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073B1 - 블록 구조물 - Google Patents

블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073B1
KR102610073B1 KR1020210011557A KR20210011557A KR102610073B1 KR 102610073 B1 KR102610073 B1 KR 102610073B1 KR 1020210011557 A KR1020210011557 A KR 1020210011557A KR 20210011557 A KR20210011557 A KR 20210011557A KR 102610073 B1 KR102610073 B1 KR 10261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unit
connection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496A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21001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0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인접층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이고, 상기 블록 유닛은 상면 및 상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유닛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인접층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구조물{Block structures}
본 발명은 보도 블록이나 잔디 블록과 같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인도나 실외 주차장, 공원, 아파트 단지 등 우리 주변에는 보도 블록이나 잔디 블록과 같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블록 구조물은 사람의 안전한 보행을 보장하기 위해서 설치되기도 하고, 잔디밭과 같은 식생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록 구조물은 대량으로 생산된 블록이 지면에 설치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블록들은 지면에 원하는 배열대로 설치되기 어렵고, 설치된 블록은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그 블록들 간의 결속력이 약해 흔들리거나 블록의 배열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과 같은 곳에 설치된 블록 구조물은 자동차가 계속적으로 지나다니는 경우 계속적인 하중을 받음으로써 파손되거나, 그 배열이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블록을 일체로 설치된 대형의 블록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블록 구조물의 설치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다만, 이처럼 대형의 블록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 블록 구조물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때 이를 분리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잔디 블록의 경우에는 블록의 사이에 잔디 등을 식재할 수 있어, 그 사이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블록 간의 결속력은 더욱 약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블록 구조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블록을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고, 블록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흔들거림이나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후 파손시 그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탈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한 블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접층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이고, 상기 블록 유닛은 상면 및 상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유닛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인접층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유닛은 블록부 및 상기 블록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인접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블록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층은 유동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을 원하는 배열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흔들거림이나 블록 간의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의 파손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이 파손되는 경우 그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탈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블록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블록 유닛이 설치된 일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도 3a은 블록 유닛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도 3b는 블록 유닛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블록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블록 유닛이 설치된 일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도 6a는 블록 유닛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도 6b는 블록 유닛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도 7은 복수의 블록 유닛이 배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복수의 블록 유닛이 배치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복수의 블록 유닛이 배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연결홈이 형성된 블록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결홈이 형성된 블록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연결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연결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연결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블록 유닛과 연결핀이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블록 유닛이 연결핀으로 연결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블록 유닛이 연결핀으로 연결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이 다수 설치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이 다수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의 바람직한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C-C'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지면에 블록 유닛(1000)을 배열하여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보행 가능한 곳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도에 사용되어 인도와 차도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지면이 고르지 못하여 보행자가 걷기에 위험한 지역에 상기 블록 구조물을 설치하여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주차장이나 공터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이 고르지 못하여 자동차가 운행하기에 바람직하지 못한 지역에 블록 구조물을 설치하여 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주차장이나 공터 등에 보행로를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공원이나 운동장, 잔디밭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디 등의 식물이 식재된 지면을 사람이 지속적으로 밟는 경우 잔디가 죽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람이 밟아도 무방한 지역을 만들어 잔디 등의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잔디 등의 식물의 식재영역과 보행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보도 블록 구조물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잔디 블록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명세서 상에서 블록 유닛(1000)으로 언급되는 것은 보도 블록구조물을 이루는 블록일 수 있고, 또는 잔디 블록 구조물을 이루는 블록일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보도 블록이나 잔디 블록으로 칭해지지 않는 것이라도, 사람이 밟기 위해 설치되는 블록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10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블록 유닛(1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블록 유닛(110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록 유닛(1100)은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에 인접층(SS)과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 유닛(1100)은 주변에 위치한 인접층(SS)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된 일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100)일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 유닛(1100')은 상면 및 상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유닛(1100')은 전체로서 블록 전체의 형상을 이루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 유닛(1100')은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유닛(1100')은 지면을 판 후 블록 유닛(1100')을 삽입하고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주변에 메워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지면에 블록 유닛(1100')을 배열한 후, 주변에 흙이나 모래,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메워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 주변에 메워지는 재료는 인접층(S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인접층(SS)은 유동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접층(SS)은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100')의 사이에 유동성이 있는 인접층(SS)이 위치하는 경우,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블록 유닛(1100')을 설치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구조물이 설치된 후 인접층(SS)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유닛(1100')은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됨으로써,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즉, 상기 인접층(SS)은 이와 접하는 블록 유닛(1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한 상태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유닛(1100')은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100')은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블록 유닛(110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위나 돌 등을 깎아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블록 유닛(1100')은 통기성과 통수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 여름에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열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어,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이 통수성을 갖는 경우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우에 의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은 지면에 맞닿는 면과 지상에 노출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평탄한 면일 수 있다.
또한, 지상에 노출되는 면, 즉 상면은 사람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한 면일 수 있다.
상기 두 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100')은 대략적으로 윗면과 아랫면이 대응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블록 유닛(1100')을 바라본 형상, 즉 기둥의 윗면과 아랫면은 각각 대칭성을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100')은 다각형, 원,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100')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일 수 있다.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칭을 이루는 도형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 유닛(1100')은 인접한 다른 블록 유닛(1100')과 규칙적으로 배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인 경우 상하좌우에 관계없이 인접한 블록 유닛(1100')과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칭을 이루는 도형인 경우 블록 유닛(1100')을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 제작하여 이를 방향에 관계없이 배치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즉, 지형에 따라 다양한 블록 유닛(1100')을 제작하여야 하는 수고와 필요한 형상의 블록 유닛(1100')을 찾아 배열하여야 하는 수고가 경감될 수 있다.
도 3a은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100')과 동일한 블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1100'')의 하면에 별도의 받침부재(BP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재(BP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이 평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벌레나,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블록 유닛(11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받침부재(BP1'')의 설치 목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블록 유닛(1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인접층(SS)까지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BP1'')는 통기성과 통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100'')이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그 열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유수가 지면에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지하로 흡수될 수 있다.
도 3b는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의 A-A'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100')과 동일한 블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1100''')의 하면에 별도의 받침부재(BP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재(BP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이 평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벌레나,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블록 유닛(11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받침부재(BP1''')의 설치 목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BP1''')는 통기성과 통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100''')이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그 열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유수가 지면에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지하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BP1''')는 블록 유닛(1100''')보다 크게 형성되어 블록 유닛(1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인접층(SS)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받침부재(BP1''')를 먼저 설치한 후, 그 상면에 블록 유닛(1100''')을 설치하고, 그 주변에 인접층(SS)을 메울 수 있다.
도 4는 블록 유닛(1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블록 유닛(1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을 둘러싸는 프레임부(1210)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12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록 유닛(120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록 유닛(1200)은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에 인접층(SS)과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 유닛(1200)은 주변에 위치한 인접층(SS)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된 일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200)일 수 있다.
블록 유닛(12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블록 유닛(12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1210')를 포함하고, 프레임부(1210') 내부에 위치한 블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블록 유닛(1200')은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유닛(1200')은 지면을 판 후 블록 유닛(1200')을 삽입하고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주변에 메워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지면에 블록 유닛(1200')을 배열한 후, 주변에 흙이나 모래,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메워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록 유닛(1200') 주변에 메워지는 재료는 인접층(S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인접층(SS)은 유동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접층(SS)은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200')의 사이에 유동성이 있는 인접층(SS)이 위치하는 경우,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블록 유닛(1200')을 설치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구조물이 설치된 후 인접층(SS)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 유닛(1200')이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됨으로써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즉, 상기 인접층(SS)은 이와 접하는 블록 유닛(1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한 상태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유닛(1200')의 프레임부(1210')는 어느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할 정도로는 강성을 가지나, 블록부보다는 연성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200')의 프레임부(1210')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위나 돌 등을 깎아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20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레임부(1210')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210')는 열과 부식에 강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식성 물질의 접촉이 있더라도 부식되지 아니하여 블록 유닛(1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연성을 갖게 되어, 인접층(SS)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해 파손 없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블록 유닛(1200')은 프레임부(1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별도의 재료를 포함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가 채워져 블록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블록부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부는 프레임부(1210')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하중을 가하거나, 사람이 밟는 등의 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10')가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미세한 변형을 할 수 있어, 블록 유닛(1200')이 파손될 위험이 경감될 수 있다.
한편, 블록부는 통기성과 통수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부가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자연적으로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부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 여름에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열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어,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부가 통수성을 갖는 경우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우에 의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210')는 지면에 맞닿는 면과 지상에 노출되는 면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평탄한 면일 수 있다.
또한, 지상에 노출되는 면은 사람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한 면일 수 있다.
상기 두 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부(1210')는 대략적으로 윗면과 아랫면이 대응되고 속이 빈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210') 내부에 블록부가 위치함으로써, 블록 유닛(1200')은 전체적으로 속이 채워진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블록부의 상면과 하면은 프레임부(1210')의 윗면과 아랫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유닛(1200')은 전체적으로 외부에 프레임부(1210')가 위치하고 내부에 블록부가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이 평탄한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프레임부(1210')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1200')을 바라본 형상은 대즉 기둥의 윗면과 아랫면은 각각 대칭성을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200')은 다각형, 원,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200')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일 수 있다.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칭을 이루는 도형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 유닛(1200')은 인접한 다른 블록 유닛(1200')과 규칙적으로 배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인 경우 상하좌우에 관계없이 인접한 블록 유닛(1200')과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칭을 이루는 도형인 경우 블록 유닛(1200')을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 제작하여 이를 방향에 관계없이 배치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즉, 지형에 따라 다양한 블록 유닛(1200')을 제작하여야 하는 수고와 필요한 형상의 블록 유닛(1200')을 찾아 배열하여야 하는 수고가 경감될 수 있다.
도 6a는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200')과 동일한 블록 유닛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1200'')의 하면에 별도의 받침부재(B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재(BP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이 평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벌레나,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블록 유닛(12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받침부재(BP2'')의 설치 목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블록 유닛(1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인접층(SS)까지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BP2'')는 통기성과 통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200'')이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그 열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유수가 지면에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지하로 흡수될 수 있다.
도 6b는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의 B-B'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1200')과 동일한 블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블록 유닛(1200''')의 하면에 별도의 받침부재(B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재(BP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이 평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벌레나,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블록 유닛(12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받침부재(BP2''')의 설치 목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BP2''')는 통기성과 통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200''')이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그 열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유수가 지면에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지하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BP2''')는 블록 유닛(1200''')보다 크게 형성되어 블록 유닛(1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인접층(SS)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받침부재(BP2''')를 먼저 설치한 후, 그 상면에 블록 유닛(1200''')을 설치하고, 그 주변에 인접층(SS)을 메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전술한 블록 유닛(1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블록 유닛(1200)은 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블록 유닛이 배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0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면에 일부가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블록 유닛(1000')의 사이에는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이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고, 그 사이에 인접층(SS)이 위치함으로써, 블록 유닛(1000')은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유닛(1000')은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상기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사이 공간에는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관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디와 같은 식생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보수를 위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죽은 잔디를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을 통해 유수가 이동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수가 모여 웅덩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에 블록에 비해 통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재료를 메움으로써 온도의 조절과 배수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블록 유닛(1000')이 파손된 경우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공간이 마련되어 파손된 블록 유닛(1000')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도 8a는 복수의 블록 유닛(1000'')이 배치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연결된 일부분을 포함하여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0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면에 일부가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블록 유닛(1000'')은 일부분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블록 유닛(1000'')의 사이에는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이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고, 그 사이에 인접층(SS)이 위치함으로써, 블록 유닛(1000'')은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유닛(1000'')은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블록 유닛(1000'')은 사이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블록 유닛(100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측면에서 미는 힘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힘에 의해 블록 유닛(1000'')이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동하지 않을 수 있고, 블록 구조물의 배치가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흔들리지 않는 채로 고정되고, 다른 블록 유닛(1000')과 연결되어 서로 지지되므로, 블록 유닛(10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자주 밟거나, 차량의 잦은 이동이 있거나, 많은 강우로 인해 지표면에 유수가 다량 존재하거나, 잔디 등 식물의 뿌리가 생장하는 경우 블록 은 원래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블록 유닛은 설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블록 유닛(100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 블록 유닛(1000'')은 연결부위(2000')에 의해 다른 블록 유닛(1000'')과 서로 지지되므로,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블록 유닛(1000'')이 흔들거리거나 블록 유닛(1000'')의 배치가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블록 유닛(10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상기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이 연결되는 부분(2000')은 블록 유닛(1000'')의 너비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되는 부분(2000')을 제외한 부분에 빈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사이 공간에는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관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디와 같은 식생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보수를 위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죽은 잔디를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을 통해 유수가 이동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수가 모여 웅덩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에 블록 유닛(1000'')에 비해 통수성과 통기성이 우월한 인접층(SS)이 위치함으로써 온도의 조절과 배수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블록 유닛(1000'')이 파손된 경우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공간이 마련되어 파손된 블록 유닛(1000'')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도 8b는 복수의 블록 유닛(1000''')이 배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복수의 연결부위(2000'')를 포함하여 서로 연결된 채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0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면에 일부가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블록 유닛(1000''')은 둘 이상의 연결부위(2000'')를 포함하여 서로 연결되고, 블록 유닛(1000''')의 사이에는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이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고, 그 사이에 인접층(SS)이 위치함으로써, 블록 유닛(1000''')은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유닛(1000''')은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블록 유닛(1000''')은 사이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부위(2000'')를 포함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더욱 잘 견디게 된다. 예를 들면, 두 블록 유닛(100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측면에서 미는 힘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힘에 의해 블록 유닛(1000''')이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동하지 않을 수 있고, 블록 구조물의 배치가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흔들리지 않을 채로 고정되고, 다른 블록 유닛(1000''')과 연결되어 서로 지지되므로, 블록 유닛(10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자주 밟거나, 차량의 잦은 이동이 있거나, 많은 강우로 인해 지표면에 유수가 다량 존재하거나, 잔디 등 식물의 뿌리가 생장하는 경우 블록은 원래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블록은 설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블록 유닛(100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 블록 유닛(1000''')은 연결부위(2000'')에 의해 다른 블록 유닛(1000''')과 서로 지지되므로,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블록 유닛(1000''')이 흔들거리거나 블록 유닛(1000''')의 배치가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블록 유닛(10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부위(2000'') 중 한 곳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연결부위(2000'')를 통해 블록 유닛(1000''')은 서로를 지지하게 되므로, 외부의 힘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견딜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상기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위(2000'')는 블록 유닛(1000''')의 너비보다 좁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부위(2000'')를 제외한 부분에 빈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 공간에는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관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디와 같은 식생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보수를 위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죽은 잔디를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을 통해 유수가 이동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수가 모여 웅덩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이 공간에 블록에 비해 통수성과 통기성이 우월한 인접층(SS)이 위치함으로써 온도의 조절과 배수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블록 유닛(1000''')이 파손된 경우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공간이 마련되어 파손된 블록 유닛(1000''')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한편, 블록 유닛(1000''') 간의 연결은 여러 방향에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000''')은 여러 면 중 한 면을 통해서만 타 블록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하좌우에서 다른 블록 유닛(10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메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000) 간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000)은 연결핀(20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선택적 일 실시예로서, 연결홈(1120, 1220)이 형성된 블록 유닛(1000)과 상기 블록 유닛(10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연결홈(1120, 1220)이 형성된 블록 유닛(1100, 1200)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연결핀(2000)은 후술한다.
도 9는 연결홈(1120)이 형성된 블록 유닛(1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블록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부(1110)는 블록 유닛(110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100)은 정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디기 위해,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100)은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블록 유닛(110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위나 돌 등을 깎아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블록 유닛(1100)은 통기성과 통수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 여름에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열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어,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이 통수성을 갖는 경우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우에 의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유닛(1100)은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개략적으로 한 변의 길이가 120mm 내지 180mm인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20mm보다 작은 경우, 설치해야하는 블록 유닛(1100)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80mm보다 큰 경우, 블록 유닛(1100)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블록 유닛(1100)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하나의 블록 유닛(1100)의 크기가 너무 커 굽이길을 형성하거나 블록 유닛(1100)의 배열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은 연결핀(2000)이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100)은 블록부(11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홈(1120)은 블록부(1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홈(1120)은 블록부(1110)의 둘레를 따라 각 면마다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1120)은 각 면마다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100)은 위치와 방향에 관계없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든 다른 블록 유닛(110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규칙적으로 배열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120)은 윗면에 홈개구부(1121)가 형성되고, 블록 유닛(1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홈연장부(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120)은 홈개구부(1121)로부터 홈연장부(1122)로 연장되어 블록 유닛(11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블록 유닛(1100)의 둘레를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결핀(2000) 전체가 연결홈(1120)에 끼워지게 되어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홈(1120)은 블록 유닛(1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120)은 높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단면의 모양이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000)은 옆방향에서 연결홈(1120)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위에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블록 유닛(1100)을 설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100)의 측면에 연결핀(2000)을 옆방향에서 삽입하거나,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블록 유닛(1100)의 설치 후에는, 블록 유닛(1100) 사이에 위치한 잔디나 흙 등을 모두 걷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결핀(2000)만을 윗방향으로 뽑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블록 유닛(1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블록 유닛(1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블록부(1110)의 둘레 중 연결홈(1120)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블록 평탄면(1130)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평탄면(1130)은 상기 연결홈(1120)과는 달리 굴곡없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블록 평탄면(1130)은 블록부(1110)의 측면 중 연결홈(1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100)이 설치되는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도 10은 연결홈(1220)이 형성된 블록 유닛(1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200)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2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블록 유닛(1200)은 정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록 유닛(1200)의 프레임부(1210)는 내부 공간(S)이 마련된 정사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S)에는 별도의 재료가 메워짐으로써 블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은 측면에서 전달되는 힘을 견디기 위해, 프레임부(1210)는 어느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부(1210)는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나, 블록부보다는 연성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유닛(1200)의 프레임부(1210)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위나 돌 등을 깎아 제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블록 유닛(120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레임부(1210)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210)는 열과 부식에 강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식성 물질의 접촉이 있더라도 부식되지 아니하여 블록 유닛(1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블록부는 프레임부(1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S)에 별도의 재료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S)에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재료가 채워져블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재료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료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료는 프레임부(1210)의 내측에 채워지므로, 프레임부(1210)의 사이즈는 블록 유닛(1200)의 전체 사이즈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블록부는 통기성과 통수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와 통수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부가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자연적으로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부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 여름에 고열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열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어,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부가 통수성을 갖는 경우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우에 의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블록 유닛(12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프레임부(1210)는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개략적으로 한 변의 길이가 120mm 내지 180mm인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20mm보다 작은 경우, 설치해야하는 블록 유닛(1200)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80mm보다 큰 경우, 블록 유닛(1200)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블록 유닛(1200)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하나의 블록 유닛(1200)의 크기가 너무 커 굽이길을 형성하거나 블록 유닛(1200)의 배열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은 연결핀(2000)이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2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200)은 프레임부(12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2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홈(1220)은 프레임부(12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홈(1220)은 프레임부(1210)의 둘레를 따라 각 면마다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1220)은 각 면마다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200)은 위치와 방향에 관계없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든 다른 블록 유닛(120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규칙적으로 배열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220)은 윗면에 홈개구부(1221)가 형성되고, 블록 유닛(1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홈연장부(12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220)은 홈개구부(1221)로부터 홈연장부(1222)로 연장되어 블록 유닛(12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블록 유닛(1200)의 둘레를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결핀(2000) 전체가 연결홈(1220)에 끼워지게 되어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홈(1220)은 블록 유닛(1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220)은 높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단면의 모양이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000)은 옆방향에서 연결홈(1220)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위에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블록 유닛(1200)을 설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200)의 측면에 연결핀(2000)을 옆방향에서 삽입하거나,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블록 유닛(1200)의 설치 후에는, 블록 유닛(1200) 사이에 위치한 잔디나 흙 등을 모두 걷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결핀(2000)만을 윗방향으로 뽑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블록 유닛(12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블록 유닛(12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부(1210)의 둘레 중 연결홈(1220)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프레임 평탄면(123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평탄면(1230)은 상기 연결홈(1220)과는 달리 굴곡없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프레임 평탄면(1230)은 프레임부(1210)의 측면 중 연결홈(12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200)이 설치되는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한편, 블록부의 재질은 프레임부(1210)보다 더 강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하중을 가하거나, 사람이 밟는 등의 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는(1210)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연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핀(2000)이 프레임부(1210)의 연결홈(1220)에 끼워진 경우 연결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1210)의 형상이 미세하게 변형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연결핀(20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연결핀(21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21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2100)은 블록 유닛(1000)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2110)와 접속부(2110)를 연결하는 연결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110)는 블록 유닛(1000)의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연결핀(2100)은 두 블록 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속부(2110)는 연결핀(210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2110)는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해, 블록에 형성된 연결홈(1120, 1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연결부(2120)는 상기 접속부(2110)가 연결된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120)는 상기 접속부(2110) 사이에 일정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1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핀(2100)은 상기 접속부(2110)와 연결부(2120)로부터 높이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접속부(2110)가 형성되고 사이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2100)은 블록 유닛(1000)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은 채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핀(2100)은 블록 유닛(1000)과 일정 면적 이상 맞닿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외부의 힘에 대해 블록 유닛(10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연결핀(2100)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은 경우 블록 유닛(1000)과 맞닿은 부분 전체에 힘이 분산되므로, 연결핀(2100)의 파손 위험성이 경감될 수 있고, 더욱 견고하게 블록 유닛(10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연결핀(220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22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2200)은 블록 유닛(1000)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2210)와 접속부(2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22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부(2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210)는 블록의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연결핀(2200)은 두 블록 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속부(2210)는 연결핀(220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2210)는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해, 블록 유닛(1000)에 형성된 연결홈(1120, 1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연결부(2220)는 상기 접속부(2210)가 연결된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220)는 상기 접속부(2210) 사이에 일정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2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다리부(2230)는 접속부(22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리부(2230)는 연결핀(2200)이 지면 방향으로 받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2230)는 자동차나 사람이 연결핀(2200)을 밟았을 때 지면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버티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2230)는 접속부(2210)가 블록 유닛(1000)과 맞닿는 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부(2230)의 일측은 블록의 연결홈(1120, 1220)과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2230)는 연결핀(22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넓은 면적이 맞닿도록 하여 더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핀(2200)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은 경우 블록 유닛(1000)과 맞닿은 부분 전체에 힘이 분산되므로, 연결핀(2200)의 파손 위험성이 경감될 수 있고, 더욱 견고하게 블록 유닛(1000)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다리부(2230)는 연결핀(2200)의 접속부(2210)로부터 아래를 향해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는 면이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핀(2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1120, 1220)으로 옆방향에서 삽입될 수도 있고, 위에서부터 다리부(2230)가 홈개구부(1121, 1221)를 통해 삽입되어 홈연장부(1122, 1222)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블록 유닛(1000)을 설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0)의 측면에 연결핀(2200)을 옆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설치된 후에는,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한 인접층(SS)의 잔디나 흙 등을 모두 걷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결핀(2200)만을 윗방향으로 뽑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블록 유닛(10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블록 유닛(1000)이 파손된 경우 블록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2240)는 연결부(22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224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연결부(22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2240)가 없거나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경우,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240)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222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2240)의 높이는 다리부(2230)의 높이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240)는 지면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다리부(2230)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2240)의 하측에는 하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핀(22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끼움결합된 경우, 하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의 양측에 다리부(223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핀(2200)은 개략적으로 'ㄷ'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부(2240)의 하측면은 마찬가지로 'ㄷ'형상을 갖도록 각진 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지부(2240)의 하측면은 적어도 둘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다각면의 일부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지부(2240)의 하측면은 곡면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상기 공간이 아치형으로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2240)의 하측면이 위치함으로써, 연결핀(2200)의 하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22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공간은 흙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잔디나 기타 식물이 뿌리를 뻗어나가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고, 우천 시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240)는 다리부(2230)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블록이 설치된 후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연결핀(22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연결핀(2200)의 연결부(2220) 주위에 위치한 흙이나 잔디 등 만을 제거한 후 손가락이나 연장을 지지부(2240)의 하측면에 걸어 위로 당김으로써 연결핀(22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3은 연결핀(2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23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23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2300)은 블록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2310)와 접속부(2310)를 연결하는 연결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23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부(2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310)는 블록 유닛(1000)의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연결핀(2300)은 두 블록 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속부(2310)는 연결핀(230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2310)는 연결홈(1120, 1220)에 끼워지기 위해, 블록 유닛(1000)에 형성된 연결홈(1120, 1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연결부(2320)는 상기 접속부(2310)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320)는 상기 접속부(2310) 사이에 일정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3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리부(2330)는 접속부(23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리부(2330)는 연결핀(2300)이 지면 방향으로 받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2330)는 자동차나 사람이 연결핀(2300)을 밟았을 때 지면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버티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2330)는 접속부(2310)가 블록 유닛(1000)과 맞닿는 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부(2330)의 일측은 블록 유닛(1000)의 연결홈(1120, 1220)과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2330)는 연결핀(23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넓은 면적이 맞닿도록 하여 더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핀(2300)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은 경우 블록 유닛(1000)과 맞닿은 부분 전체에 힘이 분산되므로, 연결핀(2300)의 파손 위험성이 경감될 수 있고, 더욱 견고하게 블록 유닛(10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다리부(2330)는 연결핀(2300)의 접속부(2310)로부터 아래를 향해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는 면이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핀(2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1120, 1220)으로 옆방향에서 삽입될 수도 있고, 위에서부터 다리부(2330)가 홈개구부(1121, 1221)를 통해 삽입되어 홈연장부(1122, 1222)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블록 유닛(1000)을 설치하는 경우 프레임부(1210)의 측면에 연결핀(2300)을 옆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설치된 후에는,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한 인접층(SS)의 잔디나 흙 등을 모두 걷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결핀(2300)만을 윗방향으로 뽑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블록 유닛(10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블록 유닛(1000)이 파손된 경우 블록 유닛(10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2340)는 연결부(23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234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연결부(23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2340)가 없거나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경우,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340)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232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지지부(2340)의 높이는 다리부(2330)의 높이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340)는 지면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다리부(2330)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2340)의 하측에는 하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핀(23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끼움결합된 경우, 하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의 양측에 다리부(233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340)의 하측면은 곡면을 이루어 상기 공간은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2340)의 하측면이 위치하여, 연결핀(2300)의 하측에는 아치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2300)이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공간은 흙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잔디나 기타 식물이 뿌리를 뻗어나가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고, 우천 시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340)는 다리부(2330)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블록 유닛(1000)이 설치된 후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연결핀(23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연결핀(2300)의 연결부(2320) 주위에 위치한 흙이나 잔디 등 만을 제거한 후 손가락이나 연장을 지지부(2340)의 하측면에 걸어 위로 당김으로써 연결핀(23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접속부(2310)는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어 연결홈(1120, 1220)과 접촉되는 접촉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310)는 연결홈(1120, 1220)에 끼움결합시 연결홈(1120, 1220)의 면과 접촉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부(2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출부(2312)와 연결부(2320)는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접속부(2310)는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 연결홈(1120, 1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2311)는 연결홈(1120, 1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다리부(2330)의 외면, 즉 연결홈(1120, 1220)과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분도 연결홈(1120, 1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연결홈(1120, 1220)과 접속부(2310)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는 경우 이탈되거나 빈 공간으로 인해 흔들거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2310)의 접촉부(2311)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홈(1120, 1220)은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2311)는 연결부(2320)에 대해 서로 다른 각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311)와 연결홈(1120, 1220)이 다각면으로 형성되면, 결합시 빈 공간이 생기지 않아 흔들거리지 않고,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아 완전하게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도 19의 A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블록 유닛(1000)과 연결핀(2000)이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위에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2300)이 블록 유닛(1000)과 결합되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2311)는 4개의 서로 다른 각으로 기울어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홈(1120, 1220)도 접촉부(2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각면을 이루기 위한 면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5개의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접촉부(2311)와 연결홈(1120, 1220)이 서로 다른 각으로 기울어진 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접촉부(2311)와 연결홈(1120, 1220)이 서로 빈틈없이 맞닿게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각으로 기울어진 면에 의해 삽입된 연결핀(2300)이 회전하지 못하여, 블록 유닛(1000)이 흔들거리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출부(2312)는 접속부(2310)에서 접촉부(23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노출부(2312)는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된 경우 블록 유닛(1000)의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노출부(2312)는 연결부(23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는 경우, 노출부(2312)는 블록 유닛(1100)의 블록 평탄면(1130)이나 프레임부(1210)의 프레임 평탄면(1230)과 선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접속부(2310)가 연결홈(1120, 1220)에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평탄면(1130, 1230)과 노출부(2312)는 서로 연결되는 선형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부(2310)와 연결홈(1120, 1220) 사이에 틈이 최소화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틈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접속부(2310)와 연결홈(1120, 122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 경우, 흙 등의 이물질이나 물의 침입이 어려울 수 있다.
흙 등의 이물질이 접속부(2310)와 연결홈(1120, 1220) 사이에 침입되지 아니함으로써, 접속부(2310)와 접촉면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나아가 블록이나 연결핀(2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접촉부(2311)와 연결홈(1120, 1220) 사이에 침입되지 아니함으로써, 겨울에 침입한 물이 접촉부(2311)와 연결홈(1120, 1220) 사이에서 얼어 사이가 벌어지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블록 유닛(1000)이나 연결핀(2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2310)와 연결홈(1120, 1220)이 결합되고 나서 평탄면과 노출부(2312)가 서로 선형을 이룸으로써, 연결핀(2300)이나 블록 유닛(1000)의 일부가 뾰족하게 돌출되는 부위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유닛(1000) 사이에 잡초가 생겨 이를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경우, 작업자의 손이 뾰족하게 돌출되는 부위에 찔리거나 치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핀(2300)이나 블록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의 손이 뾰족하게 돌출되는 부위에 찔리거나 치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블록 유닛(1000(a))이 연결핀(2000(a))으로 연결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연결핀(2000(a))의 높이(h3)와 블록 유닛(1000(a))의 높이(h1, h2)가 같은 경우, 블록 유닛(1000(a))이 연결핀(2000(a))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블록 유닛(1000(a))의 높이(h1, h2)와 연결핀(2000(a))의 높이(h3)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핀(2000(a))의 접속부는 블록의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후 블록 유닛(1000(a))의 상면과 연결핀(2000(a))의 상면은 선형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블록 유닛(1000(a))의 높이(h1, h2)와 연결핀(2000(a))의 높이(h3)가 같게 형성되는 경우, 연결핀(2000(a))의 다리부와 블록 유닛(1000(a))의 연결홈(1120, 1220)이 최대 면적으로 맞닿게 되어 외부의 힘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핀(2000(a))의 연결부 하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 공간에 흙 등이 채워질 수 있고, 잔디 등의 식물이 생장하는데 방해되지 아니할 수 있고, 연결핀(2000(a))이나 블록 유닛(1000(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핀(2000(a))의 연결부의 상면은 블록 유닛(1000(a))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지면에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연결핀(2000(a))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유지보수시 상대적으로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유닛(1000(a))과 연결핀(2000(a))의 하부에는 모래나 흙 등을 포함하는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래(SD)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과 연결핀(2000(a))의 하부에 모래가 위치함으로써, 블록이나 연결핀(2000(a))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쿠션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래가 위치함으로써 배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은 블록 유닛(1000(b))이 연결핀(2000(b))으로 연결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연결핀(2000(b))의 높이(h3)가 블록 유닛(1000(b))의 높이(h1, h2)보다 작은 경우, 블록 유닛(1000(b))이 연결핀(2000(b))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연결핀(2000(b))의 높이(h3)는 블록 유닛(1000(b))의 높이(h1, h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핀(2000(b))의 접속부는 블록 유닛(1000(b))의 연결홈(1120, 12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후 블록 유닛(1000(b))의 상면과 연결핀(2000(b))의 상면은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핀(2000(b))의 높이(h3)가 블록 유닛(1000(b))의 높이(h1, h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연결핀(2000(b))의 높이(h3)에 해당하는 부분만큼은 접속부와 연결홈(1120, 1220)이 접촉하게 되므로 외부의 힘에 대해 상당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핀(2000(b))의 연결부 하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 공간에 흙 등이 채워질 수 있고, 잔디 등의 식물이 생장하는데 방해되지 아니할 수 있고, 연결핀(2000(b))이나 블록 유닛(1000(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핀(2000(b))의 연결부의 상면은 블록 유닛(1000(b))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블록 유닛(1000(b))과 연결핀(2000(b))을 설치한 후 연결핀(2000(b))의 상면에 흙 등의 재료를 덮어 인접층(SS)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보았을 때 블록 유닛(1000(b))은 노출되어 보이나, 연결부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미관상 조화를 이루도록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연결핀(2000(b))의 연결부의 상면이 블록 유닛(1000(b))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지표면에 많은 유수가 존재하는 경우, 유수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고여 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과 연결핀(2000(b))의 하부에는 모래나 흙 등을 포함하는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래(SD)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유닛(1000(b))과 연결핀(2000(b))의 하부에 모래(SD)가 위치함으로써, 블록이나 연결핀(2000(b))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쿠션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래(SD)가 위치함으로써 배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1000)이 다수 설치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을 배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모든 영역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특정 줄에는 블록 유닛(1000)이 추가로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굽이길을 형성하기 위해 그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블록 유닛(1000)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미관상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보행시에 예기치 못한 위치에 블록 유닛(1000)이 위치하여 사람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록 유닛(1000)이 연결되기 위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서로 연결된 블록 유닛(1000)들 중 일부는 상하좌우에 다른 블록 유닛(1000)과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유닛(1000)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을 이루는 블록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자형으로 블록 유닛(1000)이 배치된 블록 구조물은 외부의 힘에 대해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고, 외부의 힘에 의해 블록 유닛(10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각각의 블록 유닛(1000)이 흔들거리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1000)이 다수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을 배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모든 영역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특정 줄에는 블록 유닛(1000)이 추가로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굽이길을 형성하기 위해 그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0)은 일부 구간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영역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블록 유닛(1000)이 일정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경우 미관상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이 일정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경우, 보행시에 예기치 못한 위치에 블록 유닛(1000)이 위치하여 사람이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유닛(1000)의 일부 구간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영역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블록 유닛(1000)이 설치되는 지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블록 유닛(1000)을 배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 유닛(10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록 유닛(1000)이 연결되기 위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서로 연결된 블록 유닛(1000)들 중 일부는 상하좌우에 다른 블록 유닛(10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유닛(1000)이 전체적으로 엇갈린 형태로 연결되어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격자형으로 블록 유닛(1000)이 배치된 블록 구조물은 외부의 힘에 대해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고, 외부의 힘에 의해 블록 유닛(10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각각의 블록 유닛(1000)이 흔들거리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의 일 사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사용예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의 바람직한 일 사용예에 불과하고, 본 사용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유닛(100)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200)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사용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유닛(100)은 인접층(SS)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면 및 상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유닛(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인접층(SS)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 유닛(100)은 지면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인접층(SS)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블록 유닛(1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블록 유닛(100)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하고, 프레임부(110) 내부에 위치한 블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부는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에 흙이나 모래, 자갈,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의 재료가 채워져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강성을 갖기 위해, 콘크리트나, 시멘트,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하중을 가하거나, 사람이 밟는 등의 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10)는 연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부(110)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10)는 열과 부식에 강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식성 물질의 접촉이 있더라도 부식되지 아니하여 블록 유닛(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연성을 갖게 되어, 인접층(SS)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해 파손 없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핀(200)이 프레임부(110)의 연결홈(111)에 끼워지는 경우, 연결핀(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110)의 형상이 미세하게 변형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블록 유닛(100)의 주변에는 인접층(SS)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접층(SS)은 흙이나 모래 등 식생이 가능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인접층의 하층에는 모래(SD)가 위치할 수 있고, 그 하층에는 보조기층(GR)이 위치할 수 있다. 하층에 모래(SD)가 위치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블록 유닛(100)사이에는 흙 등의 인접층(SS)이 위치할 수 있고, 인접층(SS)에는 잔디(GS) 등이 식재되어 별도의 식생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미관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고, 잔디밭 등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유수의 경로를 제공하거나 배수가 용이할 수 있어,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블록 유닛(100)은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프레임부(110)는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개략적으로 한 변의 길이가 120mm 내지 180mm인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20mm보다 작은 경우, 설치해야하는 블록 유닛(100)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사각형의 길이가 180mm보다 큰 경우, 블록 유닛(100)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블록 유닛(100)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하나의 블록 유닛(100)의 크기가 너무 커 굽이길을 형성하거나 블록 유닛(100)의 배열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유닛(100)은 연결핀(200)이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유닛(100)은 프레임부(1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홈(111)은 프레임부(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홈(111)은 프레임부(110)의 둘레를 따라 각 면마다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111)은 각 면마다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 유닛(100)은 위치와 방향에 관계없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든 다른 블록 유닛(10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규칙적으로 배열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11)은 윗면에 홈개구부가 형성되고, 블록 유닛(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홈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11)은 홈개구부로부터 홈연장부로 연장되어 블록 유닛(1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블록 유닛(100)의 둘레를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결핀(200) 전체가 연결홈(111)에 끼워지게 되어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연결홈(111)은 블록 유닛(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11)은 높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단면의 모양이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00)은 옆방향에서 연결홈(111)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위에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블록 유닛(100)을 설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의 측면에 연결핀(200)을 옆방향에서 삽입하거나,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블록 유닛(100)의 설치 후에는, 블록 유닛(100) 사이에 위치한 잔디나 흙 등을 모두 걷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결핀(200)만을 윗방향으로 뽑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블록 유닛(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블록 유닛(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의 둘레 중 연결홈(111)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프레임 평탄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평탄면(112)은 상기 연결홈(111)과는 달리 굴곡없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프레임 평탄면(112)은 프레임부(110)의 측면 중 연결홈(1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핀(200)이 연결홈(111)에 삽입된 경우, 프레임부(110)와 연결핀(200)의 일부는 선형을 이룰 수 있어, 뾰족하게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작업자가 블록 유닛(100) 사이에 잡초를 제거하거나, 블록 유닛(100)의 유지 보수 중 손을 다치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사용예에 따른 연결핀(200)은 상기 연결홈(111)에 삽입되는 접속부(210)와 상기 접속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리부(230)와 상기 연결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접속부(210)는 블록 유닛(100)의 연결홈(111)에 끼워지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접속부(210)는 연결홈(111)에 끼워지기 위해, 연결홈(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부(210)와 연결홈(111)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결핀(200)이 연결홈(111)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상기 접속부(210)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20)는 접속부(210)사이에 일정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핀(200)이 블록 유닛(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블록 유닛(100)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리부(230)는 연결핀(200)이 지면 방향으로 받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230)는 자동차나 사람이 연결핀(200)을 밟았을 때 지면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버티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230)는 접속부(210)가 블록 유닛(100)과 맞닿는 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부(230)의 일측은 블록 유닛(100)의 연결홈(111)과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230)는 연결핀(200)이 블록 유닛(100) 사이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넓은 면적이 맞닿도록 하여 더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40)는 연결부(2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240)가 없거나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경우,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40)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22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지지부(240)의 높이는 다리부(230)의 높이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40)는 지면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다리부(230)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240)의 하측에는 하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핀(200)이 블록 유닛(100) 사이에 끼움결합된 경우, 하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의 양측에 다리부(23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40)의 하측면은 곡면을 이루어 상기 공간은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240)의 하측면이 위치하여, 연결핀(200)의 하측에는 아치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200)이 블록 유닛(100)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공간은 흙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잔디나 기타 식물이 뿌리를 뻗어나가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고, 우천 시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40)는 다리부(230)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블록 유닛(100)이 설치된 후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연결핀(2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연결핀(200)의 연결부(220) 주위에 위치한 흙이나 잔디 등 만을 제거한 후 손가락이나 연장을 지지부(240)의 하측면에 걸어 위로 당김으로써 연결핀(20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사용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복수의 블록 유닛(100)과 연결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 유닛(100)이 여러 방향에서 연결핀(20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록 유닛(100)은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별도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잔디(GS) 등이 식재된 식생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록 유닛(100)은 지면의 형상이나 너비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 개수가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블록 유닛이나 연결핀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은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본 사용예에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1000, 1100, 1200: 블록 유닛
1110: 블록부
1210: 프레임부
111, 1120, 1220: 연결홈
1121, 1221: 홈개구부
1122, 1222: 홈연장부
1130: 블록 평탄면
112, 1230: 프레임 평탄면
200, 2000, 2100, 2200, 2300: 연결핀
210, 2110, 2210, 2310: 접속부
220, 2120, 2220, 2320: 연결부
230, 2230, 2330: 다리부
240, 2240, 2340: 지지부
2311: 접촉부
2312: 노출부

Claims (5)

  1. 인접층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이고,
    상기 블록 유닛은 상면 및 상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유닛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인접층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유닛의 측면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홈개구부와 상기 상측에 형성된 홈개구부와 상기 하측에 형성된 홈개구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연장부를 포함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개구부와 홈연장부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블록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홈연장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다리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면은 상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리부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아치형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다리부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블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유닛은,
    블록부; 및
    상기 블록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인접층이 배치되는, 블록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층은 유동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

KR1020210011557A 2021-01-27 2021-01-27 블록 구조물 KR10261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57A KR102610073B1 (ko) 2021-01-27 2021-01-27 블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57A KR102610073B1 (ko) 2021-01-27 2021-01-27 블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96A KR20220108496A (ko) 2022-08-03
KR102610073B1 true KR102610073B1 (ko) 2023-12-06

Family

ID=8284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557A KR102610073B1 (ko) 2021-01-27 2021-01-27 블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0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36B1 (ko) * 2012-06-04 2012-10-08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843058B1 (ko) * 2016-10-05 2018-03-28 오영준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858A (ko) * 2008-10-02 2010-04-12 주식회사 세바나성 보도블록과 그 연결핀
KR20140080194A (ko) * 2012-12-20 2014-06-30 (주)테라조경 블록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36B1 (ko) * 2012-06-04 2012-10-08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843058B1 (ko) * 2016-10-05 2018-03-28 오영준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96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8032B1 (en) Sand trap with liner assembly
KR102610073B1 (ko) 블록 구조물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US7452159B2 (en) Method of mak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tree well skirt and sidewalks
JP4512043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又は既設アスファルト構造物・構築物の防草方法
JP6067661B2 (ja) 防草構造
CN108729323A (zh) 隐蔽式道路
EP1842963A1 (de) Kunstrasen mit Kunstrasenoberfläche, Unterlage und Unterbau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6522B1 (ko) 가로수 및 인도블럭 보호부재
KR100542888B1 (ko)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JP2005210906A (ja) 雑草抑止テープ及び雑草抑止方法
JP5124730B2 (ja) 植物保護資材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JP2013147809A (ja) 屈光性、屈地性に逆らう防草構造の形成方法
US10280569B2 (en) Golf course modular bunker paver blocks
JP6283761B1 (ja) 踏圧防止材、緑化舗装及びその施工方法
JP4874927B2 (ja) カッター工法を利用した防草構造の形成方法
JP5351540B2 (ja) 舗装面における雑草抑止シート及び雑草抑止方法。
US20040200140A1 (en) Multi-layered structure for tree well skirts and sidewalk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668861B2 (ja) 芝生保護構造
JP3227102U (ja) 側溝埋設舗装道路の路盤構造
DE102018130488B4 (de) Anordnung von miteinander verbundenen Rasenkantensegmenten
JP5707314B2 (ja) 芝生保護材並びに芝生駐車場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04722Y1 (ko) 도로의 친환경 가로수 보호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