) 2019-11-25 2024-0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CHARGER WITH NANOCRYSTALLINE FERRITE COIL
JP7327139B2 (ja) * 2019-12-16 2023-08-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CN114034979A (zh) * 2021-11-12 2022-02-11 昆明理工大学 一种交流输电线路测距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118A (ja) * 1999-07-12 2001-03-30 Hitachi Metals Ltd 差動伝送ケーブル並びにジョイント
JP2002190412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Metals Ltd ノイズ抑制機能を有すインターフェースケーブル
JP2004158328A (ja) * 2002-11-07 2004-06-03 Hitachi Cable Ltd ノイズ抑制ケーブル
JP2007159069A (ja) * 2005-12-09 2007-06-21 Toko Inc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20120189068A1 (en) * 2011-01-25 2012-07-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terminals and methods using a usb cable as a rf broadcast signal antenna
JP2012244327A (ja) * 2011-05-18 2012-12-10 Sony Corp Usbケーブルアンテナ
JP2015201420A (ja) * 2014-04-03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7929T2 (de) * 1996-11-22 2008-04-10 Sony Corp. Verbindungskabel, Kommunikationsvorrichtungen und Kommunikationsverfahren
JP3306044B2 (ja) 1999-04-22 2002-07-24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伝送ケーブル
JP2001110254A (ja) * 1999-10-07 2001-04-20 Tdk Corp 高速信号ケーブル
US20020190412A1 (en) * 2001-06-18 2002-12-19 Chin-Chen Huang In-die control method for manufacturing super thin housings for semiconductor memory cards
JP4194019B2 (ja) * 2002-06-28 2008-12-10 Fdk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信号伝送ケーブル
JP4032898B2 (ja) * 2002-09-18 2008-01-16 日立電線株式会社 電気ブレーキ用ノイズ対策ケーブル
US7249962B2 (en) * 2003-11-13 2007-07-31 Belden Cdt (Canada) Inc. Connector assembly
JP2005228694A (ja) * 2004-02-16 2005-08-25 Hitachi Cable Ltd 放射電磁波抑制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4716320B2 (ja) 2005-10-17 2011-07-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8075943B2 (en) * 2005-12-27 2011-12-13 Hitachi Chemical Co., Ltd. Purification process for organic electronics material
US20070291462A1 (en) * 2006-06-14 2007-12-20 Hsin Chih Peng Apparatus For Suppressing EMI Generated In Differential High Frequency Data Transmission
CN101752740A (zh) * 2008-12-11 2010-06-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418967B2 (ja) * 2009-07-08 2014-0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及び差動伝送システム
EP2485406B1 (en) * 2011-02-07 2017-03-15 Sony Corpor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c power socket
US9011179B2 (en) * 2012-09-11 2015-04-21 Apple Inc. Assembly of a cable
JP2015232984A (ja) * 2014-06-10 2015-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ノイズ抑制ケーブル
JP6131921B2 (ja) 2014-09-10 2017-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
CN107112076B (zh) * 2014-10-22 2019-05-17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电缆
WO2017122236A1 (ja) 2016-01-15 2017-07-20 ソニー株式会社 ケーブル
KR102576929B1 (ko) * 2016-07-29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118A (ja) * 1999-07-12 2001-03-30 Hitachi Metals Ltd 差動伝送ケーブル並びにジョイント
JP2002190412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Metals Ltd ノイズ抑制機能を有すインターフェースケーブル
JP2004158328A (ja) * 2002-11-07 2004-06-03 Hitachi Cable Ltd ノイズ抑制ケーブル
JP2007159069A (ja) * 2005-12-09 2007-06-21 Toko Inc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20120189068A1 (en) * 2011-01-25 2012-07-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terminals and methods using a usb cable as a rf broadcast signal antenna
JP2012244327A (ja) * 2011-05-18 2012-12-10 Sony Corp Usbケーブルアンテナ
JP2015201420A (ja) * 2014-04-03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22236A1 (ja) 2018-11-01
WO2017122236A1 (ja) 2017-07-20
JP7007037B2 (ja) 2022-01-24
US20200091663A1 (en) 2020-03-19
EP3404672A4 (en) 2018-12-05
CN108475560A (zh) 2018-08-31
JP2021077656A (ja) 2021-05-20
CN108475560B (zh) 2022-07-12
EP3404672B1 (en) 2022-11-30
US10916900B2 (en) 2021-02-09
KR20180101363A (ko) 2018-09-12
US20190013630A1 (en) 2019-01-10
EP3404672A1 (en) 2018-11-21
JP7355476B2 (ja)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855B1 (ko) 케이블
JP6571675B2 (ja) ケーブル
US7173182B2 (en) Signal transmission cable with connector
US8546688B2 (en) High speed data cable with shield connection
KR20150030207A (ko) 안테나
CN208045183U (zh) 芯线组及使用该芯线组的线缆
US20120007788A1 (en) Antenna module
US9077119B2 (en) Anti-noise cable transferring 1 billion-plus bits per second
US8715000B2 (en) Connector assembly
CN107210095B (zh) 用于多线电缆的端部的磁屏蔽
US8711577B2 (en) Connector with shie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CN208861720U (zh) 线缆
US9082526B2 (en) Shielded electrical signal cable
KR20140118545A (ko) 공통모드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TWM448774U (zh) 傳輸線電纜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