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86B1 -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786B1
KR102610786B1 KR1020177014128A KR20177014128A KR102610786B1 KR 102610786 B1 KR102610786 B1 KR 102610786B1 KR 1020177014128 A KR1020177014128 A KR 1020177014128A KR 20177014128 A KR20177014128 A KR 20177014128A KR 102610786 B1 KR102610786 B1 KR 10261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s
skin
halomonas
species
inc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605A (ko
Inventor
올가 라포타 알칸타라
누리아 알미나나 도메네크
알버트 솔레이 아스탈스
안토니오 페레르 몬티엘
누리아 가르시아 산즈
Original Assignee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박테리아 균주의 발효 추출물 및 세포외 다당류, 뿐만 아니라, 이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노화, 피부 탄력성 및 수화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ALOMONAS FERMENT EXTRACT, AND USE THEREOF}
기재된 기술(technology)은 노화 치료를 위한 박테리아 기원의 발효 추출물 및 세포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성물은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Halomonas eurihalina) 종의 균주에 의해 분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skin), 점막(mucous membrane), 헤어(hair) 및/또는 네일(nail)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서 박테리아 기원의 상기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 표피(human epidermis)는 독특한 기능적 구조를 갖는 다층의 결합 조직(multilayered, cohesive tissue)으로서, 이는 외부 환경에 대한 1차 배리어(primary barrier)를 형성시킨다. 케라틴세포(keratinocyte)는 표피의 주요 성분으로서, 이들의 결합력(cohesion)은 세포 재생 및 분화를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표피 세포는 "접합(junction)"으로 명명된 특별한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강성(rigidity)(부착 접합(anchoring junction)), 내수성(water resistance)(치밀 접합(tight junction)) 및 세포 소통(cell communication)(갭 접합(gap junction))과 같은, 상이한 역할을 갖는 상이한 타입의 접합들이 존재한다. 갭 접합은 인접한 세포들 사이에 이온(Ca2+, Mg2 +) 및 작은 대사물질들(글루코오스), 영양소들, 및 1 kDa 미만의 신호전달 분자들(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또는 시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의 확산에 의해 교환을 허용하는 세포간 채널들의 클러스터(cluster)이다. 대사물질 및 이온의 이러한 직접 세포질 교환(cytoplasmic exchange)은 표피 항상성을 조정(coordinate)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갭 접합-매개 세포간 소통(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은 세포 분화, 증식 및 전기 전달을 포함하는 상이한 생리학적 과정들에서 중요하며, 이는 또한, 세포간 신호전달에 기여한다[Scott CA, et al., " Connexins in epidermal homeostasis and skin disease", Biochim . Biophys . Acta ., 2012, Aug ; 1818 (8):1952-61]. 이러한 메카니즘은 엄격하게 조정되며, 비정상적인 GJIC는 여러 병리학적 장애(pathological disorder)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갭 접합 채널은 코넥신(Cx)라 불리워지는 내재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들로 이루어진다. 서열 유사성을 기초로 하여, 코넥신은 2개의 계통학적 그룹(phylogenetic group), α 및 β로 분류되며, 이러한 것들은 이의 분자량에 따라 명명된다. 6개의 코넥신 단백질의 올리고머화는 코넥손(connexon)으로도 명명되는 헤미채널(hemichannel)을 형성한다. 이러한 코넥손은 단일 타입의 코넥신(호모머(homomeric)) 또는 하나 초과의 타입(헤테로머(heteromeric))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갭 접합은 두 개의 동일한 코넥손이 결합할 때 호모타입(homotypic)이거나, 두 개의 상이한 코넥손이 두 개의 상호작용 세포들 사이에서 결합할 때 헤테로타입(heterotypic)일 수 있다[Dbouk HA et al., " Connexins : a myriad of functions extending beyond assembly of gap junction channels", 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 2009, 7:4]. 대략 20개의 이용 가능한 코넥신의 가능한 조합의 수로 인하여, 상이한 코넥신 타입으로 이루어진 갭 접합은 상이한 성질, 예를 들어, 분자 및 이온에 대한 상이한 투과성(permeability)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포 타입에서 다수의 코넥신 단백질들의 발현은 피부에서 GJIC에 대한 상이한 성질들을 부여할 것이다. 케라틴세포는 이의 분화도에 따라 무려 10개의 상이한 코넥신들을 일시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발현시킨다. 모든 코넥신은 GJIC를 허용하는 양립 가능한 헤미채널을 형성시키지 못한다. 헤테로머 헤미채널을 형성시키는 코넥신의 능력은 동일한 계통학적 서브그룹(phylogenetic subgroup)의 일원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보인다. 코넥신의 양립성(compatibility) 및 비양립성(incompatibility)은 또한, 세포간 소통의 스펙트럼을 증가시키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것이 상이한 분자들에 대한 별개의 소통 구획들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Scott CA and Kelsell DP, "Key functions for gap junctions in skin and hearing", Biochem J., 2011, Sep 1; 438 (2):245-54]. 헤미채널은 미소관을 통해 이동되는 소포(vesicle)를 통해 세포 표면으로 운반되며, 마지막으로, 헤미채널은 원형질 막(plasma membrane)에 융합하여 갭 접합을 형성시킨다[Mese G et al., "Gap Junctions: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J. Investig . Dermatol ., 2007, 127, 2516-2524]. 세포의 GJIC의 수준은 코넥신의 합성, 어셈블리, 및 분해의 모든 수준에서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지만, 또한, 다른 세포 접착 분자, 기밀 접합 성분들 및 세포골격 요소(cytoskeletal element)의 기능에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Dbouk HA et al., " Conneixs : a myriad of functions extending beyond assembly of gap juntion channels", 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 2009, 7:4].
갭 접합-매개 세포간 소통(GJIC)은 세포 분화, 증식, 전기 전달 및 염증을 포함하는 상이한 생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하다[Scott CA, et al., " Connexins in epidermal homeostasis and skin disease", Biochim . Biophys . Acta ., 2012, Aug ; 1818 (8):1952-61]. Cx26 및 Cx30과 같은 몇몇 코넥신의 발현은 상처 치유에 대한 초기 반응 동안 상향조절되며, Cx26은 인간 과증식성 건선 병소(human hyperproliferative psoriatic lesion)에서 상향조절된다. 이에 따라, 코넥신, 및 특히 Cx26 및/또는 Cx30의 상향조절은 피부 염증성 질병의 치료 및/또는 상처 치유를 위한 전략일 수 있다.
세포 소통의 감소는 피부 노화를 야기시키는 메카니들 중 하나로서, 즉 코넥신의 연령-유발 하향 조절은 갭 접합에서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Dumont S et al., "Two new lipoaminoacids " Intl . J. Cosmet . Science, 2010, 32, 9-27]. 잔주름, 주름, 표면 거침, 탄력 손실, 균일하지 않은 피부 톤, 탄력성의 상실(loss of firmness), 또는 건조함와 같은 감소된 세포 소통의 징후(sign)는 피부의 표면 상에서 나타난다. 코넥신의 하향 조절에 의한 피부의 이러한 연령-관련 퇴화는 폐경(menopause)으로 특히 가속화된다. 폐경 후에, 다수의 여성들은 빠른 피부 노화를 격게 되며, 피부는 콜라겐 함량의 감소, 탄력성 감소, 주름형성 증가 및 건조함 증가에 따라 더욱 얇아지게 된다. 폐경후 여성 피부 두께는 콜라겐 함량의 관련된 감소와 함께(폐경후 년 당 2%), 폐경후 년 당 1.13%씩 감소한다. 피부의 콜라겐 함량(타입 I 및 타입 III)은 폐경후 첫 5년에 30% 정도까지 감소할 것으로 사료된다[Thornton MJ, "Estrogens and aging skin", Dermatoendocrinol ., 2013, 5(2):264-70]. 콜라겐은 주로 피부 탄력성 및 탄성을 제공하는 다른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갖는 섬유아세포(섬유아세포)에 의해 분비된다.
이에 따라, 코넥신 단백질 수준의 증가는 세포 소통을 개선시키며, 이는 주름, 불규칙한 피부 색소침착, 탄력성의 손실, 콜라겐, 피부 탄력성(skin firmness), 두께 및 건조함(dryness)과 같은 피부 노화의 징후들을 치료하고 지연시킬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전에 언급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인 박테리아 기원의 발효 추출물 및 세포외 다당류를 발견하였다.
기재된 기술은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분비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사용에 의해 피부 노노화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분비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피부 및/또는 점막의 치료학적 처리에서 이의 사용을 위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및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가 피부 노화를 치료하거나 예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 수준의 증가는 피부의 노화를 치료하거나 예방한다.
정의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 및 표현들의 의미가 포함된다.
"포함하는", "함유하는" 또는 "~을 특징으로 하는"과 유의어인 본원에서 사용되는 과도적 용어 "포함하는"은 총괄적이거나 한도가 없으며,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원에서 "포함하는"의 각각의 언급에서, 상기 용어는 또한 대안적 구체예로서 구 "~로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및 "~으로 이루어지는"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여기서 "~으로 이루어지는"은 언급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고, "~로 본질적으로 포함하는"은 고려 중인 조성물 또는 방법의 필수적이거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단계의 포함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생산하는," "분비하는" 및 "배출하는"은 비슷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피부"는 최상층 또는 각질층에서 최하층 또는 진피(둘 모두를 포함함)의 층들을 포함하는 층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층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케라틴세포, 섬유아세포, 멜라닌세포 및/또는 지방세포와 같은 상이한 타입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단서 "미용적, 비-치료학적"을 수반하지 않을 때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질병 또는 질환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거나 질병 또는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를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또한 질병 또는 질환의 생리학적 결과(physiological consequence)를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가 단서 "미용적, 비-치료적"을 수반할 때, 이러한 것은 통상적으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화장의 품질(cosmetic quality),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의 수화, 탄성, 탄력성, 윤기(shine), 색조(tone) 또는 텍스쳐의 수준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표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에 대한 화합물의 적용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관리(care)"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품질의 유지를 지칭한다. 이러한 품질은 건강한 피검체, 뿐만 아니라, 피부 및/또는 점막의 질병 및/또는 질환을 지닌 피검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궤양 및 피부 상의 병소, 건선, 피부염, 여드름 또는 주사비(rosacea)를 지니는 피검체 둘 모두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관리를 통해 개선되고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질병, 장애, 질환의 출현 또는 발달 또는 이의 출현 전의 변화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노화(aging)"는 나이가 듦에 따라(세월에 따른 노화(chronoaging)), 또는 태양에의 노출을 통해(광노화) 또는 담배 연기, 춥거나 덥거나 바람 부는 극한 기후 조건, 화학적 오염 물질 또는 오염원과 같은 환경 요인에의 노출을 통해 피부가 경험하는 변화를 말하며, 촉감을 통한 외적인 가시적 및/또는 인식가능한 모든 변화,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로, 피부 상의 불연속성의 발생, 예를 들어, 주름, 잔주름, 깊은 주름, 울퉁불퉁함 또는 거침, 모공 크기의 증가, 탄력의 손실, 견고함의 손실, 매끄러움의 손실, 변형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의 손실, 피부의 처짐, 예를 들어, 특히 처진 볼, 눈밑 처진 살의 출현 또는 이중턱의 출현, 피부색의 변화, 예를 들어, 점, 발적, 눈밑 처진 살 또는 과다색소침착된 부위의 출현, 예를 들어, 특히 검버섯 또는 주근깨, 비정상적인 분화, 과다각질화, 탄성섬유증, 각화증, 탈모, 귤껍질 피부, 특히 각질층, 피하조직, 진피, 표피, 혈관계(예를 들어, 거미양 정맥 또는 모세혈관확장증의 출현) 또는 피부에 가까운 조직의 콜라겐 구조의 손실 및 기타 다른 조직학적 변화를 포함한다. 용어 "광노화"는 자외선 방사선에의 피부의 장기간 노출로 인해, 피부의 조기 노화를 가져오는 과정의 세트의 그룹을 함께 형성하며, 이는 노화와 동일한 신체적 특징,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로, 피부늘어짐, 처짐, 색의 변화 또는 색소침착의 얼룩, 비정상적 및/또는 과도한 각질화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치료학적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치료학적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세포외 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치료학적 처리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의 결과인 그러한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치료학적 처리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또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의 결과인 그러한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지칭하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거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은, 예를 들어,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수술 후, 강한 펄스화 광 요법(intense pulsed light therapy)(IPL)을 이용한 치료 후, 단색 펄스화 광 요법(monochromatic pulsed light therapy)(레이저)을 이용한 치료 후, 화학 박피제를 이용한 치료 후 또는 공격적 외부 작용제에 대한 과노출 후의 건선, 민감성 피부,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습진, 주사비, 여드름, 과증식성 피부 질병, 화상, 일광화상, 손톱주위염, 피부 염증, 질 점막의 염증, 구강 점막의 염증, 치은염, 치주염,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 Cx26 및/또는 Cx30의 수준 증가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을 치료하고/거나 예방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 결여 또는 감소의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은 건조증, 각막 비후증, 반응성 각막 비후증, 손바닥 및 발바닥 각막 비후증, 티눈 또는 굳은살, 광선 각화증, 비-광선 각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습진, 지루성 피부염, 유아의 유아지방관, 여드름, 주사비, 반점, 어린선, 건선, 부전각화증, 비강진, 편평태선, 손발바닥 각질피부증, 큐퍼로즈(couperose), 질 건조증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발효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며,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세포외 다당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피부의 치료학적 처리,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피부에서의 코넥신의 수준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서의 코넥신 수준의 증가는 피부 케라틴세포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넥신 양의 증가로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은 코넥신 26, 코넥신 30, 코넥신 30.3, 코넥신 31, 코넥신 31.1, 코넥신 37, 코넥신 43, 코넥신 46, 또는 또한, 코넥신 59로서 명명되는 코넥신 58이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의 치료학적 처리,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 및/또는 관리는 피부에서의 코넥신의 수준을 증가시키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거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는 국소 또는 경피 적용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상기 균주는 1977년 4월 28일의 미생물 기탁의 국제 승인에 대한 부다페스트 협약에 따른 상기 목적을 위한 법적으로 승인된 기관으로서 벨기에 미생물 수집총괄 기구(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 of Microorganisms)(BCCM)/라보라토리움 부어 마이크로바이올로지-박테리에베르자멜링(Laboratorium voor Microbiologie-Bacterieverzameling)(LMG)(BCCM/LMG)(University Ghent, K.L. Ledeganckstraat 35, B-9000 Ghent, Belgium)에 2014년 10월 10일에 수탁되었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박테리아 균주에 의해 배출된 세포외 다당류 또는 발효 추출물 중에 함유된 세포외 다당류는 단당류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및 D-글루코사민을 함유한다. 임의적으로, 세포외 다당류는 또한, 푸코오스 및/또는 글루쿠론산을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0.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람노오스,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갈락토오스,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만노오스, 총 5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및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12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나타내며, 단, 백분율들의 합은 100%를 초과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1 중량% 내지 35 중량%의 람노오스,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갈락토오스, 1 중량% 내지 25 중량%의 만노오스, 총 55 중량% 내지 90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및 0 중량% 내지 5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6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나타내며, 단, 백분율들의 합은 100% 초과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람노오스,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갈락토오스, 1.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만노오스, 총 65 중량% 내지 85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및 0 중량% 내지 3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4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나타내며, 단, 백분율들의 합은 100% 초과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글루코오스:D-글루코사민의 비는 90:1 내지 1:35, 85:1 내지 1:25, 또는 75:1 내지 1:15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박테리아 균주에 의해 배출되는 세포외 다당류는 용리제로서 수중 0.1M 소듐 아세테이트 및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PL AQUAGEL-OH 8 ㎛ AQUEOUS SEC COLUMNS으로의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서, 4분 내지 8.5분, 또는 5분 내지 8분의 체류 시간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배출된 세포외 다당류는 용리제로서 수중 0.1M 소듐 아세테이트 및 유량 0.8 ml/min 및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PL AQUAGEL-OH 8 ㎛ AQUEOUS SEC COLUMNS으로의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서, 4분 내지 8.5분, 또는 5분 내지 8분의 체류 시간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PL AQUAGEL-OH 8 ㎛ AQUEOUS SEC COLUMNS은 중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수용성 중합체에 적용되는 화합물을 이의 MW에 따라 분리시키는 능력을 갖는 패키징을 갖고, 8 ㎛의 입자 크기, 50Å의 포어 크기 및 300 mm×7.5 mm의 길이/내부 직경을 갖는 수성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컬럼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분리 및 정제 이후에 배양 배지에 상기 생성물을 합성하고 분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교반되고 통기되는 적합한 배양 배지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의 발효를 통해 수득된다. 발효는 15℃ 내지 40℃의 온도에서, 통상적으로 32℃에서 교반되고 통기되는 배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배지는 필요한 경우에, 발효 동안에 조정하는, 5.5 내지 9, 통상적으로 대략 7.0의 pH를 갖는다. 발효 시간은 12 내지 120시간, 일 구체예에서, 24 내지 72시간, 다른 구체예에서, 36 내지 48시간이다. 통상적으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의 분리 및 정제의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들,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초음파처리 및 투석에 의해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원심분리 및 여과 단계는 발효 추출물이 발견되는 상청액으로부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를 분리시키 것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청액의 초음파처리 및 투석은 10,000 Da 초과의 분자량의 분자를 보유한 폴리에테르설폰 멤브레인으로 수행되며,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발효 추출물이 수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첨가를 통한 침전에 의해 상청액으로부터 정제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10,000 Da 초과의 분자량의 분자를 보유한 폴리에테르설폰 멤브레인으로의 상청액의 초음파처리 및 투석, 및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첨가를 통한 침전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세포외 다당류를 수득하기 위해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의 발효에서, 외인성 당(exogenous sugar),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아미그달린,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전분, 글리코겐, 락토오스,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이러한 당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추출물을 함유한 배양 배지는 탄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2 내지 40 g/L, 또는 5 내지 25 g/L의 글루코오스의 외인성 공급이 제공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배양 배지는 추가적인 질소 공급원 및 탄소 공급원, 예를 들어,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또는 펩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 중 각 하나의 농도는 0.1 내지 20 g/L, 또는 0.5 내지 10 g/L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의 발효 배양을 위해 미네랄 염이 또한 제공되며, 이러한 것은 이온 Na+, K+, NH4 +, Ca2 +, Mg2 +, PO4 3-, SO4 2-, Cl-, CO3 2-, 또는 미량 원소, 예를 들어, Cu, Mn, Fe 및 Zn을 제공하는 염들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에 포함되는 세포외 다당류는 임의 화학적 개질을 조정하지 않고, 7% 이하의 설페이트, 또는 5% 이하의 설페이트의 천연 설페이트화를 함유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에 포함되는 세포외 다당류는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화학적 개질, 예를 들어, 포스포릴화, 설폰화, 예를 들어, 아세틸, 피루보일, 프로피오닐, 숙시닐, 락토일 또는 3-하이드록시부틸 기로의 아실화, 예를 들어, 글리세릴로의 에스테르화, 세포외 다당류의 금속성 착물의 형성 및/또는 7% 초과의 화학적 설페이트화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을 함유하거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Harry's Cosmeticology ", Seventh edition, (1982), Wilkinson J.B ., Moore R.J ., ed. Longman House, Essex , GB].
투여될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유효량, 뿐만 아니라, 이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상태, 질환의 특성 또는 중증도, 치료되고/거나 관리될 장애 또는 질병,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투여 경로 및 횟수를 포함하는 여러 인자들에 따를 것이다.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유효량"은 요망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비독성적이지만 충분한 양인 것으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는 요망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농도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000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 0.00000001%(중량 기준) 내지 10%(중량 기준), 0.000001%(중량 기준) 내지 5%(중량 기준) 또는 0.0001%(중량 기준) 내지 5%(중량 기준).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는 또한, 화장료 및/또는 피부약제 전달 시스템 및/또는 지속 방출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거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용어 "전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어주번트(adjuvant), 부형제, 비히클 또는 첨가제를 지칭한다. 이러한 화장료 또는 피부약제 담체는 액체, 예를 들어, 물,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 원유, 동물, 식물 또는 합성 기원의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땅콩 오일, 대두유, 미네랄 오일, 세삼 오일, 캐스터 오일,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테르 설페이트, 설페이트, 베타인, 글리코사이드, 말토사이드, 지방 알코올, 노녹시놀, 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로오스, 글리세롤, 디기토닌,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가 투여될 수 있는 상이한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 어주번트 또는 부형제를 인지한다.
용어 "지속 방출(sustained release)"은 소정 시간 동안 이러한 화합물의 점진적 방출, 그리고, 일 구체예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소정 시간에 걸쳐 비교적 일정한 화합물 방출 수준을 제공하는 화합물의 전달 시스템에 관한 통상적인 의미에서 사용된다.
전달 또는 지속 방출 시스템의 예는 비제한적인 의미로, 리포솜, 혼합된 리포솜, 올레오솜, 니오솜, 에토솜, 밀리입자,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및 고체 지질 나노입자, 나노구조화된 지질 지지체, 스폰지(sponge), 시클로덱스트린, 소포(vesicle), 마이셀,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마이셀, 계면활성제-인지질 혼합된 마이셀, 밀리구체, 마이크로구체 및 나노구체, 리포구체, 밀리캡슐, 마이크로캡슐 및 나노캡슐,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며, 이는 발효 추출물의 보다 큰 침투를 달성하고/거나 이의 약동학 및 약물역학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전달 또는 지속 방출 시스템은 리포솜, 계면활성제-인지질 혼합된 마이셀 및 마이크로에멀젼, 및 유중수 마이크로에멀젼이며, 내부 역 마이셀 구조 및 나노캡슐은 마이크로에멀젼을 함유한다.
지속 방출 시스템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 및 예를 들어, 접착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occlusive patch) 및 마이크로전자 패치를 포함하는 국소 또는 경피 투여에 의해, 또는 전신 투여,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비강, 직장 또는 피하 이식 또는 주사, 또는 특정 신체 부분에 직접 이식 또는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지속 방출 시스템은 비교적 일정한 양의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방출할 것이다. 지속 방출 시스템에 함유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이 투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방출 동력학 및 시간, 뿐만 아니라, 치료되고/거나 예방될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특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 조성물은 또한, 고체 유기 폴리머 또는 고체 미네랄 지지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탈크, 벤토나이트, 실리카, 전분 또는 말토덱스트린 상에 흡착될 수 있다.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직물, 부직포 직물 또는 의료 디바이스에 도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 부직포 직물 또는 의료 비다이스에 결합 시스템의 분해에 의해, 또는 이러한 것과 신체 간의 마찰로 인해, 신체 수분, 피부의 pH 또는 체온에 의해서 든지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방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는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의복의 제작에서 사용되는 직물 및 부직포 직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 직물, 부직포 직물 및 의료 디바이스는 피부에서의 코넥신의 수준 증가에 의해 개선되거나 예방되는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상술된 전달 시스템 및/또는 지속 방출 시스템인 것들 중에서, 화합물을 이러한 고정시키기 위한 직물, 부직포 직물, 의복, 의료 디바이스 및 수단의 예는 문헌에서 확인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Schaab C.K . (1986) HAPPI May 1986; Nelson G., "Application of microencapsulation in textiles", (2002), Int . J. Pharm., 242(1-2), 55-62; " Biofunctional Textiles and the Skin" (2006) Curr . Probl. Dermatol . v.33, Hipler U.C . and Elsner P., eds. S. Karger AG, Basel , Switzerland; Malcolm R.K . et al., "Controlled release of a model antibacterial drug from a novel self-lubricating silicone biomaterial" , (2004), J. Cont . Release, 97(2), 313-320]. 일 구체예에서, 직물, 부직포 직물, 의복 및 의료 디바이스는 붕대, 거즈, t-셔츠, 양말, 타이츠, 속옷, 거들, 장갑, 기저귀, 생리대, 드레싱, 침대보(bedspread), 와이프(wipe), 접착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 마이크로전자 패치 및/또는 얼굴 마스크이다.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은 요망되는 투여 형태를 제형화하기 위해 필요한 미용적으로 및/또는 피부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임의적으로 포함하는, 국소 또는 경피 적용의 상이한 타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국소 또는 경피 적용의 조성물은 임의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 제형,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크림, 복합 에멀젼,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수중유 및/또는 수중실리콘 에멀젼, 유중수 및/또는 실리콘중수 에멀젼, 물/오일/물 또는 물/실리콘/물 타입 에멀젼, 및 오일/물/오일 또는 실리콘/물/실리콘 타입 에멀젼, 액정, 무수 조성물, 수성 분산액, 오일, 밀크, 발삼, 포움, 로션, 젤, 크림 젤, 하이드로알코올 용액, 하이드로글리콜 용액, 하이드로겔, 리니먼트, 세라, 비누, 샴푸, 컨디셔너, 세럼, 다당류 필름, 연고, 무스, 포마드, 분말, 막대, 연필 및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스프레이)(리브-온(leave-on) 및 린스-오프(rinse-off) 제형을 포함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또는 경피 적용 제형은 상이한 타입의 고체 액세서리,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붕대, 거즈, t-셔츠, 양물, 타이츠, 속옷, 거들, 장갑, 기저귀, 생리대, 드레싱, 침대보, 와이프, 접착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 마이크로전자 패치 또는 얼굴 마스크로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도입될 수 있거나, 이러한 것은 상이한 메이크-업 제품(make-up product), 예를 들어, 다른 것들 중에서, 메이크-업 파운데이션(make-up foundation), 예를 들어, 유체 파운데이션 및 컴팩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제거 로션, 메이크-업 제거 밀크, 눈밑 컨실러(under-eye concealer), 아이 섀도우(eye shadow), 립스틱, 입술 보호제(lip protector), 입술 광택 및 분말에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제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계면활성제, 오존 (1-도데실아자시클로헵탄-2-온), 알코올, 우레아, 에톡시디글리콜, 아세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보다 큰 침투를 달성하기 위해, 이온도입법, 초음파도입법, 전기천공법, 미세전자 패치(microelectric patch), 기계적 압력, 삼투압 구배, 밀봉 치유, 미량주사 또는 압력에 의한 바늘이 없는 주사, 예를 들어, 산소 압력에 의한 주사,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치료될 국소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 영역은 치료되고/거나 예방될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미용적으로 또는 피부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구성성분들 중에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적인 구성성분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뉴런 세포외 유출을 억제하는 제제, 항콜린제, 근수축을 억제하는 제제, 노화방지제, 주름방지제, 습윤제, 수분을 유지시키는 물질, 알파 하이드록시 산, 베타 하이드록시 산, 모이스처라이저, 피부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거나 이의 분해를 억제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제제, 콜라겐 합성-자극제,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자극제, 라미닌 합성-자극제, 디펜신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cAMP 합성-자극제, AQP-3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합성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패밀리로부터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합성-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자극제, 피브로넥틴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열 충격 단백질, 열 충격 단백질 합성-자극제, 노크투르닌의 양을 감소시키는 제제, 노크투르닌 발현을 억제하는 제제, 지방분해제 또는 지방 분해를 자극시키는 제제, 베노토닉제, PGC-1α 발현을 조절하는 제제, PPARγ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지방세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셀룰라이트 제제, 지방세포 분화를 지연시키는 제제,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지루성 제제, 매트화제, 항-여드름 제제, 발한 억제제, 소염제 및/또는 진통제, 지양제, 진정제, 마취제, 아세틸콜린-수용체 응집의 억제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피부 완화제, 멜라닌 합성 자극 또는 억제 제제, 미백 또는 탈색 제제, 전색소침착제, 자가-태닝제, NO-신타제 억제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리실- 및/또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아제 억제제,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져 및/또는 대기오염에 대한 제제, 반응성 카보닐 종 스캐빈져, 항-당화 제제, 항히스타민제, 항바이러스제, 항기생충제, 에멀젼제, 연화제, 유기 용매, 액체 추진제, 피부 컨디셔너, 표피 가수분해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안료 또는 착색제, 염료, 바이오폴리머, 겔화 폴리머, 증점제, 계면활성제, 연화제, 에멀젼제, 결합제, 보존제, 안구 아래 백을 감소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 박피제, 각질 용해제, 박리제, 항미생물제, 항진균제, 정진균제, 살균제, 세균발육저해제, 각질층의 성분들의 합성을 자극하는 제제,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제제,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예를 들어, 칼리크레인(kallikrein), 백혈구 엘라스타아제(leukocyte elastase) 또는 카텝신 G(cathepsin G), 섬유아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멜라닌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분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항과다각화증 제제, 면포용해제, 항-건선제, DNA 복구제, DNA 보호제, 줄기 세포 보호제, 안정화제, 민감성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제제, 응고제, 항-스트레치 마크 제제, 수렴제, PAR-2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상처 치유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어주번트 상처 치유제, 재상피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어주번트 재상피화제,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모세관 순환 및/또는 미세순환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혈관신생을 자극시키는 제제, 혈관 침투성을 억제하는 제제, 세포 대사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개선시키는 제제, 헤어 성장을 유도하는 제제, 헤어 성장 억제제 또는 지연제, 헤어 상실 지연제, 보존제, 향수, 미용 탈취제 및/또는 체취 흡수제 및/또는 체취 차폐제, 킬레이트제, 식물 추출물, 에센셜 오일, 해양 추출물, 생명공학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제제, 미네랄 염, 세포 추출물, 선스크린 및 자외선 A 및/또는 B 및/또는 적외선 A에 대해 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광보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단, 이러한 것은 조성물 중의 나머지 성분들과 그리고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와 물리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양립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성분들의 특성은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의 잇점들을 허용 가능하지 않게 변경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성분들의 특성은 합성 또는 천연, 예를 들어, 식물 추출물일 수 있거나, 생물공학적 공정으로부터 또는 합성 공정과 생물공학적 공정의 조합으로부터 비롯된다. 추가적인 예는 문헌[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 Handbook, 12th Edition (2008)]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생물공학적 공정은 유기체, 또는 이의 일부에서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일부를 생성시키기 위한 임의 공정인 것으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약학적 조성물은 하기를 함유한다:
- 0.00000000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 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INCI명)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락트산, 우레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습윤제;
- 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INCI명) 디메티콘,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 알코올, 레시틴,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스쿠알렌, 라놀린, 베헤닐 알코올,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판테놀, 부티로스페르뭄 파르키 버터(Butyrospermum Parkii Butter),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놀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연화제 또는 피부 컨디셔닝;
- 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INCI명) 잔탄 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스테아르산,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레스-2, 세테아레스-2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일 구체예에서, 주름방지 및/또는 노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로사 카니나(Rosa canina), 쿠르쿠마 론가(Curcuma longa),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진코 빌로바(Ginkgo biloba), 레온토포듐 알피눔(Leontopodium alpinum) 또는 투날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의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된 추출물, Matrixyl® [INCI: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Matrixyl® 3000® [INCI: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Matrixyl® Synthe'6™ [INCI: 글리세린, 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팔미토일 트리펩티드-38], Essenskin™ [INCI: 칼슘 하이드록시메티오닌], Renovage [INCI: 테프레논], Resistem™ [INCI: 글로불라리아 코르디폴리아 발효물(Globularia Cordifolia Ferment)], Beautifeye [INCI: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껍질 추출물, 다루토사이드], Meiritage [INCI: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뿌리 추출물, 아트락틸로이드 마크로세팔라(Atractyloides Macrocephala) 뿌리 추출물, 시호(Bupleurum Falcatum) 뿌리 추출물], Senestem [INCI: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잎 추출물], Venuceane [INCI: 테르무스 테르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lus) 발효물] 또는 Dermaxyl®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됨), Vialox® [INCI: 펜타펩티드-3], Syn®-Ake® [INCI: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질아미드 디아세테이트], Syn®-Coll [INCI: 팔미토일 트리펩티드-5], 피탈루로네이트 [INCI: 로우커스트 콩(Locust Bean) (세라토니아 실리쿠아(Ceratonia siliqua)) 검], Regu-Scence [INCI: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 줄기 추출물(Asparagus Officinalis Stem Extract), 소듐 벤조에이트, 칼륨 소르베이트, 글루코노락톤, 칼슘 글루코네이트], Syn-TC [INCI: 테트라데실 아미노부티로일발릴아미노부티릭 우레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팔미토일 트리펩티드-5, 팔미토일 디펩티드-5 디아미노부티로일 하이드록시트레오닌] 또는 Preregen® [INCI: 글리신 소야(Glycine soja) (대두(Soybean)) 단백질, 옥시도 환원효소](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됨), Myoxinol™ [INCI: 가수분해된 히비스커스 에스쿨렌투스 추출물(Hibiscus esculentus Extract)], Syniorage™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11], Dermican™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9], Shadownyl [INCI: 조류 추출물,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자탄 검] 또는 DN AGE™ LS [INCI: 카시아 알라타 잎 추출물(Cassia alata leaf Extract)](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됨), Algisum C® [INCI: 메틸실란올 만누로네이트], Exage [INCI: 이미다졸릴에틸 디아미노프로판아미드] 또는 하이드록시프롤리실란 CN® [INCI: 메틸실란올 하이드록시프롤린 아스파르테이트](Exsymol에 의해 시판됨), Argire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8], SNAP-7 [INCI: 아세틸 헵타펩티드-4], SNAP-8 [INCI: 아세틸 옥타펩티드-3],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10], Leuphasyl® [INCI: 펜타펩티드-18], Iny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0], Aldenine® [INCI: 가수분해된 밀단백질, 가수분해된 콩단백질, 트리펩티드-1], Preventhelia® [INCI: 디아미노프로피오닐 트리펩티드-33],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Decorinol® [INCI: 트리펩티드-9 시트룰린], Trylagen®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Pseudoalteromonas) 발효 추출물, 가수분해된 밀단백질, 가수분해된 콩단백질, 트리펩티드-10 Citrulline, 트리펩티드-1], Eyeseryl®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5], Peptide AC29 [INCI: 아세틸 트리펩티드-30 시트룰린], Relistase® [INCI: 아세틸아르기닐트립토필 디페닐글리신], Thermostressine®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2], Lipochroman™ [INCI: 디메틸메톡시 크로마놀], Chromabright® [INCI: 디메틸메톡시 크로마닐 팔미테이트], Antarcticine®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dGlyage™ [INCI: 라이신 HCl, 레시틴, 트리펩티드-9 시트룰린], Vilastene™ [INCI: 라이신 HCl, 레시틴,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Hyadisine™ [INCI: Pseudoalteromonas 발효 추출물], Hyanify™ [INCI: Saccharide Isomerate], Diffupor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7], Silusyne™ [INCI: 대두(글리신 소야)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아세틸 헥사펩티드-39], Adify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Uplevity™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 Juveleven™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51 아미드], SeacodeTM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NocturshapeTM [INCI: 플랑크톤 추출물], ActigymTM [INCI: 플랑크톤 추출물], 또는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Telangyn™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40], Institut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에 의해 시판되는 Kollaren® [INCI: 트리펩티드-1, 덱스트란], Collaxyl® IS [INCI: 헥사펩티드-9], Laminixyl IS™ [INCI: Heptapeptide], Orsirtine™ GL [INCI: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쌀) 추출물], D'Orientine™ IS [INCI: 대추야자(Phoenix dactylifera)(Date) 종자 추출물], Phytoquintescine™ [INCI: 외알밀(Einkorn)(트리티쿰 모노쿠콤(Triticum monococcum)) 추출물], 펩티드 Q10 [INCI: 펜타펩티드-3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Telosense [INCI: 가수분해된 효모 단백질, 가수분해된 콩 단백질] 또는 Vincience/ISP/Ashland에 의해 시판된 Quintescine™ IS [INCI: 디펩티드-4], Infinitec Activos에 의해 시판된 BONT-L-Peptide [INCI: 팔미토일 헥사펩티드-19], Deepaline™ PVB [INCI: 팔미토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또는 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Sepilift® DPHP [INCI: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Gatuline® Expression [INCI: 아크멜라 올레라세아(Acmella oleracea) 추출물], Gatuline® In-Tense [INCI: 사필란테스 아크멜라(Spilanthes acmella) 꽃 추출물] 또는 Gattefosse에 의해 시판되는 Gatuline® Age Defense 2 [INCI: 주글란스 레기나(Juglans regia)(호두) 종자 추출물], Biotechmarine에 의해 시판된 Thalassine™ [INCI: 조류 추출물], ChroNOline™ [INCI: 카프로오일 테트라펩티드-3] 또는 Atrium/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Thymulen-4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 EquiStat [INCI: 피루스 말루스 과일 추출물(Pyrus malus Fruit Extract), 글리신 소자 종자 추출물] 또는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Juvenesce [INCI: 에톡시디글리콜 및 카프릴 트리글리세라이드, 레티놀, 우르솔릭산, 피토나디온, 일로마스타트(Ilomastat)], Ameliox [INCI: 카르노신, 토코페롤,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과일 추출물], Phytocelltec Symphytum [INCI: 이소말트(Isomalt), 심피툼 아피시날레 뿌리 세포 배양물(Symphytum Officinale Root Cell Culture), 레시틴, 소듐 벤조에이트], 눈조류 분말 [INCI: 클라미도캅사(Chlamydocapsa) 추출물, 말토덱스트린, 레시틴], Dermcom [INCI: 아카시아 세네갈 검(Acacia Senegal Gum), 크로쿠스 키르산투스(Crocus Chyrsanthus) 알뿌리 추출물], Anagain [INCI: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Pea), 스프라우트(Sprout) 추출물] 또는 Mibelle Biochemistry에 의해 시판되는 PhytoCellTec Malus Domestica [INCI: 말루스 도메스티카(Malus domestica) 열매 세포 배양물], Bioxilift [INCI: 핌피넬라 아니숨(Pimpinella anisum) 추출물], Vitagenyl [INCI: 프루누스 페르시카(Prunus Persica)(Peach) 잎 추출물] 또는 Silab에 의해 시판된 SMS Anti-Wrinkle® [INCI: 안노나 스쿠아모사(Annona squamosa) 종자 추출물], Symrise에 의해 시판된 Symvital Agerepair [INCI: 진기베르 오피시날(Zingiber Officinale)(징거(Ginger)) 뿌리 추출물], Citrustem [INCI: 잔탄 검, 소듐 벤조에이트, 글루코노락톤, 칼슘 클루코네이트], Melavoid [INCI: 보에르하비아 디푸사(Boerhavia Diffusa) 뿌리 추출물], Darkout [INCI: 히폭시스 루페리 리좀(Hypoxis Rooperi Rhizome) 추출물, 카에살피니아 스피노사 검(Caesalpinia Spinosa Gum)] 또는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Linefill [INCI: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Sesame) 종자 추출물], Adipofill'in [INCI: 오르니틴, 인지질, 글리코지질], Elix-IR [INCI: 폴리고눔 아비쿨라레(Polygonum Aviculare) 추출물] 또는 Lucas Meyer에 의해 시판된 Progeline [INCI: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펩티드-2], Amiperfect [INCI: 가울테리아 프로쿰벤스(Gaultheria Procumbens)(Wintergreen) 잎 추출물] 또는 Alban Muller에 의해 시판된 Repulpami ER [INCI: 아단소니아 디기타라(Adansonia Digitata) 펄프 추출물, 히비스쿠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꽃 추출물], Celloxyl [INCI: 우아파카 보제리(Uapaca Bojeri) 잎 추출물] 또는 Solabia에 의해 시판된 Resistress [INCI: 소포라 제포니카(Sophora Japonica) 꽃 추출물], Actiporine 8G [INCI: 자니아 루벤스(Jania Rubens) 추출물] 또는 Codif에 의해 시판된 EPS Seafill [INCI: 플랑크톤 추출물], Novhyal Biotech G [INCI: 디소듐 아세틸 글루코사민 포스페이트] 또는 Rubixyl [INCI: 헥사펩티드-47](Induchem에 의해 시판됨), Ca2 + 채널의 길항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알베린, 망간 또는 마그네슘 염, 특정 2차 또는 3차 아민,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이데베논 및 이의 유도체, 코엔자임 Q10 및 이의 유도체, 보스웰산(boswellic acid) 및 이의 유도체, GHK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염, 카르노신 및 이의 유도체, DNA 복구 효소,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포토일라아제(photolyase) 또는 T4 엔도누클레아제(endonuclease) V, 또는 클로라이드 채널 작용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퍼밍제 및/또는 재치밀화제(redensifying agent) 및/또는 재구성제(restructuring agent)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말피기아 푸니시톨리아(Malpighia punicitolia),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고시피움 헤르바세움(Gossypium herbaceum), 알로에 바르바덴시스(Aloe Barbadensis), 파니쿰 밀리아세움(Panicum miliaceum),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글리신 소야(Glycine soja),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의 추출물,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Pronalen® Refirming HSC [INCI: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글리신 소이(Glycine Soy),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 알케밀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라파누스 사티부스(Raphanus Sativus)] 또는 Polyplant® Refirming [INCI: 콘플라워(Coneflower), 아시아틱 센텔라(Asiatic Centella), 푸쿠스(Fucus), 페누그리크(Fenugreek)], Atrium Biotechnologies/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Lanablue® [INCI: 소르비톨, 조류 추출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Pepha®-Nutrix [INCI: 천연 영양 인자],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Biopeptide ELTM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Biopeptide CLTM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Vexel® [INCI: 물(아쿠아), 프로필렌 글리콜, 레시틴, 카페인, 팔미토일 카르니틴], Matrixyl® [INCI: 팔미토일 펜타펩티드-3], Matrixyl® 3000 [INCI: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3, 팔미토일 올리고 펩티드] 또는 Bio-BustylTM [INCI: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라넬라(Rahnella) 콩 단백질 발효물, 물(아쿠아),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PEG-8,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되는 Dermosaccharides® HC [INCI: 글리세린, 물(아쿠아),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글리코겐], Aglycal® [INCI: 만니톨,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겐, 아라토스타필로스 우바 우르시(Aratostaphylos Uva Ursi) 잎 추출물], Cytokinol® LS [INCI: 가수분해된 카세인, 가수분해된 효모 단백질, 리신 HCl] 또는 Firmiderm® LS9120 [INCI: 테르미날리아 카타파(Terminalia Catappa) 잎 추출물, 삼부쿠스 네그라(Sambucus Negra) 꽃 추출물, PVP, 탄닌산], Silab에 의해 시판되는 Liftline® [INCI: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Raffermine® [INCI: 가수분해된 대두 분말] 또는 Ridulisse C®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10], DecorinylTM [INCI: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Trylagen®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트리펩티드-1], Silusyne™ [INCI: 대두(글리신 소야(Glycine Soja))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아세틸 헥사펩티드-39] 또는 Adifyline™[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Ursolisome® [INCI: 레시틴, 우르솔산, 아텔로콜라겐, 잔탄 검,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Collalift® [INCI: 가수분해된 맥아 추출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Syn®-Coll [INCI: 팔미토일 트리펩티드-5], Atrium Biotechnologies/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Hydriame® [INCI: 물(아쿠아),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스클레로티움 검(Sclerotium Gum)] 또는 Institut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IP2000 [INCI: 덱스트란,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펩티드-2]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피부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시키는 제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콜라겐 합성-자극제,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자극제, 라미닌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활성화제, 아쿠아포린 합성-조절제, 섬유결합소 합성-자극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탄력소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칼리크레인, 백혈구 엘라스타제 또는 카텝신 G와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섬유모세포 증식을 자극하는 제제, 및 DNA 복구 제제 및/또는 DNA 보호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로,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ivisiae), 솔라눔 투베로숨(Solanum tuberosum), 로스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백시니움 안구스티폴리움(Vaccinium angustifolium)의 추출물, 조류 마크로시스티스 피리페라(Macrocystis pyrifera), 파디나 파보니카(Padina pavonica)의 추출물, 콩, 맥아, 아마, 세이지, 붉은토끼풀, 칵콘(kakkon), 백색 루우핀 식물의 추출물, 헤이즐넛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비치 슈트(beech shoot) 추출물, 콩과 씨앗(leguminous seed) 추출물, 식물 호르몬 추출물, 예를 들어, 특히 지베렐린(gibberellin), 옥신 또는 사이토키닌, 또는 동물플랑크톤 살리나(zooplankton Salina)의 추출물,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한 유제의 발효 생성물,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신남산 및 이의 유도체,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Matrixyl® [INCI: 팔미토일 펜타펩티드-3], Matrixyl® 3000 [INCI: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3,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또는 바이오펩티드 CLTM [INCI: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Antarcticine®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10], Lipeptide [INCI: 가수분해된(Hydrolized) 식물성 단백질], Aldenine® [INCI: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트리펩티드-1], Relistase™ [INCI: 아세틸아르기닐트립토필 디페닐글리신], Thermostressine™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2], Peptide AC29 [INCI: 아세틸 트리펩티드-30 시트룰린], Diffupor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7], Silusyne™ [INCI: 대두 (글리신 소야)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아세틸 헥사펩티드-39] 또는 Adifyline™[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Lipotec/Lubrizol에 의해 판매됨), Alban Muller에 의해 시판되는 Drieline® PF [INCI: 효모 베타글루칸], Solabia에 의해 시판되는 Phytovityl C® [INCI: Aqua, 옥수수(Zea Mays) 추출물],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Collalift® [INCI: 가수분해된 맥아 추출물], Vincience/ISP/Ashland에 의해 시판되는 Phytocohesine PSP™ [INCI: 소듐 베타-시토스테롤 설페이트], 광물, 예를 들어, 특히 칼슘, 레티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이소플라보노이드, 카로테노이드, 특히 리코펜, 슈도디펩티드, 레티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특히 레티놀 또는 레티닐 팔미테이트, 또는 특히 헤파리노이드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처 치유를 자극시키는 제제, 코어주번트 상처 치유제, 재상피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및/또는 코어주번트 재상피화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아리스톨로퀴아 클레마티스(Aristoloquia clemati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로사 모스카타(Rosa moschata), 에키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chinacea angustifolia), 심피툼 오피시날레(Symphytum officinale), 에퀴세툼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히페르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미모사 테누이플로라(Mimosa tenuiflora), 페르세아 그라티시마(Persea gratisima), 프루누스 아프리카눔(Prunus africanum), 토르멘틸라 에레크테아(Tormentilla erectea), 알로에 베라(Aloe vera)의 추출물들,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Polyplant® 상피화(Epithelizing) [INCI: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히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로스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Laboratories Serobiologiques/Cognis에 의해 시판되는 Cytokinol® LS 9028 [INCI: 가수분해된 카제인, 가수분해된 효모 단백질, 라이신 HCl], 또는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Deliner® [INCI: 제아 메이(Zea May)(옥수수) 코넬 추출물], 알란토인, 카드헤린, 인테그린, 셀렉틴, 히알루론산 수용체, 면역글로불린,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결합 조직 성장 인자,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표피 성장 인자,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케라틴세포 성장 인자, 콜로니-자극 인자, 형질전환 성징 인자 베타, 종양 괴사 인자-알파, 인터페론, 인터루킨, 기질 메탈로프로테아나아제, 수용체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Antarcticine®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 10 시트룰린], Trylagen®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수분해된 콩 단백질, 트리펩티드 10 시트룰린, 트리펩티드 1], Bodyfensine™ [INCI: 아세틸 디펩티드-3 아미노헥사노에이트], DelisensTM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49] 또는 Diffupor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7](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됨)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용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의 용도를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용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용도를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또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는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또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지칭하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거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건선, 민감성 피부,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습진, 주사비, 여드름, 과증식성 피부 질병, 화상, 일광화상, 손톱주위염, 수술 후, 강한 펄스화 광 요법으로의 치료 후, 단색 펄스화 광 요법(레이저)을 이용한 치료 후, 화학 박피제를 이용한 치료 후 또는 공격적 외부 작용제 대한 과노출 후의 피부 염증, 질 점막의 염증, 구강 점막의 염증, 치은염, 치주염,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 Cx26 및/또는 Cx30 수준의 증가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을 치료하고/거나 예방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의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은 건조증, 각막 비후증, 반응성 각막 비후증, 손바닥 및 발바닥 각막 비후증, 티눈 또는 굳은살, 광선 각화증, 비-광선 각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습진, 지루성 피부염, 유아의 유아지방관, 여드름, 주사비, 반점, 어린선, 건선, 부전각화증, 비강진, 편평태선, 손발바닥 각질피부증, 큐퍼로즈, 질 건조증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을 증가시키는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의 용도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서 쿠넥신 수준의 증가는 피부 케라틴세포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넥신의 양의 증가로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은 코넥신 26, 코넥신 30, 코넥신 30.3, 코넥신 31, 코넥신 31.1, 코넥신 37, 코넥신 43, 코넥신 46, 또는 코넥신 59로서도 명명되는 코넥신 58이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며,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는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을 증가시킨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을 증가시키는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용도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의 증가는 피부 케라틴세포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넥신 양의 증가로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코넥신은 코넥신 26, 코넥신 30, 코넥신 30.3, 코넥신 31, 코넥신 31.1, 코넥신 37, 코넥신 43, 코넥신 46, 또는 코넥신 59로서도 명명되는 코넥신 58이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는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 방법을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미용적 또는 피부약제학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투여를 포함하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의 방법을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의 방법은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또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의 방법을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관리 방법은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성 피부, 거친 입술, 비듬, 건성 헤어, 부서지기 쉬운 헤어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재-상피화 및/또는 상처 치유, 피부 및/또는 점막의 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또는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의 방법을 언급하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거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및/또는 네일의 수화의 부족 또는 감소 결과인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은 건조증, 각막 비후증, 반응성 각막 비후증, 손바닥 및 발바닥 각막 비후증, 티눈 또는 굳은살, 광선 각화증, 비-광선 각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습진, 지루성 피부염, 유아의 유아지방관, 여드름, 주사비, 반점, 어린선, 건선, 부전각화증, 비강진, 편평태선, 손발바닥 각질피부증, 큐퍼로즈, 질 건조증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장료적 또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의 증가 방법을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발효 추출물은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장료적 또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투여를 포함하는 피부에서 코넥신 수준의 증가 방법을 언급한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적어도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이다.
다른 양태에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는 포유동물 신체, 통상적으로, 인간 신체에 작용 부위와 접촉을 야기시키는 임의 수단에 의해 그리고, 이를 함유한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의 투여는 국소적으로 또는 경피적으로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국소 또는 경피 적용은 이온도입법, 초음파도입법, 전기천공법, 기계적 압력, 삼투압 구배, 밀봉 치유(occlusive cure), 미량주사, 압력에 의한 바늘-부재 주사에 의함, 미세전기 패치에 의함, 안면 마스크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적용 또는 투여 횟수는 각 피검체의 필요에 따라 넓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1달에 1회 내지 하루에 10회, 1주에 1회 내지 하루에 4회, 1주에 3회 내지 하루에 3회, 또는 하루에 1회의 적용 또는 투여 범위를 시사한다.
생물학적 물질의 기탁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는 부다페스트 조약(Budapest Treaty)의 조건 하에서 벨기에 미생물 수집총괄 기구(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 of Microorganisms)(BCCM)/라보라토리움 부어 마이크로바이올로지-박테리에베르자멜링(Laboratorium voor Microbiologie-Bacterieverzameling)(LMG)(BCCM/LMG)(University Ghent, K.L. Ledeganckstraat 35, B-9000 Ghent, Belgium)에 기탁되었다. 기탁은 2014년 10월 10일에 이루어졌으며, 수탁 번호는 LMG P-28571이었다.
실시예
상기에 특별히 나열되었거나 아니건 간에 우선권이 주장되는 임의의 종래 출원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문헌 각각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임의의 문헌의 언급은 상기 문헌이 종래 기술로서 자격이 있거나, 임의의 권한으로 당업자의 일반 지식을 구성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또는 달리 명백히 표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물질의 양, 반응 조건, 분자량, 탄소 원자의 수 등을 명기하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모든 수치적 양은 근사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즉, 표시된 값에 비해 ± 5%, ± 3%, ± 1%, ± 0.1%, 또는 ± 0.01%의 변동성에 적용된다. 본원에 기술된 상한치 및 하한치, 범위, 및 비율 한계가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본원에 기술된 기술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범위 및 양은 임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범위 또는 양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되는 세포외 다당류 획득.
A)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의 배양 공정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를 발효기에서, 32℃ 및 7.0의 pH에서, 물, 탄소 공급원으로서 10 g/L의 글루코오스, 탄소 및 질소의 공급원으로서 3 g/L의 효모 추출물 및 3 g/L의 맥아 추출물 및 5 g/L의 완두콩 펩톤, 및 9.8 g/L NaCl, 1.7 g/L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육수화물, 2.5 g/L 마그네슘 설페이트 칠수화물, 0.25 g/L 칼륨 클로라이드, 0.05 g/L 칼슘 클로라이드 이수화물, 0.05 g/L 소듐 비카보네이트, 소듐 브로마이드 및 철 클로라이드 트레스 염을 함유한 염 용액을 함유한 배양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이를 지수 성장 상태의 예비-배양물로부터 0.2 흡광 단위의 520 nm 흡광도로 접종시키고, 발효 기간을 대략 40시간의 배양까지 연장시켰다. 배양물에 충분한 공기 공급을 공급하고, 300 내지 60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였다.
B) 수탁 번호 LMG P-28571로 기탁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의 세포 외 다당류의 정제.
박테리아를 1시간 동안 18,000 g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외 다당류를 함유하는 실시예 1a)에 기술된 얻어진 발효 브로쓰로부터 분리하였다. 박테리아의 제거를 0.20 ㎛의 최종 기공 크기에서의 여과에 의해 완료하였다. 후속하여, 여과된 브로쓰를 10,000 Da 컷 멤브레인으로 투석하고, 세포외 다당류가 멤브레인에 의해 잔류하였다. 정제의 종결을 투석된 세포외 다당류의 동결-건조에 의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배출된 세포외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징분석.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규명을 위해,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세포외 다당류의 단당류 함량에 대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적외선 분광법(IR) 분석(굴절 지수 검출기)을 수행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 및 적외선 분광법(IR) 분석
HPLC-IR 크로마토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세포외 다당류를 2 mg/mL로 물에 희석시키고, 이를 0.22 ㎛ 폴리에테르설폰 필터로 여과시켜 이로부터 샘플을 제조하였다. LC20A SHIMADZU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상으로의 샘플의 100 ㎕ 주입을 이용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PL AQUAGEL-OH 8 ㎛ AQUEOUS SEC COLUMNS이었고, 검출기는 RID-10A Refractive Index Detector(Shimadzu)였다. 사용된 용매는 물 중 0.1 M 소듐 아세테이트였고, 유량은 0.8 ml/분이었다. PL AQUAGEL-OH 8 ㎛ AQUEOUS SEC COLUMNS은 중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수용성 중합체에 적용되는 화합물을 이의 MW에 따라 분리시키는 능력을 갖는 패키징을 갖고, 8 ㎛의 입자 크기, 50 Å의 기공 크기 및 300 mm x 7.5 mm의 길이/내부 직경을 갖는 수성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컬럼이다.
분석 결과는 5 내지 8분의 체류 시간을 나타내었다.
단당류의 분석
고체로부터 단당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문헌[Montreuil et al. in, Glycoproteins . In Carbohydrat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1986, Eds Chaplin et Kennedy, I.R.L Press, Oxford, Washington D.C ., 143- 204]에 의해 이후에 변형된 문헌[Kamerling et al., Biochem . J., 1975 151, 491- 495]에 기재된 방법을 후속시켰다. 가수분해된 단당류의 유도체화를 문헌[Rojas Escudero et al., J. Chromatogr. A., 2004, 1027:117- 120]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ZEBRON ZB-1701(Phenomenex) 컬럼, 250℃의 주입기 온도, 280℃의 검출기 온도, 및 160℃ 내지 250℃의 오븐 온도 램프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세포외 다당류의 분석은 75%의 글루코오스, 13%의 만노오스, 2%의 람노오스, 2%의 D-글루코사민, 및 7%의 갈락토오스, 및 1%의 푸코오스이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 다당류의 배양 및 제조의 2회 반복에서,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백분율은 52%의 글루코오스, 10%의 만노오스, 12%의 람노오스, 20%의 D-글루코사민, 6%의 갈락토오스, 1%의 푸코오스, 및 1%의 글루쿠론산이었다.
실시예 3: 스크레이프 (scrape)-로딩 염료 전달에 의한 인간 케라틴세포 HaCaT 세포주에서 갭 접합 세포간 소통의 증가 연구
세포의 갭 접합 세포간 소통(GJIC)을 약간 변형된 문헌[el-Fouly MH, et al., ["Scrape-loading and dye transfer. A rapid and simple technique to study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Exp . Cell Res., 1987 Feb ; 168(2):422-30]에 기술된 스크레이프-로딩 염료 전달(SLDT) 기술에 의해 평가하였다. GJIC에 대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과를 인간 케라틴세포 HaCaT 세포주에서 연구하였다.
HaCat 세포(DKFZ)를 24-웰 플레이트에서 1.0×105개의 세포/웰로 시딩하고,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에서 배양 배지(DMEM, 고 글루코오스, GlutaMAX™ 보충물, 10% 우태아혈청이 보충됨)(Gibco®)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에,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 배지 중 0.5 mg/ml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에서 배양 배지(DMEM, 고 글루코오스, GlutaMAX™ 보충물, 10% 우태아혈청이 보충됨)(Gibco®)(기초 조건(basal condition)으로서)에서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를 조건 당 2개의 웰로 수행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의 종료 시에, 세포를 포스페이트-완충 염수(PBS)로 2회 세정하였다. PBS를 제거하고, 400 ㎕의 PBS 함유 루스퍼 옐로우(Lucifer Yellow; LY)(Life Technologies)(0.5 mg/ml), 갭 접합 투과성 트레이서, 및 갭 접합 비-투과성 화합물 로다민 덱스트란(RhD)(Life Technologies)(0.5 mg/ml)을 웰에 첨가하였다. 메스(scalpel)를 사용하여 세포 단일층을 가로질러 하나의 스크레이프 라인(scrape line)을 형성시켰다. 세포를 어두운 곳,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염료 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후에, 세포를 PBS로 4회 세정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4%(w/v)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켰다. 형광 염료가 특정 기간 동안 스크레이프 라인으로부터 확산하는 거리는 배양물 내의 GJIC 수준의 지표이다. 갭 접합 염료 전달을 10배 대물렌즈를 이용한 형광 현미경(Zeiss)으로 관찰하였다. 루시퍼 옐로우 염료 이동 거리를 스크레이프에서의 세포층에서 시각적으로 검출 가능한 염료 프론트(dye front)의 에지(edge)까지 측정하였다. 듀플리케이트(duplicate)에서의 4개의 독립적 검정(조건 당 2개의 웰)을 수행하였다. 획득된 사진을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Zen lite 2012 (blue edition), Zei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은 4개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1
SLDT 검정에서,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는 기초 조건(배지)에 대해 형광 염료가 확산하는 거리의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HaCat 세포에서 GJIC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 인간 갭 접합 RT2 PCR 어레이를 이용한 성인으로부터의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에서의 RNA 발현의 조절 연구
RT-PCR은 mRNA 발현 수준의 검출을 위한 민감한 방법으로서, 이는 특정 갭 접합의 발현 활성화 화합물의 확인을 위한 유용한 툴일 수 있다. 잠재적인 및 비-세포독성의 후보물질을 성인으로부터의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HEKa) (Cascade Biologics) 중 SYBR® Green (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을 이용하여 갭 접합(GJ) 발현의 활성화 및 RNA 발현의 조절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키트는 84개의 중요 유전자 엔코딩 성분들, 상호작용자(interactor), 및 갭 접합의 조절제, 및 3개의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및 5개의 대조군(control)의 발현 프로파일을 연구한다. 갭 접합 성분들 및 조절제의 발현 프로파일은 갭 접합-매개 세포 생물학에 대한 분자 메카니즘의 보다 나은 이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기초 수준의 HEKa 중 미처리된 세포(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0.5 mg/ml에서의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에 의해 유도된 RNA 프로파일의 특정 패턴을 분석하였다.
HEKa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5.0×105개의 세포/웰로 시딩하고, 37℃ 및 5% CO2에서 24시간 동안 "Epilife with defined Growth Supplement"(EDGR)(Gibco)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5 mg/ml의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기초 대조군으로서, 두 개의 HEKa 세포의 웰을 오직 배지(Epilife with defined Growth Supplement(EDGR)(Gibco))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하고 24시간 후에, 세포를 웰에서 직접적으로 용해시키고, RNA를 각 복제물(replica)로부터 추출하고 정제하고, 각각을 Qiagen에 의한 RNeasyPlus Mini 키트를 이용하여 컨디셔닝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하고, RNase를 비활성화시켰다. 게놈 DNA를 gDNA 제거기 스핀 컬럼에 의해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수(ultrapure water)로 용리시켰다. RNA 용리 후에,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biophotometer)(Eppendorf)로 수행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7.5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로 역전사하였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에서 SYBRgreen 수퍼믹스(supermix)(BioRad)를 이용하여 실시한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 다당류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2
표 3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3
표 4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4
표 5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5
표 6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6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 다당류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이러한 것이 코넥신의 합성, 헤미채널(hemichannel)에서 멤브레인 및 어셈블리로의 전달, 갭 접합의 전환(turnover) 및 조절과 같은, HEKa에서의 상이한 수준에서 세포 소통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표피-피부 세포-세포 소통에 대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과
노화는 세포들 간의 소통 과정을 격감시킨다. 섬유아세포와 케라틴세포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는 피부의 재생, 복원 및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고, 성장 인자 및 시토카인과 같은 다수의 메신저(messenger)의 활성을 수반한다. 케라틴세포는 성장 인자의 1차 소스(primary source)로서, 이는 케라틴세포 자신 뿐만 아니라 파라크린 신호전달을 통해 섬유아세포를 자극시킬 수 있고, 세포외 기질(ECM)의 분자 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Werner S, Krieg T, Smola H. Keratinocyte -fibroblast interactions in wound healing. J Invest Dermatol . 2007 May;127(5) :998-1008]. 이러한 연구에서, 54세 공여자(donor)로부터의 케라틴세포-섬유아세포 소통에 대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과를 평가하였고, 보다 젊은(39세) 공여자로부터의 케라틴세포-섬유아세포 소통과 비교하였다.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섬유아세포를 후보물질 세포외 다당류로 먼저 처리된 케라틴세포의 상청액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39세 공여자 및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섬유아세포 중 기질 단백질의 발현을 정량적 PCR에 의해 분석하였다.
39세 공여자 및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 (HEK) 세포(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EDGS(Gibco)가 보충된 Epilife에서 3 내지 5×103개의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키고, 39세 공여자 및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7일 동안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LSGS가 보충된 106 배지 중에서 7 내지 8×103개의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이후에, HEK를 분할시키고, 이후에,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39세 공여자 및 54세 공여자로부터의 HEK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6×105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54세 공여자로부터의 HEK 세포를 새로운 배양 배지 중에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초 대조군으로서, 54세 공여자로부터의 3개의 HEK 세포 웰을 오로지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초 양성 대조군으로서, 39세 공여자로부터의 3개의 HEK 세포 웰을 오로지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조건은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이었다. 모든 처리를 배양 조건 세트 당 3개의 웰에서 수행하였다. HDF 세포를 25-cm2 플라스크에서 1.7 내지 2.4×106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HDF 세포를 케라틴세포 배양물의 상청액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HDF를 제조업체 프로토콜에 따라 RNeasy Mini 키트(Qiagen)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웰에서 직접적으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하고, RNase를 비활성화시켰다. 게놈 DNA를 gDNA 제거기 스핀 컬럼에 의해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수로 용리시켰다.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biophotometer)(Eppendorf)로 수행하였다. 3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 Hercules, CA, USA)로 역전사하였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에서 SYBRgreen 수퍼믹스(BioRad)를 이용하여 실시한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54세 공여자 HDF 기초 대조군(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수치는 5회 독립적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표 7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7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세포외 기질의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상향조절하고 보다 나이든 공여자로부터의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외 기질의 분해에 관련된 유전자를 하향조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면역조직화학 검정을 이용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 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로의 처리에 의한 재구조화된 인간 표피에 대한 코넥신 단백질 발현 수준의 유도
갭 접합(GJ)은 코넥신(Cx)이라 불리워지는 내재 막 단백질에 의해 형성된 채널이다. 표피 구획에서, GJ와 관련된 하나의 노화-유발 변경은 Cx 하향-조절이다. 인간 케라틴세포에서 코넥신 단백질, Cx37, Cx30.3, Cx30 및 Cx59의 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인시튜 인간 표피의 조직학적 조직(histological organization)을 시험관내에 재생산하는, 3차원 배양 시스템, 재구성화된 인간 표피 조직(RHE)을 사용한다.
SkinEthic 인간 조직 모델(EPISKIN)을 도달 직후에 다중웰 플레이트에서 아가로오스-영양소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각 웰이 SkinEthic 성장 배지(EPISKIN)로 미리 채워진 6-웰 플레이트에 배치시켰다.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후에, RHE를 37℃ 및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 및 단지 배지(기초 조건)로 처리하였다. 24시간의 처리 후에, 조직 모델을 4℃에서 3시간 동안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Sigma)에서 고정시키고, 포스페이트-완충된 염수(PBS)(Sigma)로 4회 세척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실온에서 3시간의 인큐베이션과 함께, 0.6M 내지 2.3M의 수크로오스 구배로 처리하였다. 마지막 인큐베이션 후에, 조직 모델을 Tissue Teck OCT 화합물(Aname)에 엠베딩하였다. 약 10 ㎛ 두께의 냉동된 조직 섹션을 크리오미크로톰(cryomicrotome)(Leica, CM3050)을 이용하여 절단하고, 코팅된 슬라이드 상에 수집하고, 마지막으로, -20℃에서 저장하였다.
특정 코넥신의 발현을 특정 1차 항체 및 형광적으로 표지된 2차 항체와 함께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평가하였다. 해동된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냉동된 아세톤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이후에, PBS로 세정하였다. 비-특이적 부위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10% 일반 염소 혈청으로 포화시켰다. PBS 중 0.2% Tween으로의 세정 후에, 슬라이드를 습윤화된 챔버에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1차 항체(항-코넥신 37/GJA4, 30.3/GJB4, 59/GJA10 (Abcam), (토끼 항-코넥신 30(Invitrogen)(PBS 중 10% 염소 혈청 중에 희석됨)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의 종료 시에, 슬라이드를 PBS 중 0.2% Tween으로 세척하고, 어두운 습윤화된 챔버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Alexa Fluor® 488 염소 항-토끼 IgG(H+L) 2차 항체(Invitrogen, 녹색 형광 방출 염료)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의 세정 후에, 섹션들을 Dapi를 갖는 prolong Gold 안티페이드 시약(antifade reagent)(Invitrogen)에 마운팅하였다.
현미경 분석 관찰을 Zeiss 형광 현미경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의 사진을 관련된 카메라로 획득하였다. 코넥신의 각 형광 이미지로부터, ID(Integrated Density)의 수치를 정량화하고, 대조군에 의해 일반화하였다. 각 조건으로부터의 적어도 4개의 예시적인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Imagen J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평균은 1 또는 2회의 독립적 실험의 데이타를 나타낸다.
기초 조건(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8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시험된 농도에서 재구성된 인간 표피로부터의 케라틴 세포에서 코넥신 단백질의 발현의 유의미한 증가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로의 처리에 의한 시험관내 폐경 모델에서 코넥신 발현의 수준의 복원
피부 노화는 외재적 인자 뿐만 아니라 내재적 인자, 이러한 것들 중에서, 내분비샘 기능의 감소 및 순환하는 호르몬의 수준 감소에 의해 형성된다. 폐경은 저에스트로겐증(hypoestrogenism)을 야기시키는데, 이는 피부의 나이-관련 퇴화를 촉진시킨다. 폐경 후에, 여러 여성들은 피부 노화의 신속한 개시(swift commencement)를 검출하며, 콜라겐 함량의 감소, 탄성의 감소, 주름형성 증가 및 건조함의 증가와 함께 피부는 더욱 얇아진다. 폐경후 여성에서, 콜라겐 함량의 관련된 감소와 함께(폐경후 연수 당 2%) 피부 두께는 폐경후 연수에 따라 1.13% 감소하였다. 갭-접합 세포간 소통(GJIC)은 세포 성장, 분화, 항상성 및 형태발생(morphogenesis)의 유지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GJIC는 성장 인자, 종양 유전자, Ca2+, pH 및 호르몬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호르몬은 GJIC를 통한 세포간 소통의 조절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갭 접합 세포간 소통의 감소와 호르몬 피부 노화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폐경 여성의 호르몬 수준으로 처리함으로써 케라틴세포에서 폐경의 시험관내 모델을 개발하였다. 비-폐경 여성의 호르몬 수준으로 처리된 케라틴세포를 기초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폐경 케라틴세포에서 코넥신의 수준을 복원하는데,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율을 RT-qPCR 어레이 시스템에 의해 평가하였다.
19세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 HEK 세포(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7일 동안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10% EDGS(Gibco)가 보충된 Epilife 중에서 3 내지 5×103개의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이후에, HEK를 분할시키고, 이후에,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HEK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0.1% EDGS가 보충된 Epilife 중에서 6 내지 7×105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이후에, 폐경 조건을 자극시키기 위하여, 케라틴세포를 폐경 호르몬 농도 및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 및 단지 폐경 호르몬 농도를 갖는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두 개의 이러한 세포의 웰을 기초 대조군으로서 비-폐경 호르몬 농도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조건은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이다. 모든 처리를 배양 조건 세트 당 두 개의 웰에서 수행하였다.
비-폐경 및 폐경의 조건에서 호르몬의 농도는 표 9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112017049594249-pct00009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세포를 제조업체 프로토콜에 따라 RNeasy Mini 키트(Qiagen)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웰에서 직접적으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하고, RNase를 비활성화시켰다. 게놈 DNA를 gDNA 제거기 스핀 컬럼을 이용하여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수로 용리시켰다.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biophotometer)(Eppendorf)로 수행하였다. 3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로 역전사하였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에서 SYBRgreen 수퍼믹스(BioRad)를 이용하여 실시한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비-폐경 조건 HEK 세포(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값은 5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표 10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0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폐경 케라틴세포에서의 코넥신의 수준을 복원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처리로 보다 나이든 케라틴세포에서의 코넥신 발현 수준의 복원
노화는 이의 소통 네트워크의 일부를 잃은 피부 내에 축적된 손상의 결과이다. 표피 구획에서, 하나의 노화-유발 변경은 갭 접합, 즉, 이온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이웃하는 세포들 간의 막관통 채널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이의 성분들, 코넥신(Cx)의 발현은 노화 동안 하향-조절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RT-qPCR 어레이 시스템에 의해 보다 젊은 케라틴 세포와 비교하여 보다 나이든 케라틴세포에서의 코넥신 발현을 평가함으로써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항노화 효율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 HEK 세포(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7일 동안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EDGS(Gibco)가 보충된 Epilife 중에서 2 내지 4×105개의 세포/플라스크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이후에, HEK를 분할시키고, 이후에,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39세 공여자 및 54세 공여자로부터의 HEK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 배지 중에서 6×105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케라틴세포를 새로운 배양 배지 중에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초 대조군으로서, 2개의 이러한 세포 웰을 새로운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초 양성 대조군으로서, 39세 공여자로부터의 2개의 케라틴세포 웰을 새로운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조건은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이었다. 모든 처리를 배양 조건 세트 당 2개의 웰에서 수행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HDF를 제조업체 프로토콜에 따라 RNeasy Mini 키트(Qiagen)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웰에서 직접적으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하고, RNase를 비활성화시켰다. 게놈 DNA를 gDNA 제거기 스핀 컬럼에 의해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수로 용리시켰다.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biophotometer)(Eppendorf)로 수행하였다. 3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 Hercules, CA, USA)로 역전사하였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에서 SYBRgreen 수퍼믹스(BioRad)를 이용하여 실시한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54세 공여자 HEK 기초 대조군(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수치는 4회 독립적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1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1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54세 공여자로부터의 케라틴세포의 코넥신 발현을 보다 젊은 피부 세포에서 발견된 것으로 복원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9: 면역조직화학 검정을 이용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 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로의 처리에 의한 재구성된 인간 표피 조직에서의 시험관내 폐경 모델에서 코넥신 단백질 발현 수준의 복원
피부 노화는 외재적 인자 뿐만 아니라 내재적 인자, 이러한 것들 중에서, 내분비샘 기능의 감소 및 순환하는 호르몬의 수준 감소에 의해 형성된다. 폐경은 저에스트로겐증을 야기시키는데, 이는 피부의 나이-관련 퇴화를 촉진시킨다. 폐경 후에, 여러 여성들은 피부 노화의 신속한 개시를 검출하며, 콜라겐 함량의 감소, 탄성의 감소, 주름형성 증가 및 건조함의 증가와 함께 피부는 더욱 얇아진다. 폐경후 여성에서, 콜라겐 함량의 관련된 감소와 함께(폐경후 연수 당 2%) 피부 두께는 폐경후 연수에 따라 1.13% 감소하였다. 갭-접합 세포간 소통(GJIC)은 세포 성장, 분화, 항상성 및 형태발생의 유지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GJIC는 성장 인자, 종양 유전자, Ca2 +, pH 및 호르몬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호르몬은 GJIC를 통한 세포간 소통의 조절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갭 접합 세포간 소통의 감소와 호르몬 피부 노화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폐경 여성의 호르몬 수준으로 처리된 재구성된 인간 상피 조직(RHE)에서 폐경의 시험관내 모델을 개발하였다. 비교로서, 폐경 여성의 호르몬 수준으로 처리된 재구성된 인간 상피 조직(RHE)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코넥신 단백질, Cx59 및 Cx37의 수준을 복원하는데,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율을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평가하였다.
SkinEthic 인간 조직 모델(EPISKIN)을 도달 직후에 다중웰 플레이트에서의 아가로오스-영양소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각 웰에 미리 SkinEthic Growth Medium(EPISKIN)가 채워진 6-웰 플레이트에 배치시켰다.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이후에, 폐경 조건을 자극하기 위하여, RHE를 폐경 호르몬 농도로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그리고 폐경 호르몬 농도를 갖는 오로지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RHE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폐경 호르몬 농도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조건은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이다. RHE 샘플을 Tissue Teck OCT 화합물(Aname)에 엠베딩하였다. 모든 처리를 배양 조건 세트 당 두 개의 RHE 샘플에서 이루어졌다.
비-폐경 및 폐경 조건에 대한 호르몬의 농도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2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2
24시간의 처리 후에, 조직 모델을 4℃에서 3시간 동안 4% 파라포름-알데히드(Sigma)에서 고정시키고, 포스페이트-완충 염수(PBS)(Sigma)로 4회 세척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실온에서 3시간의 인큐베이션과 함께 0.6M에서 2.3M까지의 수크로오스 구배로 처리하였다. 마지막 인큐베이션 후에, 조직 모델을 Tissue Teck OCT 화합물에 엠베딩하였다. 약 10 ㎛ 두께의 냉동 조직 섹션을 크리오미크로톰(cryomicrotome)(Leica, CM3050)을 이용하여 절단하고, 코팅된 슬라이드 상에 수집하고, 마지막으로, -20℃에서 저장하였다.
특정 코넥신의 발현을 특정 1차 항체 및 형광 표지된 2차 항체와 함께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평가하였다. 해동된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냉동된 아세톤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이후에, PBS로 세정하였다. 비-특이적 부위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10% 일반 염소 혈청으로 포화시켰다. PBS 중 0.2% Tween으로의 세정 후에, 슬라이드를 습윤화된 챔버에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1차 항체(항-코넥신 37/GJA4, 30.3/GJB4, 59/GJA10 (Abcam), (토끼 항-코넥신 30(Invitrogen)(PBS 중 10% 염소 혈청 중에 희석됨)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의 종료 시에, 슬라이드를 PBS 중 0.2% Tween으로 세척하고, 어두운 습윤화된 챔버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Alexa Fluor® 488 염소 항-토끼 IgG(H+L) 2차 항체(Invitrogen, 녹색 형광 방출 염료)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의 세정 후에, 섹션들을 Dapi를 갖는 prolong Gold 안티페이드 시약(antifade reagent)(Invitrogen)에 마운팅하였다.
현미경 분석 관찰을 Zeiss 형광 현미경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의 사진을 관련된 카메라로 획득하였다. 코넥신의 각 형광 이미지로부터, ID(Integrated Density는 면적과 평균 그레이 값의 곱임)의 수치를 정량화하고, 대조군에 의해 일반화하였다. 각 조건으로부터의 적어도 12개의 예시적인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ZEN 소프트웨어(Zeiss)로 분석하였다. 평균은 3회의 독립적 실험의 데이타를 나타낸다.
폐경 조건 하에서 기초 대조 RHE(100%)에 대해 얻어진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3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폐경 RHE에서의 코넥신의 수준을 비-폐경 조건으로 복원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폐경 모델에서 표피-피부 세포-세포 소통에 대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과
노화는 세포들 간의 소통 과정을 격감시킨다. 섬유아세포와 케라틴세포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는 피부의 재생, 복원 및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고, 성장 인자 및 시토카인과 같은 다수의 메신저(messenger)의 활성을 수반한다. 케라틴세포는 성장 인자의 1차 소스(primary source)로서, 이는 케라틴세포 자신 뿐만 아니라 파라크린 신호전달을 통해 섬유아세포를 자극시킬 수 있고, 세포외 기질(ECM)의 분자 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Werner S, Krieg T, Smola H. Keratinocyte-fibroblast interactions in wound healing. J Invest Dermatol. 2007 May;127(5):998-1008]. 이러한 연구에서, 먼저 본 발명자는 호르몬 경감이 세포외 기질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케라틴세포와 섬유아세포 간의 파라크린 소통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폐경 케라틴세포-섬유아세포 소통 간에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효과를 평가하였고, 비-폐경 케라틴세포-섬유아세포 소통과 비교하였다. 폐경 케라틴세포로부터의 상청액으로 그리고 비-폐경 케라틴세포로부터의 상청액으로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의 기질 단백질의 발현을 정량적 PCR에 의해 분석하였다.
19세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HEKa) 세포(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EDGS(Gibco)가 보충된 Epilife에서 3 내지 5×103개의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키고, 18세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Cell Applications)를 75-cm2 플라스크에서 7일 동안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LSGS가 보충된 106 배지 중에서 7 내지 8×103개의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이후에, HEKa를 분할시키고, 이후에,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HEKa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0.1% EDGS가 보충된 Epilife 중에 8.5×105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이후에, 폐경 조건을 자극시키기 위하여, 케라틴세포를 폐셩 호르몬과 함께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0.02 mg/ml의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그리고 단지 기초 대조군으로서 폐경 호르몬을 갖는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세 개의 이러한 세포 웰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폐경 호르몬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조건은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이다. 모든 처리를 배양 조건 세트 당 3개의 웰에서 수행하였다. HDFa 세포를 25-cm2 플라스크에서 1.5×106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습윤화된 공기 중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HDFa 세포를 케라틴세포 배양물의 상청액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비-폐경 및 폐경 조건에 대한 호르몬의 농도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4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HDFa를 제조업체 프로토콜에 따라 RNeasy Mini 키트(Qiagen)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웰에서 직접적으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하고, RNase를 비활성화시켰다. 게놈 DNA를 gDNA 제거기 스핀 컬럼에 의해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에, 샘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수로 용리시켰다.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로 수행하였다. 1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로 역전사하였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갭 접합 사전설계된 96-웰 패널에서 SYBRgreen 수퍼믹스(BioRad)를 이용하여 실시한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폐경 케라틴세포로부터의 상청액으로 처리된 HDFa의 기초 대조군(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수치는 1회 실험의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표 15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5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세포외 기질의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상향조절하고 폐경 케라틴세포로부터의 상청액으로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외 기질(MMP13)의 분해에 관련된 유전자를 하향조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1: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1차 인간 피하 지방전구세포 에서 지질의 축적 증가의 연구
하나의 나이-관련 피부 변화는 피하 지방의 감소이다. 갭 접합 세포간 소통(GJIC)은 지방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지방전구세포는 지방 물질에서 지방세포가 된다.
지방형성의 정량화를 AdipoRed™ 지방형성 검정 시약(Lonza)으로 평가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배지에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로의 처리 후 1차 인간 1차 인간 피하 지방전구세포에서 나일 레드(Nile Red)의 형광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지질 축적 증가를 결정하였다. 지방 분화 배지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를 기초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인간 지방전구세포(22세 공여자)(ZENBIO)를 96 클리어 웰 플레이트에서 지방전구세포 성장 배지(ZENBIO) 중에 시딩하였다(13,000개의 세포/웰, 조건 당 5개의 웰). 세포를 95% 공기 및 5% CO2의 물-포화된 대기 중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8일 동안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 배지(ZENBIO) 중 0.02 mg/ml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수탁 번호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기초 대조군에서, 지방전구세포를 단지 지방세포 분화 배지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 분화 배지 및 카페인으로 처리하였다.
지질 축적의 정량화를 AdipoRedTM 시약(LONZA) 검정에 의해 수행하였다.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각 조건에 대한 분화된 지방전구세포를 칼슘 및 마그네슘(Sigma)를 갖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PBS)로 세척하고, 희석된 AdipoRed 시약을 첨가하였다. 시약 첨가를 완료 시에, 세포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에, 중성 지질의 형광을 각각 485 nm 및 530 nm의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을 갖는 ClarioStar (S/N 430-01109) 판독기(BM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초 대조군과 비교하여 일반화된 지질 축적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기초 조건(100%)에 대해 획득된 결과는 표 16에 나타내었다. 수치는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6
Figure 112017049594249-pct00016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외 다당류가 인간 피하 지방전구세포 배양물 중 지방형성 과정 동안 세포내 지질 축적의 백분율을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특정의 예시적인 구체예 및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을 위해 나타낸 것이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오로지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서 제한될 것이다.
벨기에 미생물 수집 총괄 기구(BCCM) & 라보라토리움 부어 마이크로바이올로지-박테리에베르자멜링(LMG) LMGP-28571 20141010

Claims (15)

  1. 피부(skin), 점막(mucous membrane), 헤어(hair) 및/또는 네일(nail)의 미용적, 비-치료적 처치 및/또는 관리를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Halomonas eurihalina)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ferment extract)을 포함하며,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이 하나 이상의 세포외 다당류(exopolysaccharide)를 함유하며,
    세포외 다당류가 0.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람노오스,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갈락토오스,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만노오스, 총 5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12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가지며, 단, 이러한 백분율들의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가 수탁 번호(deposit number)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처치 및/또는 관리가 콜라겐 합성의 자극의 처리,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주름의 치료 및/또는 예방, 피부 탄력성(skin firmness)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 및/또는 피부 탄력성의 손실의 예방, 건조한 피부(dry skin), 거친 입술(chapped lips), 비듬, 건조한 헤어(dry hair), 부서지기 쉬운 헤어(brittle hair) 및/또는 네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처치 및/또는 관리가 피부에서 코넥신(connexin)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발효 추출물이 10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5.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비-치료적 처치 및/또는 관리를 위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며,
    세포외 다당류가 0.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람노오스,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갈락토오스,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만노오스, 총 5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12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가지며, 단, 이러한 백분율들의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가 수탁 번호(deposit number)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체류 시간이 8 ㎛의 입자 크기, 50Å의 기공 크기 및 300 mm×7.5 mm의 길이/내부 직경 및 0.8 ml/min의 유량을 갖는 용리액으로서 수중 0.1 M 소듐 아세테이트와 함께, 수성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aqueou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를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의 HPLC 분석에서 4분 내지 8.5분인 조성물.
  7. 미용적 유효량의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에 의해 생산된 적어도 하나의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발효 추출물 또는 세포외 다당류, 및 하나 이상의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성분을 포함하며,
    세포외 다당류가 0.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람노오스,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갈락토오스,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만노오스, 총 5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글루코오스 및 D-글루코사민,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푸코오스 및 0 중량% 내지 12 중량%의 글루쿠론산의 조성을 가지며, 단, 이러한 백분율들의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가 수탁 번호(deposit number) LMG P-28571을 갖는 할로모나스 유리할리나 종의 균주인, 미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8. 제7항에 있어서, 발효 추출물이 미용 전달 시스템 및/또는 지속 방출 시스템에 도입되거나, 고체 유기 폴리머 또는 고체 미네랄 지지체 상에 흡착되는 미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크림, 복합 에멀젼(multiple emulsion), 용액, 액정, 무수 조성물, 수성 분산액, 오일, 밀크(milk), 발삼(balsam), 포움(foam), 로션, 젤, 크림 젤, 하이드로알코올 용액, 하이드로글리콜 용액, 하이드로겔, 리니먼트(liniment), 세라(sera), 비누, 샴푸, 컨디셔너(conditioner), 세럼(serum), 다당류 필름, 연고, 무스, 포마드, 분말, 막대(bar), 펜슬(pencil), 스프레이(spray) 또는 에어로졸(aerosol)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뮬레이션(formulation)에 존재하는 미용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직물, 부직포 직물 또는 의료 디바이스(medical device)에 도입된 미용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구성성분이 뉴런 세포외 유출을 억제하는 제제, 항콜린제, 근수축을 억제하는 제제, 노화방지제, 주름방지제, 습윤제, 수분을 유지시키는 물질, 알파 하이드록시 산, 베타 하이드록시 산, 모이스처라이저(moisturizer), 피부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거나 이의 분해를 억제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제제, 콜라겐 합성-자극제,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자극제, 라미닌 합성-자극제, 디펜신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cAMP 합성-자극제, AQP-3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합성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패밀리로부터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합성-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자극제, 피브로넥틴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열 충격 단백질, 열 충격 단백질 합성-자극제, 노크투르닌의 양을 감소시키는 제제, 노크투르닌 발현을 억제하는 제제, 지방분해제 또는 지방 분해를 자극시키는 제제, 베노토닉제(venotonic agent), PGC-1α 발현을 조절하는 제제, PPARγ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지방세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셀룰라이트 제제, 지방세포 분화를 지연시키는 제제,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지루성 제제, 매트화제(mattifying agent), 항-여드름 제제, 발한 억제제, 소염제 및/또는 진통제, 지양제(anti-itching agent), 진정제, 마취제, 아세틸콜린-수용체 응집의 억제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피부 완화제, 멜라닌 합성 자극 또는 억제 제제, 미백 또는 탈색 제제, 전색소침착제, 자가-태닝제, NO-신타제 억제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리실- 및/또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아제 억제제,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져 및/또는 대기오염에 대한 제제, 반응성 카보닐 종 스캐빈져, 항-당화 제제, 항히스타민제, 항바이러스제, 항기생충제, 에멀젼제, 연화제, 유기 용매, 액체 추진제, 피부 컨디셔너, 표피 가수분해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안료 또는 착색제, 염료, 바이오폴리머, 겔화 폴리머,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연제, 결합제, 보존제, 안구 아래 백을 감소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 박피제, 각질 용해제, 박리제(desquamating agent), 항미생물제, 항진균제, 정진균제, 살균제, 세균발육저해제, 각질층의 성분들의 합성을 자극하는 제제,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제제,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멜라닌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분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항과다각화증 제제, 면포용해제(comedolytic agent), 항-건선제, DNA 복구제, DNA 보호제, 줄기 세포 보호제, 안정화제, 민감성 피부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제제, 응고제(firming agent), 항-스트레치 마크 제제, 수렴제, PAR-2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상처 치유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어주번트 상처 치유제, 재상피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어주번트 재상피화제,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모세관 순환 및/또는 미세순환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혈관신생을 자극시키는 제제, 혈관 침투성을 억제하는 제제, 세포 대사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개선시키는 제제, 헤어 성장을 유도하는 제제, 헤어 성장 억제제 또는 지연제, 헤어 상실 지연제, 향수, 미용 탈취제 및/또는 체취 흡수제 및/또는 체취 차폐제, 킬레이트제, 식물 추출물, 에센셜 오일, 해양 추출물, 생명공학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제제, 미네랄 염, 세포 추출물, 선스크린(sunscreen) 및 자외선 A 및/또는 B 및/또는 적외선 A에 대해 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광보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14128A 2014-10-28 2015-10-28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10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82422.5 2014-10-28
EP14382422 2014-10-28
PCT/IB2015/058316 WO2016067218A1 (en) 2014-10-28 2015-10-28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alomonas ferment extract,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605A KR20170068605A (ko) 2017-06-19
KR102610786B1 true KR102610786B1 (ko) 2023-12-05

Family

ID=5184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128A KR102610786B1 (ko) 2014-10-28 2015-10-28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13501B2 (ko)
EP (1) EP3212291B1 (ko)
JP (1) JP6755863B2 (ko)
KR (1) KR102610786B1 (ko)
CN (1) CN107106480B (ko)
AU (1) AU2015338684B2 (ko)
BR (1) BR112017008726B1 (ko)
ES (1) ES2691928T3 (ko)
WO (1) WO2016067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5927A1 (en) * 2016-09-19 2018-03-21 Institut Univ. de Ciència i Tecnologia, S.A. Uses of an exopolysaccharide-protein complex obtained from a bacterium
EP3295926A1 (en) * 2016-09-19 2018-03-21 Institut Univ. de Ciència i Tecnologia, S.A. Exopolysaccharide-protein complex, a method of preparing said complex and uses thereof
KR102311724B1 (ko) * 2017-09-15 2021-10-13 (주)아모레퍼시픽 슈도알터로모나스 펩티도라이티카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7951823A (zh) * 2017-12-06 2018-04-24 懿奈(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控油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US10854614B2 (en) 2017-12-22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674731A (zh) * 2019-02-14 2019-04-26 厦门汇聚优品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含有鱼子精华的抗衰老组合物及其应用
CA3137279A1 (en) * 2019-06-24 2020-12-30 Mendes S.R.L. Composition with antibacterial and re-epithelializing action including probiotics
CN111172178A (zh) * 2020-02-12 2020-05-19 天津科技大学 一种链球菌新型选择性标记和应用
CN116867504A (zh) * 2020-09-24 2023-10-10 安佳榜控股股份公司 育毛剂
CN112741789A (zh) * 2020-12-24 2021-05-04 广州尚品生物科技有限公司 抗衰老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CN112877317B (zh) * 2021-01-26 2022-02-08 肽源(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嗜热栖热菌光裂合酶及其提取方法与应用
CN113403247B (zh) * 2021-05-14 2023-02-14 南宁汉和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多粘芽孢杆菌高产胞外多糖培养基及其应用方法
CN113234599B (zh) * 2021-05-27 2022-09-30 青岛琅琊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杜氏盐藻培养基及其制备方法和培养方法
CN113786362B (zh) * 2021-09-26 2023-07-07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平衡护肤功效的化妆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997645A (zh) * 2021-12-14 2023-11-03 株式会社Lg生活健康 新型菌株及其用途
CN114588070A (zh) * 2022-03-03 2022-06-07 深圳亿汀生物有限公司 一种动态调节皮肤水油平衡实现快速舒缓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748387B (zh) * 2022-04-25 2024-05-14 荣成市慧海创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润肤乳液
CN115074267B (zh) * 2022-05-13 2023-05-26 农业农村部环境保护科研监测所 一种具有硫氧化功能的盐单胞菌及应用
CN115054544B (zh) * 2022-05-24 2024-03-22 广东馨柯生命科学有限公司 一种富含酵母发酵液Supferm PO的抗敏舒缓底妆配方及其制备方法
CN115252649B (zh) * 2022-09-28 2023-02-17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嗜热菌发酵产物在防脱发和/或生发中的用途、组合物及其制剂
KR102552134B1 (ko) * 2023-02-20 2023-07-06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CN117717589B (zh) * 2024-02-07 2024-04-23 四川锐雅博思科技有限公司 芦荟发酵物及含其的皮肤免疫微环境调节剂、制法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240A (ja) * 2007-07-03 2009-01-22 Chisso Corp 多糖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5249B1 (en) * 2008-04-15 2018-08-29 Lucas Meyer Cosmetics Canada Inc.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and use thereof
ES2390033B1 (es) * 2010-11-30 2013-10-31 Lipotec S.A. Exopolisacárido para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mucosas, cabello y/o uñas.
ES2424294B1 (es) * 2012-03-22 2014-07-21 Lipotec, S.A. Exopolisacárido para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mucosas, cabello y/o uñas
US9670395B2 (en) * 2013-04-22 2017-06-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reatment of a subterranean formation with composition including a microorganism or compound generated by the same
EP2868308A1 (en) * 2013-10-30 2015-05-06 Lipotec, S.A. Ex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skin, culture media and composi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240A (ja) * 2007-07-03 2009-01-22 Chisso Corp 多糖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thechnology 61 (1998), pp. 135-14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6480A (zh) 2017-08-29
KR20170068605A (ko) 2017-06-19
US20170224602A1 (en) 2017-08-10
EP3212291B1 (en) 2018-08-22
AU2015338684B2 (en) 2020-08-20
JP2018501193A (ja) 2018-01-18
WO2016067218A1 (en) 2016-05-06
CN107106480B (zh) 2020-05-26
BR112017008726A2 (pt) 2018-01-30
JP6755863B2 (ja) 2020-09-16
EP3212291A1 (en) 2017-09-06
ES2691928T3 (es) 2018-11-29
US10413501B2 (en) 2019-09-17
BR112017008726B1 (pt) 2021-06-29
AU2015338684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786B1 (ko)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48943B1 (ko) 슈도알테로모나스 앤타륵티카로부터의 박테리아 세포외 생성물을 함유하는 미용적 및/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3062759B1 (en)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culture media and compositions thereof
EP2646115B1 (en)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mucous membranes, hair and/or nails
EP2827837B1 (en)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mucous membranes and/or nails
AU2014343701A1 (en)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culture media and compositions thereof
EP2976060B1 (en)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mucous membranes and/or na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