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21B1 -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21B1
KR102619821B1 KR1020220116829A KR20220116829A KR102619821B1 KR 102619821 B1 KR102619821 B1 KR 102619821B1 KR 1020220116829 A KR1020220116829 A KR 1020220116829A KR 20220116829 A KR20220116829 A KR 20220116829A KR 102619821 B1 KR102619821 B1 KR 10261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in body
tilt
main
free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완동
김중규
이연석
위철민
Original Assignee
노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완동 filed Critical 노완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1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2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3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탑레버; 상기 메인레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경사판으로써, 상기 경사판 하부에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 또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은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 측에는 외측포스트 및 내측포스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포스트와 상기 내측포스트 사이에는 상기 외측틸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상기 프리스탑레버, 상기 내측틸트레버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WATER DROP SHAPED HINGE STRUCTURE}
본 개시는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힌지구조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여도, 힌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활용된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등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서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자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서, 플라스틱 필름 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반경방향 안쪽과 반경방향 바깥쪽의 변위가 발생하여, 형태가 변화하는 부위에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반경방향 안쪽에는 압축력이 발생하고, 반경방향 바깥쪽에는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압축력 및 인장력이 반복되어 발생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 장치의 불량으로 귀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축을 중심으로 접거나 펼칠 때, 축에 인접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발생하는 주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반경방향 안쪽과 바깥쪽 사이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힌지 구조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1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2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3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탑레버; 상기 메인레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경사판으로써, 상기 경사판 하부에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 또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 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은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 레버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 측에는 외측포스트 및 내측포스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포스트와 상기 내측포스트 사이에는 상기 외측틸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상기 프리스탑레버, 상기 내측틸트레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완전히 펼쳤을 때와 완전히 접었을 때 사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히는 부분의 호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접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주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전자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힌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이 제외된 펼쳐진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서 메인바디, 리미트 레버, 및 메인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는, 도 3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서 메인바디,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도 4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서 메인바디, 외측링크레버, 내측링크레버, 및 프리스탑레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는, 도 5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면서 접히는 것을 도시하며, 도 6b 내지 도 6e는 전자 장치가 접히는 과정에서의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6e에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전자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는 하우징(10) 및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은 전자 장치(1)의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하우징(12)은 전자 장치(1)의 타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는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21)는 전자 장치(1)의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22)는 전자 장치(1)의 타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힌지구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구조(100)는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구조(100)는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과 연결될 수 있다. 힌지구조(100)가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과 연결됨에 따라, 제1하우징(11)은 제2하우징(12)에 대하여, 또는 제2하우징(12)은 제1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은 힌지구조(100)를 중심으로 제2하우징(12)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은 힌지구조(100)를 중심으로 제1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힌지구조(100)에 대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d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힌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이 제외된 펼쳐진 힌지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힌지구조(100)는 도 1b에 도시된 힌지구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j에 대하여, 메인바디(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 방향에 배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X축 방향에 배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메인바디(130)의 -X축 방향과 +X축 방향은 대체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바디(130)의 -Y축 방향과 +Y축 방향은 대체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일 축(예: X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구조(100)의 적어도 일부분(+Y축 방향)과 적어도 다른 일부분(-Y축 방향)은 일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여 일 축(예: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의 적어도 일부는 일 축(예: X축)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메인레버(110), 힌지커버(120),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롱링크(240), 프리스탑레버(310), 프리스탑레버 샤프트 스냅링(311), 슬라이드캠(320), 코일 스프링(330), 푸셔(340), 캠샤프트(360), 업다운 블록(370), 프리스탑샤프트(380), 경사판(410), 테이프(411), 중앙 가이드(420), 메인 프레임(510), 및 포스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의 중심에는 메인바디(13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30)는 일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구조(10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2개의 메인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메인바디(130)는 일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메인바디(130)를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일 면(X축-Z축 면)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는 일 면(Y축-Z축 면)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130)는 제1 메인바디(131), 제2 메인바디(132), 제3 메인바디(133), 및 제4 메인바디(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바디(131)는 힌지구조(10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예: -X축)에 배치된 메인바디(130)의 제1 메인바디(131)는 메인바디(130)의 가장 외측(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바디(132)는 제1 메인바디(131)보다 내측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메인바디(133)는 제2 메인바디(132)보다 내측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메인바디(134)는 제3 메인바디(133)보다 내측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인바디(131), 제2 메인바디(132), 및/또는 제3 메인바디(133)는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 및 메인바디 걸림턱(137)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은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제1 메인바디(131), 제2 메인바디(132), 및/또는 제3 메인바디(13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샤프트일 수 있다. 메인바디 걸림턱(137)은 메인레버(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130)의 일 단부(예: -X축 방향)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11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레버(110)는 메인바디(130)의 일측(-Y축 방향) 및 타측(+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레버(110)는 메인레버 장공 홈(111) 및/또는 메인레버 샤프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레버 장공 홈(111)은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레버(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샤프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레버(110)의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바디(130)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레버 샤프트(113)가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130)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메인레버(110)의 메인레버 장공 홈(1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가 메인레버 궤도 장공 홈(11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레버 샤프트(113)가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가 메인레버 궤도 장공 홈(11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메인레버(110)는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레버(110)는 메인바디(130)의 상부(예: +Z축 방향)를 향해 접힐 수 있다. 메인레버(110)는 메인 프레임(51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레버(110)가 메인바디(130)의 상부(+Z축 방향)를 향해 접힘에 따라, 메인레버(110)에 연결된 메인 프레임(510)도 메인레버(110)를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510)의 하부(예: -Z축 방향)에 포스트(520)가 배치될 수 있다. 포스트(520)는 외측포스트(521) 및 내측포스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포스트(521) 및 내측포스트(522) 사이에 외측틸트레버(413),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프리스탑레버(310), 및 내측틸트레버(414)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메인레버(110)가 가장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레버(110)보다 내측에 외측포스트(521)가 배치될 수 있고, 외측포스트(521)보다 내측에 외측틸트레버(41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틸트레버(413)보다 내측에 외측링크레버(210)가 배치될 수 있고, 외측링크레버(210)보다 내측에 내측링크레버(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링크레버(220)보다 내측에 프리스탑레버(310)가 배치될 수 있고, 프리스탑레버(310)보다 내측에 내측틸트레버(414)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틸트레버(414)보다 내측에 내측포스트(52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틸트레버(413)는 링크레버샤프트(381)를 통해 외측포스트(52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포스트(521)에 형성된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관통하고, 외측틸트레버(413)에 형성된 장공 홀을 관통하며, 외측링크레버(2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내측링크레버(22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틸트레버(413)는 틸트샤프트(382)를 통해 외측포스트(52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틸트샤프트(382)는 외측포스트(521)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외측틸트레버(413)에 형성된 장공 홀 및/또는 홀을 관통하며, 외측링크레버(210)에 형성된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내측틸트레버(414)는 프리스탑샤프트(380)를 통해 내측포스트(522)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샤프트(380)는 내측포스트(522)에 형성된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관통하고, 내측틸트레버(414)에 형성된 장공 홀을 관통하며,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틸트레버(413)는 틸트샤프트(382)를 통해 내측포스트(522)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틸트샤프트(382)는 내측포스트(52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 홀을 관통하고, 내측틸트레버(414)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판(410)은 외측틸트레버(413) 및/또는 내측틸트레버(414)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틸트레버(413) 및/또는 내측틸트레버(414)가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할 때, 경사판(410)은 외측틸트레버(413) 및/또는 내측틸트레버(414)를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판의 상부(예: +Z축 방향)에는 테이프(411)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고 펼쳐짐에 따라, 경사판(410)은 메인 프레임(5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메인 프레임(510)을 추종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고 펼쳐짐에 따라, 경사판(410)은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와의 거리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히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가 펼쳐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경사판(410)의 상부(+Z축 방향)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단면(Y축-Z축)이 서로 이루는 형상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면의 하 측에서 상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물방울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가 접혔을 때,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단면이 물방울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내부 응력은 감소할 수 있고,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 발생하는 주름은 최소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는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의 일단 및 내측링크레버(220)의 일단은 메인바디(13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의 일단 및 내측링크레버(220)의 일단이 메인바디(13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됨에 따라,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는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는 메인바디(130)의 상부(예: +Z축 방향)를 향해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의 타단 및 내측링크레버(220)의 타단은 메인 프레임(51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510)이 메인바디(130)의 상부(예: +Z축 방향)를 향해 접힘에 따라, 메인 프레임(510)에 연결된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도 메인 프레임(510)을 대략적으로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는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는 롱링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와 연결된 롱링크(240)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를 통해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와 연결됨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의 움직임에 따라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또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의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는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는 숏링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와 연결된 숏링크(230)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롱링크(240) 및 숏링크(230)를 통해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와 연결됨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의 움직임에 따라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또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의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기화되어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510)은 타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510)과 메인바디(13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은 메인바디(13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롱링크(24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롱링크(240)의 돌출된 부분은 메인바디(130)에 형성된 장공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의 회전에 따라,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가 이동하게 되고, 롱링크(240)의 돌출된 부분이 메인바디(130)에 형성된 장공 홈에 삽입되어 장공 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메인바디(130)는 상,하(예: Z축 방향)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에 인접하게, 프리스탑레버(31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바디(13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캠샤프트(360)는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는 메인바디(13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는 캠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슬라이드캠(320)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이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3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푸셔(340)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 및 푸셔(340) 사이에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이 배치됨에 따라, 슬라이드캠(320)은 타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캠(320)은 프리스탑레버(310)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이 타 방향(+X축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드캠(320)과 프리스탑레버(310) 사이에 서로 맞닿는 양각의 돌출된 평탄면에 의해 보다 넓은 각도 범위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함에 따라, 프리스탑레버(310)는 마찰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됨에 따라,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은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의 마찰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의 개폐 정도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을 관통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경사판(410)에 연결된 내측포스트(522)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 내측틸트레버(414)의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 및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링크레버(2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외측업다운 블록(37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가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외측링크레버(210)는 외측업다운 블록(370-2)을 상,하(Z축 방향)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내측업다운 블록(37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가 프리스탑레버 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리스탑레버(310)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을 상,하(Z축 방향)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이 접힐 때,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아래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이 펼쳐질 때,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윗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은 중앙 가이드(420)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 가이드(420)는 업다운 블록 고정부재(371)를 통해,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함에 따라, 중앙 가이드(420)도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중앙 가이드(420)는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또는 접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자 장치(1)가 접히고 펼쳐질 때,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의 움직임에 따라, 중앙 가이드(420)가 이동하여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에 따라, 접혀진 상태의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곡률 반경이 커질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곡률 반경이 커짐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할 수 있고,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주름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는, 도 3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메인레버 샤프트(113), 메인바디(130),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 및 경사판(410)은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메인레버 샤프트(113), 메인바디(130),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 및 경사판(41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에 포함된 메인레버(110) 및 메인바디(130)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c 내지 도 3f 순서로, 메인레버(110)가 메인바디(130)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레버(110)의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곡선 형태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레버(110)는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펼쳐졌을 때(예: 힌지구조(100)가 180도로 구성되었을 때),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의 최내측 부분(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8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2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의 최내측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c와 비교).
도 3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0도로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6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d와 비교).
도 3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90도로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레버 샤프트(113)는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의 최외측(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e와 비교).
이와 같이, 힌지구조(100)가 접혀질 때, 메인레버 샤프트(113)가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을 따라 메인바디(130)의 최내측으로부터 최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레버(110)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510)은 메인바디(130)의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130)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곡선 형태의 메인레버 장공 홈(11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따. 이에 따라, 메인레버(110)는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펼쳐졌을 때(예: 힌지구조(100)가 180도로 구성되었을 때),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메인레버 장공 홈(111)의 최외측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8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2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메인레버 장공 홈(111)의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g와 비교).
도 3i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0도로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6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메인레버 장공 홈(111)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h와 비교).
도 3j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90도로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는 메인레버 장공 홈(111)의 최내측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i와 비교).
이와 같이, 힌지구조(100)가 접혀질 때,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가 메인레버 장공 홈(111)을 따라 메인바디(130)의 최외측으로부터 최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레버(110)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510)은 메인바디(130)의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510)이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메인 프레임(510) 위에 배치된 경사판(410)은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경사판(410) 위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되거나 발생하는 주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서 메인바디,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도 4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힌지커버(120),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롱링크(240), 프리스탑레버(310), 프리스탑레버 샤프트 스냅링(311), 슬라이드캠(320), 코일 스프링(330), 푸셔(340), 캠샤프트(360), 업다운 블록(370), 프리스탑샤프트(380), 경사판(410), 테이프(411), 중앙 가이드(420), 메인 프레임(510), 및 포스트(520)는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힌지커버(120),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롱링크(240), 프리스탑레버(310), 프리스탑레버 샤프트 스냅링(311), 슬라이드캠(320), 코일 스프링(330), 푸셔(340), 캠샤프트(360), 업다운 블록(370), 프리스탑샤프트(380), 경사판(410), 테이프(411), 중앙 가이드(420), 메인 프레임(510), 및 포스트(52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틸트레버(413) 및 내측틸트레버(414)는 경사판(410)의 하부(예: -Z축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틸트레버(413)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외측틸트레버 홀(413-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은 곡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포스트(521)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관통하고,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413)의 움직임에 따라,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틸트레버(413)는 외측포스트(52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틸트레버(413)가 외측포스트(52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413)와 연결된 경사판(410)은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와의 거리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히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가 펼쳐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경사판(410)의 상부(+Z축 방향)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단면(Y축-Z축)은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틸트샤프트(382)는 외측포스트(521)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을 관통하고, 외측틸트레버 홀(413-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틸트레버(414)는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 및 내측틸트레버 홀(414-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은 곡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내측포스트(522)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관통하고,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내측틸트레버(414)의 움직임을 따라,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틸트레버(414)는 내측포스트(522)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틸트레버(414)가 내측포스트(522)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내측틸트레버(414)와 연결된 경사판(410)은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와의 거리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히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가 펼쳐지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판(410)과 메인레버(110)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경사판(410)의 상부(+Z축 방향)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단면(Y축-Z축)은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틸트샤프트(382)는 내측포스트(522)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을 관통하고, 내측틸트레버 홀(414-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도 4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에 포함된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 링크레버샤프트(381), 틸트샤프트(382), 경사판(410), 외측포스트(521), 외측포스트(521)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 및 외측포스트(521)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c 내지 도 4f 순서로, 외측틸트레버(413) 및 내측틸트레버(414)가 메인바디(130)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레버샤프트(381)는 곡선 형태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틸트샤프트(382)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틸트샤프트(382)는 곡선 형태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판(410)은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펼쳐졌을 때(예: 힌지구조(100)가 180도로 구성되었을 때),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틸트샤프트(382)는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의 최내측 부분(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틸트샤프트(382)는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의 최내측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8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2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c와 비교). 또한, 틸트샤프트(382)는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의 최내측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c와 비교). 나아가, 틸트샤프트(382)는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의 최내측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c와 비교).
도 4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6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d와 비교). 또한, 틸트샤프트(382)는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d와 비교). 나아가, 틸트샤프트(382)는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d와 비교).
도 4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9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e와 비교). 또한, 틸트샤프트(382)는 틸트 궤도 장공 홀(523)의 최외측(메인바디9130)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e와 비교). 나아가, 틸트샤프트(382)는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의 최외측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d와 비교).
이와 같이, 힌지구조(100)가 접혀질 때, 링크레버샤프트(381)가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따라 메인바디(130)의 최외측으로부터 최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413)와 연결된 경사판(410)은 메인바디(130)의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틸트샤프트(382)가 틸트 궤도 장공 홀(523) 및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의 최내측으로부터 최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413)와 연결된 경사판(410)은 메인바디(130)의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판(410)이 대략적으로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경사판(410) 위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되거나 발생하는 주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힌지구조에서 메인바디, 외측링크레버, 내측링크레버, 및 프리스탑레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는, 도 5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힌지커버(120),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롱링크(240), 프리스탑레버(310), 프리스탑레버 샤프트 스냅링(311), 슬라이드캠(320), 코일 스프링(330), 푸셔(340), 캠샤프트(360), 업다운 블록(370), 프리스탑샤프트(380), 경사판(410), 테이프(411), 중앙 가이드(420), 메인 프레임(510), 및 포스트(520)는 도 3a 내지 도 4f에 도시된 힌지구조(100), 메인레버(110), 힌지커버(120),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롱링크(240), 프리스탑레버(310), 프리스탑레버 샤프트 스냅링(311), 슬라이드캠(320), 코일 스프링(330), 푸셔(340), 캠샤프트(360), 업다운 블록(370), 프리스탑샤프트(380), 경사판(410), 테이프(411), 중앙 가이드(420), 메인 프레임(510), 및 포스트(52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프리스탑레버(310)는 메인바디(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포스트(521)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관통하고,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을 관통하며, 외측링크레버(210)의 외측링크레버 홀(210-1)을 관통하고, 내측링크레버(220)의 내측링크레버 홀(220-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접히고 펼쳐질 때,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포스트(521)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 및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는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는 숏링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롱링크(240)와 연결된 숏링크(230)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롱링크(240) 및 숏링크(230)를 통해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와 연결됨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의 움직임에 따라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또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의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는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는 롱링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숏링크(230)와 연결된 롱링크(240)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를 통해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와 연결됨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의 움직임에 따라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또는, 타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외측링크레버(210)의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링크레버(210), 내측링크레버(220),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기화되어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510)은 타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510)과 메인바디(13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은 메인바디(13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롱링크(24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롱링크(240)의 돌출된 부분은 메인바디(130)에 형성된 장공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 및 내측링크레버(220)의 회전에 따라, 숏링크(230) 및 롱링크(240)가 이동하게 되고, 롱링크(240)의 돌출된 부분이 메인바디(130)에 형성된 장공 홈에 삽입되어 장공 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메인바디(130)는 상,하(예: Z축 방향)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링크레버(220)는 내측링크레버 홈(220-2)을 포함할 수 있다. 캠샤프트(360)가 내측링크레버 홈(220-2)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링크레버(220)는 캠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링크레버(220)는 외측링크레버(210)와 연결되어 일체로 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링크레버(210)는 캠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된 내측링크레버(220)에 인접하게, 프리스탑레버(31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바디(13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프리스탑레버 근위홀(310-1)이 형성될 수 있다. 캠샤프트(360)는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프리스탑레버 근위홀(310-1)을 관통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는 메인바디(13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는 캠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슬라이드캠(320)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이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30)의 일 방향(예: -X축 방향)에는 푸셔(340)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 및 푸셔(340) 사이에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이 배치됨에 따라, 슬라이드캠(320)은 타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캠(320)은 프리스탑레버(310)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이 타 방향(+X축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드캠(320)과 프리스탑레버(31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캠(320)은 슬라이드캠 홀(320-1)을 포함할 수 있다. 캠샤프트(360)는 슬라이드캠 홀(320-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캠(320)은 캠샤프트(3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캠(320)은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320-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는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31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310-1)은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320-2)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양각과 슬라이드캠(320)의 양각이 접촉되면,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이 압축되어,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의 음각과 슬라이드캠(320)의 양각이 접촉되면,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의 거리가 가가워지고, 코일 스프링(330) 및/또는 판 스프링(331)의 덜 압축되어,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함에 따라, 프리스탑레버(310)는 마찰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됨에 따라,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은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와 슬라이드캠(320)의 마찰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을 관통할 수 있다. 프리스탑샤프트(380)는 경사판(410)에 연결된 내측포스트(522)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 내측틸트레버(414)의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 및 프리스탑레버(310)에 형성된 프리스탑레버 원위홀(310-4)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링크레버(2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외측업다운 블록(37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크레버(210)가 메인바디(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외측링크레버(210)는 외측업다운 블록(370-2)을 상,하(Z축 방향)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탑레버(3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내측업다운 블록(370-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스탑레버(310)가 프리스탑레버 샤프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리스탑레버(310)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을 상,하(Z축 방향)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이 접힐 때,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아래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이 펼쳐질 때,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윗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은 중앙 가이드(420)와 연결될 수 있다.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이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함에 따라, 중앙 가이드(420)도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중앙 가이드(420)는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또는 접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자 장치(1)가 접히고 펼쳐질 때,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Z축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업다운 블록(370-1) 및/또는 내측업다운 블록(370-2)의 움직임에 따라, 중앙 가이드(420)가 이동하여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에 따라, 접혀진 상태의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곡률 반경이 커질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곡률 반경이 커짐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할 수 있고,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주름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는 도 5a의 힌지구조가 접혀지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에 포함된 메인바디(130),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 링크레버샤프트(381), 틸트샤프트(382), 경사판(410), 외측틸트레버(413),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외측포스트(521), 틸트 궤도 장공 홀(523),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c 내지 도 5f 순서로, 외측틸트레버(413), 외측포스트(521)가 메인바디(130)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레버샤프트(381)는 곡선 형태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틸트샤프트(382)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 및 곡선 형태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펼쳐졌을 때(예: 힌지구조(100)가 180도로 구성되었을 때), 링크레버샤프트(381)는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메인바디(130)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외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은 링크레버샤프트(381)와 접촉하고, 동일선 상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 부분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12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중간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중간 부분은 링크레버샤프트(381)와 접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측틸트레버(413)가 외측포스트(5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외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 부분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약 60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에 인접한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에 인접한 부분은 링크레버샤프트(381)와 접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측틸트레버(413)가 외측포스트(5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외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 부분은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90도 접혀졌을 때, 2개의 경사판(410)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 부분은 링크레버샤프트(381)와 접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측틸트레버(413)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내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내측 부분은 동일선 상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틸트레버(413)가 외측포스트(5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의 최외측 부분과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의 최외측 부분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면서 접히는 것을 도시하며, 도 6b 내지 도 6e는 전자 장치가 접히는 과정에서의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면서 접히는 것을 도시하며, 도 6b 내지 도 6e는 전자 장치가 접히는 과정에서의 제1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는 도 1a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의 끝(21-1) 또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22-1)은 발명의 궤도(6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22-1)에 대한 궤도(610)만 도시되었으나,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의 끝(21-1)에 대한 궤도 또한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22-1)에 대한 궤도(610)와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의 끝(21-1)과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22-1) 사이의 거리는 대략 30mm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의 끝(21-1)과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22-1) 사이의 거리가 대략 30mm로 유지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되거나, 발생하는 주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21)와 제2디스플레이(22)가 접혔을 때, 곡률반경은 대략 2.6mm로 유지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21)와 제2디스플레이(22)가 접혔을 때, 곡률반경은 대략 2.6mm로 유지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22)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되거나, 발생하는 주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는 디스플레이 내측(611), 디스플레이 외측(612), 및 디스플레이 가운데(61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발명의 궤도(610) 및 1축 궤도(620)는 디스플레이 가운데(613)의 일 지점이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낸 것이다.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디스플레이 외측(612)에는 경사판 테이핑 부위(614)가 배치될 수 있다. 경사판 테이핑 부위(614)는 경사판 테이프(411)가 배치될 수 있다. 경사판 테이프(411)가 경사판 테이핑 부위(614)에 배치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는 경사판(4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경사판(410)의 이동을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1축 회전중심점(6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의 끝의 궤도는 1축 궤도(620)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1축 궤도(620)는 원의 일부로 표현될 수 있다. 1축 궤도(620)와 같이 회전할 경우,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에 불균형한 응력이 발생하고, 주름이 많이 발생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100)가 적용된 제1디스플레이(21)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궤도는 1축 궤도(620)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적용된 제1디스플레이(21)의 적어도 일부의 끝 및 제2디스플레이(22)의 적어도 일부의 끝의 궤도는 발명의 궤도(610)로 표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완전히 펼쳐진 0도 및 완전히 접혀진 90도에서는 발명의 궤도(610)의 일 점과 1축 궤도(620)의 일 점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0도 및 90도 이외의 영역에서, 발명의 궤도(610)는 1축 궤도(620)보다 힌지구조(100)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특정한 각도별로,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를 비교하면, 도 6b, 도 6c,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039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1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080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1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122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2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164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2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205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2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205mm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244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3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282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4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15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4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15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4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44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5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67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5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82mm일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87mm일 수 있다. 힌지구조(100)가 약 6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 발생하는 거리 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6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78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7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54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7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310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80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240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구조(100)가 약 85도로 접혔을 때, 발명의 궤도(610)와 1축 궤도(6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거리 차이는 약 0.139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예: 도 2d의 힌지구조(10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메인바디(예: 도 2d의 메인바디(130)),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예: 도 2d의 메인레버(110)),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1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측링크레버(예: 도 2d의 외측링크레버(210)),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2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링크레버(예: 도 2d의 내측링크레버(220)),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3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탑레버(예: 도 2d의 프리스탑레버(310)), 상기 메인레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예: 도 2d의 메인 프레임(510)),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경사판(예: 도 2d의 경사판(410))으로써, 상기 경사판 하부에 외측틸트레버(예: 도 2d의 외측틸트레버(413)) 및 내측틸트레버(예: 도 2d의 내측틸트레버(41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 또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 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은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 레버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레버는 복수 개의 메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복수 개의 외측링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복수 개의 내측링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복수 개의 프리스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레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리스탑레버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길이방향의 축 및 상기 폭방향의 축에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외측링크레버 및 상기 복수 개의 내측링크레버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방향(X축)을 기준으로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가상의 라인(Y축)을 기준으로 하는 선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외측포스트(예: 도 2d의 외측포스트(521)) 및 내측포스트(예: 도 2d의 내측포스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포스트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길이방향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레버는 상기 외측포스트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는 상기 메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상기 외측틸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외측링크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는 상기 프리스탑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포스트는 상기 내측틸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롱 링크(예: 도 2d의 롱 링크(240))와 연결되고, 상기 롱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숏 링크(예: 도 2d의 숏 링크(230))와 연결되고, 상기 숏 링크는 상기 내측링크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상기 내측링크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레버는 메인레버 샤프트(예: 도 3b의 메인레버 샤프트(113)) 및 곡선 형태의 메인레버 장공 홈(예: 도 3b의 메인레버 장공 홈(111))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곡선 형태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예: 도 3b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135)) 및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예: 도 3b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136))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레버 샤프트는 상기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는 상기 메인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레버샤프트(예: 도 4a의 링크레버샤프트(381)), 프리스탑샤프트(예: 도 4a의 프리스탑샤프트(380)), 및 적어도 2개의 틸트샤프트(예: 도 4a의 틸트샤프트(3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포스트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예: 도 3b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 및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예: 도 3b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는 곡선 형태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예: 도 4a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413-1)) 및 외측틸트레버 홀(예: 도 4a의 외측틸트레버 홀(413-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외측링크레버 홀(예: 도 5b의 외측링크레버 홀(210-1)) 및 곡선 형태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예: 도 5b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210-2))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내측링크레버 홀(예: 도 5b의 내측링크레버 홀(220-1))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포스트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예: 도 3b의 틸트 궤도 장공 홀(523)) 및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예: 도 3b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524))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는 곡선 형태의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예: 도 4a의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414-1)) 및 내측틸트레버 홀(예: 도 4a의 내측틸트레버 홀(414-2))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예: 도 5b의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310-3)) 및 프리스탑레버 원위홀(예: 도 5b의 프리스탑레버 윈위홀(310-4))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레버샤프트는 상기 외측포스트의 상기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의 상기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을 관통하며,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상기 외측링크레버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의 상기 내측링크레버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리스탑샤프트는 상기 내측포스트의 상기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의 상기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을 관통하며,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상기 프리스탑레버 원위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프트 중 제1 틸트샤프트는 상기 외측포스트의 상기 틸트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의 상기 외측틸트레버 홀을 관통하거나 삽입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상기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프트 중 제2 틸트샤프트는 상기 내측 포스트의 상기 틸트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의 상기 내측틸트레버 홀을 관통하거나 삽입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상기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캠샤프트(예: 도 2d의 캠샤프트(360)), 슬라이드캠(예: 도 2d의 슬라이드캠(320)), 판 스프링(예: 도 2d의 판 스프링(331)), 코일 스프링(예: 도 2d의 코일 스프링(330)), 내측업다운 블록(예: 도 2d의 내측업다운 블록(370-2)) 및 외측업다운 블록(예: 도 2d의 외측업다운 블록(37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샤프트는 상기 프리스탑레버에 포함된 프리스탑레버 근위홀(예: 도 5b의 프리스탑레버 근위홀(310-1))을 관통하고, 상기 슬라이드캠에 포함된 슬라이드캠 홀(예: 도 5b의 슬라이드캠 홀(320-1))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업다운 블록은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업다운 블록은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캠을 상기 내측업다운 블록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캠은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예: 도 5b의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320-2))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예: 도 5b의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310-2))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은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 또는 음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에 형성된 면은 직선으로 구성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프리스탑 구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은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 또는 음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이 접촉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 또는 상기 판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음각이 접촉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판 스프링이 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경사판의 단면 모양은 물방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예: 도 1a의 제1디스플레이 또는 제2디스플레이(21, 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에서, 상기 힌지구조의 일측에 배치된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11)) 및 타측에 배치된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 장치
11: 제1하우징
12: 제2하우징
21: 제1디스플레이
22: 제2디스플레이
100: 힌지구조
110: 메인레버
111: 메인레버 장공 홈
112: 메인레버 걸림턱
113: 메인레버 샤프트
120: 힌지커버
130: 메인바디
131: 제1 메인바디
132: 제2 메인바디
133: 제3 메인바디
134: 제4 메인바디
135: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
136: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
137: 메인바디 걸림턱
210: 외측링크레버
210-1: 외측링크레버 홀
210-2: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
220: 내측링크레버
220-1: 내측링크레버 홀
220-2: 내측링크레버 홈
230: 숏링크
240: 롱링크
310: 프리스탑레버
310-1: 프리스탑레버 근위홀
310-2: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
310-3: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
310-4: 프리스탑레버 원위홀
311: 스냅링
320: 슬라이드캠
320-1: 슬라이드캠 홀
320-2: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
330: 코일 스프링
331: 판 스프링
340: 푸셔
360: 캠샤프트
370-1: 외측업다운 블록
370-2: 내측업다운 블록
371: 업다운 블록 고정부재
380: 프리스탑샤프트
381: 링크레버샤프트
382: 틸트샤프트
410: 경사판
411: 테이프
413: 외측틸트레버
413-1: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
413-2: 외측틸트레버 홀
414: 내측틸트레버
414-1: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
414-2: 내측틸트레버 홀
420: 중앙 가이드
510: 메인 프레임
520: 포스트
521: 외측포스트
522: 내측포스트
523: 틸트 궤도 장공 홀
524: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
611: 디스플레이 내측
612: 디스플레이 외측
613: 디스플레이 가운데
614: 경사판 테이핑 부위
620: 1축 궤도
621: 1축 회전중심점

Claims (12)

  1. 힌지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1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2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3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탑레버;
    상기 메인레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경사판으로써, 상기 경사판 하부에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 또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은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 측에는 외측포스트 및 내측포스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포스트와 상기 내측포스트 사이에는 상기 외측틸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상기 프리스탑레버, 상기 내측틸트레버가 배치된 힌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는 복수 개의 메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복수 개의 외측링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복수 개의 내측링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복수 개의 프리스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레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리스탑레버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길이방향의 축 및 상기 폭방향의 축에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외측링크레버 및 상기 복수 개의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가상의 라인을 기준으로 선대칭으로 배치된 힌지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포스트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길이방향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레버는 상기 외측포스트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는 상기 메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상기 외측틸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외측링크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는 상기 프리스탑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포스트는 상기 내측틸트레버보다 상기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힌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롱 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롱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숏 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숏 링크는 상기 내측링크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상기 내측링크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힌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는 메인레버 샤프트 및 곡선 형태의 메인레버 장공 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곡선 형태의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 및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레버 샤프트는 상기 메인바디 내측 궤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바디 내측 궤도 샤프트는 상기 메인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힌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링크레버샤프트, 프리스탑샤프트, 및 적어도 제1 틸트샤프트와 제2 틸트샤프트로 이루어진 2개의 틸트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포스트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 및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는 곡선 형태의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 및 외측틸트레버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는 외측링크레버 홀 및 곡선 형태의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내측링크레버 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포스트는 곡선 형태의 틸트 궤도 장공 홀 및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는 곡선 형태의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 및 내측틸트레버 홀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곡선 형태의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 및 프리스탑레버 원위홀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레버샤프트는 상기 외측포스트의 상기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의 상기 외측틸트레버 장공 홀을 관통하며,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상기 외측링크레버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링크레버의 상기 내측링크레버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리스탑샤프트는 상기 내측포스트의 상기 프리스탑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의 상기 내측틸트레버 장공 홀을 관통하며,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상기 프리스탑레버 원위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프트 중, 제1 틸트샤프트는 상기 외측포스트의 상기 틸트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외측틸트레버의 상기 외측틸트레버 홀을 관통하거나 삽입되고,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상기 외측링크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틸트샤프트 중, 제2 틸트샤프트는 상기 내측포스트의 상기 틸트 궤도 장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내측틸트레버의 상기 내측틸트레버 홀을 관통하거나 삽입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상기 프리스탑레버 장공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힌지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캠샤프트, 슬라이드캠,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내측업다운 블록 및 외측업다운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샤프트는 상기 프리스탑레버에 포함된 프리스탑레버 근위홀을 관통하고, 상기 슬라이드캠에 포함된 슬라이드캠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업다운 블록은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업다운 블록은 상기 외측링크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캠을 상기 내측업다운 블록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 힌지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캠은 슬라이드캠 양각 및 음각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는 프리스탑레버 양각 및 음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은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 또는 음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에 형성된 면은 직선으로 구성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프리스탑 구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은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 또는 음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양각이 접촉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 또는 상기 판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캠의 양각과 상기 프리스탑레버의 음각이 접촉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판 스프링이 덜 압축되도록 구성된 힌지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일 방향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와, 전자 장치의 타 방향에 배치된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히면, 상기 경사판과 상기 메인레버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단면이 서로 이루는 형상은 하 측에서 상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물방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
  11. 삭제
  12.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1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2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링크레버;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제3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탑레버;
    상기 메인레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경사판으로써, 상기 경사판 하부에 외측틸트레버 및 내측틸트레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링크레버 또는 상기 내측링크레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은 상기 메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및 상기 프리스탑레버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 측에는 외측포스트 및 내측포스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포스트와 상기 내측포스트 사이에는 상기 외측틸트레버, 상기 외측링크레버, 상기 내측링크레버, 상기 프리스탑레버, 상기 내측틸트레버가 배치된 힌지구조와,
    상기 힌지구조의 일측에 배치된 제1하우징 및 상기 힌지구조의 타측에 배치된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힌지구조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운동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220116829A 2022-06-30 2022-09-16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KR102619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73 2022-06-30
KR20220080273 2022-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21B1 true KR102619821B1 (ko) 2024-01-03

Family

ID=895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29A KR102619821B1 (ko) 2022-06-30 2022-09-16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8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138A (ko) * 2014-03-07 2015-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7972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125650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200038903A (ko) * 2016-10-11 2020-04-14 (주)에이유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00047253A (ko) * 2018-10-25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33853A (ja) * 2019-02-25 2020-08-3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279103B1 (ko) * 2020-11-03 2021-07-19 노완동 링크 힌지 구조
KR20220002630A (ko) * 2019-06-27 2022-01-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138A (ko) * 2014-03-07 2015-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7972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200038903A (ko) * 2016-10-11 2020-04-14 (주)에이유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180125650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200047253A (ko) * 2018-10-25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33853A (ja) * 2019-02-25 2020-08-3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220002630A (ko) * 2019-06-27 2022-01-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KR102279103B1 (ko) * 2020-11-03 2021-07-19 노완동 링크 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93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06381B1 (ko) 인아웃폴딩용 힌지장치
KR101861348B1 (ko) 접철식 기기
EP3477422B1 (en) Double hinge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2573562B1 (ko) 디텐트 구조물이 배치된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KR102344937B1 (ko) 디텐트 구조물이 배치된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CN107632661A (zh) 便携式信息设备
TWI812817B (zh) 折疊式顯示裝置
KR10159304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KR100768499B1 (ko) 휴대폰의 스윙 힌지 장치
JP7340109B2 (ja) 電子デバイス
US11340660B2 (en)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0742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807993B1 (ja) 携帯用情報機器
TW201116749A (en) Rotation angle limita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16527819U (zh) 可携式电子装置
KR102619821B1 (ko)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EP4160028A1 (en) Link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22053A (ko) 슬립형 폴더블 휴대단말기
JP2018054042A (ja) ヒンジ装置および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510749A (ja) 携帯用端末の2軸スライド装置
WO2016100463A1 (en) Deployable joint
EP2615317A1 (en) Hinge mechanism
KR102636256B1 (ko) 물방울 형상 힌지구조
CN110701177A (zh) 一种可维持任意角度的双轴内折铰链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