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039B1 - 가열식 분말 혼합기 - Google Patents

가열식 분말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039B1
KR102611039B1 KR1020220106822A KR20220106822A KR102611039B1 KR 102611039 B1 KR102611039 B1 KR 102611039B1 KR 1020220106822 A KR1020220106822 A KR 1020220106822A KR 20220106822 A KR20220106822 A KR 20220106822A KR 102611039 B1 KR102611039 B1 KR 10261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wder
disposed
m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태
박찬홍
Original Assignee
장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태 filed Critical 장기태
Priority to KR102022010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70Pre-treatment of the materials to be mixed
    • B01F23/705Submitting materials to electrical energy fields to charge or ionize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2Hollow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5Mixing in metallurgical processes of ferrous or non-ferrou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식 분말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는, 분말을 담는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식 분말 혼합기{Heating type powder mixer}
본 발명은 가열식 분말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식 분말 혼합기는 건식혼합 및 습식혼합에 적용이 가능하다.
금속 또는 합금분말은 분말 야금 공정에서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분말 야금용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쇄법, 절삭법, 충격법, 분무법 등의 기계적 방식과, 기화법, 응축법 등의 물리적 방식, 전해 석출법 등의 전기적 방식, 고상분해법, 열분해법, 환원법 등의 화학적 방식 등이 있다.
분말 야금 분야에 사용하는 분말은 분말의 조성, 크기, 분포, 조직 및 형상에 따라 제조된 가공체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분말의 특성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특성의 가공체를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분말을 혼합하거나, 왁스 등의 비금속 윤활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혼합한다. 선행기술문헌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226801호는 회전하는 용기에 분말 야금용 분말 재료 및 바인더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혼합 방법으로는 분말끼리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하여 분말의 품질이 고르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제조된 분말을 다시 파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226801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혼합할 수 있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금속성 첨가물과 금속성 분말을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하는 분말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건식혼합 뿐 아니라 습식혼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는, 분말을 담는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 하부 및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중앙에 배치된 중공 및 상기 중공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중공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중공파이프가 감싸는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대향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분말을 혼합하도록 하는 제1부, 및 상기 제1부와 회전축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분말을 혼합하는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부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는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는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비금속성 첨가물과 금속성 분말을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하는 분말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건식혼합 뿐 아니라 습식혼합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몸체의 벽체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이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커버를 연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용기를 기울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혼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혼합부 및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혼합부 및 구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혼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의 혼합부 및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분말을 담는 용기(111)를 포함하는 용기부(110); 상기 용기(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부(120); 상기 혼합부(120)를 회전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용기(111) 내부의 분말을 가열하는 가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에서 혼합하는 분말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한 종류의 분말을 교반할 수 있고, 이종의 분말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분말에 다양한 형태의 첨가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말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분말일 수 있으나, 카본블랙, 그래핀 등의 도전성 물질, 실리카 등의 비전도성 물질, 탄화수소계(Hydrocarbons), 카르복실산계(Carboxylic acids), 아마이드계(Amides), 에스테르계(Esters), 금속염계(Carboxylate salts) 등의 윤활 물질로 된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용기부(110)는 내부에 분말을 담는 용기(111) 및 상기 용기(111)를 덮는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11) 및 커버(112)를 결착하여 혼합 공정 중 내부의 분말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착부재(113) 및 작업자가 용기(111)의 내부를 관찰하도록 하기 위한 감시창(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혼합기나 교반기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형상,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11)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감싸는 파이프인 중공파이프(111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파이프(111a)는 도 9와 같이 용기(111)의 중공에 별도로 삽입하여 배치된 파이프 형상의 부재일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용기(111)와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공파이프(111a)의 중공에는 혼합부(120)의 회전축(121)이 배치될 수 있으며(도 3 및 도 4 참조), 이를 통해 분말이 회전축(121) 등 다른 구성요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120)는 상기 용기(111) 내부의 분말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혼합부(120)는 회전축(121) 및 상기 회전축(121)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날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21)의 일단에 배치된 제1커플링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121)은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일부가 상기 바닥면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1)의 상부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날개(122)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1)은 상기 용기(111)의 중공파이프(111a)의 중공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21) 중 상기 중공파이프(111a)의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날개(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혼합 작업 중에 분말이 상기 회전축(121)의 틈새로 침입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날개(122)는 상기 회전축(12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기(111) 내부를 회전하여 이동함으로써 분말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날개(122)는 회전축(1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11)에 대하여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날개(122) 및 회전축(121)은 결합 부위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122)는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 부분에 배치되는 분말을 혼합하도록 하는 제1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122)는 상기 제1부(122a) 및 회전축(121)을 연결하는 제2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날개(122)는 분말에 형성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부재(1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122a)는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 mm 내지 수 μm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부(122a)는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부(122a)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부(122a)의 하부면은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십 μm 내지 수 mm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부(122b)는 상기 회전축(121)으로부터 제1부(122a)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122b)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121)의 상부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부(122b)는 상기 회전축의 최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혼합하려는 분말이 채워지는 높이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부(122b)는 'ㄱ'자 형상일 수 있으며, 'ㅡ' 및 'ㅣ'가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 경우, 상기 제2부(122b)는 상기 제1부(122a)의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상기 분말은 상기 제2부(122b)의 'l'형상 부분까지 채워지게 되며, 상기 날개(122)는 상기 제1부(122a) 및 제2부(122b)의 'ㅣ' 형상으로 분말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날개(122)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제1부(122a)는 상기 회전축(121)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122b)의 'ㅡ' 부분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말의 혼합 효율을 높이고 분말에 형성된 정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부(122b)의 일단을 상기 회전축(121)의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1부(122a)의 하부면을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에 밀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분말 야금용 분말을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종래의 혼합기는 용기 내부에 걸림턱을 배치하여 용기 자체를 회전하거나, 용기 내부에 스크류나 프로펠러를 두어 회전하여 이종의 물질을 혼합하였다. 그러나, 용기를 회전하는 방식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뭉침이 발생하는 등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스크류나 프로펠러를 회전하는 방식은 1000 rpm 이상의 고속 혼합에 적절하며, 건식 혼합에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는 분말이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건식 혼합 보다는 용매와 함께 혼합하는 습식 혼합에 유리하다.
분말 야금용 분말의 혼합은 일반적으로 건식으로 이루어지며, 분말 사이의 접합 방지 및 분말 파손 방지를 위해 고속보다는 수십 rpm 정도의 저속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효율적으로 혼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날개(122)의 제2부(122b)가 분말이 채워진 높이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분말이 채워진 영역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부(122b)의 타단에 배치된 제1부(122a)가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에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111)의 바닥면에 배치된 분말까지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혼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부(120)는 상기 용기(111)의 내부 측면에 달라붙은 분말을 제거하는 측면 제거부재(12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제거부재(122d)는 상기 제2부(122b)로부터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제2부(122b) 중 'ㅣ'형상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제거부재(122d)의 타단에는 상기 용기(111)의 측면에 대향하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용기(111)의 측면으로부터 수십 μm 내지 수 mm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부재(122c)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박막이나 밴드, 섬유, 실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전기 부재는 상기 제2부(122b)의 외부면에 상기 제2부(122b)를 따라 배치되며 일단이 외부의 접지로 연결되거나, 이오나이저(190)(도 8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링부재(123)는 상기 구동부(130)의 제1모터(131)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커플링부재(13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모터(13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2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커플링부재(123)는 상기 제2커플링부재(132)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상기 용기(111) 내부의 분말을 외부로 쏟아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111)를 기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혼합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와 분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커플링부재(123) 및 제2커플링부재(132)를 배치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링부재(123) 및 제2커플링부재(13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그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혼합부(120)를 구동하여 상기 혼합부(120)가 분말을 혼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혼합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21)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30)는 동력을 방생하는 제1모터(131), 상기 제1커플링부재(123)와 결합하여 상기 제1모터(13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21)으로 전달하는 제2커플링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30)는 몸체(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용기(111)를 가열하여 상기 용기(111) 내부의 분말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용기(111)의 하부 및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1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40)는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일 수 있으며,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전열물질로 된 필름 또는 시트나, 발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용기(111) 중 분말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날개(122)의 제2부(122b)의 'l' 형상이 배치되는 부분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말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틸팅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170)는 상기 용기(111)를 기울여 내부의 분말을 외부로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틸팅부(17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171) 및 상기 제2모터(171)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감속하는 감속기(172) 및 상기 용기(111)가 회전하는 축을 제공하는 틸팅축(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축(173)은 상기 용기(111)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모터(171)에 의해 상기 틸팅축(17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기(111)가 상기 틸팅축(17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커버리프트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리프트부(180)는 상기 커버(112)를 들어올려 상기 커버(112)를 상기 용기(111)로부터 이탈하거나, 상기 커버(112)를 상기 용기(111)에 덮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커버리프트부(180)는 공압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리프트부(180)는 들어올린 커버(112)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이오나이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190)는 상기 용기(111) 내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오나이저(190)는 상기 용기(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도 8 참조),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12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정전기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날개(122)의 정전기 제거부재(122c)와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정전기 제거부재(122c)를 접지와 연결하거나, 상기 정전기 제거부재(122c)로부터 전하량을 수집하여 정전기의 발생량을 도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절한 이온 방출량을 산출하여 정전기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190)는 상기 용기(111) 내부의 분말에 이온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온생성부재 및 이온방출부재(노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190)는 그 방식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가열식 분말 혼합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은 각 구성요소를 동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구동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다른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함으로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모터(131)의 작동, 상기 가열부(140)의 작동, 상기 제2모터(171)의 작동, 상기 커버리프트부(180)의 액츄에이터의 작동, 상기 이오나이저(1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날개(122)의 정전기 제거부재(122c)로부터 전하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연산하여 상기 이오나이저(190)에서 방출해야하는 이온의 양을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이오나이저(190)에 도출된 이온 방출량에 따른 이온 방출을 명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가열식 분말 혼합기, 110: 용기부, 111: 용기, 111a: 중공파이프, 112: 커버, 113: 결착부재, 114: 감시창, 120: 혼합부, 121: 회전축, 122: 날개, 122a: 제1부, 122b: 제2부, 122c: 정전기 제거부재, 122d: 측면 제거부재, 123: 제1커플링부재, 130: 구동부, 131: 제1모터, 132: 제2커플링부재, 140: 가열부, 150: 제어부, 160: 몸체, 170: 틸팅부, 171: 제2모터, 172: 감속기, 173: 틸팅축, 180: 커버리프트부, 190: 이오나이저

Claims (5)

  1. 분말을 담는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말을 혼합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대향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분말을 혼합하도록 하는 제1부, 및 상기 제1부와 회전축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분말을 혼합하는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이고,
    상기 제2부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부의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ㄱ’자 형상을 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부과 상기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어, 상기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의해 상기 용기 내에 담긴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에 배치된 각각의 제1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 것인,
    가열식 분말 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중앙에 배치된 중공 및 상기 중공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중공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중공파이프가 감싸는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가열식 분말 혼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분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가열식 분말 혼합기.

KR1020220106822A 2022-08-25 2022-08-25 가열식 분말 혼합기 KR10261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22A KR102611039B1 (ko) 2022-08-25 2022-08-25 가열식 분말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22A KR102611039B1 (ko) 2022-08-25 2022-08-25 가열식 분말 혼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039B1 true KR102611039B1 (ko) 2023-12-07

Family

ID=8916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22A KR102611039B1 (ko) 2022-08-25 2022-08-25 가열식 분말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6801A (ja) 1996-11-06 1998-08-25 Aleaciones De Metales Sinterisados Sa 粉末材料の混合物中にバインダーを加える方法及び装置
JP2001234204A (ja) * 2000-02-17 2001-08-28 Kawasaki Steel Corp 金属粉末の加熱装置
JP2013154260A (ja) * 2012-01-26 2013-08-15 Ube Industries Ltd 粉状物質流動化装置
KR20160077346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제조 장치
KR102258402B1 (ko) * 2019-12-23 2021-05-31 하나에이엠티 주식회사 분말 분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6801A (ja) 1996-11-06 1998-08-25 Aleaciones De Metales Sinterisados Sa 粉末材料の混合物中にバインダーを加える方法及び装置
JP2001234204A (ja) * 2000-02-17 2001-08-28 Kawasaki Steel Corp 金属粉末の加熱装置
JP2013154260A (ja) * 2012-01-26 2013-08-15 Ube Industries Ltd 粉状物質流動化装置
KR20160077346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제조 장치
KR102258402B1 (ko) * 2019-12-23 2021-05-31 하나에이엠티 주식회사 분말 분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4347B1 (en) Grinding wheel having dust discharge impelling blades
EP23146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ating material
WO2011040620A1 (ja) 処理装置
KR102611039B1 (ko) 가열식 분말 혼합기
CN1802455A (zh) 放电表面处理用电极和其评价方法以及放电表面处理方法
CN105729080B (zh) 生物质燃料碎料切刀的加工方法
CN102716687A (zh) 可拆卸搅拌器
CN108114626A (zh) 一种提高烧结矿制粒均匀度的混料机
JPH089083B2 (ja) 半凝固金属スラリー製造装置
KR102006709B1 (ko) 노면 절삭 장치
CN211359029U (zh) 氧化锌的研磨装置
CN209061273U (zh) 具有内翻挑功能的立式中药材粉碎加工筒
CN218689206U (zh) 一种可加热超声分散乳液搅拌设备
CN206853512U (zh) 一种高效导电浆料生产装置
JPH11347429A (ja) 粉体処理装置
CN220110819U (zh) 一种涂料造粒均匀搅拌装置
KR101263187B1 (ko) 화합물 분말의 용탕 표면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반응 방법
CN216763217U (zh) 一种投料装置
CN215693608U (zh) 一种用于涂料的搅拌装置
CN205593373U (zh) 改良的铝合金熔炼炉装置
CN206676306U (zh) 一种双运动混合机
CN202122934U (zh) 一种偏苯三酸酐的造粒设备
JP4141880B2 (ja) 微粉原料と粘結剤との混練方法及びそれらの混練装置
CN210160353U (zh) 一种新型降温电机外壳自动上料混砂机
CN206823605U (zh) 鱼苗开口饲料新型乳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