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006B1 - 자동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06B1
KR102607006B1 KR1020180114078A KR20180114078A KR102607006B1 KR 102607006 B1 KR102607006 B1 KR 102607006B1 KR 1020180114078 A KR1020180114078 A KR 1020180114078A KR 20180114078 A KR20180114078 A KR 20180114078A KR 102607006 B1 KR102607006 B1 KR 10260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steering
rack bar
gear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364A (ko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휠과 연결되고 제 2 기어부가 형셩되는 제 1 제 1 조향축, 랙기어가 형성되는 랙바, 제 2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와 랙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가 형성되어 일측이 랙바에 지지되는 제 2 조향축을 포함하여, 랙바와 제 1 조향축이 제 2 보조축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랙바와 제 1 조향축의 축간거리를 좁혀 조향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조향축이 회전되며 랙바가 슬라이딩 될 때 다양한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Vehicle Steering Apparatus}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휠에 연결된 제 1 조향축과 랙바가 제 2 보조축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랙바와 제 1 조향축의 축간거리를 좁혀 조향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조향축이 회전되며 랙바가 슬라이딩 될 때 다양한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즉, 조향축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회전되고, 조향축이 타이로드에 의해 차량의 바퀴와 연결된 랙바와 맞물리며 차량의 진행방향이 변경되게 된다.
조향축에 형성된 피니언기어가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와 맞물리며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조향축의 회전력이 랙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되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가 맞물리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포트 요크가 랙바를 조향축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 때, 종래의 조향장치에서 조향장치의 크기를 줄여 차량 내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조향축과 랙바의 축간거리를 좁히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피니언기어의 직경을 줄일 경우 기어비가 감소하고 랙바와 맞물리는 면적이 좁아져 치합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랙바의 랙기어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경우 랙기어를 가공하기 어렵고 또한 랙바의 강도가 떨어져 파손될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랙바와 제 1 조향축이 제 2 보조축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랙바와 제 1 조향축의 축간거리를 좁혀 조향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조향축이 회전되며 랙바가 슬라이딩 될 때 다양한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휠과 연결되고 제 2 기어부가 형셩되는 제 1 제 1 조향축, 랙기어가 형성되는 랙바, 제 2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와 랙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가 형성되어 일측이 랙바에 지지되는 제 2 조향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랙바와 제 1 조향축이 제 2 보조축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랙바와 제 1 조향축의 축간거리를 좁혀 조향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조향축이 회전되며 랙바가 슬라이딩 될 때 다양한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9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는 조향휠과 연결되고, 제 1 기어부가 형셩되는 제 1 조향축(101), 랙기어(113)가 형성되는 랙바(103), 상기 제 1 기어부(111)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121)와, 상기 랙기어(113)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123)가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랙바(103)에 지지되는 제 2 조향축(105)을 포함한다.
제 1 조향축(101)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에 연결되어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게 된다.
제 1 조향축(101)의 단부에는 제 1 기어부(111)가 구비되고 랙바(103)에는 랙기어(113)가 형성되어 각각 제 2 조향축(105)과 맞물리게 되고,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하는 조향토크가 랙바(103)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제 2 조향축(105)의 일단부에는 제 1 조향축(101)의 제 1 기어부(111)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1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랙바(103)의 랙기어(113)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123)가 구비되어 제 2 조향축(105)이 제 1 조향축(101)과 함께 회전될 때 랙바(103)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랙바(103)는 제 1 조향축(101)과 제 1 조향축(101)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제 2 조향축(105)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기어부(121)와 제 3 기어부(123)가 각각 제 1 기어부(111)와 랙기어(113)에 맞물리게 된다.
이 때, 랙기어(113)는 랙바(103)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제 2 조향축(105)이 일측에서 랙바(103)와 제 1 조향축(101)에 지지되게 된다.
종래의 조향장치에서는 제 1 조향축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랙바와 맞물리며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의해 랙바가 슬라이딩 되었는데,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에서는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가 제 2 조향축(105)을 매개로 연결되므로 제 1 조향축(101)의 회전토크 방향이 반대로 변경되어 랙바(103)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조향장치에서와는 달리 랙기어(113)가 랙바(103)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 방향과 랙바(103)와 연결된 바퀴가 조타되는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는 도 2에서의 좌측이 차량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차량에 설치된다.
이 때 랙기어(113)가 제 3 기어부(123)와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랙바(103)를 제 2 조향축(105) 측으로 지지하는 서포트요크(107)는 랙바(103)의 차량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지지되게 될 것이다.
한편, 제 2 조향축(105)이 구비됨으로써 제 1 조향축(101)의 제 1 기어부(111)가 제 2 기어부(121)와 맞물리는 위치에 따라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조향장치에서는 랙바와 제 1 조향축이 직접 맞물리게 되어 랙바와 제 1 조향축이 랙바의 중심축과 랙기어 피치선 사이의 거리와 제 1 조향축의 제 1 기어부 피치원 반경의 합만큼 이격되어 축간거리가 멀었으며, 또한 축간거리를 좁히기 위해 랙바의 랙기어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경우에는 랙바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손될 위험이 있었고 제 1 기어부의 반경을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기어비의 감소와 랙기어와 맞물리는 면적이 작아지며 치합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수반되었음에 반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에서는 제 2 조향축(105)이 구비됨으로써 랙바(103)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기어비의 감소 없이 랙바(103)와 제 1 조향축(101)의 축간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된다.
먼저, 제 1 조향축(101)은 제 2 조향축(105)의 랙바(103)에 지지되는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제 2 조향축(105)을 기준으로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는 제 2 조향축(105)의 우측에서 지지되게 된다.
제 2 조향축(105)을 사이에 두고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가 제 2 조향축(105)과 맞물린다면 종래의 조향장치에 비해 오히려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가 멀어질 것이지만, 제 1 조향축(101)이 랙바(103)와 같은 방향에서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림으로써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가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W3)는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W2)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W1)의 차이가 될 것이다.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가 같은 방향에서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103)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제 1 조향축(101)이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보다 큰 경우에, 제 1 조향축(101)은 제 2 조향축(105)의 랙바(103)이 지지되는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중심축이 상기 랙바(103)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향축(101)이 랙바(103)와 같은 방향에서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릴 때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에서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를 뺀 값으로 최소로 되지만 항상 양의 값을 갖는데 반해,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향축(101)이 제 1 조향축(101)의 중심축이 랙바(103)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제 2 조향축(105)과 맞물리며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를 0으로 만들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경우 제 1 조향축(101)의 축방향에서 볼 때 제 1 조향축(101)의 중심축이 랙바(103)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이다.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제 1 조향축(101)이 제 2 조향축(105)의 우측에서 맞물리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조향축(101)이 제 2 조향축(105)의 좌측에서 맞물리더라도 제 1 조향축(101)의 중심축이 랙바(103)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제 1 조향축(101)이 제 2 조향축(105)과 맞물릴 수 있으며,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가 0이 될 수 있다.
한편, 제 1 조향축(101)과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와 랙바(103)와 제 2 조향축(105)의 축간거리와 동일한 때에는, 제 1 조향축(101)이 랙바(103)와 같은 방향에서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리는 것과 제 1 조향축(101)의 중심축이 랙바(103)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제 1 조향축(101)이 제 2 조향축(105)에 맞물리는 것이 같은 경우를 의미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는 0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랙바(103)와 제 1 조향축(101)의 축간거리가 종래의 조향장치와 비교할 때 대폭 감소됨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고 차량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어 설치가 용이해진다.
한편, 이러한 제 2 조향축(105)은 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에 지지되게 되는데, 하우징(610)은 일측이 개구되어 제 2 조향축(105)이 하우징(610) 내부로 삽입되되 제 2 조향축(105)의 일단부는 하우징(6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하우징(6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21,71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볼 때, 하우징(610)은 하측이 개구되어 제 2 조향축(105)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하우징(61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결합부재(621,710)는 하우징(610)의 개구된 부위에 결합되며 제 2 조향축(105)을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먼저, 제 2 조향축(105)의 일단부는 제 1 회전지지부재(601)를 매개로 하우징(610)에 결합되어, 제 2 조향축(105)이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에 맞물리며 회전될 수 있다.
제 1 회전지지부재(601)가 결합되기 위해, 제 2 조향축(105)의 일단부와 하우징(6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 2 조향축(105)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5,70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125,701)가 삽입되는 함몰부(611,703)가 구비되어, 제 1 회전지지부재(601)는 돌출부(125,701)와 함몰부(611,703)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회전지지부재(601)는 베어링 또는 부시일 수 있으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베어링을 사용하여 경방향 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힐 수 있다.
이어서, 제 2 조향축(105)의 타단부에는 제 2 회전지지부재(603a) 또는 제 3 회전지지부재(603b)가 결합됨으로써 제 2 조향축(105)이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에 맞물리며 회전될 수 있다.
우선, 제 2 조향축(105)의 타단부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7)가 구비되고, 하우징(610)에 지지되는 제 2 회전지지부재(603a)가 지지부(127)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회전지지부재(601)와 마찬가지로 제 2 회전지지부재(603a)는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결합부재(621)는 제 2 조향축(105)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회전지지부재(603a)를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하우징(610)에 결합됨으로써 제 2 조향축(105)이 하우징(610) 내부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회전지지부재(603a)에는 베어링 또는 부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결합부재(621)는 볼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며 하우징(6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127)에는 볼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는 지지부시(623)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 2 조향축(105)의 타단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삽입부(705)가 구비되고 결합부재(710)에는 삽입부(705)에 삽입되는 돌기부(711)가 구비되어, 삽입부(705)와 돌기부(711) 사이에 제 3 회전지지부재(603b)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회전지지부재(603b)로는 베어링 또는 부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710)의 돌기부(711)가 삽입부(705)에 삽입되고, 제 3 회전지지부재(603b)가 결합부재(710)에 지지됨으로써 제 2 조향축(105)의 타단부가 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을 제 2 기어부(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을 제 2 기어부(1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 1 조향축(101)와 랙바(103)의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이 제 2 기어부(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기어비가 증가하여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할 때 랙바(103)의 축방향 슬라이딩 거리가 커지며,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이 제 2 기어부(1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기어비가 감소하여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할 때 랙바(103)의 축방향 슬라이딩 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제 2 기어부(121)와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이 같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 2 조향축(105)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기어비의 변경없이 동력이 전달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향장치에서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축간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기어부의 직경을 줄일 경우 기어비가 필연적으로 감소하였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100)에서는 제 2 조향축(105)이 구비됨으로써 제 1 조향축(101)과 랙바(103)의 축간거리가 감소될 때 제 2 기어부(121)와 제 3 기어부(123)의 직경에 따라 기어비를 증가시킬 수도 감소시킬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의하면, 제 1 조향축과 랙바가 제 2 조향축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축간거리가 대폭 감소되어 조향장치의 크기가 줄어들고 따라서 차량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어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조향축이 제 1 조향축의 중심축이 랙바의 중심축과 교차하게 제 2 조향축과 맞물림으로써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제 1 조향축의 축간거리를 없애 조향장치의 크기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향축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지지부재와 결합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 1 조향축과 랙바에 안정적으로 맞물리며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3 기어부의 직경을 제 2 기어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 2 조향축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랙바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기어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의 조향장치 101: 제 1 조향축
103: 랙바 105: 제 2 조향축
111: 제 1 기어부 113: 랙기어
121: 제 2 기어부 123: 제 3 기어부
125,701: 돌출부 127: 지지부
601: 제 1 회전지지부재 603a: 제 2 회전지지부재
603b: 제 3 회전지지부재 610: 하우징
611,703: 함몰부 621,710: 결합부재
705: 삽입부 711: 돌기부

Claims (18)

  1. 조향휠과 연결되고, 제 1 기어부가 형셩되는 제 1 조향축;
    랙기어가 형성되는 랙바;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가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랙바에 지지되는 제 2 조향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향축과 제 2 조향축의 축간거리가 상기 랙바와 제 2 조향축의 축간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조향축은 상기 제 2 조향축의 상기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중심축이 상기 랙바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부와 제 3 기어부는 상기 제 2 조향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축간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조향축은 상기 제 2 조향축의 상기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는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 2 조향축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의 일단부는 제 1 회전지지부재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2 조향축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 사이에 상기 제 1 회전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지지부재는 베어링 또는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의 타단부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 2 회전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지지부재는 베어링 또는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지지부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의 타단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돌기부 사이에 제 3 회전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전지지부재는 베어링 또는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은 상기 제 3 기어부의 외경이 상기 제 2 기어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기어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향축은 상기 제 3 기어부의 외경이 상기 제 2 기어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조향축과 랙바의 기어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8. 조향휠과 연결되고, 제 1 기어부가 형셩되는 제 1 조향축;
    랙기어가 형성되는 랙바;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부가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랙바에 지지되는 제 2 조향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조향축는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 2 조향축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180114078A 2018-09-21 2018-09-21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60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78A KR102607006B1 (ko) 2018-09-21 2018-09-21 자동차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78A KR102607006B1 (ko) 2018-09-21 2018-09-21 자동차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64A KR20200034364A (ko) 2020-03-31
KR102607006B1 true KR102607006B1 (ko) 2023-11-29

Family

ID=7000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78A KR102607006B1 (ko) 2018-09-21 2018-09-21 자동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716B2 (ja) 1993-02-03 2001-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操舵装置
JP2006224714A (ja) 2005-02-15 2006-08-3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8168679A (ja) 2007-01-09 2008-07-24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JP4862493B2 (ja) 2006-05-26 2012-01-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41B1 (ko) * 1969-10-13 1975-01-23
JPS61226361A (ja) * 1985-03-29 1986-10-08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ギヤ装置
KR100848488B1 (ko) * 2007-01-17 2008-07-2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716B2 (ja) 1993-02-03 2001-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操舵装置
JP2006224714A (ja) 2005-02-15 2006-08-3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4862493B2 (ja) 2006-05-26 2012-01-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68679A (ja) 2007-01-09 2008-07-24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64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2130B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EP2110580B1 (en) Ball screw mechanism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ing the same
US10046794B2 (e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0112472B2 (en) Drive device for hybrid vehicle
WO2015029672A1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202131B1 (en) Transmission ratio variable mechanism and steering device for vehicle equipped with it
US9334928B2 (en) Planetary gear apparatus
US9605749B2 (en) Planetary gear reducer
CN110307299A (zh) 行星谐波组合减速器
EP2298623B1 (en) Transmission ratio changing mechanism and vehicle steering device
US20060151235A1 (en) Steering device
KR10260700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2017024702A (ja) 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854270B2 (ja) 後輪操舵装置
KR20180003248A (ko) 드라이 베어링을 이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용 유니버셜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29502A1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US9512906B2 (en) Transmission device
JP2009208612A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AU2016203789B2 (en) Linear Gear Shift Mechanism For Chainless Vehicle
US20230053581A1 (en) Steer-by-wire steering apparatus
KR102344133B1 (ko) 회전식 조향장치
JP2013189062A (ja) 後輪操舵装置
US11105394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5315725B2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KR102661494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