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296B1 -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96B1
KR102609296B1 KR1020210005799A KR20210005799A KR102609296B1 KR 102609296 B1 KR102609296 B1 KR 102609296B1 KR 1020210005799 A KR1020210005799 A KR 1020210005799A KR 20210005799 A KR20210005799 A KR 20210005799A KR 102609296 B1 KR102609296 B1 KR 10260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wpf
preventing
baeksu
polysaccharide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334A (ko
Inventor
이은정
조장원
홍희도
장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0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식품 조성물 및 악학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menopausal symptome comprising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Cynanchum wilfordii}
본 발명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트로겐(estrogen)은 세포 수의 증가와 분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을 한다. 에스트로겐의 생물학적 작용들은 핵 수용체 슈퍼 페밀리에 속하는 두 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를 통하여 그 활성을 발휘한다(Nilsson et al., 2001, Physiol. Rev., 81(4):1535-1565.). 에스트로겐 수용체(ER)의 작용메커니즘은 에스트로겐과 세포 내 에스트로겐 수용체들과의 결합으로 수용체들의 이합체(dimer)를 형성하고 이들이 표적 유전자(target gene)의 프로모터(promoters)에 위치한 특정한 에스트로겐 수용체 요소(estrogen response elements, EREs)와 결합함으로써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두 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서로 다른 조직분포 패턴, 리간드 결합력과 전이활성 부위를 가지므로 이러한 차이는 다른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작용제(agonists)와 저해제(antagonists)의 서로 다른 선택적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Kuiper et al., 1997, Endocrinology, 138(3):863-870.).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은 폐경기여성의 호르몬대체요법과 생식기암의 화학요법제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들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 중, 조직선택성 및 두 가지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제 또는 저해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selective ER modulators, SERMs)라고 한다(Paech et al., 1997, Science, 277:1508-1510.). 대표적인 SERM으로는 랄록시펜(raloxifene)과 타목시펜(tamoxifen)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호르몬제제는 에스트로겐의 보충을 할 수 있으나 심장질환, 치매와 유방암의 발병위험을 동반한다(Chlebowski et al., 2003, J.A.M.A., 289, (24):3243-3253.). ER-α는 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ER-β는 종양억제인자가 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조직선택적이고 ER-α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면서 ER-β에는 작용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을 도출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제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s)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체내에서 생성된 에스트로겐의 역할들을 모방하거나 조절하는 화합물이다(Setchell, 1998, Am. J. Clin. Nutr., 68:1333-1346.). 이 화합물들은 구조적으로 다양하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스틸벤(stilbenes) 및 리그난(lignans)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적 특징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해 에스트로겐성 또는 항에스트로겐성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대부분은 두 종류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두의 유전자들을 활성화시키는데, ER-α 또는 ER-β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발굴할 수 있다면, 에스트로겐의 암 유발 부작용을 최소화한 호르몬 대체제로 개발할 수 있다. ER-α 또는 ER-β의 두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각종 갱년기 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에만 선택적인 활성을 가진 물질을 연구하던 중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에만 선택적으로 활성을 나타내므로 여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820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67 중량%, 우론산(uronic acid) 30 내지 40 중량% 및 단백질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푸코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및 만노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전체 중성 다당 대비 아라비노오스 80 내지 90 mg/g, 람노오스 20 내지 30 mg/g, 갈락토오스 65 내지 75 mg/g, 푸코스 1 내지 10 mg/g, 글루코오스 220 내지 230 mg/g, 자일로오스 1 내지 10 mg/g 및 만노오스 5 내지 15 mg/g일 수 있다.
상기 우론산은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β(ER-β)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은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일 수 있다.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백수오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매로 추출된 용매 추출물에서 분자량 3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β(ER-β)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에스트라디올의 수치 변화없이 자궁위축 및 골 손실을 억제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자궁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B는 실험 후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체중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C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에스트라디올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D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E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T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F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 마우스의 대퇴골 방사선 사진이며(소프트 X-선 분석); 도 2B는 상기 도 2A의 소프트 X-선 사진을 정량화한 그래프이고; 도 2C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혈청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D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오스테오칼신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2E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TRAP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F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G는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TRAP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염색한 사진이다.
도 3A는 양성 대조군으로서의 β-estradiol가 ER-α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며; 도 3B는 β-estradiol가 ER-β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고; 도 3C는 CWPF 및 CWE가 각각 ER-α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며; 도 3D는 CWPF 및 CWE가 각각 ER-β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다.
도 4A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의 성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의 발현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이고; 도 4C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에서 HER2, HER3 및 PTEN의 mRNA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ER-α의 mRNA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B는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ER-β의 mRNA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의 발현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및 이를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백수오(Cynanchum wilfordii)는 은조롱의 덩이뿌리로서, 간신(肝腎)을 보충해주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를 좋게 하며, 해독의 기능이 있다. 이런 효능을 이용해 간신허증(肝腎虛證), 양위증, 유정(遺精), 요슬산연, 비허불운(脾虛不運), 완복창만(脘腹脹滿), 설사, 나이에 비해 흰 머리가 빨리 날 때, 산후 젖이 부족할 때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67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5 중량%; 우론산(uronic acid) 3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중량%; 및 단백질 3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우론산은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노오스(arabinose), 람노오스(rhamnose), 갈락토오스(galactose), 푸코스(fucose), 글루코오스(glucose), 자일로오스(xylose) 및 만노오스(mannos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성당류는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구성하는 전체 중성 다당 대비 아라비노오스 80 내지 90 mg/g, 람노오스 20 내지 30 mg/g, 갈락토오스 65 내지 75 mg/g, 푸코스 1 내지 10 mg/g, 글루코오스 220 내지 230 mg/g, 자일로오스 1 내지 10 mg/g 및 만노오스 5 내지 15 mg/g인 다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백수오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매로 추출된 용매 추출물에서 분자량 3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백수오를 용매로 추출하여 백수오 용매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수오는 건조되지 않은 것 또는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된 것 또는 분말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수오와 추출용매는 1 : 20 내지 5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35 내지 4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90 내지 110 ℃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된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99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백수오를 기준으로 추출용매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백수오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기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용매로 추출된 백수오 추출물에서 원심분리, 용매분획 또는 여과 등의 방법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다당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로 부터 분자량 30 kDa 이상의 고분자 다당 분획물을 회수한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분자량을 기준으로 정제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 용매분획 또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를 들 수 있다. 또한, 최종 다당 분획물의 형태는 추출물, 농축물 또는 분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백수오 유래 분획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30 kDa 미만의 것을 제거함으로써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CWPF)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최종 다당 분획물에 50~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저분자 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다당 정제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종래의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과 다르게, 에스트로겐 수용체 β(ER-β)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의 여성 갱년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백수오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분획물뿐만 아니라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광의로는 백수오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백수오의 가공물, 예컨대, 백수오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백수오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1 내지 20 mg/K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g/kg의 농도로 사용된다.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부 외용제,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경구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조성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CWPF)
강원도 정선에서 2년 동안 자란 백수오를 구입(영동약초농업협회, 충북제천)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백수오 분말 1 kg에 물 44 L를 혼합하여 95 ℃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기 백수오 추출물을 4 ℃에서 6,500Xg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한외여과로 여과시켜 분자량이 30 kDa 이상의 고분자 분획물을 회수하여 백수오 다당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백수오 추출물(CWE)
강원도 정선에서 2년 동안 자란 백수오를 구입(영동약초농업협회, 충북제천)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백수오 분말 1 kg에 물 44L를 혼합하여 95 ℃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백수오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분획물의 구성당 분석
총 당 함량은 포도당을 표준으로 사용하는 페놀-황산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우론산과 단백질 함량은 갈락투론산을 표준으로 사용한 mhydroxydiphenyl 황산법과 소혈청 알부민(BSA,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사용한 Bradford 법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단당류 조성물은 펄스 전류 측정법(HPAEC-PAD)과 결합된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었다.
하기 [표 1]에서 Uronic acid는 Galacturonic acid, Glucuronic acid를 지칭하는 것이다. 중성당을 구성하는 당들은 전체 중성 다당을 기준으로 성분의 함량을 표시한 것이다.
Chemical composition(단위: 중량%) 실시예 1(CWPF) 비교예 1(CWE)
Neutral sugar 62.69±1.55 70.07±2.13
Uronic acid 32.18±2.96 27.69±1.81
Protein 4.04±0.14 1.49±0.46
Component of neutral sugar(단위: mg/g)
arabinose 85.06±3.08 16.11±0.26
galactose 69.66±2.07 15.74±0.44
rhamnose 22.20±0.37 14.08±0.67
xylose 2.36±0.08 3.45±0.34
glucose 226.74±8.50 171.08±2.89
mannose 8.69±0.34 3.93±0.19
fucose 4.93±0.94 5.01±0.85
fructose 0.0 0.0
Component of Uronic acid(단위: mg/g)
Galacturonic acid 167.24±3.46 27.63±1.25
Glucuronic acid 4.56±0.33 1.00±0.19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백수오 조다당 분획물(CWPF)은 비교예 1의 백수오 추출물(CWE)에 비하여 우론산 및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성 다당 중에서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백수오 조다당 분획물(CWPF)의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만노오스의 함량이 비교예 1의 백수오 추출물(CWE)에 비하여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동물실험
실험동물
난소가 절제된 C57BL/6J 암컷 마우스(9 주령)는 Japan SLC(Shizuoka, Japan)에서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통제된 온도(23 ℃) 및 12시간 빛 조명/12시간 암전(12시간 빛, 오전 7시 ~ 오후 7시; 12시간 암전, 오후 7시 ~ 오전 7시)에 보관하고 정상적인 사료(Teklab 2018S 식이, Harlan Laboratories, 미국 인디애나 폴리스, 미국)를 먹였다. 회복 및 적응을 위한 수술 3주 후, 마우스에게 실시예 1의 분획물, 비교예 1의 추출물 및 비히클(DW)을 각각 8주 동안(주당 5 회) 경구 투여하고 매주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끝나면 마우스를 마취하고 자궁 조직을 채취하였으며, 혈장 샘플은 마우스에서 채취하여 분석 전에 -80 ℃에서 보관하였다. 동물 실험은 한국식품연구원 동물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위원회(승인 번호 : KFRI-M-18008)의 검토 및 승인을 받았다.
-4개 군의 마우스-
1군(sham군): 비난소 절제 대조군
2군(OVX군): 난소절제 군
3군(CWPF군): 난소절제 후 실시예 1의 다당 분획물 200 mg/kg 투여
4군(CWE군): 난소절제 후 비교예 1의 추출물 200 mg/kg 투여
통계분석은 평균 ± SEM으로 표시되며 ANOVA에 이어 사후 분석을 위한 Dunnett의 테스트가 여러 통계 비교에 사용되었다. p <0.05의 확률 값이 통계적 유의성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CWE와 CWPF의 화학 성분 비교를 위해 Student 's t-test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Sigmaplot V.13.0(Systat Software Inc., Point Richmond,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2-1. 마우스의 체중 및 자궁 무게 측정
도 1A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자궁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B는 실험 후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체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또한, 하기 표 2는 각 군의 시간 별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것이다.
구분(단위: g) sham군 OVX군 CWEF군 CWE군
수술 전 18.9±0.3 18.4±0.3 18.1±0.2 18.2±0.2
수술 후 0주 18.9±0.5 21.2±0.4 21.5±0.3 21.6±0.4
수술 후 4주 20.9±0.4 23.5±0.4 22.1±0.4 22.1±0.4
수술 후 6주 21.7±0.5 25.0±0.6 23.1±0.5 22.9±0.6
수술 후 8주 22.2±0.28 26.9±0.9 24.4±0.5 24.1±0.6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소 절제술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이 끝날 때 Sham군과 OVX군 사이의 자궁 무게를 비교한 결과, Sham군과 비교하여 OVX군에서 심각한 자궁 위축을 관찰되었으며, CWPF군 및 CWE군의 자궁무게는 OVX군에 비하여 각각 4.1배 및 2.4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 표 2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3주 후(0 주)에 OVX군의 평균 체중은 Sham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2]), 8주간의 실험에서 OVX군은 Sham군에 비하여 상당한 체중증가를 보였으나 이는 CWE 및 CWPF를 투여함으로써 완화되었다.
각 군의 % 자궁/체중 비율은 OVX군에 비하여 CWPF군서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2-2. 에스트라디올, 난포자극호르몬(FSH), 트리글리세라이드(TG) 및 혈장 콜레스테롤의 농도 측정
도 1C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에스트라디올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D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E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T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F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시험은 마우스의 혈장 샘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에스트라디올 및 난포자극호르몬(FSH)은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총 트리글리세리드(TG) 및 총 콜레스테롤(TC)은 각각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측정 키트(Sigma-Aldrich)와 콜레스테롤 키트(Biovision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상기 혈장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HDL 및 LDL/VLDL 정량 비색 키트(Biovision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장 에스트라디올 수치는 Sham군이 OVX군, CWPF군 및 CWE군에 비하여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혈장 FSH 농도는 난소절제에 의해서 높아진 수치(OVX군)가 CWPF 및 CWE의 투여에 의해 정상 수준(Sham군)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CWPF군은 TG, TC, HDL-c 및 LDL-c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OVX 유발성 고지혈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난소 절제술 후 에스트로겐 치료는 C57BL/6 마우스에서 자궁 비대를 유발하고 혈장 에스트라디올을 증가시키며, 혈장 FSH, TG 및 TC를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에스트로겐 치료는 호르몬 교란을 유발하여 유방암을 비롯한 여러 부인과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어 치료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과는 종래와 달리 CWPF군이 혈장 에스트로겐 수치의 변화없이 자궁 및 혈청 지질 프로필에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3. 골 손실 및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효과 측정
도 2A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 마우스의 대퇴골 방사선 사진이며(소프트 X-선 분석); 도 2B는 상기 도 2A의 소프트 X-선 사진을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량화한 그래프이고; 도 2C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혈청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D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오스테오칼신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2E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TRAP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F는 1군(sham군), 2군(OVX군),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G는 3군(CWPF군) 및 4군(CWE군)의 TRAP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염색한 사진이다(바: 100 μm)
실험이 끝날 때 마우스에서 대퇴골을 채취하여 소프트 X-선 분석에 사용하였다. 소프트 X-선 이미지는 대퇴 말단부에서 소프트 X-선 장치(DX80; SOFTEX, 도쿄, 일본)를 사용하여 촬영되었으며, X-선 매개 변수는 모든 샘플에 대해 40 kV 및 40 microA이다. 또한, 섬유주 광물 밀도(trabecular mineral density)의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Image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위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정량화했다.
또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및 오스테라디올(OC)은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TRAP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골수유래 대식세포(BMM)를 준비하고 10% FBS(Thermo Fisher Scientific) 및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M-CSF)를 포함하는 α-MEM(Thermo Fisher Scientific, ockford, IL, USA)에서 배양했다. 세포는 3일 동안 M-CSF(60 ng / mL)의 존재하에서 CWE 및 CWPF(각각 5-40 μg/mL)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처리되었다. 세포 생존력에 대한 CWE 및 CWPF의 효과는 Cell Counting Kit-8(CCK-8) 분석 키트(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파골 세포 분화를 위해, BMM은 6-웰 플레이트에서 1X10 cells/well 또는 96-웰 플레이트에서 1X10 cells/well로 접종하고 60 ng/mL M-CSF 및 핵 인자 -κB 리간드 (RANKL)의 100 ng/mL 수용체 활성화제로 처리되었다. CWE와 CWPF(각각 5-40 μg/mL)를 BMM에 투여하고 4일 동안 배양하였다. 파골 세포 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타르트산염 저항성 인산분해효소(TRAP) 염색을 수행하였다. TRAP 양성 다핵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비색 포스파타제 기질 p-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p-NPP)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폐경기 후 골다공증에 대한 CWE와 CWPF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WPF군은 골 감소의 유의한 억제를 보였지만, CWE군은 OVX군에 비하여 억제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WPF의 항 골다공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폐경기 후 골다공증의 조기 진단 마커로 사용되는 골 전환 마커, ALP 및 OC의 변화에 대한 CWPF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P와 OC의 농도는 CWPF의 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RAP assay를 이용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측정하여 CWE와 CWPF가 파골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는 CWPF 농도는 M-CSF 및 RANKL로 처리된 BMM에서 용량 의존적 TRAP 활성억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WPF 처리가 분화된 파골세포의 성숙도 억제를 의미한다. CWE는 CWPF 보다 TRAP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CWPF는 40 μg/mL에서 세포 생존력이 72.1%인데 이러한 낮은 세포 생존력은 파골세포에 대한 CWPF의 억제 효과의 원인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실시예 1의 CWPF 투여는 난소 절제된 마우스에서 뼈 손실을 억제한다.
2-4. ER-β 작용제로의 특성 확인
CWPF가 ER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 측정
ER-α 및 ER-β 작용제 분석은 β-estradiol, CWE 및 CWPF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 3A는 양성 대조군으로서의 β-estradiol가 ER-α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며; 도 3B는 β-estradiol가 ER-β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고; 도 3C는 CWPF 및 CWE가 각각 ER-α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며; 도 3D는 CWPF 및 CWE가 각각 ER-β 발현 세포에서 처리된 그래프이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R) α 및 β의 리포터 유전자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용 인간 ER 리포터 분석 패널을 사용하였다(Cayman, Ann Arbor, MI, USA). 양성 대조군으로 Sigma-Aldrich에서 구입한 17β-estradiol(E2)을 사용했으며, 작용제 모드 분석은 0 내지 500 μg/mL 범위의 다양한 농도의 CWE 및 CWPF를 테스트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ER-α 및 ER-β 리포터 세포는 발광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시드되고 CWE, CWPF 및 E2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된다. 각 웰에서 배지 내용물을 제거한 후, 100 μl의 루시페라이제(luciferase) 검출 시약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배양하였다. 0.5초(500 ms)의 판독 시간으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Varioskan Flash, Thermo Fisher Scientific, 발광 모드)를 사용하여 발광을 정량화하였다. RLU(Relative Light Unit)는 양성 작용제 E2의 최대 활성을 기준으로 정규화된 발현으로 계산되었으며 각 샘플 농도의 평균 및 표준 편차(n = 3)가 결정되었다.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2가 견고하고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루시퍼라제 리포터의 ER-α 및 -β 발현을 모두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및 도 3B).
또한, 루시퍼라제 리포터의 ER-β 발현만이 CWE 및 CWPF 처리에 용량 의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CWPF 처리에 대하여 ER-β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D).
한편, ER-α는 CWE 및 CWPF 처리에 용량 의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C).
이러한 결과는 CWPF가 ER-β 선택적 작용제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CWPF는 동일한 농도에서 CWE에 비해 ER-β를 활성화하는 능력이 훨씬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ER-α 신호 전달 경로가 아닌 ER-β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 확인
도 4A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의 성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의 발현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이고; 도 4C는 E2, 대조군 및 CWPF의 다양한 농도로 처리된 MCF7 세포에서 HER2, HER3 및 PTEN의 mRNA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WPF가 ER-α 신호 전달 경로가 아닌 ER-β 신호 전달 경로로 활성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ER 양성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MCF7 인간 유방암 세포는 Korean Type Culture Collection(KTCC, Seoul, Korea)에서 획득하여 10% FBS(GIBCO), 100 unit/mL 페니실린(Sigma-Aldrich)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igma-Aldrich)이 보충된 RPMI1640 배지 (GIBCO, Grand Island, NY, USA)에서 배양되었다. 세포는 CO2 인큐베이터에서 37 ℃로 유지되었으며, 인간 유방암 세포 성장에 대한 CWPF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MCF7 세포(1X 104 cells/mL)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다양한 농도의 CWPF와 함께 72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MTT(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USB Corporation, Cleveland, OH, USA)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고 (최종 농도 : 0.5 mg / mL) 37 ℃에서 1 시간 더 인큐베이션하여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디메틸설폭사이드(Sigma-Aldrich)를 적용하여 포르마잔을 용해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Varioskan Flash, Thermo Fisher Scientific)를 감지하여 세포 성장을 결정했다. 상기 흡광도는 멀티모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Varioskan Flash,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로 측정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롯 분석은 MCF7 세포 및 자궁 용해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MCF7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무혈청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밤새 굶겼다. CWPF 및 E2를 6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를 수확하여 단백질을 얻었으며, 상기 단백질은 BCA 단백질 분석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로 정량화되었다. 블롯팅 후,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리드 멤브레인(Thermo Fisher Scientific)을 4 ℃에서 밤새 p-Akt(Ser473), Akt, p-ERK(Tyr705) 및 ERK(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에 대한 1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로딩 대조군으로 β- 액틴 항체(Sigma-Aldrich)를 사용했으며, 단백질 밴드는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접합된 2차 항체와의 혼성화 후에 화학 발광 검출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 및 Alliance Mini HD9 (UVITEC, Cambridge, UK)를 사용하여 시각화되었다. 밴드 강도의 정량화는 ImageJ 소프트웨어(v1.51j)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도 4C의 mRNA 수준은 특정 프라이머를 사용한 정량적 실시간 PCR에 의해 결정된다. 100 mm 접시에 시드된 MCF7 세포를 무혈청 RPMI1640 배지로 밤새 굶겼다. 세포를 CWPF 또는 E2(10 nM)에 6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RNeasy 키트 (Q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RNA를 분리하기 위해 수확하였다. iScript ™ cDNA 합성 키트(Biorad, Hercules, CA, USA)를 통해 cDNA의 합성에 총 RNA 1 마이크로그램을 사용하였다. PCR은 Fast SYBR Green Master Mix 키트(Life Technologies, Gaithersburg, MD, USA)를 사용하여 StepOne Plus 기기(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에서 실행되었다. 상기 시험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3]에 제시되었다. 상대적 mRNA 발현은 특정 프라이머에 의해 결정되었고 MCF7 샘플의 경우 TATA 결합 단백질 (TBP)로, 마우스 샘플의 경우 β- 액틴으로 정규화되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E2 처리군에서 3일 동안 MCF7의 세포 성장을 측정한 결과, 48시간 후에 유의한 세포증식을 보인 반면, CWPF로 처리한 MCF7 세포는 48시간 동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00 μg/mL 및 200 μg/mL의 CWPF로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각각 86.2% 및 84.8%의 생존율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WPF가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E2와 다른 별개의 경로를 통해 작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CWPF는 ER-α가 아닌 ER-β 선택적 작용제로서 작용하고 ER-β 관련 신호 경로를 활성화된다고 사료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인 비히클 처리된 세포에 비해 CWPF로 처리된 MCF7 세포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가 약간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MCF7 세포를 ER-β로 처리한 이전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HER2)와 HER3의 mRNA 수준은 CWPF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고, 10번 염색체(PTEN)에서 삭제된 포스파타제 및 텐신 동족체(Tensin Homolog)는 CWPF 처리된 세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WPF가 PTEN/Akt 및 HER2/HER3 신호 전달과 같은 ER-β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예컨대, CWPF가 ER-β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MCF7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킨다.
자궁에서 ER-β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확인
도 5A는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ER-α의 mRNA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B는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ER-β의 mRNA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1군(sham군), 2군(OVX군) 및 3군(CWPF군)의 자궁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의 발현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및 이를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상기 Akt 및 ERK의 인산화 그래프는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자궁에서 ER-β의 mRNA 수준은 OVX군에 비해 CWPF군에서 증가하였지만 ER-α는 증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F7 세포를 사용한 in vitro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여 CWPF 처리 마우스의 자궁에서 Akt 및 ERK의 인산화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WPF가 PTEN/Akt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ER-β 관련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난소 절제술로 유발된 폐경기 후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CWPF는 ER-β 신호 전달 경로를 특이적으로 활성화시켰으나 에스트라디올 생산 증가나,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ER-α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난소 절제술로 인한 골 손실은 골아 세포 및 파골 세포에 의한 뼈 흡수에 의해 발생되는 골 형성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 항상성 파괴에 의해 유발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난소 절제된 설치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OC 및 ALP 수치가 상승하여 골 회전율이 증가했다고 보고되어 있다. E2 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수준의 회복은 난소 절제된 설치류 모델에서 뼈 손실을 보호하고 ALP 및 OC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OC와 ALP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조기 진단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WPF 투여가 OVX 마우스에 비해 ALP 및 OC의 수준이 감소된 난소 절제된 마우스의 골 밀도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CWPF가 생체 내에서 난소 절제술로 인한 골 손실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CWPF가 TRAP 활성을 억제하여 BMM을 이용한 파골 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 μg/mL의 CWPF 처리가 파골 세포 전구체의 세포 생존율을 감소(대조군 대비 27.9% 감소, 도 2F)시킬 뿐만 아니라 파골 세포 분화 억제 효과(대조군 대비 77.8% 억제, 도 2E)를 보인다. 분화에 대한 억제 효과는 파골 세포의 세포 생존력 감소 효과보다 크지만 파골 세포의 세포 생존은 CWPF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분명하다.
에스트로겐은 비고전적인 ER-α 작용에 의해 매개된 파골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파골 세포 아폽토시스에 대한 CWPF의 효과는 ER-β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제안될 수 있다.
또한 CWPF를 투여한 마우스에서 감소된 FSH 수준은 난소 절제술로 인한 골 손실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1D). 종래에는 마우스에서 FSH 수용체의 삭제가 난소 절제술 후 골 손실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FSH가 폐경기 후 골 손실을 주로 담당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CWPF는 난소 호르몬의 손실로 인한 골 손실을 줄여 폐경기 후 골다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더욱이, 본 발명은 CWPF가 ER-β에 대한 선택적 작용제임을 확인하였다. 종래에는 ER-β가 유방암 세포에서 HER2 및 HER3의 발현을 하향 조절함으로써 PTEN/PI3K/Akt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한다고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험을 통해 PTEN/Akt 신호 전달 경로(PTEN 상향 조절 및 Akt 하향 조절)에 대한 CWPF의 효과가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조건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MCF7 세포에서 에스트라디올은 ER-α와 -β에 의해 다르게 조절되는 ERK의 인산화를 빠르게 유도한다(도 4B). ERK의 인산화 변화는 MCF7 세포와 CWPF 투여 마우스의 자궁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4B 및 5C).
이러한 결과는 CWPF 치료가 PTEN/Akt 및 ERK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ER-β 관련 신호를 조절하여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고 에스트로겐 효과를 예방함을 의미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1)

  1.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67 중량%, 우론산(uronic acid) 30 내지 40 중량% 및 단백질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푸코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및 만노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전체 중성 다당 대비 아라비노오스 80 내지 90 mg/g, 람노오스 20 내지 30 mg/g, 갈락토오스 65 내지 75 mg/g, 푸코스 1 내지 10 mg/g, 글루코오스 220 내지 230 mg/g, 자일로오스 1 내지 10 mg/g 및 만노오스 5 내지 15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론산은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β(ER-β)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은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백수오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매로 추출된 용매 추출물에서 분자량 3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67 중량%, 우론산(uronic acid) 30 내지 40 중량% 및 단백질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삭제
KR1020210005799A 2021-01-15 2021-01-15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9A KR102609296B1 (ko) 2021-01-15 2021-01-15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9A KR102609296B1 (ko) 2021-01-15 2021-01-15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34A KR20220103334A (ko) 2022-07-22
KR102609296B1 true KR102609296B1 (ko) 2023-12-05

Family

ID=8260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799A KR102609296B1 (ko) 2021-01-15 2021-01-15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KR101544532B1 (ko) 2013-10-17 2015-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4835B1 (ko) * 2018-10-18 2020-11-05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1314B1 (ko) * 2018-10-18 2020-12-16 한국식품연구원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3A (ko) * 2018-12-31 2020-07-08 (주) 노바렉스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TRIENTS 제8권 제10호, 600, 1_19쪽, 2016년 09월 27일.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제21권 제4호, 373_377쪽, 2016년 12월 31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34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351B2 (en)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WO2007066928A1 (en) Use of the extract of caesalpinia sappan l. and compounds therefrom
AU2018203677A1 (en) Modified polyphenol compositions
KR100686469B1 (ko)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KR102042486B1 (ko) 갈근 추출물 및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463231B (zh)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2179585A (ja) 骨代謝改善剤及び骨粗鬆症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物
KR20190092831A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3909A (ko)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9296B1 (ko)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25661A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110032446A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130081A1 (ko) Stat3 저해활성을 갖는 토목향 헥산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1401804A (zh) 丹参酚酸b在制备防治骨质疏松症药物制剂中的应用
KR20190136512A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27625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ease
JP7352275B2 (ja) 更年期症状改善用組成物
KR102106401B1 (ko) 마치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39234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US2024011553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east cancer comprising compound derived from dendropanax morbiferus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0627B1 (ko) 헛개나무 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