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811B1 -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811B1
KR102611811B1 KR1020217039285A KR20217039285A KR102611811B1 KR 102611811 B1 KR102611811 B1 KR 102611811B1 KR 1020217039285 A KR1020217039285 A KR 1020217039285A KR 20217039285 A KR20217039285 A KR 20217039285A KR 102611811 B1 KR102611811 B1 KR 10261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arm
synchronization
dispose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30A (ko
Inventor
겐지 나가이
시니치 코아라다
야커 쩌우
토모아키 카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타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타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스윙 암 구성요소 동기화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스윙 암이 상기 주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윙 암과 동일한 측에 있는 동기화 암이 그에 따라 회전하여 다른 측에 있는 동기화 암 및 스위암을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나아가, 상기 주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양측에 있는 하우징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플렉서블 스크린의 힘은 비교적 균일하다. 또한,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스윙 암이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러한 설계를 통해, 플렉서블 스크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스윙 암의 회전 중에 형성되어, 플렉서블 스크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6월 27일에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되고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MOBILE TERMINAL(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569376.7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기술(flexible display screen technology)이 점차 성숙해짐에 따라, 단말 기기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폴더블 플렉서블 스크린(foldable flexible screen) 이동 전화는 미래의 이동 전화 차별화의 중요한 진화 방향이다. 폴더블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전화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다른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폴더블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전화는 확실히 주류 기기 제조사의 차세대 이동 전화 개발의 주요 방향이 될 것이다. 미래에, 폴더블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전화는 단말기 제품의 주요 판매 포인트가 될 것이다.
플렉서블 스크린과 폴딩 힌지(folding hinge)는 폴더블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전화 기술의 핵심이고, 플렉서블 스크린은 비교적 취약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접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스크린의 여러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장력이 불균일하면, 플렉서블 스크린이 변형 및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경우, 폴딩 힌지는 극도로 얇은(ultra-thin) 수용 공간에서 180° 회전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스크린의 특징과 협력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의 힘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의 힘이 균일하고 플렉서블 스크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힌지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 기구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폴딩 기구(folding mechanism)로 사용된다. 상기 힌지 기구는 이동 단말기의 두 개의 하우징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두 개의 하우징은 힌지 기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는 것(폴딩, folding)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는 주로 세 부분: 주축 구성요소(main shaft component), 스윙 암 구성요소(swing arm component) 및 동기화 구성요소(synchronization component)를 포함한다. 상기 주축 구성요소는 힌지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윙 암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스윙 암 그룹(swing arm group)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윙 암 그룹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대응하여 배치된 스윙 암(swing arm)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 암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스윙 암이 회전하는 축(axe)은 서로 다르고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과 개별적으로 평행한다. 상기 동기화 구성요소와 상기 스윙 암 구성요소는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동기화 구성요소는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동기화 암(synchronization arm)을 포함하고, 두 개의 동기화 암은 기어로 연결되며(geared); 각각의 동기화 암은 상기 동기화 암과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응하는 측에 있는 스윙 암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주축 구성요소의 양쪽에 있는 동기화 암이 기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의 동기화 암이 회전은 다른 측의 동기화 암을 구동하여 동시에 회전시킨다. 또한, 동일한 측에 있는 동기화 암과 스윙 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일측의 스윙 암이 주축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할 때, 동일한 측의 동기화 암이 그에 따라 회전하여 다른 측의 동기화 암과 스윙 암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므로, 주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양측의 하우징이 주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스크린의 양측이 동시에 움직이며, 플렉서블 스크린의 힘은 비교적 균일하다. 또한,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스윙 암은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계를 통해, 스윙 암의 회전 중에 플렉서블 스크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윙암과 상기 동기화 암의 회전축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기구의 구조가 단순화되도록, 동일한 측에 배치된 스윙 암과 동기화 암이 회전하는 축이 일치한다.
특정 구현에서,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스윙 암은 동기화 암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치되거나, 상기 스윙 암의 단부 각각에 하나의 동기화 암이 배치되고; 상기 스윙 암이 상기 스윙 암과 동일한 측에 있는 동기화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암에 띠형의 구멍(strip-shaped hole)이 배치되고, 상기 띠형의 구멍의 연장 방향은 상기 동기화 암의 연장 방향과 같으며, 상기 스윙 암에 상기 띠형의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sliding part)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스윙 암에 배치된 고정 로드(fastening rod)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윙암이 회전할 때, 슬라이딩부가 띠형의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스윙 암과 같은 측에 있는 동기화 암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스윙 암과 상기 동기화 암 사이에 탄성 구성요소(elastic component)가 더 배치되어, 상기 스윙 암과 상기 동기화 암 사이에 언폴딩/폴딩 토크(unfolding/folding torque)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동기화 암의, 상기 스윙 암과 마주하는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limiting groove)이 배치된다. 상기 탄성 구성요소는 상기 탄성 구성요소와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과 동기화 암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두 부분은 볼(ball)과 탄성 기구부(elastic mechanical part)이다. 상기 탄성 기구부의 일단(one end)은 상기 스윙 암에 인접하고 타단(other end)은 상기 볼에 인접하며, 상기 볼은 상기 동기화 암의, 상기 스윙 암에 가까운 측벽을 따라 구를 수 있다.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스윙 암이 주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동기화 암이 회전한다. 또한, 볼은 탄성력의 작용하에 동기화 암의 측벽을 따라 굴러, 볼과 동기화 암의 측벽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스윙 암과 동기화 암 사이에 감쇠력(damping force)이 생성되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암의, 스윙 암에 가까운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이 있기 때문에, 구르는 과정에서, 탄성 기구부의 작용에 의해 볼이 제한 홈으로 낙하하여, 호버 경험(hover experience)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윙 암이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윙 암에 상기 탄성 기구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accommodation groove)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기구부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 홈의 하단부(bottom)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기구부는 스프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탄성 기구부가 스프링인 경우, 상기 스프링이 이동 과정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용 홈에 제한 기둥(limiting pillar)이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한 기둥을 슬리빙(sleeve)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프링이 있을 수 있거나,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프링의, 상기 동기화 암에 가까운 단부는 U자형의 커넥터(U-shaped connector)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U자형 커넥터의 단면(end face)에 인접하고, 상기 U자형 커넥터의 단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기구부와 볼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볼이 보다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스윙 암이 구체적으로 주축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주축 구성요소에 스윙 암 장착 홈(swing arm mounting groove)이 배치되고, 상기 스윙 암 장착 홈의 벽에 돌기(protrusion)가 배치되며, 상기 돌기는 호형의 지지 면(arc-shaped support surface)을 갖는다.
상기 스윙 암의, 상기 주축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단부(end)에 지지 축(support shaft)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 축은 상기 호형의 지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호형의 지지 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윙 암은 주축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스윙 암은 힌징(hinging), 피봇팅(pivoting) 등을 통해 상기 주축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랙시블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표면을 갖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배플(baff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암에 V자형의 구멍(V-shaped hole)이 더 배치된다. 상기 배플은 본체(body)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연결부(conn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의 연장 방향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는 회전 핀축(rotating pin shaft)을 사용하여 상기 스윙 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에 가까운 단부는 구동 핀축(driving pin shaft)을 사용하여 상기 스윙 암에 연결된다. 상기 스윙 암은 상기 구동 핀축이 상기 V자형 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 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본체가 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접는 폴딩 과정에서 상기 주축 구성요소와 양측의 본체에 의해 플렉서블 스크린(flexible screen)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accommodation spac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의 표면이 비교적 평탄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힌지 기구, 두 개의 하우징, 및 상기 두 개의 하우징에 고정된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하우징은 상기 힌지 기구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측에 있는 상기 스윙 암에 고정된다.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사용 중에, 일측의 하우징이 회전하여 스윙 암이 주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동일한 측에 있는 동기화 암이 그에 따라 회전하여, 다른 측의 동기화 암과 스윙 암이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또한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양측 하우징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스크린의 양측이 동시에 움직이며, 플렉서블 스크린의 힘이 비교적 균일하다. 또한,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스윙 암이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계를 통해, 스윙 암의 회전 중에 플렉서블 스크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구체적으로 상기 스윙 암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윙 암 사이에 브래킷(bracket)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은 스윙 암에 고정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과 상기 브래킷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스윙 암에 연결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외관 보호부(appearance protection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관 보호부는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외측(folding outer side)에 배치되고, 탄성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브래킷에 고정된다.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접는 폴딩 과정에서, 외관 보호부와 두 개의 하우징이 힌지 기구와 맞아(fit), 힌지 기구를 보호하면서도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180° 각도로 펼쳐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90° 각도로 펼쳐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90° 각도로 펼쳐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기구가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축 구성요소에 스윙 암이 연결된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축 구성요소에 스윙 암이 연결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축 구성요소에 동기화 암이 연결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구성요소, 스윙 암 및 동기화 암이 서로 협력하는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탄성 구성요소가 동기화 암과 협력하는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힌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 접힌 상태의 힌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힌지 기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음은 힌지 기구의 적용 시나리오를 먼저 설명한다. 힌지 기구는 이동 단말기, 특히 폴더블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예를 들어,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 컴퓨터,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포함한다: 좌측 하우징(20), 힌지 기구(10), 우측 하우징(30), 및 플렉서블 스크린(40). 사용 중일 때,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접고 펼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 사이의 끼인각이 180°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끼인각 90°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끼인각 0°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이동 단말기를 펴고(언폴딩) 접는(폴딩) 과정은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힌지 기구(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힌지 기구(10)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힌지 기구(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힌지 기구(10)는 주로 주축 구성요소(11), 스윙 암 구성요소 및 동기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주축 구성요소(11)은 지지부(support part)이며, 회전축(rotating shaft)의 역할도 한다. 스윙 암 구성요소는 주축 구성요소(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윙 암 구성요소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하우징에 연결된다. 스윙 암 구성요소는 동기화 구성요소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힌지 기구(10)의 능동 회전부(active rotating part)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힌지 기구(10)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주축 구성요소(11)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축 구성요소(11)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전체 구조는 반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주축 구성요소(11)의 형상은 단지 특정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주축 구성요소(11)는 다른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축 구성요소(11)의 연장 방향을 정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 구성요소(11)의 연장 방향은 도 1에서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회전하는 축의 방향이다. 또한, 주축 구성요소(11)가 스윙 암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경우, 스윙 암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체가 주축 구성요소(11)에 배치된다. 주축 구성요소(11)의 내부 구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스윙 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주축 구성요소(1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윙 암 구성요소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스윙 암 구성요소는 스윙 암 그룹을 포함하고, 스윙 암 그룹은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스윙 암 그룹의 수량은 요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축 구성요소(11)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스윙 암 그룹이 배치되거나,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 구성요소(11)의 각각의 단부에 두 개의 스윙 암 그룹이 배치되거나, 특정 요건에 따라 더 많은 스윙 암 그룹이 배치될 수 있다.
스윙 암 그룹이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스윙 암 그룹은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대응하여 배치된 스윙 암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스윙 암을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으로 명명하고, 여기서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 및 우측 하우징(30)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은 좌측 하우징(20)에 고정되고, 우측 스윙 암(12b)은 우측 하우징(30)에 고정된다. 고정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fastener)가 고정에 사용된다. 이 경우,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은 각각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과 동시에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이 배치되는 경우,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은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은 주축 구성요소(11)의 연장 방향으로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스윙 암(12a)을 주축 구성요소(11), 하우징 및 기타 가능한 구조체에 연결하는 방식은, 우측 스윙 암(12b)을 주축 구성요소(11), 하우징 및 기타 가능한 구조체에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좌측 스윙 암(12a)을 사용한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좌측 스윙 암(12a)이 주축 구성요소(11)에 연결되는 경우, 좌측 스윙 암(12a)은 주축 구성요소(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하는 축은 우측 스윙 암(12b)이 회전하는 축과 다르다. 다만,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하는 축과 대응하는 우측 스윙 암(12b)이 회전하는 축은 모두 주축 구성요소(11)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므로,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스크린(40)을 수용할 수 있는 물방울 모양(water drop-like)의 수용 공간(22)(도 13 참조)이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의 회전 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좌측 스윙 암(12a)이 주축 구성요소(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주축 구성요소(11)에 스윙 암 장착 홈(111)이 배치되고, 스윙 암 장착 벽에 돌기(111a)가 배치되고, 돌기(111a)는 호형의 지지 면(112a)을 갖는다. 좌측 스윙 암(12a)의, 주축 구성요소(11)과 연결되는 단부에 지지 축(121)이 배치되고, 지지축(121)은 호형의 지지 면(112a)과 접촉하고, 호형의 지지 면(112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측 스윙 암(12a)은 주축 구성요소(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스윙 암(12a)과 주축 구성요소(11) 사이의 연결 구조체가 배치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스윙 암은 구성요소는 대안적으로 힌징(hinging) 등을 통해 주축 구성요소(11)에 연결될 수 있다.
여전히 도 8을 참조하면, 우측 스윙 암(12b)이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우측 스윙 암(12b)은 좌측 스윙 암(12a)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축 구성요소(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여기서 세부 사항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이 개별적으로 주축 구성요소(11)에 연결되는 경우, 두 개의 스윙 암에 대응하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스윙 암 장착 홈(111)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거나,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은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기화 구성요소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동기화 구성요소와 스윙 암 구성요소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동기화 구성요소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동기화 암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은, 한 그룹의 스윙 암이 하나의 동기화 암 그룹에 대응하여 배치되거나, 두 그룹의 동기화 암이 하나의 스윙 압 그룹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두 그룹의 동기화 암이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으로 스윙 암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스윙 암의 양단에 배치된 두 그룹의 동기화 암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한 그룹의 동기화 암이 스윙 암의 일단에 배치되고, 도 14에 도시된 한 그룹의 동기화 암이 타탄에 배치된다. 두 개의 동기화 암이 기어로 연결되고, 각각의 동기화 암은 동기화 암과 동일한 측의 스윙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응하는 측에 있는 스윙 암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스윙 암(12a)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동기화 암은 좌측 동기화 암(13a)이라고 지칭하고, 우측 스윙 암(12b)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동기화 암은 우측 동기화 암(13b)이라고 지칭한다. 좌측 동기화 암(13a)을 주축 구성요소(11), 좌측 동기화 암(13a)과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 및 다른 가능한 구조체에 연결하는 방식은, 우측 동기화 암(13b)을 주축 구성요소(11), 우측 동기화 암(13b)과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 및 다른 가능한 구조체에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좌측 동기화 암(13a)만을 사용한다.
여전히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 동기화 암(13a)이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좌측 동기화 암(13a)이 회전하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축은 요건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동기화 암(13a)이 회전하는 축은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하는 축과 일치하므로, 도 6에 도시된 회전 기구(1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좌측 동기화 암(13a)이 회전하는 축은,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플렉서블 스크린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22)(도 13 참조)에 플렉서블 스크린(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스크린(40)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면, 대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전히 도 10을 참조하면, 우측 동기화 암(13b)이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우측 동기화 암(13b)은 좌측 동기화 암(13a)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축 구성요소(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세부 사항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동기화 암은 동기화 암과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동기화 암은 스윙 암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동기화 암이 회전할 때, 스윙 암도 동기화 암과 함께 회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스윙 암(12a)이 능동 회전부로서 사용된다. 좌측 스윙 암(12a)이 주축 구성요소(11)에 대해 회전할 때, 좌측 동기화 암(13a)은 그에 따라 회전한다. 좌측 동기화 암(13a)은 우측 동기화 암(13b)에 기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동기화 암(13a)의 회전은 우측 동기화 암(13b) 및 우측 스윙 암(12b)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도 1을 참조하면, 힌지 기구(10)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40)의 양측이 동시에 움직이고, 플렉서블 스크린(40)의 힘이 비교적 균일하다.
여전히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이 구체적으로 좌측 동기화 암(1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좌측 동기화 암(13a)에 띠형의 구멍(1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띠형의 구멍(131)의 연장 방향은 좌측 동기화 암(13a)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에 띠형의 구멍(13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122)가 배치된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22)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부(122)는 좌측 스윙 암(12a)에 배치되는 고정 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할 때, 슬라이딩부(122)가 띠형의 구멍(13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좌측 동기화 암(13a)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우측 스윙 암(12b)과 우측 동기화 암(13b)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 방식은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 방식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의 연결 방식은 우측 스윙 암(12b)과 우측 동기화 암(13b)의 연결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이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의 특정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이 구체적으로 좌측 동기화 암(13a)에 연결되는 경우,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에 탄성 구성요소가 더 배치된다. 이 경우, 좌측 동기화 암(13a)의, 좌측 스윙 암(12a)과 마주하는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도면에 미도시)이 배치된다.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에 탄성 구성요소가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볼(141)과 탄성 기구부(142)를 포함한다. 탄성 기구부(142)의 일단은 좌측 스윙 암(12a)에 인접하고, 타단은 볼(141)에 인접하며, 볼(141)은 좌측 동기화 암(13a)의, 좌측 스윙 암(12a)에 가까운 측벽을 따라 구를 수 있다.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상태가 변경될 때, 좌측 스윙 암(12a)이 주축 구성요소(1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좌측 동기화 암(13a)이 회전한다. 또한, 볼(141)은 탄성 기구부(142)의 탄성력의 작용하에 좌측 동기화 암(13a)의 측벽을 따라 구르게 되며, 볼(141)과 좌측 동기화 암(13a)의 측벽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에 감쇠력 생성되어, 사용자의 느낌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좌측 동기화 암(13a)의, 좌측 스윙 암(12a)에 가까운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이 있기 때문에, 구르는 과정에서, 볼(141)은 탄성 기구부(142)의 작용하에 제한 홈으로 떨어져, 호버 경험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이 구체적으로 탄성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경우,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좌측 스윙 암(12a)에 탄성 기구부(14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1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기구부(142)는 수용 홈(123)에 수용되어 수용 홈(123)의 하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기구부(142)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기구부(142)가 스프링인 경우, 움직이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한하기 위해, 수용 홈에 제한 기둥(미도시)을 배치하여, 스프링이 제한 기둥을 슬리빙하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스프링이 있을 수 있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이 있는 경우, 복수의 스프링의, 좌측 동기화 암(13a)에 가까운 단부는 U자형의 커넥터(143)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볼(141)은 U자형의 커넥터(143)의 단면에 인접하고, U자형의 커넥터(143)의 단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기구부(142)와 볼(141)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볼(141)이 더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스윙 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도 2에서,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 사이의 끼인각은 180°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이 경우 볼(141)은 대응하는 제한 홈으로 떨어진다. 도 2,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 사이의 끼인각을 180°에서 0°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좌측 스윙 암(12a)은 주축 구성요소(1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좌측 동기화 암(13a)은 그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우측 동기화 암(13b) 및 우측 스윙 암(12b)은 좌측 동기화 암(13a) 및 좌측 스윙 암(12a)을 향하여 이동하고, 볼(141)은 좌측 동기화 암(13a)의 측벽을 따라 구른다.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 사이의 끼인각이 0°인 경우, 볼(141)이 대응하는 제한 홈에 떨어질 때, 제한 홈의 벽이 볼(141)이 계속해서 좌측 동기화 암(13a)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을 멈추고,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끼인각 0°로 머물도록(hover) 좌측 동기화 암(13a)이 정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동기화 암(13a)의, 좌측 스윙 암(12a)에 가까운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이 있기 때문에, 볼(141)이 대응하는 제한 홈으로 떨어져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서 좌측 스윙 암(13a)의 호버링(hovering)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4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적절한 배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 사이의 끼인각이 9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전히 도 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구현 시에, 볼(141)이 인접한 두 개의 제한 홈 사이를 이동할 때, 볼(141)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하여, 좌측 스윙 암(12a)과 좌측 동기화 암(13a) 사이의 감쇠가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느낌이 일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 사이의 끼인각 0°와 180°에 대응하는 좌측 동기화 암(13a)의 위치에만 제한 홈을 배치하는 경우,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를 접을 때, 사용자는 두 개의 하우징 사이에 비교적 작은 끼인각(예: 30°)을 수동으로 설정하기만 하면, 볼(141)이 탄성 기구부(142)의 작용하에 0°에 대응하는 제한 홈에 들어가서, 이동 단말기의 자동 접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펼칠 때, 두 개의 하우징 사이의 비교적 큰 끼인각(예: 150°)을 수동으로 설정하기만 하면 탄성 기구부(142)의 작용하에 볼(141)이 180°에 대응하는 제한 홈에 들어가서, 이동 단말기의 자동 펼침(언폴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힌지 기구(10)의 사용은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자체 펼침 및 자체 접힘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1에서의 플렉서블 스크린(40)을 수용하기 위한 평탄한 면을 갖는 수용 공간(22)(도 13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힌지 기구(10)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좌측 배플(15a)과 우측 배플(15b)을 더 포함하고, 좌측 배플(15a)은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되고, 우측 배플(15b)은 우측 스윙 암(12b)에 연결된다. 좌측 배플(15a)과 우측 배플(15b)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배플(15a)의 구조 및 좌측 배플(15a)과 스윙 암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좌측 배플(15a)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배플(15a)은 주로 본체(151)와 본체(151)에 연결된 연결부(152)를 포함하며, 본체(151)의 연장 방향은 주축 구성요소(11)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고, 연결부(152)의 연장 방향은 본체(151)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며, 연결부(152)는 두 개일 수 있으며, 두 개의 연결부(152)는 본체(151)의 연장 방향에서 양단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도 7 및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부(152)의, 본체(151)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는 예를 들어 회전 핀축(16)을 사용하여 좌측 스윙 암(1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152)의, 본체(151)에 가까운 단부는 예를 들어 구동 핀 샤프트(17)를 사용하여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윙 암에 대응하여 배치된 동기화 암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한다. 도 14의 좌측 동기화 암(13c)에는 V자형의 구멍(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 스윙 암(12a)이 회전할 때, 구동 핀축(17)이 V자형의 구멍(24)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 핀축(16)을 회전 중심으로 사용하여 연결부(152)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이에 따라 본체(15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스크린(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2)이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접는 과정에서 양측의 본체(151)와 주축 구성요소(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22)은 상대적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므로, 플렉서블 스크린(4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스윙 암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동기화 암이 배치되는 경우, 도 14를 참조하면, 좌측 동기화 암(13c) 및 우측 동기화 암(13d)의 일단에 V자형의 구멍(24)이 배치되고,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 동기화 암(13a)과 우측 동기화 암(13b)의 타단에는 V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도 10에서의 좌측 동기화 암(13a)과 우측 동기화 암(13b)의, 스윙 암에 가까운 측에 복수의 제한 홈이 배치될 수 있고, 도 14에서의 좌측 동기화 암(13c)과 우측동기화 암(13d)의, 스윙 암에 가까운 측에는 제한 홈이 배치되지 않아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동기화 암(13a)와 우측 동기화 암(13n) 각각과 대응하는 측의 스윙 암 사이에만 탄성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도 14에 도시된 좌측 동기화 암(13c) 또는 우측 동기화 암(13d)과 대응하는 측의 스윙 암 사이에는 탄성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은 동기화 암을 배치하는 예에 불과하며, 스윙 암의 양단에 있는 동기화 암에 제한 홈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고, 스윙 암과 동기화 암 사이에 탄성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스윙 암과 동기화 암 사이의 감쇠 기능이 향상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힌지 기구(10), 좌측 하우징(20), 우측 하우징(30), 그리고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에 연결된 플렉서블 스크린(4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스크린(40)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힌지 기구(10)의 양측에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좌측 하우징(20)은 좌측에 위치한 좌측 스윙 암(12a)에 고정되고, 우측 하우징(30)은 우측에 위치한 우측 스윙 암(12b)에 고정된다. 구체적인 고정 방식은 볼트나 스크류 등의 고정구를 사용한 연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 사용 시, 좌측 하우징(20)의 회전이 좌측 스윙 암(12a)이 주축 구성요소(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좌측 동기화 암(13a)이 그에 따라 회전하여, 우측 동기화 암(13b)과 우측 스윙 암(12b)이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나아가,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우징(20)과 우측 하우징(30)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스크린(40)의 양측이 동시에 움직이고, 플렉서블 스크린(40)의 힘이 비교적 균일하다. 또한,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에 있는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이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이러한 설계를 통해, 플렉서블 스크린(4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22)이 좌측 스윙 암(12a)과 우측 스윙 암(12b)의 회전 동안에 형성될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40)이 파손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여전히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하우징(20)이 구체적으로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되는 경우, 좌측 하우징(20)과 좌측 스윙 암(12a) 사이에 좌측 브래킷(18a)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브래킷(18a)은 먼저 볼트나 스크류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좌측 스윙 암(12a)에 고정한 다음, 좌측 하우징(20)과 좌측 브래킷(18a)을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측 하우징(20)이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좌측 하우징(20)을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좌측 하우징(20)은 다른 방식으로 좌측 스윙 암(12a)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브래킷(18b)을 사용하여 우측 하우징(30)을 우측 스윙 암(12b)에 연결하는 방식은 좌측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구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서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스크린(40)이 배치되어 있는 측을 이동 단말기의 폴딩 내측(folding inner side )으로 정의하고, 폴더블 이동 단말기 그 반대측을 이동 단말기의 폴딩 외측(folding outer side )으로 정의한다. 이동 단말기가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도 6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폴딩 외측에 배치되는 외관 보호부(19)를 더 포함한다. 외관 보호부(19)는 주축 구성요소(11)의 양측 브래킷에 탄성 기구(21)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탄성 기구(21)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관 보호부(19)가 구체적으로 브래킷에 연결되는 경우, 외관 보호부(19)와 브래킷에 상응하게 장착 구멍(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탄성 기구(21)의 양단에 후크(hook)가 배치될 수 있다. 외관 보호부(19)는 후크를 대응하는 장착 구멍(23)에 개별적으로 배치하여 브래킷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과정에서, 외관 보호부(19)와 두 개의 하우징이 힌지 기구(10)와 맞아, 힌지 기구(10)가 이동 단말기의 폴링 외측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되기 때문에 힌지 기구(10)를 보호하면서도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하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된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13)

  1.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힌지 기구(hinge mechanism)로서,
    주축 구성요소(main shaft component);
    하나 이상의 스윙 암 그룹(swing arm group)을 포함하는 스윙 암 구성요소; 및
    동기화 구성요소(synchronization component)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윙 암 그룹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대응하여 배치된 스윙 암(swing arm)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 암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스윙 암이 회전하는 축(axe)은 서로 다르고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과 개별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동기화 구성요소와 상기 스윙 암 구성요소는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동기화 구성요소는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동기화 암(synchronization arm)을 포함하고, 두 개의 동기화 암은 기어로 연결되며; 각각의 동기화 암은 상기 동기화 암과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응하는 측에 있는 스윙 암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동기화 암의, 상기 스윙 암과 마주하는 측벽에 복수의 제한 홈(limiting groove)이 배치되고;
    상기 힌지 기구는 탄성 구성요소(elastic compon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구성요소는 상기 탄성 구성요소와 동일한 측에 있는 스윙 암과 동기화 암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볼(ball)과 탄성 기구부(elastic mechanical part)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기구부의 일단(one end)은 상기 스윙 암에 인접하고 타단(other end)은 상기 볼에 인접하며, 상기 볼은 상기 동기화 암의, 상기 스윙 암에 가까운 측벽을 따라 구를 수 있는, 힌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측에 배치된 스윙 암과 동기화 암이 회전하는 축이 일치하는, 힌지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스윙 암은 동기화 암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치되거나, 상기 스윙 암의 단부 각각에 하나의 동기화 암이 배치되고;
    상기 동기화 암에 띠형의 구멍(strip-shaped hole)이 배치되고, 상기 띠형의 구멍의 연장 방향은 상기 동기화 암의 연장 방향과 같으며, 상기 스윙 암에 상기 띠형의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sliding part)가 배치되는, 힌지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스윙 암에 배치된 고정 로드(fastening rod)인, 힌지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구성요소에 스윙 암 장착 홈(swing arm mounting groove)이 배치되고, 상기 스윙 암 장착 홈의 벽에 돌기(protrusion)가 배치되며, 상기 돌기는 호형의 지지 면(arc-shaped support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스윙 암의, 상기 주축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단부(end)에 지지 축(support shaft)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 축은 상기 호형의 지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호형의 지지 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힌지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배플(baff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암에 V자형의 구멍(V-shaped hole)이 더 배치되며;
    상기 배플은 본체(body)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연결부(conn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의 연장 방향은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는 회전 핀축(rotating pin shaft)을 사용하여 상기 스윙 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에 가까운 단부는 구동 핀축(driving pin shaft)을 사용하여 상기 스윙 암에 연결되며; 상기 스윙 암은 상기 구동 핀축이 상기 V자형 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 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주축 구성요소와 양측의 본체에 의해 플렉서블 스크린(flexible screen)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accommodation space)이 형성되도록 하는, 힌지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암에 상기 탄성 기구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accommodation groove)이 배치되고, 상기 탄성 기구부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 홈의 하단부(bottom)에 인접하는, 힌지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구부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의, 상기 동기화 암에 연결되는 단부는 연결되는, 힌지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에 제한 기둥(limiting pillar)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 각각은 상기 제한 기둥을 슬리빙하고(sleeve);
    상기 복수의 스프링의, 상기 동기화 암에 가까운 단부는 U자형의 커넥터(U-shaped connector)를 사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볼은 상기 U자형의 커넥터의 단면에 인접하는, 힌지 기구.
  10. 폴더블 이동 단말기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힌지 기구, 두 개의 하우징, 및 상기 두 개의 하우징에 고정된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하우징은 상기 힌지 기구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측에 있는 상기 스윙 암에 고정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브래킷(brack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대응하는 측에 있는 스윙 암과 하우징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외관 보호부(appearance protection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관 보호부는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폴딩 외측(folding outer side)에 배치되고, 탄성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주축 구성요소의 양측에 있는 브래킷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
  13. 삭제
KR1020217039285A 2019-06-27 2020-06-27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KR102611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69376.7A CN112153178A (zh) 2019-06-27 2019-06-27 一种转轴机构及可折叠移动终端
CN201910569376.7 2019-06-27
PCT/CN2020/098340 WO2020259646A1 (zh) 2019-06-27 2020-06-27 一种转轴机构及可折叠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0A KR20220002630A (ko) 2022-01-06
KR102611811B1 true KR102611811B1 (ko) 2023-12-07

Family

ID=7386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285A KR102611811B1 (ko) 2019-06-27 2020-06-27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6489A1 (ko)
EP (1) EP3955555B1 (ko)
JP (1) JP7365570B2 (ko)
KR (1) KR102611811B1 (ko)
CN (1) CN112153178A (ko)
WO (1) WO2020259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462B1 (ko) * 2019-07-08 202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711365B (zh) * 2019-11-14 2020-11-21 宏碁股份有限公司 轉軸模組與可攜式電子裝置
CN112995368B (zh) * 2019-12-13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铰链和移动终端
CN111474988A (zh) * 2020-05-27 2020-07-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3923279B (zh) * 2021-01-14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CN114095592B (zh) * 2021-03-15 2022-11-25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机构和移动终端
CN113067925B (zh) * 2021-03-19 2023-1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支架结构和电子设备
CN113014710A (zh) * 2021-04-21 2021-06-22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无边框水滴同步转动机构
CN115388085B (zh) * 2021-08-0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和折叠装置
TWI771170B (zh) * 2021-08-30 2022-07-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WO2023043029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899062A (zh) * 2021-09-30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屏设备及铰链组件
CN115988111A (zh) * 2021-10-14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电子设备
CN116075083A (zh) * 2021-10-29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电子设备
CN115022429B (zh) * 2021-11-12 2023-04-18 荣耀终端有限公司 铰链组件及可折叠的电子设备
CN115013421B (zh) * 2021-11-29 2023-04-14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设备
KR102598621B1 (ko) * 2021-11-29 2023-11-07 주식회사 파인엠텍 폴딩식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텐션기구
CN116498642B (zh) * 2022-01-18 2024-03-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同步机构、转轴机构和电子设备
CN116939069A (zh) * 2022-03-31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可折叠机构和可折叠终端
WO2023184409A1 (zh) * 2022-03-31 2023-10-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及可折叠显示装置
TWM631213U (zh) 2022-05-12 2022-08-21 鑫禾科技股份有限公司 樞轉裝置
EP4300256A1 (en) * 2022-05-13 2024-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structure
WO2023225872A1 (zh) * 2022-05-24 2023-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机构、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4726940B (zh) * 2022-06-06 2022-09-09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柔性屏折叠手机的侧移式弯折铰链
KR102636256B1 (ko) * 2022-06-15 2024-02-14 노완동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CN117345754A (zh) * 2022-06-29 2024-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KR102619821B1 (ko) * 2022-06-30 2024-01-03 노완동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CN114992229B (zh) * 2022-08-05 2022-12-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和折叠终端
CN115750579A (zh) * 2022-11-08 2023-03-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铰链机构及电子设备
CN117167397B (zh) * 2023-11-03 2024-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支撑装置以及折叠屏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188B1 (en) 2017-06-08 2018-07-31 First Dome Corporation Hinge and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208609020U (zh) * 2018-07-13 2019-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
CN208689845U (zh) 2018-07-13 2019-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658827A (zh) 2018-11-06 2019-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308B1 (en) * 1998-01-20 2001-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service circuit for telecommunications
CN202926863U (zh) * 2012-07-30 2013-05-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转轴模组及具有该转轴模组的折叠式手机
US8695166B2 (en) * 2012-08-01 2014-04-15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3883609A (zh) * 2012-12-19 2014-06-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转轴装置
WO2013080191A2 (en) * 2013-02-22 2013-06-06 Wasfi Alshdaifat Foldable flexible display (tri-phone)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N106873717B (zh) * 2017-02-06 2019-11-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具有该柔性显示模组的电子装置
KR102369212B1 (ko) *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7777905U (zh) * 2017-12-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08712535A (zh) * 2018-06-28 2018-10-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可折叠的移动终端
CN208686793U (zh) * 2018-07-13 2019-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208656822U (zh) * 2018-07-13 2019-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TWI687795B (zh) * 2018-09-27 2020-03-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
CN111698355B (zh) * 2019-03-15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EP4063674B1 (en) * 2019-12-13 2024-04-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tary shaf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188B1 (en) 2017-06-08 2018-07-31 First Dome Corporation Hinge and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208609020U (zh) * 2018-07-13 2019-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
CN208689845U (zh) 2018-07-13 2019-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658827A (zh) 2018-11-06 2019-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53178A (zh) 2020-12-29
JP2022536175A (ja) 2022-08-12
EP3955555A4 (en) 2022-07-20
WO2020259646A1 (zh) 2020-12-30
JP7365570B2 (ja) 2023-10-20
US20220116489A1 (en) 2022-04-14
EP3955555B1 (en) 2023-10-25
KR20220002630A (ko) 2022-01-06
EP3955555A1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811B1 (ko)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US11336759B2 (en)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CN107135288B (zh) 具有柔性屏的折叠式终端
KR102282009B1 (ko)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WO2021007912A1 (zh) 一种可弯折装置
EP4207142A1 (en) Folda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2094894B (zh) 双轴铰链及使用该双轴铰链的照明设备
WO2019184347A1 (zh) 可折叠移动终端
TWI462682B (zh) 連接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CN110005694A (zh) 铰链结构、折叠机构以及移动终端
US11283911B2 (en) Hinge, folding mechanism, and terminal device
CN115076218B (zh) 电子设备和折叠装置
TW202142085A (zh) 折疊式電子裝置
CN112243053A (zh)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CN114017436A (zh) 铰链、柔性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217682778U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WO2023093860A1 (zh) 转轴机构及电子设备
CN117419098B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3586593A (zh) 同步机构、转轴套件、电子设备
WO2023083039A1 (zh) 折叠铰链和电子设备
WO2023109309A1 (zh) 扭矩组件、转轴套件、以及电子设备
CN111596722B (zh) 枢转机构与电子装置
CN116928199A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7148921A (zh) 可折叠铰链和可折叠设备
TWM654978U (zh) 可縮小螢幕間隙的螢幕樞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