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68B1 -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68B1
KR102610568B1 KR1020217024298A KR20217024298A KR102610568B1 KR 102610568 B1 KR102610568 B1 KR 102610568B1 KR 1020217024298 A KR1020217024298 A KR 1020217024298A KR 20217024298 A KR20217024298 A KR 20217024298A KR 102610568 B1 KR102610568 B1 KR 10261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rewing cavity
pipe
outlet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470A (ko
Inventor
린빈 조우
쓔에빈 왕
o에빈 왕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콘와이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콘와이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콘와이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Abstract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각각 장착되는 브루잉 캐비티(6), 물공급 장치, 가열장치(18), 입수관(15), 출수관(10),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제어장치, 구동장치, 분류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입수관(15)에 의해 가열장치(18)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입수관(15)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18)에 물공급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출수는 각각 가열장치(8)와 분류구조와 연통되고, 상기 분류구조는 제1 분기통로(110)와 출수 스위치가 구비된 제2 분기통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관(10)은 제1 분기통로(110)에 의해 물공급 장치와 연통되어 물공급 장치, 입수관(15), 가열장치(18), 출수관(10), 제1 분기통로(11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단방향 밸브장치(231) 또는 물펌프(23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커피 머신은 예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방법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기존의 커피 머신은 사용자가 물(통상적으로 수돗물)을 추가한 후, 물을 가열하여 커피를 탈 수 있다. 이러한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커피 머신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커피를 타기 전에 기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가열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커피를 타는 데에 일정한 편리를 가져다준다.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커피 머신은 통상적으로 가열장치를 구비하고, 물공급 유닛은 가열장치에 물을 공급하여 가열하고, 가열장치는 출수관에 의해 가열된 물을 커피 머신의 브루잉 유닛에 수송한다. 그러나, 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커피 머신은 흠결이 존재하는데, 유압의 원인으로 인하여, 물이 가열장치에 진입한 후 일부분 물을 출수관으로 유입시켜, 가열장치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비록 가열 중의 물은 가열될 수 있지만, 출수관에 진입한 냉수는 가열되지 않았다. 이는 가열장치 중의 물이 설정온도로 가열되어 출수관에 의해 브루잉 유닛으로 열수를 수송할 때, 우선 브루잉 유닛에 진입하는 것은 원래 출수관 쪽에 있던 냉수인데, 이는 커피를 타는 효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밖에, 가열장치 중의 열수가 출수관에 진입할 때 출수관 내의 일부분 냉수와 혼합되는데, 이때 출수관 중의 수온은 이로 인해 여전히 가열장치 중의 열수의 수온보다 낮은 바, 이 부분 온도가 비교적 낮은 물이 브루잉 유닛에 진입하는 것도 커피를 타는 효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기존의 커피 머신은 브루잉 유닛에 공급되는 물이 항온되는 것을 확보할 수 없거나, 또는 브루잉 유닛에 공급되는 물이 일정한 온도 범위 내(이를테면 80℃ 내지 100℃ 사이)에 있도록 확보할 수 없어, 커피를 타는 효과를 파괴하게 된다.
이밖에, 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기존의 커피 머신은 가열 기능과 콜드 브루 기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없어, 사용하기 불편하다. 기존의 콜드 브루 커피를 만드는 도구를 사용하여 맛이 좋은 콜드 브루 커피를 만드는데는 12-48시간이 수요될 수 있어, 시간 소비가 아주 높다. 따라서 추출 시간을 어떻게 축소할 지, 커피가루 중의 물질이 빠르게, 충분하게 물에 용해되어, 고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콜드 브루 커피를 만드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된다.
선행기술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예열 기능을 구비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기술 중에 존재하는 흠결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각각 장착되는 브루잉 캐비티, 물공급 장치, 가열장치, 입수관,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제어장치, 구동장치, 분류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 장치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입수관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에 물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 일단은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 타단은 상기 분류구조와 연통되며, 상기 분류구조는 제1 분기통로와 제2 분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은 제1 분기통로에 의해 물공급 장치와 연통되어 물공급 장치, 입수관, 가열장치, 출수관, 제1 분기통로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단방향 밸브장치가 구비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한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물펌프가 구비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한정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장치는 가열장치에 유입된 물을 예열 또는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분기통로에는 출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 스위치는 상기 제2 분기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온될 때, 상기 출수관은 제2 분기통로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오프될 때, 상기 출수관은 브루잉 캐비티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출수 스위치를 온되도록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이 상기 출수관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한다.
상기 방안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을 사용할 때, 물공급 장치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에 물을 공급하여 예열하고, 가열장치 중의 물이 열을 받아 부피가 팽창되고, 밀도가 작고 가벼워지면서, 수위가 상승되고, 또한 단방향 밸브장치의 제한으로 인해, 물이 가열장치로부터 입수관을 흘러지나 물공급 장치로 환류할 수 없기에, 물이 예열된 후 순차적으로 출수관, 제1 분기통로에 유입되어, 물공급 장치로 환류된다. 그 다음, 물이 다시 물공급 장치로부터 입수관을 흘러지나 가열장치에 유입되어 예열된 후, 또 다시 물공급 장치에 흘러 들어간다. 이로써, 물은 순환관로에서 순환유동할 수 있고, 가열장치에 의해 예열된다. 물은 순환적으로 유동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커피 메이커가 가열될 때, 또한 일부분 냉수가 출수관에 잔류하여 가열되지 못하는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다. 순환관로 중의 물에 대한 예열이 종료되면, 가열장치에 또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시켜, 가열장치에 유입되어 가열되는 물은 이로 인해 가열장치로부터 출수관으로 유입되고, 제2 분기통로를 거쳐,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여 커피를 타는 것에 사용된다. 이렇게 냉수가 출수관으로부터 브루잉 캐비티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확보할 수 있기에, 브루잉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별도의 예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상기 가열장치만 이용하기만 하면 예열과 가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다. 상기 단방향 밸브장치는 물펌프를 사용하여 대체할 수도 있고,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을 사용할 때, 물공급 장치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에 물을 공급하여 예열하고, 가열장치 중의 물이 열을 받아 부피가 팽창되고, 밀도가 작고 가벼워지면서, 수위가 상승되고, 물펌프를 이용하여 물흐름 방향을 제한할 수 있어, 물이 가열장치로부터 입수관을 거쳐 물공급 장치로 환류될 수 없기에, 물이 예열된 후 순차적으로 출수관, 제1 분기통로에 유입되어, 물공급 장치로 환류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수조는 수조의 저부가 상기 가열장치의 저부보다 높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수관은 제1 분기통로에 의해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 입수관, 가열장치, 출수관, 제1 분기통로가 공동으로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는 가열장치의 상방에 설치될 수 있다. 수조의 저부가 가열장치의 저부보다 높기에, 수조 중의 물이 수조로부터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에 쉽게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어, 물펌프에 의거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에 장착되는 물펌프와 단방향 밸브장치를 포함하되, 즉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에는 물펌프와 단방향 밸브장치가 동시에 구비되고, 상기 물펌프는 수조 중의 물을 가열장치로 펌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이 가열장치, 출수관, 분류구조를 거쳐 수조 또는 브루잉 캐비티로 환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펌프는 상기 수조와 상기 입수관 사이에 설치될 수 있어, 각각 수조와 입수관과 연통되어, 수조 중의 물을 가열장치로 펌핑하고, 출수관으로 진일보 펌핑하여, 출수관에 의해 수조로 환류하거나 또는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한다. 상기 물펌프는 상기 수조와 출수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물펌프는 입수관과 가열장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어, 수조 중의 물을 가열장치로 펌핑하고, 출수관으로 진일보 펌핑하여, 출수관에 의해 수조로 환류하거나 또는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시킨다. 물펌프는 수조 내에 설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본체 상의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펌프의 설치와 관련하여, 수조 중의 물을 가열장치로 펌핑하여, 출수관에 의해 수조로 환류하거나 또는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기만 하면 된다. 물펌프의 설치와 같이, 물이 물펌프에 의해 펌핑될 수 있어, 수조의 저부는 가열장치의 저부보다 높을 필요가 없다. 물론 수조의 저부가 가열장치의 저부보다 높을 때, 물펌프를 사용하여 보다 더욱 효과적이고, 더욱 빠르게 물을 수송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분기통로 상에는 환류 스위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환류 스위치는 상기 제1 분기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이다. 수조의 물을 순환 예열해야 할 때, 상기 환류 스위치를 켜서, 수조 중의 물이 가열장치로 유입되어 예열된 후 순차적으로 출수관과 제1 분기통로를 거쳐 수조로 환류될 수 있다. 이렇게, 물은 순환관로에서 순환유동하여 예열될 수 있다. 수조의 물을 순환 예열할 필요가 없을 때, 상기 환류 스위치를 닫을 수 있기에, 가열장치 중의 물이 수조로 환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류구조는 입수구, 제1 출수구와 제2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입수구와 제1 출수구는 연통되어 제1 분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입수구와 제2 출수구는 연통되어 제2 분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출수 스위치는 상기 제1 출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제1 출수구를 열거나 닫도록 하고, 상기 환류 스위치는 상기 제2 출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제2 출수구를 열거나 닫도록 한다. 상기 출수관 제1단은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 제2단은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출수구는 물공급 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출수구는 브루잉 캐비티와 연통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1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전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제어기와 구동장치는 각각 상기 전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온도 제어기는 순환관로 중의 물의 온도에 의해 구동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조 중의 물의 온도가 예정온도에 도달할 때, 제1 온도 제어기는 전원판에 신호를 발송하여, 전원판이 구동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기에, 구동장치는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수조 중에서 이미 예열된 후의 물은 다시 가열장치에 진입하여 가열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출수관과 제2 분기통로를 흘러지날 수 있어,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여 커피를 타는 것에 사용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예정온도는 40-70℃ 사이일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정온도는 50-60 도 사이에 있다.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예열과정에서, 물은 순환 유동하는 것이므로, 동일한 시점에서, 순환관로 중 상이한 위치에 있는 물의 온도는 다를 수 있다. 이를테면, 예열과정 중의 동일한 시점에서, 가열장치가 발열상태에 있기에, 물이 가열장치에 진입한 후 승온되고, 가열장치 중에 위치한 물의 온도는 입수관 중에 위치한 물의 온도보다 높아진다. 이와 유사한 것은, 물이 가열장치에서 승온된 후 출수관에 유입되어, 출수관 중의 물의 온도가 수조 중의 물의 온도보다 높기에, 수조 중의 물이 예정온도에 도달할 때, 예를 들어, 수조 중의 물이 60℃일 때, 출수관 중의 물은 더욱 높은 온도에 도달하였는 바, 예를 들어, 90도에 도달한다. 또는, 가열장치는 예열과정으로부터 가열과정까지 지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예열과정과 가열과정 사이에는 시간간격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장치와 물펌프에 의해 수조 중의 물을 순환 예열하여 90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출수 스위치를 켜서, 물이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여 커피가루를 타게 되면서, 물펌프 및/또는 가열장치는 계속하여 작동하거나 작동 정지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와 수조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브루잉 캐비티를 탈착하여 세척할 수 있고, 또한 브루잉 캐비티에 커피가루를 투입하도록 한다. 물에 탄 커피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잉 캐비티 저부에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는 제1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는 커피가 배출구를 통해 브루잉 캐비티로 유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구동장치는 드라이버, 및 모터 또는 전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또는 전자밸브는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밸브 또는 모터는 상기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버가 이동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스위치는 상기 배출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이다. 배출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이한 브루잉 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유리하다. 커피가루와 물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접촉될 필요가 있다면, 배출구를 닫을 필요가 없어, 배출 스위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브루잉 과정에서, 커피가루가 물과 오랜 시간 접촉하여 용해될 필요가 있다면, 배출 스위치로 배출구를 닫을 필요가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드라이버에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출수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배출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수조 저부에는 상기 분류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분류구조의 제1 분기통로는 수조 저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구조의 제2 분기통로는 수조 저부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통로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분류구조는 수조 내에 위치하는 중공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출수부는 중공 출수부 출구와 중공 출수부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출수부 입구는 상기 제1 통로와 씌움 연결되고,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쪽에는 상기 환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환류 스위치는 무빙 밸브이고, 상기 무빙 밸브는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커피를 진일보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필터는 브루잉 캐비티 내의 배출구 앞쪽의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는 제2 필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필터는 배출구쪽에 위치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커피 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배출구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개구쪽에는 제3 필터가 구비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이 동시에 골드 브루 커피에도 사용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가스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고, 가스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 공급 장치는 가스 가이드 부재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와 연결되어, 브루잉 캐비티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루잉 캐비티에 물과 물과 커피가루가 수용될 때, 상기 가스 공급 장치가 물과 커피가루로 혼합되어 형성된 액체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커피가루가 브루잉 캐비티에 투입되고 물공급 장치가 브루잉 캐비티에 물을 공급한 후, 가스 공급 장치에 의해 물과 커피가루로 혼합되어 형성된 액체에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가 액체에서 유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스는 액체가 유동 및 뒤섞이도록 이끌어, 커피가루와 물을 충분히 교반시켜, 커피가루 중의 물질이 물속에서 용해되는 것을 가속하기에, 빠르고 충분히 추출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가스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스 가이드관과 제2 가스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탑부에는 브루잉 캐비티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스 가이드관 제1단은 가스 공급 장치와 연통되고,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제2 가스 가이드관 제1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 의해 상기 브루잉 캐비티 내에 삽입된다. 제2 가스 가이드관이 브루잉 캐비티 내에 삽입되어 브루잉 캐비티 내의 액체와 접촉되기에, 사용자는 때로 제2 가스 가이드관을 세척할 필요가 있어, 제2 가스 가이드관과 제1 가스 가이드관을 분리시켜, 제2 가스 가이드관을 취하여 세척할 수 있어, 사용하기 보다 더 간편하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는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와 커버 결합될 수 있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약간의 기공이 구비된다. 가스 공급 장치가 브루잉 캐비티에 가스를 공급할 때,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는 커피가루가 브루잉 캐비티 입구로부터 넘쳐나와, 커피 머신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 상의 기공은 브루잉 캐비티 중에서 가스를 배출하는 데에 유리하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은 공동, 공동과 연통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 내에는 상기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과 연통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로부터 하향으로 연신되는 상기 관부가 구비되어,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와 브루잉 캐비티 개구가 커버 결합될 때, 상기 관부가 상기 브루잉 캐비티 내로 연신되도록 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브루잉 캐비티 내에서 브루잉 캐비티 중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브루잉 캐비티 중부의 위치보다 낮아,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과 브루잉 캐비티 내의 액체가 접촉되는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메이커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커피 메이커의 작동방법은, 단계(a). 브루잉 캐비티에 커피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단계(b). 물공급 장치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 단계(c). 가열장치를 시동하여, 물이 순환관로에서 순환 유동되어, 가열장치에 의해 예열되는 단계; 단계(d). 물공급 장치 중의 물이 설정온도까지 예열될 때, 제어장치는 구동장치가 시동되도록 제어되고, 구동장치는 출수 스위치가 온 되도록 구동되고, 물은 상기 출수관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단계(d)는 출수 스위치가 온 되도록 구동장치가 구동되는 동시에, 구동장치로 배출 스위치도 켜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 물에 대한 순환 예열을 통하여, 냉수가 출수관으로부터 브루잉 캐비티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확보할 수 있기에, 브루잉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별도의 예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가열장치는 예열과 가열 기능을 각각 구현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다. 이밖에, 본 발명은 콜드 브루 기능을 더 구비하여, 고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콜드 브루 커피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일부분 분해 구조 모식도로서, 주로 수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일부분 분해 구조 모식도로서, 주로 수조 하방의 어셈블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일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브루잉 캐비티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예열 출수부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2 출수구와 배출구가 온될 때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2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일부분 분해 구조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브루잉 캐비티 커버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브루잉 캐비티의 장착 상태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일부분 모식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진일보 설명을 진행한다. 도면은 단지 예시적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특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고; 본 실시예를 보다 더 잘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의 일부 부재는 생략,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는 바, 실제 제품의 사이즈를 대표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도면 중의 일부 공지된 구조 및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음은 이해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각각 장착되는 브루잉 캐비티(6), 물공급 장치, 가열장치(18), 입수관(15), 출수관(1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제어장치, 구동장치, 분류구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베이스(20) 상방에 고정되는 수조(3)를 포함하며, 수조(3)는 입수관(15)에 의해 가열장치(18)와 연결되고, 상기 수조(3)는 상기 입수관(15)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18)에 물공급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10)의 제1단(1004)은 가열장치(18)와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10)의 제2단(1001)은 상기 분류구조와 연통되며, 상기 분류구조는 제1 분기통로(110)와 제2 분기통로(120)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10)은 제1 분기통로(110)에 의해 수조(3)와 연통되어 수조(3), 입수관(15), 가열장치(18), 출수관(10), 제1 분기통로(11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단방향 밸브장치(231)가 구비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한정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장치(18)는 가열장치(18)에 유입된 물을 예열 또는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분기통로(120)에는 출수 스위치(402)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 스위치(402)는 상기 제2 분기통로(120)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출수 스위치(402)가 온될 때, 상기 출수관(10)은 제2 분기통로(120)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6)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출수 스위치(402)가 오프 될 때, 상기 출수관(10)은 브루잉 캐비티(6)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출수 스위치(2)를 온 되도록 구동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이 상기 출수관(10)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120)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6)에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분류구조는 입수구(406), 제1 출수구(205)와 제2 출수구(404)를 구비하고, 상기 입수구(406)와 제1 출수구(205)는 연통되어 제1 분기통로(110)를 형성하고, 상기 입수구(406)와 제2 출수구(404)는 연통되어 제2 분기통로(12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3)는 수조 개구와 수조 상부 커버(1)를 구비하고, 상기 수조 상부 커버(1)는 수조 개구와 커버 결합되며, 수조 상부 커버(1) 상에는 손잡이(101)가 구비된다. 수조(3)의 저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통로(1102)가 구비되고, 제2 통로(1102)와 연통되어 수조(3)의 저부를 관통하는 제1 통로(1101)가 더 구비되어, 제1 통로(1101)가 수조(3)와 연통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수조(3) 저부 외표면에는 개구가 아래로 향하는 제1 요홈이 형성되고, 수조(3) 저부에는 출수 노즐 헤드(4)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출수 노즐 헤드(4)는 상기 제1 요홈과 대응되어 개구가 위로 향하는 제2 요홈(405)을 형성하고, 상기 출수 노즐 헤드(4)는 상기 제1 요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수조(3) 저부와 결합됨으로써, 분류구조를 형성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요홈과 상기 제2 요홈(405)은 결합하여 제2 통로(110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구조는 수조 내에 위치하는 중공 출수부(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출수부는 중공 출수부 출구(205)와 중공 출수부 입구(206)를 구비하며, 실시예에서, 중공 출수부 출구(205)는 분류구조의 제1 출수구(205)로 사용된다. 상기 중공 출수부 입구(206)는 상기 제1 통로(1101)와 씌움 연결되고,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205)쪽에는 상기 환류 스위치(202)가 구비되며, 상기 환류 스위치(202)는 무빙 밸브(202)이고, 상기 무빙 밸브(202)는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205)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이다. 무빙 밸브(202) 하측에는 부유재(203)가 더 구비되고, 무빙 밸브(202)는 부유재(203)와 고정 연결된다. 부유재(203)에는 부유재 공동(2031)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부유재(203)는 밀도가 물보다 작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수조의 수위가 상승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여, 무빙 밸브(202)가 상향 이동하도록 밀어주어 중공 출수부 출구(205)를 개방한다. 출수 노즐 헤드(4)에는 상기 제2 출수구(404)가 구비되고, 제2 출수구(404) 쪽에는 출수 스위치(40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수 스위치(402)는 출수밸브(402)이고, 출수밸브(402)와 수조(3) 저부 사이에 출수밸브 스프링(403)이 구비된다. 출수밸브(403) 일단은 제2 출수구(404) 쪽에 위치하고, 타단은 구동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출수밸브(402)와 제2 출수구(404) 사이에 실링재(401)가 더 구비된다. 수조(3)에는 오버 플로우구(303)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수증기와 과량의 가열 대기 냉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출수관(10)과 입수관(15)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이밖에 사용자가 출수관(10)과 입수관(15)에 직접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것도 방지하기 위하여, 출수관(10) 외부에는 제1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9)가 씌움 설치되고, 입수관(15) 외부에는 제3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14)가 씌움 설치된다. 출수관(10)과 입수관(15) 중의 수위, 또는 물의 흐름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출수관(10)과 입수관(15)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9)와 제3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14)에는 제1 관공(901)과 제3 관공(1401)이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제1 관공(901)과 제3 관공(1401)을 통해 출수관(10)과 입수관(15) 중의 물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제1 관공(901)과 대응되게, 출수관(10)의 앞부분에는 제1 뷰일 부위(1003)가 구비된다. 제3 관공(1401)과 대응되게, 입수관(15)의 앞부분에는 제3 뷰일 부위(1403)가 구비된다. 아울러 출수관(10)과 입수관(15)의 뒷부분에는 굴절면(1002, 1502)이 각각 구비된다. 입수관(15)은 입수관 제1단(1504)과 입수관 제2단(1503)을 구비하고, 출수관(10)은 출수관 제1단(1004)과 출수관 제2단(1001)을 구비한다. 출수관 제1단(1004)과 입수관 제2단(1503)에는 나사산과 나사산에 대응되는 너트(1006, 1501)가 각각 구비된다.
구동장치는 드라이버(11)와 전자밸브(17)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밸브(17)는 베이스(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밸브(17)는 상기 드라이버(11)와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버(11)가 이동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라이버(11)는 구동로드(11)이고, 구동로드(11) 상단에는 제1 구동부(111)가 횡방향으로 연신되어 형성되고, 구동로드(11)의 로드 본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구동부(11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는 베이스 케이스(200)와 저부 커버(21)를 포함하고, 전자밸브(17)는 제3 스프링(171)에 의해 저부 커버(21) 상에 탄성 설치되고, 저부 커버(21)에는 지지대(19)가 더 구비된다. 구동로드(11) 하방에는 구동록커(16)가 구비되되, 구동록커(16) 일단은 지지대(19)의 힌지부(1902)와 회동 연결되고, 타단은 전자밸브(17) 상에 위치하기에, 전자밸브(17)가 전류 도통 작동을 진행하여, 전자밸브(17)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록커(16)가 힌지부(1902)를 에둘러 상향 이동하도록 밀어주어, 구동로드(11)를 들어올려, 구동로드(11)가 상향 이동된다. 구동록커(16)의 중부에는 구동홈이 설치되고, 구동홈은 구동로드(11)저부와 무빙 연결되고, 상기 구동홈은 구동로드에 대하여 위치제한을 진행하여 구동로드(11)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전자밸브(17)의 구동축저부에는 상기 제3 스프링(171)이 설치되고, 제3 스프링(171)의 탄력은 적어도 구동로드(11)의 일부분 중력을 상쇄시켜, 전자밸브(17)의 구동축이 상승될 때 저항력이 구동로드(11)을 푸시하는 것을 극복하도록 도와주고, 출수밸브 스프링(403) 또는 제2 스프링(609)은 동시에 구동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조(3)와 베이스(2) 사이에는 지지컬럼(1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컬럼(12)에는 구동로드(11)와 결합되는 요홈이 구비되며, 구동로드(11)는 요홈에 의해 지지컬럼(12)에 삽입되어 지지컬럼(12) 상에서 이동된다. 지지컬럼을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미관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지컬럼(12) 외부에 제2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13)가 더 씌움 설치된다. 제2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13)에는 슬라이딩 슬롯(130)이 더 구비되어 제1 구동부(111)와 제2 구동부(112)가 슬라이딩 슬롯(130)에 의해 제2 위치결정 컬럼 파이프 슬리브(13) 외부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9) 하부에는 출수관 조인트(1901)와 입수관 조인트(1903)가 구비되고, 지지대(19) 상에는 가열장치(18)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관 제1단(1004)은 출수관 조인트(1901)와 연결되어 가열장치(18)와 진일보 연통되고, 상기 입수관(15)은 입수관 조인트(1903)와 연결되어 가열장치(18)와 진일보 연통된다. 지지대(19) 상에는 전원판(1904)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케이스(200)에는 입수관 장착홀(2002)과 출수관 장착홀(2003)과 푸쉬버튼(2001)이 더 구비된다. 장착시, 출수관(10)은 출수관 장착홀(2003)을 관통하여 출수관 조인트(1901)와 연결되고, 입수관(15)은 입수관 장착홀(2002)을 관통하여 입수관 조인트(1903)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에는 가열장치 입구와 가열장치 출구가 더 구비되고, 가열장치 입구는 출수관 조인트(1901)와 연결되며, 가열장치 출구는 입수관 조인트(1903)와 연결된다. 제어장치는 상기 입수관 조인트(1903) 상에 설치되는 제1 온도 제어기(230)를 포함한다. 제1 온도 제어기(230)는 단방향 밸브장치(231)의 전단에 설치되어, 물이 가열장치(18)에 진입하기 전의 온도, 즉 수조의 온도에 근접하는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열장치(18) 입구 쪽에는 단방향 밸브장치(231)가 구비되고, 단방향 밸브장치(231)는 가열장치(18)가 가열될 때의 열수를 팽창시켜 고온수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켜, 제1 온도 제어기(230)의 잘못된 판단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장치(18)쪽에는 제2 온도 제어기(2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온도 제어기(232)는 히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장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가열장치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 제2 온도 제어기(232)는 가열장치가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저부 커버(21) 상에는 수위등(233)이 구비되고, 수위등(233) 상에는 등갓(23)이 피복된다. 상기 수위등(233)과 등갓(23)은 입수관(15)과 출수관(10) 하방에 위치한다. 등이 켜졌을 때, 입수관(15)과 출수관(10)의 물 흐름의 상황 및 혹시나 나타나게 될 버블을 뚜렷하게 볼 수 있어, 관상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출수관(10)과 지지컬럼(12), 입수관(15)에 의해 수조(3)를 베이스(20)와 고정 연결시킨다. 입수관(15)과 출수관(10)의 하단에는 나사산이 각각 설치되고, 나사산과 너트는 서로 알맞게 결합되어 베이스(20) 상에 고정 연결되고, 나사산 하단에는 실리콘 호스 조인트가 설치되어 긴밀히 연결되고, 실리콘 호스 조인트 하단에는 등갓(23), 수위등(233)이 설치되며, 수위등(233) 광선은 입수관(15)과 출수관(10)의 중공위치를 가리키고, 입수관(15)과 출수관(10) 뒷쪽벽에는 횡방향 능각 무늬 또는 능각면이 설치되어 광선이 굴절되도록 하고; 수위등(233)의 광선은 입수관(15) 중 하강하는 기포와 출수관(10)중 상승하는 기포를 가리키고, 기포의 굴절광선은 제1 관공(901)과 제3 관공(1401)에 의해 관찰 및 감상되고, 입수관(15)과 출수관(10) 본체는 수조(3)와 베이스(20)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입수관(15)과 출수관(10) 본체는 수조(3) 또는 브루잉 캐비티(6)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3) 저부에는 슬라이딩 슬롯재(301)와 슬라이딩 슬롯(302)을 구비한다. 상기 수조(3) 하방에는 브루잉 캐비티(6)가 구비된다. 브루잉 캐비티(6) 상부는 슬라이딩 슬롯재(301)에 의해 수조(3)저부와 슬라이딩 연결된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6) 저부에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11)가 구비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6)에는 제1 필터(5)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5)는 커피가 배출구(611)를 통해 브루잉 캐비티로 유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필터(5)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6)의 개구 엣지에는 슬라이딩 슬롯(302)에 대응되는 드립백(608)이 구비되고, 드립백(608)은 슬라이딩 슬롯(302)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슬라이딩 슬롯(302)에 삽입된다. 이로써 브루잉 캐비티(6)는 드립백(608)에 의해 슬라이딩 슬롯(302)와 결합되면서 수조(3)에 삽입 연결됨으로써, 수조(3) 하방에 걸림된다. 브루잉 캐비티(6)를 꺼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브루잉 캐비티(6)의 개구 엣지에는 브루잉 캐비티 손잡이(605)가 구비되어, 브루잉 캐비티(6)를 수조(3) 저부에 진일보 고정하고, 브루잉 캐비티 손잡이(605)내에는 스냅 파스너(602)가 구비되며, 수조 저부에는 스냅 파스너(602)와 결합되는 슬롯이 구비된다. 상기 스냅 파스너(602)는 제1 스프링(603)에 의해 손잡이(605)내에 탄성 설치되고, 스냅 파스너(602) 일단에는 슬롯에 삽입가능한 걸이부가 구비된다. 브루잉 캐비티 손잡이(605) 상에는 손잡이 커버(601)가 피복된다. 스냅 파스너(602) 상에는 위로 돌출되어 손잡이 커버(601)를 관통하는 프레싱부가 구비된다. 브루잉 캐비티(6)를 슬라이딩 슬롯(302)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수조와 삽입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스냅 파스너(602)가 슬롯으로 이동할 때, 스냅 파스너(602)의 걸이부는 슬롯에 기반하여 슬롯 내에 슬라이딩되어 잠금되므로, 브루잉 캐비티(6)는 수조 하방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조 하방으로부터 브루잉 캐비티(6)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스냅 파스너(602)의 프레싱부를 누르기만 하면, 스냅 파스너(602)의 걸이부는 바로 슬롯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브루잉 캐비티(6)가 슬라이딩 슬롯(302)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된다. 슬라이딩 슬롯(302)의 전단은 낮게 경사지고, 중부는 평탄하며, 미부는 하나의 단턱이 돌출된다. 브루잉 캐비티를 장착할 때, 브루잉 캐비티(6)의 드립백(608)은 슬라이딩 슬롯(302) 전단으로부터 진입되면서, 슬라이딩 슬롯(302) 미부로 이동하고, 단턱은 브루잉 캐비티(6)의 드립백(608)을 강제적으로 들어올려, 브루잉 캐비티(6) 개구와 수조(3) 저부의 간격을 축소시켜, 손잡이(605)와 수조(3) 저부가 잠금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611)에는 배출 스위치(607)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스위치(607)는 상기 배출구(611)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출 스위치(607)는 회동록커(607)로 형성되고, 회동록커(607)는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연신되는 저부와, 저부를 따라 상향 연신되는 상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록커(607)의 저부는 배출구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록커(607)는 브루잉 캐비티 외부에 위치하여 브루잉 캐비티(6) 저부와 회동 연결되고, 상기 회동록커(607) 상부는 제2 스프링(609)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6) 저부와 탄성 연결된다. 회동록커(607) 상부에는 제2 구동부(112)에 대응되는 구동홈부가 더 구비된다. 제2 스프링의 탄력으로 인해, 회동록커(607) 상부는 브루잉 캐비티와 멀어지고, 회동록커(607)의 저부는 이로 인해 배출구(611)와 긴밀히 당접되고, 배출구는 이로 인해 닫힌다. 구동로드(11)가 구동될 때, 구동로드(11)는 상향 이동하고, 제2 구동부(112)는 회동록커(607) 상부의 구동홈부와 당접되어, 회동록커(607) 상부를 밀어주어 브루잉 캐비티와 근접시키고, 회동록커(607)의 저부는 배출구(611)로부터 하향 이동하는데, 배출구(611)는 이로 인해 개방된다. 배출구(611)를 진일보 밀봉하기 위하여, 회동록커(607)와 배출구(611) 사이에 배출구 실링재(606)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 실링재(606)는 회동록커(607) 저부에 고정된다.
브루잉 캐비티(6) 하방에는 커피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8)가 더 구비되고, 상기 용기(8)는 상기 배출구(611)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8)는 용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개구쪽에는 제3 필터(7)가 구비된다. 용기(8)는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를 구비한 컵으로서, 사용자가 잡기 편리하다. 상기 용기(8)는 베이스(20) 상에 놓을 수 있어, 사용자 수요에 따라 베이스(20)로부터 내려놓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지지컬럼(12) 상에 장착되는 컵 프로브(2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방법은, 단계(a). 브루잉 캐비티(6)에 커피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단계(b). 물공급 장치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 단계(c). 가열장치(18)를 시동하여, 물이 순환관로에서 순환 유동되어, 가열장치에 의해 예열되는 단계; 단계(d). 물공급 장치(18) 중의 물이 설정온도까지 예열될 때, 제어장치는 구동장치가 시동되도록 제어되고, 구동장치는 출수 스위치(402)가 온 되도록 구동되고, 물은 상기 출수관(10)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120)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6)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 작동원리는 하기와 같다: 브루잉 캐비티(6)에 커피가루를 투입하여, 브루잉 캐비티(6)를 수조(3) 저부에 삽입 연결하여, 브루잉 캐비티(6)를 고정하도록 한다. 수조 상부 커버(1)를 열어, 수조(3)에 투여한다. 냉수(통상적으로 실온에서의 물)는 수조(3)(통상적으로 실온에서의 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입수관(15), 가열장치에 유입된다. 물 추가 과정에서, 수조 수위가 상승되면서, 부유재도 상승하여 무빙 밸브(202)가 상향 이동하도록 밀어주어, 중공 출수부 출구(205)를 개방한다. 가열장치를 시동하여 이가 발열되기 시작하여, 가열장치 중의 물이 열을 받아 부피가 팽창되고, 밀도가 작고 가벼워지면서, 수위가 상승되고, 또한 단방향 밸브장치(213)의 제한으로 인해, 가열장치(18) 중의 물이 반대방향으로 입수관(15)으로 환류될 수 없기에, 가열장치(18) 중의 물은 이로 인해 출수관(10)으로 유입되어, 분류구조에 진입하는데, 이때 제2 출수구(404)는 닫혀져 있고, 물은 이로 인해 제2 통로(1102)만 따라 중공 출수부(2)로 유입되고, 중공 출수부 출구(205)로부터 유출되어 수조(3)에 진입한다. 수조 중에 되돌아온 물은 또 다시 입수관(15)에 유입되므로, 물은 순환관로에서 상기 순서에 따라 순환 예열된다. 제1 온도 제어기(230)는 수조(3)의 예열온도를 제어하되, 수조(3)가 예정온도에 도달할 때, 제1 온도 제어기(230)가 작동되면서 전원판(1904)에 신호를 발송하고, 전원판(1904)이 전기를 공급하면서 전자밸브(17)가 작동된다. 전자밸브(17)가 구동로드(11)의 피구동부위(113)까지 구동되어, 구동로드(11)는 전반적으로 상향 이동하고, 구동로드(11) 상의 제1 구동부(111), 제2 구동부(112)는 동시에 구동되어 출수밸브(402)와 회동록커(607)는 제2 출수구(404)와 배출구(611)를 각각 시동하여 출수한다. 이때 출수관(10) 중의 물은 열수이고, 그 온도는 수조 중의 물의 온도보다 높다. 출수관 중의 열수는 분류구조의 제2 통로(1102)를 흘러지나, 출수구(404)로부터 브루잉 캐비티(6)내에 유입되어 커피를 타도록 한다. 이때 수조의 수위가 낮아지고, 무빙 밸브(202)는 자가 중력으로 인해 중공 출수부 출구(205)가 닫힌다. 따라서, 출수관(10) 중의 열수는 수조(3)내에 환류될 수 없어, 제2 출수구(404)로부터 유출될 수 밖에 없다. 배출구(611)도 개방되므로, 열수가 브루잉 캐비티(6)에 진입하여 커피를 타고 제1 필터를 거쳐 여과된 후 바로 배출구(611)로부터 유출되어 컵(8)에 유입될 수 있다. 컵(8)에 유입되기 전에 제3 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가열장치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 제2 온도 제어기는 가열장치가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므로, 가열장치는 가열을 정지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되, 구별점은 단지 구동장치, 배출 스위치(607)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함에 있고, 이밖에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물펌프(234)를 추가 설치하는 데에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는 실시예 1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되, 여기서 구동소자가 여전히 구동로드(11)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구동로드(11)는 단지 상단에만 출수 스위치(404)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부(111)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 스위치(607)는 배출구 쪽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밸브이다. 컵(8) 상의 제3 필터(7)에서 상기 밸브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밸브가 상향 이동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돌기부(701)가 구비되어, 배출구를 개방한다. 따라서, 컵(8)이 베이스(20) 상에 놓일 때, 밸브는 구동 돌기부(701)에 의해 푸시됨으로써, 배출구를 개방한다. 이밖에, 입수관 조인트(1903)에 물을 가열장치로 펌핑하기 위한 물펌프(234)를 추가 설치하여, 물이 가열장치(18), 출수관(10), 분류구조를 거쳐 수조(3) 또는 브루잉 캐비티(6)로 환류되도록 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되, 구별점은 단지 가스 공급 장치(014) 및 가스 가이드 부재를 더 증가한 것에 있고, 브루잉 캐비티 및 브루잉 캐비티 관련 어셈블리가 약간 다른 것에 있다. 상기 가스 공급 장치(014)는 에어펌프(014)이다. 상기 제1 필터(5)는 브루잉 캐비티(6)를 브루잉 캐비티(6) 상부에 위치하는 용해실(6001)과 브루잉 캐비티(6) 하부에 위치하는 여과실(6002)로 분할시킨다. 제1 필터(5)와 브루잉 캐비티(6)저부의 배출구(608) 사이에 제2 필터(00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필터(5)와 제2 필터(009)는 각각 제1 여과망(5)과 제2 여과망(009)이다. 간편한 세척을 위하여, 상기 제1 필터(5)와 제2 필터(009)는 각각 브루잉 캐비티(6)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스 가이드관(0121)과 제2 가스 가이드관(0131)을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6)의 탑부에는 브루잉 캐비티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스 가이드관 제1단(0122)은 가스 공급 장치(014)와 연통되고,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0123)은 제2 가스 가이드관 제1단(0132)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0133)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 의해 상기 브루잉 캐비티(6) 내에 삽입된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는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와 커버 결합될 수 있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가 설치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에는 약간의 기공(미도시)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는 원형 그물망 커버이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그물망 커버는 커버 프레임(0020)과 여과망(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브루잉 캐비티(6)에 커피가루를 투입하는 것이 편리해지도록,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상에는 반원형의 미니 그물망 커버(00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0020)은 제1 반원부(0021)와 제2 반원부(0022)를 포함하고, 제1 반원부에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제2 반원부(0022)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 개구(0023)를 할로잉(Hollowing) 방식으로 형성하고, 제2 반원부(0022)에는 반원형의 미니 그물망 커버(001)가 피복되는데, 상기 반원형의 미니 그물망 커버(001)는 커버 프레임과 회동 연결되는 터닝 커버이다. 따라서, 브루잉 캐비티에 커피가루를 투입해야 할 때,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를 벗길 필요가 없이, 미니 그물망 커버(001)를 위로 뒤집으면 바로 제2 반원부(0022) 상의 브루잉 캐비티 커버 개구(0023)에 의해 커피가루를 투입할 수 있다. 미니 그물망 커버(001)를 돌려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 개구(0023)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의 여과망 상의 메쉬와 미니 그물망 커버(001) 상의 메쉬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상의 기공으로 사용된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에는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0131)이 구비되고, 제2 가스 가이드관은 공동, 공동과 연통되는 관부(0024)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에는 상기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의 측부에는 공동과 연통하는 가스 진입 조인트(007)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 진입 조인트(007)는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0123)과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중부에는 하향으로 연신되는 관부(0024)가 구비되어,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가 브루잉 캐비티 개구와 커버 결합될 때, 상기 관부(0024)는 상기 브루잉 캐비티(6)내로 연신된다.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0131)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0133)은 브루잉 캐비티(6) 내에서 브루잉 캐비티(6) 중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제2 가스 가이드관(0131)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를 관통하고, 용해실(6001)을 관통하여 제1 필터(5)와 연결되고, 제1 필터(5)에 의해 여과실(6002)과 연통된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상에는 냉수 구동부(005), 제2 가스 가이드관 커버(006), 가스 진입 조인트(007)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 진입 조인트(007)는 가스 배출 조인트(015)를 관통한다. 상기 가스 진입 조인트(007)와 가스 배출 조인트(015)의 적어도 하나는 유연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여과실(6002) 하방에는 커피를 담기 위한 커피 컵(8)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피 컵(8) 상에는 커피를 여과하기 위한 제3 필터(7)가 구비되며, 제3 필터(7)는 상기 커피 컵(8)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 필터(7)는 본 실시예에서 제3 여과망(7)이다. 미니 그물망 커버(001)를 위로 회동하여,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의 개구를 열어, 브루잉 캐비티에 커피가루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브루잉 캐비티(6)를 수조(3) 저부와 슬라이딩 연결시켜, 브루잉 캐비티(6)와 수조(3) 저부가 잘 연결될 때,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 상의 냉수 구동부(005)는 출수 스위치(402)가 온되도록 시동하여, 수조(3)가 이로 인해 브루잉 캐비티(6)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물이 브루잉 캐비티 커버(002)와 제1 필터(5) 사이에 진입한다. 에어펌프(014)가 작동되도록 시동하여, 가스가 에어펌프(014)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가스 가이드관(0121)과 제2 가스 가이드관(0131)을 거쳐 용해실(6001) 내부에 진입하고, 가스가 제1 필터(5) 하부에 있을 때, 제1 필터(5) 상의 메쉬를 통해 배출되어 용해실(6001)에 진입하고, 가스는 아래로부터 위로 유동하면서 커피가루를 교반하여 액체 내에서 뒤섞어 용해하고, 가스 공급 시간은 본 실시예에서는 5분으로 설정되고, 가스 공급이 완료된 후 전자밸브(17)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로드(11)가 상향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구동부(112)는 배출 스위치(607)가 온되어 커피를 배출하도록 구동되며, 제1 필터(5)로 1차 여과를 진행한 후, 제2 필터(009)로 여과한다. 두번의 여과를 거친 커피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제3 필터(7)를 흘러지나, 3차 여과를 거쳐, 최종적으로 콜드 브루(Cold Brew)가 완성된 커피를 얻는다.
응당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이 콜드 브루 커피에 사용될 때, 가열장치는 작동하지 않는 바, 즉 예열 또는 가열 기능을 하지 않고, 단지 통류(through-flow)하는 기능을 일으킨다. 가열장치가 가열되지 않아도, 수조(3)가 가열장치 및 출수구 상방에 위치하므로,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수조에 물을 추가할 때, 물이 여전히 수조(3)(통상적으로 실온에서의 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입수관(15), 가열장치(18), 출수관(10), 분류구조의 제2 통로(1102)에 유입하여, 출수구(404)로부터 브루잉 캐비티(6)에 유입된다.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제1 필터, 제2 필터, 브루잉 캐비티 커버는 모두 탈착 가능하게 브루잉 캐비티 상에 조립되기에, 사용자는 수요에 의해 제1 필터, 제2 필터, 브루잉 캐비티 커버 그중의 하나 또는 다수개를 브루잉 캐비티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1 필터, 제2 필터, 브루잉 캐비티 커버 그중의 하나 또는 다수개를 브루잉 캐비티 상에서 떼 낸다. 또는 제1 필터, 제2 필터, 브루잉 캐비티 커버는 다양한 유형일 수 있고, 사용자는 수요에 의해 상이한 제1 필터, 제2 필터, 브루잉 캐비티 커버를 교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이 브루잉 핫커피에 사용될 때, 본 실시예 중의 브루잉 캐비티 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에, 냉수 구동부(005)는 출수구를 열기 위한 것이 아닐 수 있다. 제1 구동부(111)에 의해 출수 스위치(402)를 구동시켜 출수구를 개방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 냉수 구동부(005)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푸쉬버튼 및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출수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분야에서, 푸쉬버튼 및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공지된 상식에 속하기에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되, 구별점은 단지 분류구조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함에 있다. 실시예 1과 같이,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관(10)의 제1단(1004)은 가열장치(18)와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10)의 제2단(1001)은 상기 분류구조와 연통되며, 상기 분류구조는 제1 분기통로(110)와 제2 분기통로(120)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10)은 제1 분기통로(110)에 의해 수조(3)와 연통되어 수조(3), 입수관(15), 가열장치(18), 출수관(10), 제1 분기통로(11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류구조는 입수구(406), 제1 출수구와 제2 출수구(404)를 구비하고, 상기 입수구(406)와 제1 출수구는 연통되어 제1 분기통로(110)를 형성하고, 상기 입수구(406)와 제2 출수구(404)는 연통되어 제2 분기통로(120)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구조는 총채널(160)을 구비하고, 도 16을 참조해보면, 상기 제1 분기통로(110)와 제2 분기통로(120)는 한 갈래의 총채널(160)을 공용하는 바, 즉 입수구(406), 상기 총채널(160), 제1 출수구(205)는 상기 제1 분기통로(110)를 형성하고; 입수구(406), 상기 총채널(160), 제2 출수구(404)는 상기 제2 분기통로(120)를 형성한다. 상기 총채널(160)은 수조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총채널(160) 일단에는 입수구(406)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1 출수구(205)가 구비되며, 총채널의 측벽에는 제2 출수구(404)가 구비된다. 상기 출수관(10)의 제2단(1001)은 입수구(406)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출수구(205)는 수조(3)와 연통되며, 제2 출수구(404)는 브루잉 캐비티(6) 개구의 상방에 위치한다.

Claims (21)

  1.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각각 장착되는 브루잉 캐비티, 물공급 장치, 가열장치, 입수관, 출수관을 포함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제어장치, 구동장치, 분류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입수관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에 물공급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 제1단은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출수관 제2단은 상기 분류구조와 연통되며,
    상기 분류구조는 제1 분기통로와 제2 분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은 제1 분기통로에 의해 물공급 장치와 연통되어 물공급 장치, 입수관, 가열장치, 출수관, 제1 분기통로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단방향 밸브장치가 구비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한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순환관로 상에는 물펌프가 구비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한정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장치는 가열장치에 유입된 물을 예열 또는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분기통로에는 출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 스위치는 상기 제2 분기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온될 때, 상기 출수관은 제2 분기통로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오프될 때, 상기 출수관은 브루잉 캐비티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출수 스위치를 온 되도록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이 상기 출수관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입수관에 의해 가열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수조는 수조의 저부가 상기 가열장치의 저부보다 높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수관은 제1 분기통로에 의해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 입수관, 가열장치, 출수관, 제1 분기통로가 공동으로 순환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에 장착되는 물펌프와 단방향 밸브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펌프는 수조 중의 물펌프를 가열장치에 수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이 가열장치, 출수관, 분류구조를 거쳐 수조 또는 브루잉 캐비티로 환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통로에는 환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환류 스위치는 상기 제1 분기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5.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1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본체 상에 장착되는 전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제어기와 구동장치는 각각 상기 전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6.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는 수조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저부에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는 제1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는 커피가 배출구를 통해 브루잉 캐비티로 유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드라이버, 및 모터 또는 전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또는 전자밸브는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밸브 또는 모터는 상기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버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스위치는 상기 배출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에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출수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배출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0.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저부에는 상기 분류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분류구조의 제1 분기통로는 상기 수조의 저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구조의 제2 분기통로는 상기 수조의 저부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구조는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는 중공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출수부는 중공 출수부 출구와 중공 출수부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출수부 입구는 상기 제1 통로와 씌움 연결되고,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쪽에는 환류 스위치를 구비하되,
    상기 환류 스위치는 무빙 밸브이고,
    상기 무빙 밸브는 상기 중공 출수부 출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브루잉 캐비티 내의 배출구 앞쪽의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는 제2 필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필터는 배출구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3. 제 6 항에 있어서,
    커피 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배출구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개구쪽에는 제3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은 가스 공급 장치 및 가스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스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 공급 장치는 가스 가이드 부재에 의해 브루잉 캐비티와 연결되어, 브루잉 캐비티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루잉 캐비티에 물과 커피가루가 수용될 때, 상기 가스 공급 장치가 물과 커피가루로 혼합되어 형성된 액체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스 가이드관과 제2 가스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 가이드관은 제1 가스 가이드관 제1단과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은 제2 가스 가이드관 제1단과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을 구비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탑부에는 브루잉 캐비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스 가이드관 제1단은 가스 공급 장치와 연통되며,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제2 가스 가이드관 제1단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 의해 상기 브루잉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저부에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는 제1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는 커피가 배출구를 통해 브루잉 캐비티로 유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스위치는 상기 배출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드라이버, 및 모터 또는 전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또는 전자밸브는 본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 또는 모터는 상기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버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드라이버에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출수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배출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에는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와 커버 결합될 수 있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약간의 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은 공동(hollow), 공동과 연통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 내에는 상기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제1 가스 가이드관 제2단과 연통되며,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에는 브루잉 캐비티 커버로부터 하향으로 연신되는 상기 관부가 구비되어, 상기 브루잉 캐비티 커버와 브루잉 캐비티 개구가 커버 결합될 때, 상기 관부가 상기 브루잉 캐비티 내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은 상기 브루잉 캐비티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가스 가이드관 제2단은 브루잉 캐비티 내에서 브루잉 캐비티 중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예열 커피 머신.
  21. 단계(a). 브루잉 캐비티에 커피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단계(b). 물공급 장치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
    단계(c). 가열장치를 시동하여, 물이 순환관로에서 순환 유동되어, 가열장치에 의해 설정온도로 예열되는 단계;
    단계(d). 물공급 장치 중의 물이 설정온도까지 예열될 때, 제어장치는 구동장치가 시동되도록 제어되고, 구동장치는 출수 스위치가 온되도록 구동되고, 물은 상기 출수관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통로를 흘러지나 상기 브루잉 캐비티에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순환 예열 커피 머신의 작동방법.
KR1020217024298A 2019-01-30 2019-01-30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KR102610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4011 WO2020154987A1 (zh) 2019-01-30 2019-01-30 一种循环预热咖啡壶及其工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70A KR20210108470A (ko) 2021-09-02
KR102610568B1 true KR102610568B1 (ko) 2023-12-05

Family

ID=7184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298A KR102610568B1 (ko) 2019-01-30 2019-01-30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95827A1 (ko)
EP (1) EP3918959A4 (ko)
JP (1) JP7221404B2 (ko)
KR (1) KR102610568B1 (ko)
WO (1) WO20201549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5704A1 (de) * 1985-07-18 1987-01-22 Siemens Ag Elektrischer getraenkebereiter
DE3537063A1 (de) * 1985-10-17 1987-04-23 Bosch Siemens Hausgeraete Elektrischer getraenkewaermer
JPH0515456A (ja) * 1991-07-10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沸かし器
JP3080467B2 (ja) * 1992-02-28 2000-08-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JP3496275B2 (ja) * 1994-07-14 2004-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JP3610629B2 (ja) * 1995-05-11 2005-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ヒー沸かし器
HK1052821A2 (en) * 2002-07-24 2003-09-05 Kam Chuen Chan An universal system for preparing hot drinks
JP3994935B2 (ja) * 2003-07-01 2007-10-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CN2746853Y (zh) * 2004-11-23 2005-12-21 大统营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
CN102018448B (zh) * 2010-11-03 2013-08-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
CN205162802U (zh) * 2015-04-28 2016-04-20 周林斌 一种磨豆咖啡壶的变流装置
TW201907837A (zh) * 2017-07-10 2019-03-01 林紫綺 仿手沖咖啡機結構
CN207755078U (zh) * 2017-07-13 2018-08-24 佛山市顺德区本立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二合一咖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70A (ko) 2021-09-02
EP3918959A1 (en) 2021-12-08
US20220095827A1 (en) 2022-03-31
WO2020154987A1 (zh) 2020-08-06
JP2022519114A (ja) 2022-03-18
EP3918959A4 (en) 2022-02-16
JP7221404B2 (ja)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5992A1 (en) Vacuum-operated beverage brewers and related brewing methods
CA2627055C (en) Coffee brewer
JP5519653B2 (ja) ミルクをかき混ぜるための装置及び斯かる装置を洗浄する方法
JP6717936B2 (ja) 食洗機の機能性を組み込むシンク
KR100933588B1 (ko) 추출 장치
KR102610568B1 (ko) 순환 예열 커피 머신 및 그 작동 방법
CN210842687U (zh) 一种循环预热咖啡壶
AU2017281507B2 (en) Operating method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such method
JP6359813B2 (ja) 出口取付け部品、および、そのためのベースボデイおよび出口ボデイ
CN111493664A (zh) 一种循环预热咖啡壶及其工作方法
JP3766344B2 (ja) 抽出装置
US3085494A (en) Infusion type coffee maker
JP2005058381A (ja) 強制排水付き全身浴装置
KR200415434Y1 (ko) 음료추출장치
JP2865630B2 (ja) 温水循環式の浴槽装置
CN112656216B (zh) 一种自动泡茶机的洗茶机构
KR102533783B1 (ko) 음수기
JP2023019800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WO2020154986A1 (zh) 一种吹气冷萃咖啡壶及其工作方法
KR200227421Y1 (ko) 커피 메이커의 주수 및 물탱크 물유입 제어장치
JP2023019799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141542Y1 (ko) 밥 자동 취사기의 물 공급장치
JPH071068Y2 (ja) 電気貯湯容器
JPH1073234A (ja) 燃料添加剤注入装置
CN116942045A (zh) 水槽组件及泡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