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917B1 -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917B1
KR102608917B1 KR1020230015922A KR20230015922A KR102608917B1 KR 102608917 B1 KR102608917 B1 KR 102608917B1 KR 1020230015922 A KR1020230015922 A KR 1020230015922A KR 20230015922 A KR20230015922 A KR 20230015922A KR 102608917 B1 KR102608917 B1 KR 10260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unting plate
support member
horizontal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섭
김광희
김기철
양근모
Original Assignee
트리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폴건설(주) filed Critical 트리폴건설(주)
Priority to KR102023001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32Installing or removing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g. sole-plates, 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10Mak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leepers or slabs in situ or embedd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이동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위치이동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 상기 위치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레일의 폭방향 양쪽에 집거나 그 집은 것을 해제하는 레일홀딩유닛;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는 높이조절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매립궤도에서 두 개의 레일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또한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 정밀도를 높인다.

Description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APPARATUS FOR FIXING RAIL SPACING IN EMBEDDED RAIL TRA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MBEDDED RAIL TR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기오염이 없는 친환경 대중교통망구축을 위해 주요 광역시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시철도의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철도의 궤도는 유지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슬래브궤도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나, 자동차 중심의 기존 교통체계와 도로를 공유할 수 없는 관계로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궤도의 경우 설치를 위해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도시철도에서 유발되는 과다한 소음 및 진동으로 차량과 구조물의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동차 및 보행자와 도로를 공유할 수 있는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이하, 레일매립궤도라 함)이 개발 시공되고 있다.
레일매립궤도는 궤도를 따라 시공된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도상콘크리트가시공되고 그 도상콘크리트의 상면에 형성된 두 개의 레일홈들에 각각 레일을 위치시키고 그 레일홈에 채움재로 수지가 채워져 레일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일매립궤도는 도상콘크리트의 상면에 구비된 두 개의 레일홈에 각각 레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채움재를 채우고 그 채움재가 경화되어 레일을 고정하게 되므로 도상콘크리트의 상면에 구비된 두 개의 레일홈의 위치와 그 두 개의 레일홈들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레일들 간격과 레일홈에 채워진는 채움재에 따라 두 개 레일들의 간격에 균일하지 않고 오차가 발생될 수 있어 시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9752호(2020.01.30. 공개일)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매립궤도에서 두 개의 레일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 정밀도를 높이는,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이동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위치이동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 상기 위치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레일의 폭방향 양쪽에 집거나 그 집은 것을 해제하는 레일홀딩유닛;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는 높이조절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레일홀딩유닛은 상기 장착판의 폭방향 양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수직지지판들과, 상기 두 개의 수직지지판들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판과, 상기 장착판의 한쪽에 관통 결합되어 레일의 폭방향 한쪽을 걸어 지지하는 고정측 걸기부재와, 상기 고정측 걸기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판의 다른 한쪽에 관통되어 상기 수직지지판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폭방향 다른 한쪽을 걸어 지지하는 회전측 걸기부재와, 상기 연결판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회전측 걸기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측 걸기부재와 회전측 걸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판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레일의 상면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판의 길이 방향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레일매립궤도가 시공될 궤도를 따라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기초콘크리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을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에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홀딩시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이 매립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레일매립궤도가 시공될 궤도를 따라 기초콘크리트가 시공되고 그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기초콘크리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배치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을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을 간격을 유지시키고 도상콘크리트 거푸짐을 기초콘크리트에 설치하고 도상코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을 분리하게 되므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의 간격이 균일하게 되어 시공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이어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분리하여 레일매립궤도를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지지부재, 위치이동부재, 간격조절유닛, 장착판, 레일홀딩유닛, 높이조절지지부재를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레일홀딩유닛이 수직지지판, 연결판, 고정측 걸기부재, 회전측 걸기부재, 고정볼트, 지지볼트를 포함하게 되므로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홀딩하거나 그 홀딩된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해제하는 작동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홀딩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서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에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서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에 채움재일체형 레일을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재(10), 위치이동부재(20), 간격조절유닛(30), 장착판(40), 레일홀딩유닛(50), 높이조절지지부재(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레일(R)은 단일 레일(R)이 될 수 있고, 레일(R)에 레일홈 채움재, 파이프 등이 일체화된 채움재 일체형 레일(R)이 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재(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수평으로 위치한다.
수평지지부재(10)의 일예로 횡단면 형상이 에이치 형상인 에이치 형강이 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재(10)의 다른 일예로, 수평지지부재(10)는 사각관이 될 수도 있다.
위치이동부재(20)는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치이동부재(20)의 일예로, 위치이동부재(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이동부재(20)는 수평지지부재(10)의 단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간격조절유닛(30)은 수평지지부재(10)에 장착되어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위치이동부재(20)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조절유닛(30)의 일예로, 간격조절유닛(30)은 한 개의 위치이동부재(20)를 움직이는 제1 턴버클(30A))과, 다른 한 개의 위치이동부재(20)를 움직이는 제2 턴버클(30B)을 포함한다. 제1 턴버클(30A)의 버클(31) 한쪽에 체결된 왼나사볼트(32)는 한 개의 위치이동부재(20)에 연결되고 버클의 다른 한쪽에 체결된 오른나사볼트(33)는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 결합된 고정판(34)에 연결된다. 제2 턴버클의 버클(31) 한쪽에 체결된 왼나사볼트(32)는 다른 한 개의 위치이동부재(20)에 연결되고 버클의 다른 한쪽에 체결된 오른나사볼트(33)는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 결합된 고정판(34)에 연결된다.
제1 턴버클(30A)의 버클(31)을 회전시키면 한쪽 위치이동부재(20)가 수평지지부재(10)를 따라 움직이고 제2 턴버클(30B)의 버클(31)을 회전시키면 다른 한쪽 위치이동부재(20)가 수평지지부재(10)를 따라 움직인다. 제1,2 턴버클(30A)(30B)의 버클(31)들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수평지지부재(10)의 양쪽에 위치하는 위치이동부재(20)가 동시에 움직인다.
한편, 간격조절유닛(30)은 한 개의 턴버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장착판(40)은 위치이동부재(20)에 결합된다.
장착판(40)의 일예로, 장착판(40)은 위치이동부재(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41)와, 그 결합판부(41)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는 장착판부(42)와, 그 장착판부(4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두 개의 관통구멍(43)들과, 그 두 개의 관통구멍(43)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나사공(44)과, 장착판부의 한쪽 끝부분에 구비되는 제2 나사공(45)을 포함한다.
레일홀딩유닛(50)은 장착판(40)에 구비되며 레일(R)의 폭방향 양쪽에 집거나 그 집은 것을 해제한다.
레일홀딩유닛(50)의 일예로, 레일홀딩유닛(50)은 수직지지판(51), 연결판(52), 고정측 걸기부재(53), 회전측 걸기부재(54), 고정볼트(55), 지지볼트(56)를 포함한다.
수직지지판(51)은 장착판(40)의 폭방향 양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수직지지판(51)의 하면은 수평면이고 수직지지판(51)의 상면은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은 장착판(40)에 고정 결합되고 경사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판(52)은 두 개의 수직지지판(51)들 상단 일측에 구비된다. 즉, 연결판(52)은 두 개의 수직지지판(51)의 상면 한쪽에 구비되어 장착판(40)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한다. 연결판(52)의 내부에 나사공이 구비된다.
고정측 걸기부재(53)는 장착판(40)의 한쪽에 관통 결합되어 레일(R)의 폭방향 한쪽을 걸어 지지한다. 고정측 걸기부재(53)의 일예로, 고정측 걸기부재(53)는 하부에 절곡걸림부(1)가 구비되어 절곡걸림부(1)가 레일(R)의 폭방향 한쪽에 걸리며 상부가 장착판(40)의 관통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다.
회전측 걸기부재(54)는 고정측 걸기부재(53)와 간격을 두고 장착판(40)의 다른 한쪽에 관통되어 수직지지판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R)의 폭방향 다른 한쪽을 걸어 지지한다. 회전측 걸기부재(54)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측 걸기부재(54)는 본체부(2)와, 그 본체부(2)의 일측에 관통 결합되는 핀부(3)와, 본체부(2)의 하단에 연장 절곡되는 절곡걸림부(4)와, 본체부(2)의 상단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5)를 포함한다. 회전측 걸기부재(54)는 절곡걸림부(4)가 장착판(40)의 다른 한 개 관통구멍(43)에 삽입되도록 두 개의 수직지지판(51)들 사이에 위치하며 핀부(3)의 양단부가 수직지지판(51)들에 각각 구비된 핀구멍에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측 걸기부재(54)는 고정측 걸기부재(53)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핀부(3)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고정볼트(55)는 연결판(52)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측 걸기부재(54)의 상단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한다. 즉, 고정볼트(55)는 연결판(52)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연결판(52)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지지볼트(56)는 고정측 걸기부재(53)와 회전측 걸기부재(54)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판(40)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어 레일(R)의 상면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한다. 즉, 지지볼트(56)는 장착판(40)의 제1 나사공(44)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상측으로 움직이거나 하측으로 움직인다.
레일홀딩유닛(50)의 작동은 먼저 레일(R)을 홀딩할 경우, 지지볼트(56)와 고정볼트(55)를 각각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측 걸기부재(53)의 절곡걸림부(1)를 레일(R)의 두부 한쪽 하면에 걸고 회전측 걸기부재(54)를 회전시켜 회전측 걸기부재(54)의 절곡걸림부(4)를 레일(R)의 두부 다른 한쪽 하면에 위치시키고 고정볼트(55)를 회전시킴에 의해 아래로 이동시켜 고정볼트(55)의 하단으로 가압부(5)를 가압하여 회전측 걸기부재(54)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볼트(56)를 회전시킴에 의해 아래로 이동시켜 지지볼트(56)의 하단으로 레일(R)의 두부 상면을 가압 고정한다. 이로 인하여, 레일홀딩유닛(50)이 레일(R)을 홀딩한다. 한편, 레일(R)의 홀딩을 해제할 경우 지지볼트(56)를 역회전시켜 지지볼트(56)의 고정을 해제하고 고정볼트(55)를 역회전시켜 회전측 걸기부재(54)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회전측 걸기부재(54)를 역회전시켜 레일(R)의 홀딩을 해제한다.
높이조절지지부재(60)는 수평지지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한다. 높이조절지지부재(60)는 수평지지부재(1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지지함에 의해 수평지지부재(10)에 연결된 레일홀딩유닛(50)에 홀딩된 레일(R)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지지부재(60)는 수평지지부재(10), 위치이동부재(20), 또는 장착판(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부재(10)와 위치이동부재(20)와 장착판(4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판(40)에 결합된다.
높이조절지지부재(60)의 일예로, 높이조절지지부재(60)는 일정 외경과 길이를 갖는 균일외경부(61)와, 균일외경부(61)의 하단에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외경이 선형적으로 작게 연장 형성되는 테이퍼부(62)와, 균일외경부(61)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부(63)를 포함한다.
장착판(40)의 일측에 나사공이 구비되고 높이조절지지부재(60)의 수나사산부가 장착판(40)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높이조절지지부재(60)를 정역회전시킴에 의해 높이조절지지부재(60)의 상하로 움직인다.
장착판(4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고정유닛(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고정유닛(70)의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유닛(70)은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판(71)과, 그 절곡판(7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나사공과, 절곡판(71)의 한 쪽 나사공에 관통 체결되는 제1 고정볼트(52)와, 절곡판(71)의 다른 한 쪽 나사공에 관통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53)를 포함한다.
위치고정유닛(70)은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판(71)과, 그 절곡판(71)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나사공에 체결되며 장착판(40)에 연결되어 도상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고정볼트(72)와, 절곡판(7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도상콘크리트의 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제2 고정볼트(73)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레일매립궤도가 시공될 궤도를 따라 기초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
기초콘크리트(80)를 타설한 다음 기초콘크리트(80) 상면에 기초콘크리트(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S20)가 진행된다(도 6, 7 참조). 채움재일체형 레일(R)은 일정 길이를 갖는 레일홈 형상의 레일홈틀에 레일을 위치시키고 레일의 양측에 파이프 등을 고정시키고 레일홈틀에 채움재인 수지를 채워 경화시킨 후 레일홈틀을 탈거하여 제작한다.
기초콘크리트(80)에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나란하게 배치시킨 다음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을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키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에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을 배치한 다음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에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홀딩시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단계(S40)가 진행된다.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에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홀딩시키는 과정은, 간격조절유닛(30)으로 수평지지부재(10)의 길이 양쪽에 각각 위치한 위치이동부재(20)의 위치를 이동시켜 수평지지부재(10)의 양쪽으로 위치한 레일홀딩유닛(50)을 두 개 채움재일체형 레일(R)의 상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레일홀딩유닛(50)에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홀딩시킨다. 레일홀딩유닛(50)이 레일(R)을 홀딩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 높이조절지지부재(60)들의 각 하단을 기초콘크리트(8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높이조절지지부재(60)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수평지지부재(10)를 위로 이동시켜 수평지지부재(10)의 양쪽에 연결된 레일홀딩유닛(50)들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레일홀딩유닛(50)들에 각각 홀딩된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높이를 조절하여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에 의해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간격을 유지시킨 다음 기초콘크리트(80) 상면에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50)가 진행된다.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이 매립된 도상콘크리트(90)를 시공하는 단계(S60)가 진행된다. 즉, 도상콘크리트(90)의 상면에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상측이 노출되도록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이 도상콘크리트(90)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을 탈거한다.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한 다음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들을 분리하는 단계(S70)가 진행된다. 이때,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유닛(70)을 설치하여 장착판(4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도상콘크리트(90)로부터 높이조절지지부재(60)들을 분리한다. 그리고 레일(R)을 홀딩하고 있는 레일홀딩유닛(50)의 홀딩을 해제한다. 레일홀딩유닛(50)이 레일(R)을 홀딩한 것을 해제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매립궤도가 시공될 궤도를 따라 기초콘크리트(80)가 시공되고 그 기초콘크리트(80) 상면에 기초콘크리트(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배치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을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을 간격을 유지시키고 도상콘크리트 거푸짐을 기초콘크리트(80)에 설치하고 도상코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도상콘크리트를 시공하고 본 발명의 궤간 유지장치들을 분리하게 되므로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간격이 균일하게 되어 시공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채움재일체형 레일(R)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상콘크리트(90)를 시공하고 이어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를 분리하여 레일매립궤도를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지지부재(10), 위치이동부재(20), 간격조절유닛(30), 장착판(40), 레일홀딩유닛(50), 높이조절지지부재(60)를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레일홀딩유닛이 수직지지판(51), 연결판(52), 고정측 걸기부재(53), 회전측 걸기부재(54), 고정볼트(55), 지지볼트(56)를 포함하게 되므로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홀딩하거나 그 홀딩된 채움재일체형 레일(R)을 해제하는 작동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10; 수평지지부재 20; 위치이동부재
30; 간격조절유닛 40; 장착판
50; 레일홀딩유닛 60; 높이조절지지부재

Claims (5)

  1.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이동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위치이동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
    상기 위치이동부재에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레일의 폭방향 양쪽에 집거나 그 집은 것을 해제하는 레일홀딩유닛;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는 높이조절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와, 상기 결합판부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는 장착판부와, 상기 장착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두 개의 관통구멍과, 상기 두 개의 관통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홀딩유닛은 상기 장착판의 폭방향 양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수직지지판들과, 상기 두 개의 수직지지판들 상단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연결판과, 상기 장착판의 한쪽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되어 레일의 폭방향 한쪽을 걸어 지지하는 고정측 걸기부재와, 상기 고정측 걸기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판의 다른 한쪽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수직지지판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폭방향 다른 한쪽을 걸어 지지하는 회전측 걸기부재와, 상기 연결판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되 연결판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측 걸기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측 걸기부재와 회전측 걸기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판의 나사공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레일의 상면을 지지하거나 그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길이 방향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5. 삭제
KR1020230015922A 2023-02-07 2023-02-07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KR10260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22A KR102608917B1 (ko) 2023-02-07 2023-02-07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22A KR102608917B1 (ko) 2023-02-07 2023-02-07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917B1 true KR102608917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922A KR102608917B1 (ko) 2023-02-07 2023-02-07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9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67B1 (ko) * 1992-06-15 1999-02-18 야마자키 기요미즈 철도레일 절단기
KR101434911B1 (ko) * 2012-11-01 2014-08-29 화성궤도 주식회사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KR20200009752A (ko) 2018-07-20 2020-01-30 (주) 케이티에스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20210116907A (ko) * 2020-03-18 2021-09-28 박정근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KR102488421B1 (ko) * 2022-06-02 2023-01-13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분기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67B1 (ko) * 1992-06-15 1999-02-18 야마자키 기요미즈 철도레일 절단기
KR101434911B1 (ko) * 2012-11-01 2014-08-29 화성궤도 주식회사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KR20200009752A (ko) 2018-07-20 2020-01-30 (주) 케이티에스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20210116907A (ko) * 2020-03-18 2021-09-28 박정근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KR102488421B1 (ko) * 2022-06-02 2023-01-13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분기기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906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시공 방법.
KR102078321B1 (ko) 레일매립궤도 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JP5204832B2 (ja) アライメント調整フレーム
KR20040030113A (ko) 리지드 트랙 상에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및 리지드 트랙
KR102171763B1 (ko) 레일매립궤도 거푸집장치
JP2014510855A (ja) 3次元立体形状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軌道敷設方法
WO2012173296A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2380975B1 (ko) 레일매립궤도 단위콘크리트블록 거푸집장치
KR102282821B1 (ko)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KR101131745B1 (ko)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KR102608917B1 (ko) 레일매립궤도 궤간 유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CN205329433U (zh) 一种维护方便的嵌入式轨道结构
KR102276570B1 (ko) 레일매립궤도 단순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KR102424544B1 (ko)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KR20130009391A (ko) 철도 궤도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궤도 부설방법
NL2011485C2 (nl) Bevestigingssamenstel voor een spoorstaaf.
KR101114444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조립식 직결궤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직결궤도를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부설방법
KR102488421B1 (ko) 레일매립궤도의 분기기 지지장치
KR102121029B1 (ko) 도상 콘크리트 시공방법
EP4182504A1 (en) Slab track adjustment plat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488418B1 (ko) 레일매립궤도의 블록포장홈이 구비된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장치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KR100389562B1 (ko) 철도 분기 구간에 사용되는 레일 가조립장치 및 그 방법
KR102587474B1 (ko) 레일매립궤도의 부품 가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