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134B1 -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134B1
KR102552134B1 KR1020230021942A KR20230021942A KR102552134B1 KR 102552134 B1 KR102552134 B1 KR 102552134B1 KR 1020230021942 A KR1020230021942 A KR 1020230021942A KR 20230021942 A KR20230021942 A KR 20230021942A KR 102552134 B1 KR102552134 B1 KR 10255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amine group
hexose
tensi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병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3002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HAI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HAI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에 있어서 건강과 미를 가꾸는 일은 자기 자신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타인에게 자신을 과시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생활이 여유롭게 되면서 사람들은 건강해지고 아름다워지는 일에 많은 노력과 시간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문화수준이 향상되면서 얼굴 화장 못지않게 두발이나 신체 전반의 미용도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용에 대한 높은 관심은 파마, 헤어 드라이기, 모발 염색, 매니큐어 코팅 등 과다한 모발 미용 시술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리적, 화학적 손상 등과 같은 역효과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모발은 18종의 아미노산 중에서 시스테인을 14 내지 18% 함유하는 케라틴 단백질이다. 이들 케라틴 단백질은 물 또는 중성 용매와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는 매우 강한 단백질의 일종이지만,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빗질, 드라이의 열, 염색, 퍼머 등과 같은 모발에 대한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해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잦은 퍼머, 염색 등 물리적, 화학적 또는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모발이 손상됨으로써 모발 내부의 단백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 되어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어 부드러움과 유연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마찰력이 증가하여 모발 손질이 어려워지며, 모발이 쉽게 잘리는 등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와 더불어 모발이 가늘어지고 탄력을 잃어 생기 없고 쳐지거나 볼륨감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정시 혹은 세정 후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 또는 강화시키기 위한 모발용 조성물에 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쿼터늄 또는 가수분해 단백질 등의 고분자 폴리머를 사용하는 종래의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의 외부 코팅에는 효과적이나 모발 외부에 누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손상된 모발 내부로 들어가 내부 결합을 강화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물리적, 화학적 또는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손상된 모발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는 손상 모발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757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3986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이 증진된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실험예 1의 인장 강도 측정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탄력 측정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볼륨 측정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은 글루코사민(glucosamine), 아세틸글루코사민(acetylglucosamine) 및 메틸글루카민(methylgluc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의 분자량은 400 달톤(Dalto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의 분자량의 상한값은 400, 350, 300, 또는 250 달톤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의 분자량이 400 달톤을 초과하면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모발의 인장 강도 향상은 모발이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및 볼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및 볼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발용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모발의 부드러움을 저해하여 엉킴을 유발하는 등의 모발 컨디셔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변색 및 변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모발용 조성물은 용제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성분 이외에 오일, 점증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보습제, 향 보존제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차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들은 통상의 모발용 조성물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물질들로서 해당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 후 씻어내지 않는 리브-온(leave-on)형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리브-온형의 제형인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에 침투한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가 잔류하여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도포 후 씻어내는 워시-오프(wash-off)형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워시-오프 형의 제형인 모발용 조성물은 도포 및 세척을 반복 시행하는 경우 모발에 침투하여 잔류하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가 누적 증가하여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또는 볼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크림, 헤어로션, 두피팩, 헤어토닉, 헤어 미스트,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앰플, 헤어세럼, 헤어무스, 헤어왁스, 헤어스프레이, 스타일링젤 또는 두피 트리트먼트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한 후 이를 세정하거나, 세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면,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에 의하여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및 볼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의 인장 강도, 탄력 및 볼륨이 모두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모발용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모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글루코사민 0.1 - - - -
아세틸글루코사민 - 0.1 - - -
메틸글루카민 - - 0.1 - -
프럭토스 - - - 0.1 -
글루코스 - - - - 0.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베헨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2 2 2 2 2
세테아릴알코올 4 4 4 4 4
기타 첨가제 <10 <10 <10 <10 <10
실시예 4 내지 8. 모발용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모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글루코사민 0.05 0.3 0.5 1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베헨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2 2 2 2 2
세테아릴알코올 4 4 4 4 4
기타 첨가제 <10 <10 <10 <10 <10
실험예 1. 모발의 인장 강도 측정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3 g, 피닉스코리아사 제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모발 트레스를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모발용 조성물을 각각 1 g 도포하여 5분간 방치하였다. 방치한 모발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군 뒤 12시간 이상 자연 건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처리한 각각의 모발 트레스에서 30개의 모발 가닥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모발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상기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를 비교예 3으로 하여 30개의 모발 가닥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상기 선정된 각 모발들의 인장 강도를 MTT175(DiaStron사 제조)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인장 강도 측정 결과이며, 이는 육탄당의 종류에 따른 모발용 조성물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1의 결과에서,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인 글루코사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메틸글루카민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인장 강도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는 육탄당을 사용한 것이다. 즉,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아 모발의 인장 강도 향상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특히, 프럭토스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모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결과 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비교예 3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부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의 인장 강도 향상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인장 강도가 향상함에 따라 모발이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는 실시예 1, 4 내지 8 및 비교예 3의 인장 강도 측정 결과이며, 이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인 글루코사민의 함량에 따른 모발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2의 결과에서, 글루코사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 강도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글루코사민의 함량이 0.5 중량%를 초과하면 인장 강도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모발의 인장 강도 향상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해야 하며, 1.5 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보다 우수한 인장 강도 효과는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모발의 탄력 측정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3 g, 피닉스코리아사 제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모발 트레스를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내지 비교예 1 내지 2의 모발용 조성물을 각각 1 g 도포하여 5분간 방치하였다. 방치한 모발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군 뒤 12시간 이상 자연 건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도포한 각각의 모발 트레스 20개, 모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상기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를 비교예 3으로 하여 20개의 모발 트레스를 선정하였다. 상기 선정된 각 모발들의 탄력을 MTT175(DiaStron사 제조)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인 글루코사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메틸글루카민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 보다 탄력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는 육탄당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는 모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부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의 탄력 향상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발의 볼륨 측정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3 g, 피닉스코리아사 제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모발 트레스를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내지 비교예 1 내지 2의 모발용 조성물을 각각 1 g 도포하여 5분간 방치하였다. 방치한 모발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군 뒤 12시간 이상 자연 건조하였다. 또한, 모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상기 탈색모의 모발 트레스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이후 상기 각각의 모발 트레스를 사진 촬영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Threshold로 변환하였고 흑백 영역으로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후, 이미지 전체 면적 대비 모발 트레스가 차지하는 면적 값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에서,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인 글루코사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메틸글루카민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 보다 볼륨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는 육탄당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는 모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결과 보다는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3 정도의 결과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이로부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은 모발의 볼륨 향상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은 글루코사민, 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메틸글루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모발의 인장 강도 및 탄력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은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모발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모발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육탄당의 분자량은 400 달톤 이하인 모발용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 후 씻어내지 않는 리브-온(leave-on)형의 제형인 모발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 후 씻어내는 워시-오프(wash-off)형의 제형인 모발용 조성물.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방법.
KR1020230021942A 2023-02-20 2023-02-20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KR10255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942A KR102552134B1 (ko) 2023-02-20 2023-02-20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942A KR102552134B1 (ko) 2023-02-20 2023-02-20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134B1 true KR102552134B1 (ko) 2023-07-06

Family

ID=8718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942A KR102552134B1 (ko) 2023-02-20 2023-02-20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13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187A (ja) * 2003-01-31 2006-10-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哺乳類のケラチン組織の外観を改善する手段
KR20170068605A (ko) * 2014-10-28 2017-06-19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533905A (ja) * 2014-11-13 2017-11-16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成形組成物
JP2017537878A (ja) * 2014-11-13 2017-12-21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ボリュームを改善する方法
KR20180053986A (ko)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20002524A1 (en) * 2018-06-29 2020-01-02 L'oreal Process for shaping the hair comprising a step of apply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sugar or sugar derivative, a hair-shaping step and a long leave-on time
WO2020157271A2 (en) * 2019-01-31 2020-08-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tive agents for combating hair loss, thickening polymers, nonionic surfactants and propellants,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KR102375767B1 (ko) 2021-10-18 2022-03-18 주식회사 제이에스엔랩 큐티클층, 모발 부드러움, 모발 윤기 및 모발 볼륨 개선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187A (ja) * 2003-01-31 2006-10-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哺乳類のケラチン組織の外観を改善する手段
KR20170068605A (ko) * 2014-10-28 2017-06-19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할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533905A (ja) * 2014-11-13 2017-11-16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成形組成物
JP2017537878A (ja) * 2014-11-13 2017-12-21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ボリュームを改善する方法
KR20180053986A (ko)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20002524A1 (en) * 2018-06-29 2020-01-02 L'oreal Process for shaping the hair comprising a step of apply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sugar or sugar derivative, a hair-shaping step and a long leave-on time
WO2020157271A2 (en) * 2019-01-31 2020-08-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tive agents for combating hair loss, thickening polymers, nonionic surfactants and propellants,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KR102375767B1 (ko) 2021-10-18 2022-03-18 주식회사 제이에스엔랩 큐티클층, 모발 부드러움, 모발 윤기 및 모발 볼륨 개선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1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EP2608766B1 (en) Process and kit for treating hair
JPH06287110A (ja) 毛髪化粧料
KR101952430B1 (ko) 헤어 펌제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7213819B2 (ja) 化学組成物
KR20190120692A (ko) 컨디셔닝, 색상 보호 및 스타일링 중합체를 포함하는 케라틴 기재용 개인 관리 조성물
JPS6019725B2 (ja) 皮膚化粧料
US6156295A (en) Heat-safe hair prepa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EP3542863A1 (de) Haaröl und seine verwendung
KR102552134B1 (ko) 모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방법
KR20100029567A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 아미노산 결합성 물질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손상 모발 회복 조성물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2043243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1390000B1 (en) Use of betaine in hair care
JP5788372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JPH0469319A (ja) 毛髪処理剤
KR102611523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20190038396A (ko)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BR102018017266A2 (pt)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cabelos, produto acabado compreendendo a mesma, usos da referida composição e processo para o tratamento dos cabelos
KR102152614B1 (ko) 반투명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102622105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394533B1 (ko)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110072109A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6056785A (ja) 髪手入れ剤と肌手入れ剤
KR102611524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