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852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852B1
KR102613852B1 KR1020160182587A KR20160182587A KR102613852B1 KR 102613852 B1 KR102613852 B1 KR 102613852B1 KR 1020160182587 A KR1020160182587 A KR 1020160182587A KR 20160182587 A KR20160182587 A KR 20160182587A KR 102613852 B1 KR102613852 B1 KR 10261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lectrodes
pad
lighting inspection
display area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835A (ko
Inventor
안동석
이성무
김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8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기판, 연성회로필름, 패드전극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 이방성 도전필름 및 더미필름을 구비한다. 플렉서블 표시기판은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픽셀들과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연성회로필름은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가 실장되고, 신호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범프들을 통해서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패드전극들은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신호라인들 및 범프들을 일대일로 연결시킨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지그를 통해서 신호라인들에 점등 테스트용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이방성 도전필름은 패드전극들과 연성회로필름의 범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더미필름은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덮으며, 비도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처리기에서 표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Portable) 혹은 모바일(Mobile) 기기에서는 더욱 얇고, 더 가벼우며, 전력 소비가 작은 표시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제작한 이후에 표시패널에 형성되는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들의 신호라인을 검사하기 위한 오토 프로브 검사 공정을 갖는다.
오토 프로브 검사는 표시패널의 신호라인들과 연결되는 점등 검사용 패드에 지그를 통해서 테스트용 전압을 공급하여 표시패널의 픽셀들을 구동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점등 검사용 패드(30)는 표시영역(AA)에서 패널 패드(2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점등 검사용 패드(30)는 표시장치에 드라이브 IC가 탑재된 이후에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모듈을 조립하기 이전에 점등 검사용 패드(30)가 형성된 패널 영역을 절단하여 베젤을 줄이기도 한다. 하지만, 점등 검사용 패드(30)가 형성되는 패널의 끝단을 절단하면, 점등 검사용 패드(30)와 신호라인들을 연결하는 링크 배선들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부식 문제를 야기하지 않기 위해서, 점등 검사용 패드(30) 영역을 남겨두면, 표시장치의 베젤이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서 부식에 취약하지 않으면서 점등 검사용 패드 영역이 차지하는 베젤을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기판, 연성회로필름, 패드전극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 이방성 도전필름 및 더미필름을 구비한다. 플렉서블 표시기판은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픽셀들과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연성회로필름은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가 실장되고, 신호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범프들을 통해서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패드전극들은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신호라인들 및 범프들을 일대일로 연결시킨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지그를 통해서 신호라인들에 점등 테스트용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이방성 도전필름은 패드전극들과 연성회로필름의 범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더미필름은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덮으며, 비도전성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점등 검사용 패드부를 패널 패드부와 나란히 배치시키고, 점등 검사용 패드부 및 패널 패드부를 곡면부로 형성하여 베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더미 필름을 이용하여 점등 검사용 패드부가 이방성 도전필름의 신호라인과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신호들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패널에서 패드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끝단이 곡면으로 벤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픽셀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패드전극 및 제1 및 제2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부와 연성회로필름의 접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 예에 의한 패드부와 연성회로필름의 접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과 연성회로기판의 도전라인 간의 쇼트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방성 도전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방성 도전필름과 연성회로필름의 합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패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연성회로필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연성회로필름이 합착된 곡면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 및 연성회로필름(LF)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AA)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된다.
연성회로필름(LF)에는 구동회로부(DIC)가 실장되고, 구동회로부(DIC)는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비표시영역(NA) 상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G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회로부(DIC)는 연성회로필름(LF)에 형성되는 범프(bump, 미도시)를 통해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패드부(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필름(LF)의 범프는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SUBc LFnductive Film)을 통해 패드부(PAD)에 노출되는 패드전극에 각각 연결된다.
링크 라인(LINK)들은 패드부(PAD)와 표시영역(AA)의 데이터라인 및 데이터라인들을 연결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일측 가장자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배면(背面) 방향으로 벤딩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일측 가장자리는 표시영역(AA)의 외측에 해당하며, 패드부(PAD)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구부러짐에 따라, 패드부(PAD)는 표시영역(AA)의 배면 방향에서 표시영역(AA)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면에서 인지되는 베젤 영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PI(Polyimide)와 같은 연성의 성질을 갖는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픽셀(P)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T), 보상회로(CC)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게이트라인(GL)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공급받는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비례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을 경유하는 구동전류에 비례하는 밝기로 발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전압 및 이동도 특성 등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픽셀 구조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일례를 간단히 모식화한 것이며, 픽셀 구조 및 보상회로(CC)의 구조는 공지된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SW) 및 보상회로(CC)의 연결관계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표시영역의 단면 구조, 특히 구동 트랜지스터가 속하는 영역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PI) 상에는 제1 버퍼층(BUF1)이 위치한다. 플렉서블 기판(PI)은 폴리이미드(Polyimid)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버퍼층(BUF1)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제1 버퍼층(BUF1) 상에 쉴드층(BSM)이 위치한다. 쉴드층(BSM)은 폴리이미드(PI)층의 전하 흐름으로 인해서 반도체층(ACT)의 전류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쉴드층(LS) 상에는 제2 버퍼층(BUF2)이 위치한다. 제2 버퍼층(BUF2)은 쉴드층(LS)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버퍼층(BUF2)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제2 버퍼층(BUF2) 상에 반도체층(ACT)이 위치한다. 반도체층(ACT)은 실리콘 반도체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채널을 포함한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상기 반도체층(ACT)의 일정 영역, 즉 불순물이 주입되었을 경우의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전극(GA)이 위치한다. 게이트전극(GA)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전극(GA)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중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전극(GA)은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의 2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전극(GE) 상에 게이트전극(GA)을 절연시키는 제1 층간 절연막(ILD)이 위치한다. 제1 층간 절연막(ILD)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ILD1) 상에는 커패시터 금속층(TM1)이 위치한다. 커패시터 금속층(TM1)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전극(GE)과 대면하며, 커패시터 금속층(TM1) 및 게이트전극(GE)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커패시터 금속층(TM1) 상에는 제2 층간 절연막(ILD2)이 위치한다.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ILD2) 상에는 드레인전극(DE)과 소스전극(SE)이 위치한다. 소스전극(SE)은 제1 컨택홀(CN1)을 통해서 반도체층(ACT)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DE)은 제2 컨택홀(CN2)을 통해서 반도체층(ACT)에 접속된다.
소스전극(SE) 및 드레인전극(DE)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소스전극(SE) 및 드레인전극(DE)이 단일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전극(SE) 및 드레인전극(DE)이 다중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의 2중층,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몰리브덴의 3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ACT), 게이트전극(GE),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구동 트랜지스터(DT)를 구성한다.
소스전극(SE) 및 드레인전극(DE) 상에는 픽셀 평탄화막(PLN1)이 위치한다. 픽셀 평탄화막(PLN1)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표시영역(AA)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고, 표시영역(AA)의 단차를 완화시킨다.
픽셀 평탄화막(PLN1) 상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AND)이 위치한다. 애노드 전극(AND)은 비아홀(Via)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전극(DE)과 접속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 등의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 상에는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층(BSL)이 위치한다. 뱅크층(BS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패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패드부와 링크라인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패드부(PAD)는 패널 패드부(P_PAD) 및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포함한다.
패널 패드부(P_PAD)는 다수의 패드전극(PE)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패드전극(PE)들은 링크라인들(LINK1~LINKn) 또는 라우팅 배선(RL)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1 패드전극(PE1)은 제1 링크라인(LINK1)과 연결되고, 제2 패드전극(PE2)은 제2 링크라인(LINK2)과 연결된다.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는 다수의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_PAD)을 포함하고, 각각의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_PAD)들은 링크라인들(LINK1,LINK2) 또는 라우팅 배선(RL)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1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1)은 제1 링크라인(LINK1)과 연결되고, 제2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2)은 제2 링크라인(LINK2)과 연결된다.
각각의 링크라인(RL)들은 데이터라인(DL)들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패드전극(PE) 및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들과 라우팅 배선(RL)과의 연결구조는 패드전극(PE) 및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들과 데이터라인(DL)들과의 연결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라우팅 배선(RL)은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는 GIP 형태의 게이트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클럭신호 및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신호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라인(LINK)들은 표시영역(AA)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전극(GE)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전극(PE)은 표시영역(AA)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들의 소스전극(SE)과 동일한 소스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전극(PE)과 링크라인(LINK)들은 컨택홀(CN3)을 통해서 일대일로 접속한다. 패드전극(PE) 및 링크라인(LINK)의 금속층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패드부(PAD)는 도 6에서와 같이, 나란히 배치되는 패널 패드부(P_PAD) 및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포함한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패드부(PAD)가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곡면 형태로 벤딩될 때에 패널 패드부(P_PAD) 및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가 모두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배면을 향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전면에서는 패드부(PAD)로 인한 베젤 영역이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젤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커팅하지 않더라도 베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커팅하여서 신호배선들이 부식에 취약해지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플렉서블 표시기판에 연성회로필름을 합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드부(PAD)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에서 배리어필름(BF) 및 편광필름(POL)이 합착된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PI)의 배면에는 백 플레이트(BP)가 부착된 상태에서, 연성회로필름(LF)을 플렉서블 기판(PI)의 전면 일측에 합착한다.
연성회로필름(LF)은 연성필름(FF)에 실장되는 구동회로부(DIC)를 포함하고, 구동회로부(DIC)는 연성필름(FF)의 끝단에 위치한 범프(BUMF)들과 도전라인(FL)들을 통해서 연결된다. 구동회로부(DIC)는 도전라인(FL)을 통해서 각각의 데이터라인(DL)들 및 라우팅 배선(RL)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도전라인(FL)들은 수지층(SR)을 이용하여 덮을수도 있다.
연성회로필름(LF)은 이방성 도전필름(ACF)를 이용하여 패널 패드부(P_PAD)에 합착되고, 패널 패드부(P_PAD)의 패드전극(PE)들과 연성회로필름(LF)의 범프(BUMF)들은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도전볼(CB)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미필름(DACF)은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덮어서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미필름(DACF)은 비도전성의 물질로 이루어져서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이 연성회로필름(LF)의 도전라인(FL)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과 연성회로필름(LF)의 도전라인(FL) 간에 쇼트가 발생하면, 구동신호가 혼합될 수 있다.
도 10은 비교 예에 의한 패드부와 연성회로필름의 합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 의한 연성회로필름(LF)은 패널 패드부(P_PAD)와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모두 덮는다. 그 결과, 연성회로필름(LF)의 도전볼(CB)이 도전라인(FL)을 덮는 수지층(SR)을 관통하여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과 도전라인(FL) 간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드전극(PE)과 동일한 수직축(y축)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성회로필름(LF)의 도전라인(FL)은 패드전극(PE)과 동일한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제1 패드전극(PE1)과 연결되는 제1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1)은 제2 패드전극(PE2)과 연결되는 제2 도전라인(FL2)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들이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통해서 도전라인(FL)들과 쇼트되면, 제2 패드전극(PE2)에 공급되는 구동신호가 제1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1)을 통해서 제1 패드전극(PE1)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라인(DL) 또는 라우팅 배선(RL) 등의 구동신호배선들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들이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점등 검사용 패드부(AP_PAD)를 비도전 물질인 더미필름(DACF)으로 덮기 때문에,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과 연성회로필름(LF)의 도전라인(FL) 간의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방성 도전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방성 도전필름과 연성회로필름의 합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방성 도전필름은 도전영역(CNA) 및 절연영역(NCA)을 포함한다. 도전영역(CNA)은 패드전극들을 덮는 영역에 위치하며, 도전볼(CB)이 배치된다. 절연영역(NCA)은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들을 덮는 영역에 위치하고, 도전볼(CB)이 배치되지 않는다. 즉, 절연영역(NCA)은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져서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APE)들과 도전라인(FL)을 절연시킨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POL: 편광 필름 AP_PAD: 점등 검사용 패드부
P_PAD: 패널 패드부 LINK: 링크라인
PI: 플렉서블 표시기판 ACF: 이방성 도전필름
LF: 연성회로필름 FL: 도전라인
CNA: 도전영역 CA: 절연영역

Claims (8)

  1.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픽셀들과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기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가 실장되고,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범프들을 통해서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연성회로필름;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라인들 및 상기 범프들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패드전극들;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지그를 통해서 상기 신호라인들에 점등 테스트용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
    상기 패드전극들과 상기 연성회로필름의 범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방성 도전필름;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덮는 비도전성의 더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은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포함하는 곡면부가 일정 곡률을 갖도록 굽혀지고,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배면방향에서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전극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상기 패드전극들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필름은 상기 구동회로부 및 상기 범프들을 연결하는 도전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필름은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과 상기 도전라인을 절연시키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링크라인들을 통해서 상기 신호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픽셀들과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기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가 실장되고,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범프들을 통해서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연성회로필름;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라인들 및 상기 범프들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패드전극들;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지그를 통해서 상기 신호라인들에 점등 테스트용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 및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덮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은
    상기 패드전극들을 덮는 영역에서 도전볼이 배치되는 도전영역;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절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기판은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을 포함하는 곡면부가 일정 곡률을 갖도록 굽혀지고,
    상기 패드전극들 및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배면방향에서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필름은 상기 구동회로부 및 상기 범프들을 연결하는 도전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의 절연영역은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과 상기 도전라인을 절연시키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전극들은 제1 패드전극, 및 제2 패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들은 상기 제1 패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 및 상기 제2 패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범프들은 상기 제1 패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범프, 및 상기 제2 패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프와 연결되는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제2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더미필름은 상기 제2 점등 검사용 패드전극과 상기 도전라인을 절연시키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60182587A 2016-12-29 2016-12-29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1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87A KR102613852B1 (ko) 2016-12-29 2016-12-29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87A KR102613852B1 (ko) 2016-12-29 2016-12-29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35A KR20180077835A (ko) 2018-07-09
KR102613852B1 true KR102613852B1 (ko) 2023-12-15

Family

ID=6291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587A KR102613852B1 (ko) 2016-12-29 2016-12-29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92A (ko) 2020-06-30 2022-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4353A (ko) 2021-11-19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 장치
KR20230115381A (ko) * 2022-01-26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762A (ko) * 2007-11-16 200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070567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35815B1 (ko) * 2014-12-08 2021-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35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6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648851B (zh) 顯示裝置
JP6479748B2 (ja) 表示装置
KR101560430B1 (ko) 표시장치
KR102609533B1 (ko) 표시장치
JP6548709B2 (ja) 表示装置
US10741615B2 (en) Display device
KR102517744B1 (ko) 표시장치
KR102205588B1 (ko) 표시장치
TWI639045B (zh) 顯示裝置
US10950822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S9954009B2 (en) Display device
KR10261385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5321983A (zh) 有机发光显示器
KR102452339B1 (ko) 표시장치
US2021038428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lower metal line
US1129451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protrusion pattern in data pads
KR102597232B1 (ko) 표시장치
KR102505341B1 (ko) 칩 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44142B1 (ko) 표시장치
US20240145634A1 (en) Display device
KR20200083775A (ko)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5377139A (zh) 显示设备
KR2020007305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