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35B1 -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35B1
KR102609735B1 KR1020230056273A KR20230056273A KR102609735B1 KR 102609735 B1 KR102609735 B1 KR 102609735B1 KR 1020230056273 A KR1020230056273 A KR 1020230056273A KR 20230056273 A KR20230056273 A KR 20230056273A KR 102609735 B1 KR102609735 B1 KR 10260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asphalt
composit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이정용
이지용
Original Assignee
경용개발(주)
경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용개발(주), 경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용개발(주)
Priority to KR102023005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착층과, 인장보강층, 및 상부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에 의한 자착력으로 방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인장보강층의 인장 및 내열성 등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시키며, 상부보강층의 표면거칠기 및 인장력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탕면에 대하여 자착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대응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인장보강층; 및 상기 인장보강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상부를 마감 및 보강하도록 하는 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보강층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PE층, 제1부직포층, 아스팔트층, 제2부직포층, 및 PET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아스팔트층은 55 ~ 65중량부의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의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개질제와, 3 ~ 7중량부의 점착부여제, 및 5 ~ 10중량부의 인장보강재;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 method}
본 발명은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층과, 인장보강층, 및 상부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에 의한 자착력으로 방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인장보강층의 인장 및 내열성 등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시키며, 상부보강층의 표면거칠기 및 인장력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동절기 및 하절기의 온도 등의 환경차이에 의해 거동과 수축 이완에 따른 크랙의 발생과 중성화 및 노화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빗물 등은 콘크리트 표면의 틈이나 균열을 통해서 침투하여 건물내부로 누수되거나 철근을 부식시켜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의 옥상 또는 외벽 등에 방수 처리를 한다.
상기 방수처리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트 방수공법,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시트와 도막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시트 방수공법은 규격화되 방수시트에 의해 시공 시 균일한 두께의 마감 및 신속한 시공으로 양생 기간이 필요없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시간이 경과 될수록 방수시트의 이음부분에서 하자가 발생될 확률이 높고 자외선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시트의 손상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과 함께, 방수시트의 규격화로 인하여 복잡한 부위의 시공이 곤란하며 벽체부위는 온도에 의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막 방수공법은 우레탄, 아크릴, 고무-아스팔트 고무계 등의 도막재를 바탕면(바닥면)에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고무에 의한 신축성이 있어 균열이 적고 상온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상의 안전성의 장점이 있으나, 이에 반하여, 바탕면에 균일한 두께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복합 방수공법은 시트방수공법과 도막방수공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시트와 도막의 장점을 살리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방수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복합 방수공법은 시트방수공법에 비해 방수시트의 이음부분에 대한 하자 발생률이 낮지만, 여전히 이음매 등에 대한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방수시트는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 등에 의한 신축에 적절한 대응성을 가지지 못함에 의해 이음매 등에서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486478호(2023.01.1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층과, 인장보강층, 및 상부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에 의한 자착력으로 방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인장보강층의 인장 및 내열성 등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시키며, 상부보강층의 표면거칠기 및 인장력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탕면에 대하여 자착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대응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인장보강층; 및 상기 인장보강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상부를 마감 및 보강하도록 하는 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보강층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PE층, 제1부직포층, 아스팔트층, 제2부직포층, 및 PET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아스팔트층은 55 ~ 65중량부의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의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개질제와, 3 ~ 7중량부의 점착부여제, 및 5 ~ 10중량부의 인장보강재;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스팔트층 또는 핫멜트층이며; 상기 아스팔트층은, 55 ~ 65중량부의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의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개질제, 3 ~ 7중량부의 점착부여제, 및 1 ~ 5중량부의 프로세스 오일로 조성되고; 상기 핫멜트층은, 5 ~ 20중량부의 아스팔트와, 5 ~ 10중량부의 열가소성수지와, 40 ~ 50중량부의 첨가제와, 20 ~ 30중량부의 커피찌꺼기와, 1 ~ 2중량부의 송진, 및 0.1 ~ 1중량부의 계면활성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보강층은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프라이머층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 방수시트 다수를 포설하되,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을 맞댐 또는 겹침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는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 복합 방수시트층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접합부 보강단계; 및 접합부의 보강이 완료된 복합 방수시트층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재 도포단계;로 이루어지는 노출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프라이머층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재 도포단계; 도막층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 방수시트 다수를 포설하되,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을 맞댐 또는 겹침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는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 및 복합 방수시트층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접합부 보강단계;로 이루어지는 비노출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층과, 인장보강층, 및 상부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에 의한 자착력으로 방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인장보강층의 인장 및 내열성 등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시키며, 상부보강층의 표면거칠기 및 인장력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수시트의 적층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수시트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자료로서,
2a는 복합 방수시트에 대한 품질시험 성적서이고, 2b는 비교예의 품질시험 성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의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비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의 공정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비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복합 방수시트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 방수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0)과, 인장보강층(20), 및 상부보강층(30)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10)의 접착에 의한 자착력으로 방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인장보강층(20)의 인장 및 내열성 등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시키며, 상부보강층(30)의 표면거칠기 및 인장력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접착층(10)은 최하단부에 위치되고, 자체적인 자착력을 가짐에 따라 바탕면에 대한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상기 접착층(10)에는 제조 후 보관 또는 이동 중 상기 접착층(10)에 먼지 또는 이물질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형지(12)가 부착된다. 상기 이형지(12)는 상기 접착층(10)에 부착되어, 바탕면에 시공될 때 접착층(10)에서 박리시키도록 한다.
상기 접착층(10)은 아스팔트층 또는 핫멜트층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접착층(10)이 아스팔트층일 경우에는, 55 ~ 65중량부의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의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개질제, 및 3 ~ 7중량부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아스팔트는 주재로서, 원유의 성분 중에서 휘발 성분이 대부분 증발하였을 때 남는 나머지로 검은색 또는 검은 갈색으로서,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어두운 색깔의 고체 또는 반고체의 화합물이며, 천연에서 산출되는 천연 아스팔트와 석유에서 인공적으로 생산되는 석유아스팔트로 구분되고,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고 방수성, 접착성, 전기 절연성 등이 크다.
이 경우,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또는 길소나이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길소나이트를 1 : 0.3 ~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로, 원료를 건류 또는 증류한 잔류물을 정제한 통상의 아스팔트로, 침입도가 20 ~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런 아스팔트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으면서 200 ~ 270℃에서 반응시키면 공기 중의 산소가 아스팔트를 산화시키면서 아스팔트 성분 중 탄화수소 성분이 탈수소반응을 일으키면서 중합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서 탄성이 크고, 충격에 대한 저항력도 강하며 감온성이 적다.
상기 길소나이트는 천연 아스팔트인 아스팔타이트 종류의 하나로, 미국 유타 주 동북부 원터 분지에서 산출되는 천연 아스팔트로서, 견고하고 연화점이 높으며, 아스팔텐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아스팔트에 첨가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길소나이트를 적정 비율 혼합한 혼합 아스팔트로서, 방수성, 방습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 및 인장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는 55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치밀성이 저하되어 아스팔트 특유의 방수성을 얻을 수 없고, 65중량부 초과하면 과도한 점성에 의해 타성분과의 혼합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첨가제는 접착층에 대한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원가절감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무기질 필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는 탄산칼슘, 탈크 또는 이산화규소(SiO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는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는 1 : 0.2 ~ 0.5 : 0.5 ~ 1중량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탄산칼슘은 백색도가 우수한 탄산염 광물로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며 친수성이 높아 흡유량이 낮은 특성을 가진다.
상기 탈크는 판상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백색도가 높고, 전기절연성, 내화학성,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실리카'라고도 하고, 지구의 지각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물로서,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위와 같이,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를 적절하게 혼합한 첨가제는 원가절감 및 내열성, 강도 증가 등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20중량부 미만이면 원가절감 및 요구되는 물리적 강도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부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지고 점착력을 저하시켜 탄성이 줄어들어 접착층(10)에 대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에는 입자 사이즈가 30 내지 100㎛이고, 열전도도가 01W/m/K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um silicate)를 주성분으로한 미세한 세라믹 구형 중공체 분말을 첨가하여 입자분포가 nm에서 ㎛까지 고루 분포하게 하여 피막형성이 치밀해져 바탕면의 복사열을 방사시켜 단열성을 향상시켜 결국, 접착층(1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첨가제는 탄산칼슘과 탈크, 이산화규소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는 1 : 0.2 ~ 0.5 : 0.5 ~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된다.
개질제는 주재인 아스팔트에 대한 탄성, 점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개질제는 SBS(styrene-butadiene-styrene) 합성고무이다.
상기 SBS 합성고무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일종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개질제인 SBS가 7중량부 미만이면 아스팔트를 개질시키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12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점착부여제는 점착성을 향상시켜 바탕면에 자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점착부여제는 3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점착성을 얻을 수 없고, 7중량부 초과하면 과도한 점착력에 의해 혼합이 어렵고, 제품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 또는 폴리부텐이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예컨대,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 및 폴리부텐을 1 : 0.3 ~ 0.6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석유수지는 나프타 등의 고온열분해유 중에 존재하는 고급불포화 탄화수소를 원료로 하고, 산성촉매에 의해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분자량 2,000이하의 연한 황색 또는 흑갈색의 열가소성수지이고, 올레핀계와 방향족계의 두 개의 타이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방향족계는 연화점 70 ~ 140℃, 비중 1.00 ~ 1.10, 괴상고체이고, 알코올 이외의 유기용매에 녹으며 알키드수지, 쿠마론-인덴수지, 페놀수지, 로진, 천연고무, 합성고무와 서로 녹는다.
또한, 상기 석유수지는 C-5 또는 C-9이고, 경우에 따라 이들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5 석유수지는 지방족 석유수지로서, 높은 박리 및 결합 강도, 우수한 접착력, 안정적인 결합성능, 적당한 용융점도, 우수한 내열성,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우수한 상용성 및 저렴한 가격을 가진다.
상기 C-9 석유수지는 9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석유수지로서, 용해도, 상용성, 수성 안정성, 절연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접착성 및 열전도율이 좋다.
이에 따라, 상기 석유수지는 C-5 및 C-9를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함에 따라 상호적 보완으로 안정적인 결합력과 화학적 안정성, 결합 강도 등으로 우수한 접착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폴리부텐은 폴리아이소뷰틸렌과 반응하여 고온하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해소되고, 도막이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산화되는 것을 해소시켜 안정적인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석유수지와 폴리부텐을 적정 비율로 혼합함에 따라 초기 점착력을 향상과 함께 점착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접착층(10)의 자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접착층(10)에는 1 ~ 5중량부의 프로세스 오일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조성물의 유동성, 분산성, 및 아스팔트의 물성 강화제로 경도를 낮춰 점도를 조절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조절 성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 초과하면 과도한 점도 조절로 인해 성형성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0)이 핫멜트층일 경우에는, 5 ~ 20중량부의 아스팔트와, 5 ~ 10중량부의 열가소성수지와, 40 ~ 50중량부의 첨가제와, 20 ~ 30중량부의 커피찌꺼기와, 1 ~ 2중량부의 송진, 및 0.1 ~ 1중량부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또는 길소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다. 이는 상술된 아스팔트층의 아스팔트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상온에서 탄성을 지니며, 변형하기 어려우나 가열하면 유동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아스팔트의 개질제로 사용되는 것이고, SBS, EVA, PVA, PE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수지는 SBS 합성고무이다.
상기 첨가제는 접착층에 대한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원가절감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첨가제는 무기질 필러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술한 아스팔트층의 첨가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피찌꺼기는 원두커피를 이용하여 커피액을 추출한 뒤 남은 잔여물로서, 원두를 로스팅 (roasting)한 후, 얻어진 로스팅 원두커피를 분쇄한 것이다. 상기 커피찌꺼기는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커피찌꺼기를 상온에서 약 3일 내지 7일 정도 건조시키면 대부분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며, 이와 같이 대부분의 수분이 증발한 커피찌꺼기는 1kg당 약 102 내지 230g의 단백질 성분, 약 225 내지 283g의 에테르 성분, 약 465 내지 510g의 섬유질 성분, 약 7 내지 8g의 애쉬 (ash)성분, 및 미량의 칼슘, 인,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아연, 구리 및 망간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커피찌꺼기에는 전체 중량의 약 25%정도에 이르는 다량의 에테르(ether)성분이 함유된다. 이러한 에테르는 알코올과 유사하지만 밀도가 작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끓는점이 낮고 비교적 비활성인 특성을 가짐에 따라 방수성과 함께 핫멜트층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커피찌꺼기는 20중량부 미만이면 핫멜트층의 점도 조절성이 미미하고, 30중량부 초과하면 점도 저하로 핫멜트층의 성형성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송진은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발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명 송지(松脂)라고도 불리고, 따뜻하면 끈적거리고 소나무 냄새를 풍기는 것이다. 이러한 송진은 나무에서 분비될 당시에는 무색 투명한 액체이나, 시간이 지나면서 희뿌옇고 끈적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송진은 로진(rosin) 70 내지 75 중량%, 테레빈유(turpentine) 18 내지 22 중량%, 물이나 기타 불순물 5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방수성 및 방습성과 함께 가교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1 중량부 미만이면 원활한 가교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2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서 조성물의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0) 세틸/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10) cetyl/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6) 세틸/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6) cetyl/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6)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6) cet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12)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12) cet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4) 이소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4) iso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12) 이소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12) iso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6) 이소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6) isolau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5) 이소스테아릴 에테르 (Polyoxyethylene(5) iso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3)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3) ole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11)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11) ole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5) 옥틸도데실 에테르 (Polyoxyethylene(5) octyldodecyl ether) 및 폴리옥시에틸렌(10) 옥틸도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10) octyldodecyl ether)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보강층(20)은 접착층(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또는 충격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되는 인장력을 발휘함으로써, 복합 방수시트의 들뜸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인장보강층(20)은 PE층(21)과, 제1부직포층(22)과, 아스팔트층(23)과, 제2부직포층(24), 및 PET층(25)을 포함한다.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층은 필름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탄소 2개와 수소 4개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인 에틸렌이 수천에서 수십만개 모여 만들어진 기다란 탄화수소 사슬의 중합체로, 전기 절연성과 기름의 작용을 잘 견디는 내유성이 높다. 이에, 하방에 위치되는 접착층(10)과의 친화력에 의해 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부직포층(22)은 PE층(21)의 상단에 구성되어, PE층(21)과 아스팔트층(23) 사이에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부직포층(22)은 PE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PE층(21)와의 친화력으로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아스팔트층(23)은 제1 및 제2부직포층(22)(24) 사이에 구성되어, 아스팔트 특유의 겔화로 인해 PE층(21)과 PET층(25) 사이를 분리하는 완충지역을 형성함으로써, 외부환경과 건축물의 바탕면 사이를 분리하는 효과로 인해 복합 방수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아스팔트층(23)은 아스팔트를 주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층(23)은 상술된 접착층(10)의 아스팔트층과 동일 또는 유사한 조성비율로 조성된다.
예컨대, 아스팔트층(23)은 55 ~ 65중량부의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의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개질제와, 3 ~ 7중량부의 점착부여제, 및 5 ~ 10중량부의 인장보강재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여기에서, 인장보강재는 아스팔트층(23)에 대한 인장력을 보강시켜 충격완화 작용효과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인장보강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수축, 팽창이 없고 유연성이 뛰어나고, 열변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및 찢어짐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인장보강재는 0.1 ~ 1mm 직경으로, 1 ~ 5mm 길이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인장보강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이 메쉬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대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2부직포층(24)은 아스팔트층(23)과 PET층(25) 사이에 구성되어,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부직포층(24)은 상방에 위치되는 PET층(25)과의 친화력으로 부착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PET층(25)과 동일한 재료, 즉, PET(Polyester,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다.
PET층(25)은 제2부직포(24)의 상방에 위치되고, 필름형태로 형성되며, PET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PET는 내열성이 높고, 산, 알칼리, 유리 용제에 녹지 않으며, 탄성이 커서 주름이 생기지 않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외부환경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 등에 대한 대응성으로 복합 방수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보강층(30)은 인장보강층(30)의 상방에 구성되어, 노출 또는 비노출방식으로 바탕면에 시공될 때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상부보강층(30)은 부직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합성섬유 등을 서로 뒤 엉키거나 접착하거나 해서 층상화하고, 직기를 사용하지 않고 즉, 짜거나 뜨거나 하지 않고 만든 시트 형상으로서, 제조의 특성상 생성되는 공극에 의해 방음, 보온효과를 가지며, 액상의 합성수지가 침투될 경우 경화되는 과정에서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보강층(30)은 PET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 방수시트와 비교시트를 'KS F 4917(개량 아스팔트 방수 시트) : 2022'의 시험방법을 통해 획득한 결과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 방수시트, 도 2a 참조>
시험항목 단위 품질기준 결과치
길이방향 나비방향
인정성능 인장강도 무처리 N/mm 5.0 이상 25.4 28.8
가열 처리 무처리 시험체의 80% 이상 24.1 26.5
알칼리 처리 23.7 26.9
신장률 무처리 % 15 이상 152 125
가열 처리 무처리 시험체의 80% 이상 149 122
알칼리 처리 144 119
항장적 무처리 N*%/mm 200 이상 3869 3618
인열 성능 N 20 이상 36 43
내열성능 흘러내림길이 mm 5 이하 1
겉모양 - 흘러내리거나 발포되지 않을 것 이상없음
내피로 성능 - 잔금, 찢김, 파단이 없을 것 이상없음
치수 안정성 치수 변화율 % 0.0±1.0 -0.1 -0.1
겉모양 - 주름, 휨, 층간의 박리가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접합 성능 N/mm 5.0 이상 13.2
내움푹패임 성능 -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굴곡 성능 무처리 표면측 - -15℃에서 잔금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면측 이상없음
가열 후 표면측 - -5℃에서 잔금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면측 이상없음
부착성능(Peel-Out) 무처리 N/mm - 1.8
-20℃ 2.3
60℃ 1.6
<비교시트, 도 2b 참조>
시험항목 단위 품질기준 결과치
길이방향 나비방향
인정성능 인장강도 무처리 N/mm 5.0 이상 17.6 20.1
가열 처리 무처리 시험체의 80% 이상 16.5 17.8
알칼리 처리 16.2 18.7
신장률 무처리 % 15 이상 97 85
가열 처리 무처리 시험체의 80% 이상 99 93
알칼리 처리 98 89
항장적 무처리 N*%/mm 200 이상 1712 1711
인열 성능 N 20 이상 31 37
내열성능 흘러내림길이 mm 5 이하 3
겉모양 - 흘러내리거나 발포되지 않을 것 이상없음
내피로 성능 - 잔금, 찢김, 파단이 없을 것 이상없음
치수 안정성 치수 변화율 % 0.0±1.0 -0.3 -0.4
겉모양 - 주름, 휨, 층간의 박리가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접합 성능 N/mm 5.0 이상 8.9
내움푹패임 성능 -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굴곡 성능 무처리 표면측 - -15℃에서 잔금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면측 이상없음
가열 후 표면측 - -5℃에서 잔금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면측 이상없음
부착성능(Peel-Out) 무처리 N/mm - 1.6
-20℃ 2.0
60℃ 1.3
위의 결과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성능, 인열성능, 내열성능, 내피로 성능, 치수안정성, 접합성능, 내움푹패임 성능, 굴곡성능, 부착성능 등이 비교시트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복합 방수시트에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 정리단계(S11)와, 프라이머 도포단계(S12)와,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S13)와, 접합부 보강단계(S14), 및 도막층 형성단계(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탕면 정리단계(S11)는 시공하고자 하는 바탕면(1)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바탕면(1)에 고압 살수, 또는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바탕면(1)에 위치한 먼지, 이물질 또는 레이턴스 등을 제거하여 평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바탕면(1)에 흠집 등의 굴곡이 형성될 경우 퍼티작업 등을 통해 평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프라이머 도포단계(S12)는 바탕면 정리단계(S11)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1)에 일정두께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프라이머는 상방에 위치하는 복합 방수시트의 접착층(10)의 주재와 동일한 아스팔트 프라이머임이 바람직하다.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S13)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2)를 통해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100)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100)에 복합 방수시트를 포설하여 복합 방수시트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복합 방수시트층(200)은 상술된 자착형의 복합 방수시트를 바탕면 상에 포설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복합 방수시트는 맞댐방식 즉,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이 상호 맞대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합부는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이 일정폭 겹침되도록 하는 겹침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방수시트는 자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바탕면(1)에 복합 방수시트의 시공시간을 단축한다.
접합부 보강단계(S14)는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S13)를 통해 복합 방수시트층(200)이 완료되면,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 사이에 형성된 접합부를 보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접합부에 조인트 테이프(300) 및 조인트층(400)을 형성함으로서, 접합부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접합부에 별도의 접합부 보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인트테이프(300)는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의 접합부에 100 ~ 300mm 폭을 가지도록 테이핑함으로써, 접합부에 대한 1차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조인트 테이프(300)는 복합 방수시트의 상부보강층(30)을 이루는 부직포에 효과적으로 테이핑될 수 있도록 갈고리가 형성된 숫 벨크로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인트 테이프(300)는 복합 방수시트의 접합부를 테이핑에 의해 1차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 테이프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조인트층(400)은 복합 방수시트의 접합부에 일정두께의 조인트를 형성함으로써, 접합부에 대한 2차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층(400)은 100 ~ 500mm 폭을 가지도록 도포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층(400)은 초속경 폴리우레아이다.
초속경 폴리우레아는 Ethylene glycol 20~40 wt%, Neopentyl glycol 5~6wt%, p-phenylene diisocynate(PPDI) 10~15wt%,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3~5wt%, polyethylene terephthalate 15~17wt%, 탄화수소 5~8wt%, polydiphenyltriamine 16~20wt%, 안료(Cr3O3) 5~7wt%, H2O 1~2wt%로 조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접합부에는 조인트테이프(300) 또는 조인트층(40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합부 보강단계(S14)는 조인트테이프(300)를 생략하고, 이웃하는 복합시트의 맞댐부분의 접합부에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접합부를 보강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우레아는 상술한 초속경 폴리우레아일 수도 있다.
도막층 형성단계(S15)는 접합부 보강단계(S14)를 통해 접합부에 대한 보강이 완료되면, 복합 방수시트(200) 상에 일정두께의 도막층(5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도막층(500)은 포설이 완료된 복합 방수시트층(200)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막재는 폴리우레탄계이다.
상기 도막재는 50 ~ 60중량부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15 ~ 20중량부의 제2수지, 2 ~ 6중량부의 실란코팅제, 20 ~ 30중량부의 강도증진제, 1 ~ 5중량부의 경화제, 0.1 ~ 1 중량부의 경화촉진제, 및 0.1 ~ 0.5 가소제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알코올기와 이소시안산기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우레탄결합을 가지는 모든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며,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스판덱스나 우레탄계 합성고무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에 기포가 들어있는 우레탄폼을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에테르계가 있으며, 폴리에스테르계는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만들고, 양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진 분자량 3,000까지의 것을 나프탈렌-1,5-다이아이소사이안산으로 우레탄화시켜 고분자로 만든 것이며, 폴리에테르계는 산화프로필렌에 산화에틸렌을 섞은 폴리에테르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톨루일렌다이아이소사이안산과 반응시켜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것이다.
상기 제2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알키드, 페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가교화된 아크릴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중합체를 이루는 코모노머들의 조성비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요성분으로 사용하는 범위에서는 크게 제한을 받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99 중량%와 코모노머 1∼20 중량%의 비로 중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60,000 내지 150,000이다.
상기 실란코팅제는, 미세입자를 코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실란코팅제는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란은 가장 간단한 실리콘 단량체로 동일 분자중에 유기재료와 화학 결합하는 유기관능기와 무기재료와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고 있어 유기재료와 무기재료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내수성, 접착성 등의 품질 개량을 일으키며, 표면 코팅을 통한 내마모성과 내후성이 증가하고, 전기적 성질 및 물리적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알콕시 실란, 아미노 실란, 에폭시 실란, 아크릴 실란, 메르캅토 실란, 불소 실란, 메타크록시 실란, 비닐 실란, 클로로 실란, 실라잔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도증진제는, 조성물의 초기 압축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탄산칼슘, 탈크 또는 이산화규소(SiO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도증진제는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는 1 : 0.2 ~ 0.5 : 0.5 ~ 1중량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경화제는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 등의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등이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N,N-디메틸아닐린(N,Ndimethylaniline), N,N-디에틸아닐린(N,N-diethylaniline) 등의 아닐린계 화합물; 또는 N,N-디메틸아세토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oacetamide) 등의 아미드계 화합물 등이다.
비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 정리단계(S21)와, 프라이머 도포단계(S22)와, 도막층 형성단계(S23)와,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S24), 및 접합부 보강단계(S2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술한 노출방식과 순서가 상이할 뿐 구체적인 구성관계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탕면 정리단계(S21)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프라이머 도포단계(S22)는 정리된 바탕면(1)에 일정두께의 플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100)은 상술한 바와같이 아스팔트 프라이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막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인 폴리우레탄 프라이머이다.
도막층 형성단계(S23)는 프라이머층(100)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5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막재는 폴리우레탄계이다.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S24)는 도막층(500)에 다수의 복합 방수시트를 포설하여 복합 방수시트층(200)을 형성한다.
접합부 보강단계(25)는 다수의 복합 방수시트의 포설함과 함께, 이웃하는 복합 방수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보강한다. 이 경우, 상기 접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 테이프(300) 및 조인트층(400)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접합부는 조인트테이프(300)를 생략하고, 폴리우레아를 일정두께와 폭으로 도포한 조인트층(400)으로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복합 방수시트는 접착층(10)과 인장보강층(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인장보강층(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층(21)과, 제1부직포층(22)과, 아스팔트층(23)과, 제2부직포층(24), 및 PET층(25)을 포함하고, 상기 PET층(25)에는 표면적을 확대시키도록 일정깊이로 함몰되어, 차후에 시공되는 도막층(50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함몰홈(252)을 포함한다.
상기 함몰홈(252)은 인장보강층(20)의 최상단에 위치한 PET층(25)의 표면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다수를 형성됨으로써, 도막층(500)의 도막재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등과의 표면적을 확대시켜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방식으로 복합 방수시트층(200)의 상단에 도막층(500)을 형성할 경우, 상기 복합 방수시트층(200)의 최상단에 위치한 PET층(25)의 함몰홈(252)에 도막층(500)의 도막재가 침투됨으로써, PET층(25)과 도막층(500) 사이의 표면적 확대로 접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접착층 20: 인장보강층
21: PE층 22: 제1부직포층
23: 아스팔트층 24: 제2부직포층
25: PET층 30: 상부보강층

Claims (5)

  1. 바탕면에 대하여 자착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건축물에 작용하는 거동,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대응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인장보강층, 및 상기 인장보강층의 상방에 구성되어, 상부를 마감 및 보강하도록 하는 상부보강층으로 구성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층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PE재질의 필름형태로 형성되는 PE층;
    상기 PE층과 동일한 재질에 의한 친화력으로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PE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제1부직포층;
    상기 제1부직포층 상에 도포되어, 제1 및 제2부직포층 사이에 구성됨에 따라 아스팔트 특유의 겔화로 완충지역을 형성하여 건축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대응성으로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아스팔트층을 형성하되,
    상기 아스팔트층은 55 ~ 6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길소나이트를 1 : 0.3 ~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한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로 이루어지되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는 1 : 0.2 ~ 0.5 : 0.5 ~ 1중량비율로 혼합한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SBS합성고무인 개질제와, 3 ~ 7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석유수지 및 폴리부텐을 1 : 0.3 ~ 0.6중량비율로 혼합한 점착부여제, 및 5 ~ 10중량부의 0.1 ~ 1mm 직경으로, 1 ~ 5mm 길이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인장보강재로 조성되고;
    아스팔트층과 PET층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PET층과 동일한 재질인 PET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친화력에 의한 부착력이 강화되도록 지지하는 제2부직포층; 및
    상기 제2부직포층의 상방에 위치되고 필름형태로 구성되는 PET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보강층은 부직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스팔트층 또는 핫멜트층이며;
    상기 아스팔트층은, 55 ~ 6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길소나이트를 1 : 0.3 ~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한 아스팔트와, 20 ~ 30중량부로 이루어지되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는 1 : 0.2 ~ 0.5 : 0.5 ~ 1중량비율로 혼합한 첨가제와, 7 ~ 12중량부의 SBS합성고무인 개질제와, 3 ~ 7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석유수지 및 폴리부텐을 1 : 0.3 ~ 0.6중량비율로 혼합한 점착부여제, 및 1 ~ 5중량부의 프로세스 오일로 조성되고;
    상기 핫멜트층은, 5 ~ 20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길소나이트를 1 : 0.3 ~ 1 : 0.2 ~ 0.5중량비율로 혼합한 아스팔트와, 5 ~ 10중량부의 열가소성수지와, 40 ~ 50중량부로 이루어지되 탄산칼슘과 탈크 및 이산화규소는 1 : 0.2 ~ 0.5 : 0.5 ~ 1중량비율로 혼합한 첨가제와, 20 ~ 30중량부의 커피찌꺼기와, 1 ~ 2중량부의 송진, 및 0.1 ~ 1중량부의 계면활성제;
    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3. 삭제
  4.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프라이머층에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청구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다수를 포설하여 복합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되, 이웃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을 맞댐 또는 겹침방식으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
    복합 방수시트층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접합부 보강단계; 및
    접합부의 보강이 완료된 복합 방수시트층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재 도포단계;
    로 이루어지는 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
  5.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프라이머층 상에 도막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재 도포단계;
    도막층에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청구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다수를 포설하여 복합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되, 이웃하는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의 일단을 맞댐 또는 겹침방식으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복합 방수시트 포설단계; 및
    복합 방수시트층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접합부 보강단계;
    로 이루어지는 비노출방식의 복합 방수공법.
KR1020230056273A 2023-04-28 2023-04-28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260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73A KR102609735B1 (ko) 2023-04-28 2023-04-28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73A KR102609735B1 (ko) 2023-04-28 2023-04-28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35B1 true KR102609735B1 (ko) 2023-12-15

Family

ID=8912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273A KR102609735B1 (ko) 2023-04-28 2023-04-28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21B1 (ko) * 2014-04-11 2014-11-24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방수성과 방근성 및 접착성을 갖춘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02830B1 (ko) * 2018-02-23 2018-10-29 대성방수시스템 (주)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102145228B1 (ko) * 2020-06-02 2020-08-18 이용규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402710B1 (ko) * 2021-10-26 2022-06-13 (주) 애니콜세라픽 쿨루프형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방법
KR102486478B1 (ko) 2022-01-24 2023-01-10 서상준 현장제조의 이음매 없는 구조 맞춤형 우레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21B1 (ko) * 2014-04-11 2014-11-24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방수성과 방근성 및 접착성을 갖춘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02830B1 (ko) * 2018-02-23 2018-10-29 대성방수시스템 (주)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102145228B1 (ko) * 2020-06-02 2020-08-18 이용규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402710B1 (ko) * 2021-10-26 2022-06-13 (주) 애니콜세라픽 쿨루프형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방법
KR102486478B1 (ko) 2022-01-24 2023-01-10 서상준 현장제조의 이음매 없는 구조 맞춤형 우레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84B1 (ko)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공법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2260136B1 (ko) 차열/단열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KR100982820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1280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0957621B1 (ko)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2609735B1 (ko)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617404B1 (ko) 고분자 연성 적층체
KR101993615B1 (ko)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20090056756A (ko)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881308B1 (ko)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KR102214479B1 (ko) 수용성 단열 탄성 방수제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482747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KR10187225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용 마감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 시공 방법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633733B1 (ko)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KR102063653B1 (ko)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KR102124805B1 (ko) 복합방수방근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