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404B1 - 고분자 연성 적층체 - Google Patents

고분자 연성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404B1
KR101617404B1 KR1020150153909A KR20150153909A KR101617404B1 KR 101617404 B1 KR101617404 B1 KR 101617404B1 KR 1020150153909 A KR1020150153909 A KR 1020150153909A KR 20150153909 A KR20150153909 A KR 20150153909A KR 101617404 B1 KR101617404 B1 KR 10161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e layer
nonwoven fabric
urethan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문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각종 콘크리트 재질의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면이나 아스팔트 도로 등의 보호 및 하자 보수용으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연성 적층체{DUCTILE POLYMER LAMINATE}
본 발명은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각종 콘크리트 재질의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면, 아스팔트 도로 표면 등의 노화를 방지하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자 보수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기재면의 노화를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또는 건물 옥상 등에 하자보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주로, 지반이 일정하지 못하여 하중을 지탱할 수 없어 불균일하거나,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성 균열 등의 하자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로 층을 형성하여 보수함으로써, 보수공사의 번잡함을 감소시키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종래 시트로 층을 형성하는 경우, 시트간의 이음성이 좋지 않아 시트간 벌어짐이 발생하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며, 시트의 강도가 약해 시공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 대상면의 가스 및 수분의 배출이 불가능하여 들뜸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남아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102호(2006.04.26.)(특허문헌 1)에는 시트와 시트의 맞댄 부분을 따라 일정폭의 연결시트를 부착하고, 도막 조성물을 충분히 함친 시킨 뒤 규사를 살포하고, 탑 코트로 마감을 하는 하자보수에 관한 공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연결시트를 부착시키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연결시트의 접착면적이 작고, 접착강도 및 연결시트 자체의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한 경우, 시공 시 시트의 밀림이 있거나, 시공 후 들뜸 현성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시트가 분리된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여러 장 연결하여 시공하는 경우 시트와 시트사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시트에 의해 연결을 하더라도 단차가 발생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부로 인한 불량 발생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또한, 도막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 양생과정이 반드시 필요로 함에 따라 도막 조성물의 상실 및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102호(2006.04.2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수축 및 팽창을 최소화로 하여 시공 후 들뜸 현상 및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타입의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형성하여, 종래 기술의 폴리우레탄 도막재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시공시간 및 비용을 절약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우레탄 층 또는 타포린층의 길이가 합성수지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균열과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하자 보수 시트에 비해 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굴곡에 따라 접착이 용이하고, 낮은 온도에서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더욱 가벼워진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의 어느 일면에 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되어 있는 제1복합층; 및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 면에 접합되어 형성되며, 섬유망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이 적층되어 있는 제2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제1복합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복합층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10 ≤ 60E ≤ 40 [식 1]
15 ≤ TS ≤ 40 [식 2]
80 ≤ BR ≤ 120 [식 3]
(상기 식 1에서 60E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60℃에서 측정된 신장률(%)이며, 상기 식 2에서 TS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인장강도(N/㎜)이고, 상기 식 3에서 BR은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파단강도(N)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시트는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저밀도폴리에틸렌, 중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계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망사층은 평량이 60 내지 100 g/㎡인 PVC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타르우레탄, 노출우레탄, 수화반응형 우레탄, 경질 우레탄 및 연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상기 제2복합층 상부에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복합층의 상부에 도트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의 평균두께는 0.5 내지 5 ㎜이며,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고, 상기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가 적층된 상기 제1복합층의 평균두께가 1 내지 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층 및 타포린층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고, 상기 섬유망사층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며,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과 섬유망사층이 합지된 상기 제2복합층의 평균두께가 0.5 내지 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100 내지 200g/㎡인 제1부직포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평량이 50 내지 150g/㎡ 제2부직포가 열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직포에는 밀도가 0.925 내지 0.950 g/㎤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밀도가 0.940 내지 0.950 g/㎤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음부는 KS B 016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표면조도(Ra)가 1 내지 10㎛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15 X 15cm이며, 이음부가 5cm로 형성될 때, 만능재료시험기로 테스트 스피드 50㎜/min 으로 측정된 상기 이음부의 접착강도가 10 내지 30 kgf/inch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스 및 수분 배출이 용이하여 층을 형성한 후 들뜸이나 크랙 발생이 없으며, 시공대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찢김이나 구멍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복합층은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분자 연성 적층체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효과적인 하자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시공 대상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굴곡에 따라 접착이 용이하며, 고분자 연성 적층체가 찢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낮은 온도에서도 파손될 염려가 없고, 무게가 가벼우므로 시공자가 다루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도로, 건물의 옥상, 벽면 등의 다양한 하자 보수, 예방 및 방수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도 1은 고분자 연성 적층체(100)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고분자 연성 적층체(100)는 부직포(21)와 합성수지시트(22)가 합지되어 일체화 된 제1복합층(20) 및 섬유망사층(32)과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합지되어 일체화 된 제2복합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100)는 상기 제2복합층(30)이 모서리 방향으로 제1복합층(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음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1복합층(20)의 합성수지시트(22) 상부에 도트처리를 한 후, 다음 제2복합층(30)을 적층시킴으로써, 견고하게 접착되고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복합층의 이음부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특정 범위의 표면조도를 구현하여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하기 도 1은 일 예를 도시하는 것 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음부(31)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서리 방향에 형성될 수 있고, 네 방향의 모서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제2복합층(30) 상부에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제2복합층(30) 상부에 형성되는 규사층 및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부직포의 어느 일면에 합성수지시트가 적층되어있는 제1복합층; 및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 면에 접합되어 형성되며, 섬유망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이 적층되어 있는 제2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제1복합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부직포의 어느 일면에 합성수지시트가 적층되어있는 제1복합층;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 면에 접합되어 형성되며, 섬유망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이 적층되어 있는 제2복합층;
상기 제2복합층 상부에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제1복합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복합층(20)은 부직포(21)와 합성수지시트(22)를 가열 압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일체시킬 수 있다. 상기 부직포(21)의 일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22)가 합지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하고, 보온성이 우수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부직포(21)는 시공 대상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흡수하여 단열 및 보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및 폴리프로필렌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21)의 두께는 0.5 내지 5 ㎜인 범위에서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100 내지 200g/㎡인 제1부직포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평량이 50 내지 150g/㎡ 제2부직포가 열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량 범위를 가지는 제1부직포 및 제2부직포가 열접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시공 면에서 발생하는 가스, 공기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 및 흡수될 수 있으므로 수축 및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시공 후 들뜸 현상 및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직포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합성수지시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도가 0.925 내지 0.950 g/㎤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밀도가 0.940 내지 0.950 g/㎤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합성수지시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고분자 연성 적층체 형성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1부직포 또는 제2부직포에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산암모늄, 인산수소2암모늄, 황산암모늄, 등과 같은 암모늄계 난연제, 또는 삼산화안티몬과 같은 안티몬계 난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난연제의 난연 효과를 증가시키는 다른 첨가물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삼산화안티몬은 염화파라핀과 같은 염화물과 병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은 제1부직포 및 제2부직포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하자 보수용 시트 보다 내열성 및 난연성이 현저히 뛰어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시트(22)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저밀도폴리에틸렌, 중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시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좋다. 상기 합성수지시트(22)의 두께가 0.1 내지 1 ㎜인 범위에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외부조건에 변형을 최소화 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가 적층된 상기 제1복합층의 평균두께가 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형성됨으로써,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의 접착력,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2복합층과의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복합층(30)은 제1복합층(20) 상에 적층되며, 섬유망사층(32)과 상기 섬유망사층(32)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는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을 상기 제1복합층과 가열 압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일체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복합층(30)은 섬유망사층(32)의 양면에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을 가열 압착하여 섬유망사층(32)이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 사이에 매입된 샌드위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복합층의 신장율,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고, 합성수지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며, 유연성을 유지함으로써 하자보수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섬유망사층(3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합지됨으로써, 제2복합층(30)의 조직력을 강화하고 인장력 및 신장력을 억제하여 제2복합층(3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섬유망사층(32)은 제한되지 않으나, 평량이 60 내지 100 g/㎡이며, 격자간격은 0.5 × 0.5 ㎜인 PVC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2복합층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제1복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나, 상기 섬유망사층(32)의 두께가 0.1 내지 1 ㎜인 경우 유연성이 우수하고, 외부조건에 변형을 최소화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은 합성수지시트(22)를 보호하는 역할 및 하자보수 및 예방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우레탄층(33)으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타르우레탄, 노출우레탄, 수화반응형 우레탄, 경질우레탄 및 연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타포린층(33)으로는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 Thermoplastic olefin)계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된 시트 형태의 타포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을 나타내는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된 시트 형태의 타포린이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타포린은 타르가 코팅된 섬유 소재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섬유 소재의 단면 또는 양면이 방수 코팅된 모든 종류의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복합층의 제조 시 상기 연성이 높은 시트 형태의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을 포함함으로써, 섬유망사층과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시트간 밀착력이 뛰어난 제2복합층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제2복합층을 포함함으로써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섬유망사층에 시트 형태의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합지되어 형성된 제2복합층을 제1복합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제조됨으로써, 시공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종래 기술의 적층체 상부에 액상 우레탄 도막재를 추가적으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종래 기술의 낮은 시공 편의성 및 시공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복합층(30)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섬유망사층(32)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합지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적층체의 최상부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면인 상기 섬유망사층의 상부면에는 방수 특성이 뛰어난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본 발명 적층체의 제1복합체와 접촉되는 상기 섬유망사층의 하부면에는 접착 특성이 뛰어난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망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한 바와 같이 특성화된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섬유망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함에 따라 방수성 및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간 및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층간 접착성이 모두 현저히 향상되어, 외부조건에 의해 마모, 수축 및 팽창과 같은 변형이 최소화됨에 따라 내구성이 극대화 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망사층의 상부면에 합지되는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으로는, 타르우레탄계, 노출우레탄계, 수화반응형 우레탄계 및 연성우레탄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무시트로 형성된 우레탄층(33), 또는 섬유 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가 합지되어 일체화된 타포린 시트로 형성된 타포린층(33)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유망사층의 상부면에 합지되는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시한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함으로써 뛰어난 방수 특성을 가지며, 연성, 내후성, 내마모성 및 내한성이 극대화되어 외부조건에 의한 변형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망사층의 하부면에 합지되는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으로는, 경질우레탄계 또는 연성우레탄계 고무시트로 형성된 우레탄층(33)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섬유 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산변성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산변성 올레핀계 수지가 합지된 타포린 시트로 형성된 타포린층(33)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변성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산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 그라프트(graft) 개질된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수지를 의미하며,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클로로말레산, 부테닐숙신산 및 이의 산무수물이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및 무수말레산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변성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산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5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g의 산가를 가지는 산변성 수지일 수 있으나, 뛰어난 접착 성능을 나타내는 한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섬유망사층의 하부면에 합지되는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시한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층간 밀착력 및 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파단강도,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우레탄 합성수지층 및 타포린층(33)의 두께가 0.1 내지 1 ㎜인 경우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복합층(20)의 상부에 도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22)의 상부에 고무도트를 형성하거나, 합성수지시트를 열압착하여 물리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복합층(20)과 제2복합층(3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21)와 합성수지시트(22)가 일체되어 있는 제1복합층(20)은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를 가열 압착하여 적층을 하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망사층(32)과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이 일체되어 있는 제2복합층(30)은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와 대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은 가열 압착하거나 접착제 도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시트의 상부가 도트처리된 합성수지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21)와 합성수지시트(22)의 일체화, 상기 섬유망사층(32)과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의 일체화 및 상기 제1복합층와 제2복합층의 적층 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접착제로는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및 불소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및 폴리올레핀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에 의해 내후성 및 방수성이 현저히 향상된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복합층(3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제1복합층(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음부(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이음부(31)를 형성함으로써, 고분자 연성 적층체 간의 균열을 방지하여 강도가 두 배 이상 견고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성이 뛰어난 시트 형태의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하는 제2복합층(30)으로 이음부(31)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음부(31) 부분이 하고자 하는 구조물과 구조물의 벽으로 5 내지 20 ㎝정도 밀착되어 코너의 하자보수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음부는 KS B 016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표면조도(Ra)가 1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음부의 표면조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적층체 간의 접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면조도가 1㎛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0㎛ 초과일 경우에는 더 이상의 접착력 향상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며 특히 프레스 성형시 과도한 압축으로 인하여 이음부의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과 섬유망사층이 합지된 상기 제2복합층의 평균두께가 0.5 내지 3 ㎜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형성됨으로써, 제2복합층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1복합층과의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제2복합층 상부에 규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사층은 상기 제2복합층(30)의 표면을 견고하게 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규사는 석영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모래로, 천연규사 또는 인조규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층(200)은 제2복합층(30)을 보호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노후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외선차단제가 첨가된 탑코트(topcoat)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제2복합층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10 ≤ 60E ≤ 40 [식 1]
15 ≤ TS ≤ 40 [식 2]
80 ≤ BR ≤ 120 [식 3]
(상기 식 1에서 60E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60℃에서 측정된 신장률(%)이며, 상기 식 2에서 TS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인장강도(N/㎜)이고, 상기 식 3에서 BR은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파단강도(N)이다.)
상기 식 1에 따른 60℃ 신장률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식 2와 식 3을 만족하더라도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들뜸 또는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식 2의 인장강도 및 식 3의 파단강도가 상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식 1을 만족하더라도, 충분한 내구성이 구현되지 않아 실제 하자 보수 및 방수용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 1 내지 식 3을 동시에 만족함으로써,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적층체의 시공 후에 들뜸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면에 이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적층체 간의 결합이 견고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효과적인 하자보수 및 방수 특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15 X 15cm이며, 이음부가 5cm로 형성될 때, 만능재료시험기로 테스트 스피드 50㎜/min 으로 측정된 상기 이음부의 접착강도가 10 내지 30 kgf/inch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망사층(32)과 시트 형태의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33)을 합지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제2복합층(30)을 형성하고, 이러한 제2복합층으로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코너의 하자보수에 효과적이며,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시트간 밀착력 및 적층체 간의 접착력이 현저히 향상함에 따라 시공 후 시트간 분리, 들뜸과 균열을 방지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a)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를 합지하여 제1복합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섬유망사층과 우레탄 합성수지층 또는 타포린층을 합지하여 제2복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 면과 상기 제2복합층의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이 대면되도록 적층하여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복합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제1복합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이음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후 예를 들면, 제1복합층(20)의 합성수지시트(22) 상부에 고무성분의 도트 처리를 하거나, 합성수지시트를 열압착하여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트 처리를 함으로써, 제1복합층과 제2복합층의 접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제2복합층(30)은 제1복합층(20)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제1복합층(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음부(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음부(31)를 형성하는 경우, 고분자 연성 적층체 간 균열을 방지하여 시트의 강도가 두 배 이상 견고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성이 뛰어난 시트 형태의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하는 제2복합층(30)으로 이음부(31)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음부(31) 부분이 하고자 하는 구조물과 구조물의 벽으로 5 내지 20 ㎝정도 밀착되어 시공, 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복합층의 이음부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 형성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라스트, 연마, 절삭 등을 이용하거나, 요철구조가 형성된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라스트를 예를 들면, 그리트 블라스트, 샌드 블라스트, 쇼트 블라스트, 웨트 블라스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샌드 블라스트가 효과적이다. 평균직경 10 내지 1000㎛의 블라스트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블라스트재로는 금속제, 세라믹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0 내지 1000㎛ 규격의 요철이 형성된 몰드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이음부는 KS B 016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표면조도(Ra)가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는 3차원 비접촉 표면조도측정기(NT 2000, WYCO사)를 이용하여 Ra(중심선 평균거칠기) 및 Rz(10점 평균거칠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형의 폴리우레탄 도막제를 도포할 경우 발생하는 부풀림 현상과 지면의 고저로 인해 높은 곳으로 우레탄이 도포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트타입의 제2복합층을 채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도막을 도포 및 건조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복합층으로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며, 코너의 하자보수에 효과적이며, 시공 후 적층체 간 분리, 들뜸과 균열을 방지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방수 시공에 적합하여 효과적인 방수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H7700, LG화학 社) 필라멘트 섬유를 방사하여 평량이 150g/㎡이 되도록 연속 이동하는 벨트 상에 다층 웹으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평균두께가 1.2㎜인 제1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평균두께 0.8㎜인 PVC필름을 열접착하여 전체 두께가 2.0㎜인 제1복합층을 제조하였다.
평균두께가 0.8㎜이고, 평량이 70g/㎡인 섬유망사층의 양면에 평균두께 1.0㎜의 연질우레탄시트를 열압착하여 전체두께가 2.5㎜인 제2복합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복합층에서 PVC 합성수지시트 면과 제2복합층의 우레탄시트가 대면되도록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15 X 15cm 규격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제1복합층의 모서리에서 5cm 길게 이음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이음부는 위아래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스성형하여 표면조도(Ra)가 5㎛인 이음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이음부와 다른 고분자 연성 적층체(15 X 15cm)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였으며,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테스트 스피드 50㎜/min 측정조건에서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H7700, LG화학 社) 필라멘트 섬유를 방사하여 평량이 150g/㎡이 되도록 연속 이동하는 벨트 상에 다층 웹으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평균두께가 1.2㎜인 제1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필라멘트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밀도가 0.940g/㎤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5중량부 포함하는 필라멘트 섬유를 방사하여 평량이 80g/㎡이 되도록 연속 이동하는 벨트 상에 다층 웹으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평균두께가 0.5㎜인 제2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2부직포 상에 제1부직포를 적층하고, 여기에 평균두께 0.8㎜인 PVC필름을 동시에 열접착하여 전체 두께가 2.5㎜인 제1복합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복합층의 제조 시, 평균두께 1.0㎜의 연질우레탄시트를 대신하여 섬유망사층의 양면에 평균두께 1.0㎜의 PVC 타포린 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복합층의 제조 시, 평균두께 1.0㎜의 연질우레탄시트를 대신하여 섬유망사층의 상부에 평균두께 1.0㎜의 PVC 타포린 시트, 섬유망사층의 하부에 평균두께 1.0㎜의 무수말레산으로 그라프트 개질된 산변성 PE 타포린 시트(산변성 PE 산가:20㎎/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H7700, LG화학 社) 필라멘트 섬유를 방사하여 평량이 150g/㎡이 되도록 연속 이동하는 벨트 상에 다층 웹으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평균두께가 1.2㎜인 제1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평균두께 0.8㎜인 PVC필름을 열접착하여 전체 두께가 2.0㎜인 제1복합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PVC 필름 표면에 액상 폴리우레탄 도막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2]
제1복합층에 이음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3]
고분자 연성 적층체에 이음부를 형성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4]
상기 이음부에서 요철형성을 위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5]
제2복합층의 이음부 형성시 위아래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스성형하여 표면조도(Ra)가 30㎛인 이음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제조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106988945-pat00001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 대상면에 고분자 연성 적층체를 시공을 한 결과, 특정 범위의 표면조도를 가지는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적층체의 접착강도가 현저히 상승하여 들뜸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도막을 도포 및 건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적층체의 시공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시트 타입이 아닌 도막 방수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함으로써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크랙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 2는 제1복합층에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부착되는 면의 재질이 상이하여 접착강도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은 이음부를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굴곡면 및 코너 부분의 하자 보수 및 방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및 5는 이음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표면조도 범위가 달라짐에 따라 접착력이 다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시트 형태의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여 제조한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와 시트 형태의 타포린층을 포함하여 제조한 상기 실시예 3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경우, 인장강도, 파단강도, 고온 신장률, 접착강도 및 표면조도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사한 수준의 물성을 가짐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시트 형태의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하는 제2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으로 형성된 표면조도 1 내지 10㎛의 이음부를 구성으로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 및 상기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5의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결과를 비교할 경우, 종래의 액상 폴리우레탄 도막조성물을 대신해 연성이 높은 상기 시트 형태의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을 포함하는 제2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구성으로 포함함으로써 8배 이상의 고온 신장률 향상효과, 5배 이상의 인장강도 및 접착강도 향상효과 및 9배 이상의 파단강도 향상 효과가 나타나 예상치 못한 현저한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의 향상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1 내지 10㎛의 표면조도를 가지는 이음부를 구성으로 포함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80% 이상의 현저한 접착력 향상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산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여 접착 성능이 우수한 타포린층을 제2복합층의 섬유망사층 하부에 포함할 경우 접착강도가 8.3배가량 향상하여 접착강도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기계적 물성, 접착성 및 내구성이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고분자 연성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20 : 제1복합층 21 : 부직포 22 : 합성수지층
30 : 제2복합층 31 : 이음부 32 : 섬유망사층
33 :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 100 : 고분자 연성 적층체

Claims (13)

  1. 부직포의 어느 일면에 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되어 있는 제1복합층; 및
    상기 제1복합층의 합성수지시트 면에 가열 압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접합되어 형성되며, 섬유망사층의 양면에 폴리우레탄 시트 또는 타포린 시트를 가열 압착하여 섬유망사층이 폴리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 사이에 매입된 시트 형태의 제2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제1복합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복합층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하고,
    10 ≤ 60E ≤ 40 [식 1]
    15 ≤ TS ≤ 40 [식 2]
    80 ≤ BR ≤ 120 [식 3]
    (상기 식 1에서 60E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60℃에서 측정된 신장률(%)이며, 상기 식 2에서 TS는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인장강도(N/㎜)이고, 상기 식 3에서 BR은 KSF491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파단강도(N)이다.)
    15 × 15cm이며, 이음부가 5cm로 형성될 때, 만능재료시험기로 테스트 스피드 50㎜/min 으로 측정된 상기 이음부의 접착강도가 10 내지 30 kgf/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시트는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저밀도폴리에틸렌, 중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계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망사층은 평량이 60 내지 100 g/㎡인 PVC 섬유로 형성된 것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타르우레탄, 노출우레탄, 수화반응형 우레탄, 경질 우레탄 및 연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연성 적층체는 상기 제2복합층 상부에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난연제가 포함된 것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층의 상부에 도트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평균두께는 0.5 내지 5 ㎜이며,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고,
    상기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가 적층된 상기 제1복합층의 평균두께가 1 내지 5㎜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층 및 타포린층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고,
    상기 섬유망사층의 평균두께는 0.1 내지 1 ㎜이며,
    상기 우레탄층 또는 타포린층과 섬유망사층이 합지된 상기 제2복합층의 평균두께가 0.5 내지 3 ㎜인 고분자 연성 적층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100 내지 200g/㎡인 제1부직포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평량이 50 내지 150g/㎡ 제2부직포가 열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직포에는 밀도가 0.925 내지 0.950 g/㎤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밀도가 0.940 내지 0.950 g/㎤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KS B 0161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된 표면조도(Ra)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성 적층체.
  13. 삭제
KR1020150153909A 2015-08-17 2015-11-03 고분자 연성 적층체 KR101617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5554 2015-08-17
KR1020150115554 2015-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404B1 true KR101617404B1 (ko) 2016-05-02

Family

ID=5602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09A KR101617404B1 (ko) 2015-08-17 2015-11-03 고분자 연성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4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8A (ko) * 2017-04-04 2018-10-12 (주)세원방수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킨 인공지반 녹화에 사용되는 구조물 적층체
KR20180131910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3974A (ko) * 2020-12-28 2022-07-0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고분자 연성적층제를 이용한 차열 단열 방수시트
KR102470737B1 (ko) * 2021-09-17 2022-11-28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47B1 (ko) * 2001-11-26 2005-01-13 (주)아해 폴리우레탄 방수재,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그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227035B1 (ko) * 2012-06-04 2013-01-28 이해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68017B1 (ko) * 2014-03-21 2014-12-02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47B1 (ko) * 2001-11-26 2005-01-13 (주)아해 폴리우레탄 방수재,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그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227035B1 (ko) * 2012-06-04 2013-01-28 이해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68017B1 (ko) * 2014-03-21 2014-12-02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8A (ko) * 2017-04-04 2018-10-12 (주)세원방수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킨 인공지반 녹화에 사용되는 구조물 적층체
KR101933848B1 (ko) * 2017-04-04 2019-04-05 (주) 세원방수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킨 인공지반 녹화에 사용되는 구조물 적층체
KR20180131910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023B1 (ko) * 2017-06-01 2019-02-25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3974A (ko) * 2020-12-28 2022-07-0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고분자 연성적층제를 이용한 차열 단열 방수시트
KR102511605B1 (ko) * 2020-12-28 2023-03-21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고분자 연성적층제를 이용한 차열 단열 방수시트
KR102470737B1 (ko) * 2021-09-17 2022-11-28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890B1 (ko) 개선된 성능을 갖는 단열 보드
KR101617404B1 (ko) 고분자 연성 적층체
US6468643B1 (en) Laminated product
JP2010537846A (ja) ポリマー層を含む基材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1798443B1 (ko) Sbs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5993A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JP2012021315A (ja) 複合防水シート、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US20220339913A1 (en) Self-healing sealing device
KR101184220B1 (ko) 환경 친화적인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폴리올레핀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JP2006057444A (ja) コンクリート防水処理用透湿性複合シート
KR101032451B1 (ko) 교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방법
KR101232871B1 (ko) 결합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및 방수/방근 시공 방법
KR20050027200A (ko)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52627B1 (ko) 바닥재
KR100533577B1 (ko) 다층 복합형 방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0939B1 (ko) 개량아스팔트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482747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JP2001138420A (ja) 補強用シート及びこの補強用シートを用いる道路の強化法
KR102280015B1 (ko)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728129B1 (ko) 고점착 이음매가 포함된 저온 접합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697819B1 (ko) 교면용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48213B1 (ko) 실리콘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