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62B1 -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62B1
KR102608462B1 KR1020220007300A KR20220007300A KR102608462B1 KR 102608462 B1 KR102608462 B1 KR 102608462B1 KR 1020220007300 A KR1020220007300 A KR 1020220007300A KR 20220007300 A KR20220007300 A KR 20220007300A KR 102608462 B1 KR102608462 B1 KR 10260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extrusion
main panel
lower arm
manufacturing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695A (ko
Inventor
장상기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4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5Shaping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 및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합 제작되는 스프링 좌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Hybrid Lower arm using Aluminium extrusion and polmer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휠 및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적재된 수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무리한 충격에 의해 차체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휠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하여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종래의 리어 서스펜션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상기 휠 캐리어의 하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된 리어로어암(3)과, 상기 휠 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어퍼 암과, 상기 휠 캐리어의 전측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 암과, 상기 리어 로어암의 차체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쇽업소버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부품 중 쇽업소버와 코일 스프링 및 이를 지지하는 리어 로어암은 서로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한다.
도 1은 종래 스틸 리어 로어암의 평면사진, 도 2는 리어 서스펜션과 리어 로어암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종래 리어 로어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스틸 리어 로어암(1)의 구조는 메인판넬(2)과 강성보강을 위한 강성보강 판넬(3)이 서로 용접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판넬(2)의 일측 끝단에는 부시파이프(6)가 조립되는 부시 조립부(4)와, 타측 끝단에는 마운팅부가 가공되어지며, 메인판넬(2)의 상단에는 강성보강 판넬(3)이 용접되어 진다.
도 2의 좌측 사진의 표기부에서와 같이, 리어 로어암은 스프링 좌면을 확보하기 위해 기본적인 형상이 일(-)자 형태가 될 수 없다. 강성을 만족하기 위해 강성보강 판넬(3)이 추가되어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리어 로어암(1)의 메인판넬(2)은 스틸부재이다. 최근에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단조 공법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프링 좌면 확보를 위해 스프링 위치 형상이 볼록해 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강성 확보를 위해 강성보강 판넬(3)이 추가되면서 중량 및 공정 등이 증가하게 된다.
즉, 종래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리어 로어암(1)의 경우 중량증가, 금형비 과다, 부품수 증가, 전착도장 필수라는 단점이 존재하며, 알루미늄 단조에 의해 메인판넬을 제작하는 경우 재료비 및 공정비용이 상승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용접 과다 사용으로 인한 c/time이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38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42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63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스틸 로어암 대비 중량절감, 알루미늄 단조 로어암 대비 원가 절감이 가능한,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품타입으로 경량화 우수, 제품생산공정 축소, 강성확보에 유리하고, 플라스틱 인서트부 형상을 제외한 모든 부품은 알루미늄 압출공법으로 생산하여 원가 경쟁력에 유리하며, 알루미늄 압출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작도장 공정삭제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로어암으로서,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 및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합 제작되는 스프링 좌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관형태의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고, 밴딩 가공 후, 일측 끝단에 부시파이프 조립부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의 상단 일측에 용접되는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좌면부는, 플라스틱, SMC, 또는 GMT 재질을 인서트하여 성형, 메인판넬에 접합되며, 상기 메인판넬의 상면에 접착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하면과 상기 메인판넬의 측면 사이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브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로어암의 제조방법으로서, 알루미늄 압출을 통해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와,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밴딩가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의 일측 끝단부에 부시파이프 조립부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을 제작하고,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판넬에 부시파이프를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스프링 좌면부를 접합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의 제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스틸 로어암 대비 중량절감, 알루미늄 단조 로어암 대비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품타입으로 경량화 우수, 제품생산공정 축소, 강성확보에 유리하고, 플라스틱 인서트부 형상을 제외한 모든 부품은 알루미늄 압출공법으로 생산하여 원가 경쟁력에 유리하며, 알루미늄 압출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작도장 공정삭제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스틸 리어 로어암의 평면사진,
도 2는 리어 서스펜션과 리어 로어암 사진,
도 3은 종래 리어 로어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구성, 기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10)과,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합 제작되는 스프링 좌면부(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10)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각관 형태의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고, 밴딩 가공 후, 일측 끝단에 부시파이프 조립부(12)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13)를 가공하여 제작되게 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10)은 각관형태의 몸체부(110)와 일측 끝단의 부시파이프 조립부(12), 타측 끝단에 마운팅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10)의 상단 일측에 용접되는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20)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한 후 가공 과정을 거쳐 제작되게 된다. 그리고 제작된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20)은 용접에 의해 알루미늄 압출 메인 판넬에 접합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좌면부(30)는, 플라스틱, SMC, 또는 GMT 재질을 인서트하여 성형하여, 메인판넬(10)에 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스프링 좌면부(30)는 메인판넬(10)의 상면에 접착되는 평판부(31)와, 이러한 평판부(31)의 하면과 메인판넬(10)의 측면 사이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브살(32)을 포함하여 강성과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100)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알루미늄 압출 공정을 통해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고, 알루미늄 압출공정에 의해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게 된다(S1).
그리고 이러한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에 대해 밴딩가공을 진행하게 된다(S2).
그리고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의 일측 끝단부에 부시파이프 조립부(12)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13)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10)을 제작한다(S3). 또한,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20)을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판넬(10)의 일측 끝단부의 부시파이프 조립부(12)에 부시파이프(6)를 결합하고, 제작된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20)을 메인판넬(10) 상면 일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게 된다(S4).
그리고,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스프링 좌면부(30)를 접합 제작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좌면부(30)는, 플라스틱, SMC, 또는 GMT 재질을 인서트하여 성형하여, 메인판넬(10)에 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스프링 좌면부(30)는 메인판넬(10)의 상면에 접착되는 평판부(31)와, 이러한 평판부(31)의 하면과 메인판넬(10)의 측면 사이에 접촉되는 다수의 리브살(32)을 포함하여 강성과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스틸 로어암 대비 중량절감, 알루미늄 단조 로어암 대비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과 플라스틱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품타입으로 경량화 우수, 제품생산공정 축소, 강성확보에 유리하고, 플라스틱 인서트부 형상을 제외한 모든 부품은 알루미늄 압출공법으로 생산하여 원가 경쟁력에 유리하며, 알루미늄 압출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작도장 공정삭제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스틸 리어로어암
2:스틸 메인판넬
3:강성보강 판넬
4:부시조립부
5:스틸 브라켓
6:부시파이프
10: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
11:몸체부
12:부시파이프 조립부
13:마운팅부
20:알루미늄 압출 브라켓
30:인서트 스프링 좌면부
31:평판부
32:리브살
100: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Claims (5)

  1. 로어암으로서,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합 제작되는 스프링 좌면부; 및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한 후 가공 과정을 거쳐 제작되어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의 상단 일측에 용접되는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를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관형태의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고, 밴딩 가공 후, 일측 끝단에 부시파이프 조립부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를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스프링 좌면부는, 플라스틱, SMC, 또는 GMT 재질을 인서트하여 성형, 메인판넬에 접합되며, 상기 메인판넬의 상면에 접착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하면과 상기 메인판넬의 측면 사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이 상기 평판부의 평면방향과 수직되고 상기 메인판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따른 로어암의 제조방법으로서,
    알루미늄 압출을 통해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와,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밴딩가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알루미늄 압출재의 일측 끝단부에 부시파이프 조립부를 가공하고 타측 끝단부에 마운팅부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메인판넬을 제작하고, 브라켓 알루미늄 압출재를 가공하여 알루미늄 압출 브라켓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판넬에 부시파이프를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판넬의 상면 일측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스프링 좌면부를 접합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의 제조방법.


KR1020220007300A 2022-01-18 2022-01-18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00A KR102608462B1 (ko) 2022-01-18 2022-01-18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00A KR102608462B1 (ko) 2022-01-18 2022-01-18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95A KR20230111695A (ko) 2023-07-26
KR102608462B1 true KR102608462B1 (ko) 2023-12-04

Family

ID=8742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00A KR102608462B1 (ko) 2022-01-18 2022-01-18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7539A (zh) * 2019-01-31 2020-08-07 本特勒尔汽车技术有限公司 机动车导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014A (ja) * 1997-11-27 1999-08-10 Unipres Corp リンク
KR20080026349A (ko) 2006-09-20 2008-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알루미늄 재질 로어암의 부시 체결 구조
KR100834249B1 (ko) 2007-02-07 2008-05-30 위아 주식회사 강도가 보강된 경량화 로어암
KR101282637B1 (ko) * 2011-10-20 2013-07-12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KR101393849B1 (ko)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7539A (zh) * 2019-01-31 2020-08-07 本特勒尔汽车技术有限公司 机动车导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95A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661C (zh) 用于车辆,特别用于汽车的底盘
US10086881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N107914781B (zh) 地板面板
US10005412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US7273230B2 (en) Tension shackle x-brace
CN110545934B (zh) 前桥梁及其制造方法
JP4418280B2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EP0823363A2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10086874B2 (en) Modular vehicle platform and related methods
KR101910991B1 (ko) 단조압출 복합공법을 이용한 로워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이 적용된 로워암
KR102608462B1 (ko)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KR100902837B1 (ko) 이종강관을 이용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튜브형 토션빔
US11001331B2 (en) Body fram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WO2015076124A1 (ja) 車体後部構造
KR20080112917A (ko) 차량용 현가 시스템
KR20070004542A (ko)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컵 형상부에 의해 횡방향 강성이증가된 가요성 축, 스프링 컵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200777B1 (ko) 복합 구조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KR20240015222A (ko) 스프링패드 일체형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리어로어암
KR2007010514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알루미늄 재질 컨트롤암
KR101619877B1 (ko) 엠보싱 보강패널이 적용된 이종소재 서브프레임
JP4439281B2 (ja) 板ばね式車軸装置
US20230303172A1 (en) Subframe for vehicle
CN111907283A (zh) 车辆的结合扭转梁式车桥装置
JP2004299663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鍛造サスペンション部材および鍛造金型
JP4486396B2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