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851B1 -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 Google Patents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851B1
KR102606851B1 KR1020230077888A KR20230077888A KR102606851B1 KR 102606851 B1 KR102606851 B1 KR 102606851B1 KR 1020230077888 A KR1020230077888 A KR 1020230077888A KR 20230077888 A KR20230077888 A KR 20230077888A KR 102606851 B1 KR102606851 B1 KR 10260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body
furniture
purification module
purification
storag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철
Original Assignee
송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철 filed Critical 송성철
Priority to KR102023007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조절 기능과 탈취 및 항균성 기능의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재생 순환형 정화모듈을 옷장이나 서랍장 혹은 신발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수납가구 내부에 수용 배치하여 곰팡이 번식을 예방함과 더불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흡착 제거함에 따라 수납가구 내 각종 물품이나 의류 등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수납가구 사용 수명을 가일층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이 수납가구에 밀착 고정되고 전면으로는 충입공간을 갖는 수용본체와; 수용본체의 개방된 충입공간을 개폐시키는 커버체와; 수용본체의 충입공간으로 끼워지는 정화블록으로 구성된 정화모듈을 구성하여 상기 수용본체를 통해 정화모듈이 수납가구에 고정 설치되게 하되, 수용본체는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볼트고정부가 형성되고 수용본체의 타측에는 수납가구의 판재 사이로 삽입되게 한 박막의 끼움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며, 수용본체의 상측과 하측 및 후측에는 반복 나열의 본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체는 수용본체의 전면에 끼워 조립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반복의 커버통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화블록은 석고와 패각분말, 왕겨숯 및 숯, 천연재, 정제수를 포함하여 고체화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Storage type furniture with built-in eco-friendly multi-functional purif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습도조절 기능과 탈취 및 항균성 기능의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재생 순환형 정화모듈을 옷장이나 서랍장 혹은 신발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수납가구 내부에 수용 배치하여 곰팡이 번식을 예방함과 더불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흡착 제거함에 따라 수납가구 내 각종 물품이나 의류 등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수납가구 사용 수명을 가일층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옷이나 신발 혹은 책이나 서류 또는 장식물이나 그릇 등의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수납가구(책장, 신발장, 진열장, 사물함, 서가, 옷장, 서랍장, 거실장, 싱크대수납장, 식기장, 욕실장 등)가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납가구는 PB(Partical Board) 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일컬어지는 합성 압축판재를 기본 재료로 사용함과 더불어 표면 마감재 또는 보강재 역할의 PP시트(Polypropylene sheet)를 접착제를 통해 압축판재 표면에 부착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위 예시의 수납가구는 사용 목적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구조를 갖고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면에 단일 혹은 다수의 개폐도어를 구비하거나 내부 수납공간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선반 혹은 칸막이 등이 부가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통상의 수납가구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 압축판재가 수분 흡수율이 매우 높아 습기에 비교적 취약함으로써, 휨이나 변형 혹은 뒤틀림 등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개폐도어 부착형 수납가구의 경우 가구 내부의 수분을 가두게 되어 보관 물품이나 옷가지 등에 곰팡이 증식과 악취발생을 가중시켜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분에 의한 변색이나 오염 등의 각종 물성 변화와 더불어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특허 제10-0329816호와 같이, 가구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어진 지지판 및 벽체에 적당한 크기의 수납실을 일체로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숯덩이를 넣고 통기공이 형성된 판으로 덮어 기능성 물질(숯)이 수용되도록 함과 더불어 서랍 측면판 또는 저면판에 숯 분말을 접착제를 통해 코팅 형성함에 따라, 가구 내부를 순환 유통하는 공기가 수납실에 보관된 숯 또는 숯 분말이 코팅된 판넬을 경유하여 접촉하면서 공기 중의 습기와 미생물균 및 악취 등이 숯에 흡착되어 수납가구 내부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은 지행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별다른 문제점은 없다 할 것이나 가구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하기 위한 지지판이 필수로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소형 수납가구 혹은 옷장과 같이 내부 단일 개체의 수납가구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지지판에 직접 삽입되는 숯층 및 덮개의 구성요소는 수납가구의 형태와 종류 혹은 크기에 따라 상기의 개별적으로 준비하여 적용해야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 내지 생산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하며, 숯과 숯 코팅층만으로는 단순히 습기의 제한적인 조절 혹은 방충과 탈취 작용을 소극적으로 수행할 뿐이어서 과다한 제작 비용에 비해 그 효율성이 지극히 미미한 것이다.
이어 다른 실시 예의 등록실용신안 제20-0318114호는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에 관한 것으로, 가구의 측면소정 위치에 통풍구를 설치하여 가구 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통풍구 내부에 숯을 내장하여 항균작용과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구 내 습기 제거 및 곰팡이 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위 예시의 경우 통풍구에 의한 가구 내,외의 공기 순환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가구 내부의 습도보다 가구 외부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 습기가 가구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밀폐된 가구 내부로 유입된 습기는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각종 수납 물품이나 의류 혹은 섬유에 나쁜 영향(곰팡이 증식, 악취 발생 등등)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풍구 내에 삽입되는 숯 등의 충전재는 가구 내부의 습기를 빨아들이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습도의 변화가 적은 가구 내부보다는 습도 변화가 큰 가구 외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빈도가 높아 숯 등의 충전재로 인해 오히려 가구 내부의 함수율이 높아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선행 예시로서 등록특허 제10-1694501호의 가구용 제습기를 살펴보면,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전방커버와, 전방커버 후면에서 위 통공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진 측벽과, 상기 측벽 및 전방커버에 장착되어 측벽의 후방을 열고 닫는 개폐부로 조합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가구용 제습기는 소음 발생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설치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데 반해 사용자가 임의로 개폐커버를 회전시켜 개방구를 열거나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임의 수동 개폐 구조는 매번 이를 개폐하여 조절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를 것이고, 설치 장소에서의 습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워 개방구 완전 개방 상태에서 실내 습도가 증가하는 경우 가구 내부의 습도 또한 함께 상승하여 곰팡이 번식이나 증식 내지 악취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선행문헌의 또 다른 예시로서 등록특허 제10-2159286호를 살펴보기로 하되, 해당 문헌은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가구 본체 정면측 단부에서 천정과의 사이를 커버하는 상부 몰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더불어 실내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구비된 에어 공급부와; 가구 본체의 정면측 단부에서 양 측벽과의 사이를 커버하는 측벽 몰딩 하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환기 구멍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배기용 그릴이 설치되어진 에어 배출부;로 조합 구성된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가구 내부의 습기를 강제로 배출하여 곰팡이 번식이나 증식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하기에 적합한 것이나 송풍팬에 연결된 전원케이블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전원 사용이 용이치 못한 설치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송풍팬 가동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제작비용 상승에 따른 경쟁력 저하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위 선행문헌들의 습도조절수단은 수납가구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 및 조절하기에 부족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제작비용 상승에 따른 경쟁력이 좋지 못한 것이며, 곰팡이 번식 내지 악취 발생 문제와 습기에 의한 합성목 판재 변형(휨이나 뒤틀림) 및 표면 마감재(PP시트) 들뜸이나 부분 박리 등의 물리 화학적 특성저하 문제와 수납 물품이나 옷가지 등의 변색이나 변질 문제와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배출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이나 호흡기 질환 등의 새집/새가구 증후군 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수납가구 내부의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가구 내부의 옷가지 등의 각종 물품 등을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 거주자 혹은 생활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는 천연의 친환경재로 이루어진 습도조절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고, 나아가 수납가구 자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실내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정화수단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29816 (2002.03.11.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18114 (2003.06.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94501 (2017.01.0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59286 (2020.09.17.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친환경 소재로 가공 성형되어진 정화블록을 개선된 구조의 전용 케이스를 사용하여 수납가구 내부에 밀착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화블록이 갖는 고도의 습도 조절 기능과 항균 탈취 작용으로부터 수납가구 내 각종 세균 번식 및 증식을 억제하는 동시에 옷가지 등의 물품에 잔류하는 냄새 등을 흡수 탈취하고, 나아가 변질이나 변색을 예방함은 물론 가구를 구성하기 위한 합성목 판재와 그 표면에 부착되어진 마감재(PP시트)가 습기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가구 자체의 품질 안정성 확보와 가구 내부 공간의 환경을 항시 쾌적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버려지는 패각을 가공 분말화하여 이를 정화블록의 구성물질로 활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자원 순환재생과 리사이클링을 통한 환경 보호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블록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들의 유기적 연계작용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실내 배출을 억제시켜 그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한편, 정화블록 수용 케이스를 가구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이나 위치상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필요한 경우 케이스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수납가구 내부 공간의 전체 면적으로부터 균일한 습도 조절 기능과 항균 탈취 작용이 구현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본체와 커버체와 정화블록으로 조합되어진 정화모듈을 수납가구 내면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용본체는 배면이 수납가구 배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면으로는 충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볼트고정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타측에는 수납가구의 판재 사이로 삽입되게 한 박막의 끼움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 및 후측에는 반복 나열의 본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체는 수용본체 전면에 끼움 체결되어 충입공간을 개폐하며 반복의 커버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블록은 석고와 패각분말, 왕겨숯 및 숯, 천연재, 정제수를 포함하여 고체화된 것으로 수용본체의 충입공간 내에 끼움 설치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화블록은 석고와 패각분말과 왕겨숯 및 숯과 정제수와 천연재를 14 : 8 : 2.5 : 10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 후 5 ~ 12시간 동안 55 내지 1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성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연에서 회수되는 폐자원 및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가공 생산되는 것이므로 환경 친화적이고, 수납가구의 내부 습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나 세균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옷가지 등의 섬유 또는 다양한 수납 물품들을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화블록이 갖는 고유의 항균력과 탈취력은 수납가구 내부 혹은 수납 물품에 잔류할 수 있는 세균의 증식과 생존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납가구로부터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억제하여 수납가구 내부 공간을 비롯한 수용물품의 위생적인 관리와 더불어 유해물질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가구의 크기나 형태 또는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나 방향으로 정화모듈을 편리하게 가변 장착할 수 있어 사용성과 설치 편의성이 향상되고, 필요에 따라 정화모듈에 대한 설치 개체수를 용이 간편하게 가감하여 계절별 혹은 사용 환경과 관계없이 수납가구 내부 공간 전체 면적에 대한 균일한 습도 조절 기능과 항균 탈취 작용이 항시 안정적으로 발휘되며, 습기에 따른 수납가구 합성목 판재 및 그 표면에 부착되어진 마감재(PP시트)의 변형이나 변질을 예방하여 품질 안정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전체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측단면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측단면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이 수납가구에 단독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이 수납가구에 연속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을 다양한 수납가구에 대응 설치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수납가구의 측판 및 뒷판을 이용한 정화모듈 설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수납가구의 측판 및 윗판을 이용한 정화모듈 설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정화모듈을 수납가구의 측판 및 뒷판을 이용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의한 정화모듈을 수납가구의 측판 및 윗판과 뒷판을 이용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전체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측단면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가구에 적용되는 정화모듈의 측단면 분리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와 같이 수납가구(200) 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정화모듈(100)(100')은, 배면이 수납가구에 밀착 고정되고 전면으로는 충입공간(111)(111')이 형성된 수용본체(110)와; 수용본체(10) 개방 충입공간(111)(111')을 개폐시키는 커버체(120)와;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으로 끼워지는 정화블록(130)(13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의 수용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100)(100')을 수납가구(200) 내측 판재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기능성 정화블록(130)(130')을 삽입 및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고, 위 예시의 커버체(120)는 정화블록(130)(130')이 삽입되는 수용본체(110)의 개방측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본체(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혹은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어, 정화블록(130)(130')은 100% 천연재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버려지는 천연의 자원을 활용하여 재생한 것으로 자원의 선순환구조를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화모듈(100)(100')에 있어, 상기 수용본체(110)는 일측에 관통공(112a)을 갖는 볼트고정부(112)가 형성되고 수용본체(110)의 타측에는 수납가구(200)의 판재 사이로 삽입되게 한 박막의 끼움고정부(1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의 볼트고정부(112)는 관통공(112a)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를 수납가구(200)의 내측 측판 혹은 뒷판이나 윗판에 나사 고정하여 수용본체(110)의 일측이 고정되게 하고, 끼움고정부(113)는 수용본체(110)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가구(200) 측판과 뒷판 사이의 틈새 혹은 측판과 윗판 사이의 틈새 또는 윗판과 뒷판 사이의 틈새로 억지 삽입하여 판재들 간의 물림력을 통해 수용본체(110)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용본체(110)를 포함한 정화모듈(100)(100')은 일측을 수납가구(200)의 판재 틈새 사이로 끼워 넣어 고정되도록 한 후, 관통공(112a)과 볼트고정부(112)를 이용하여 수용본체(110)를 포함한 정화모듈(100)(100')의 타측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서, 수납가구(200) 내측면의 다양한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정화모듈(100)(100')을 안정적으로 체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에서와 같은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수용본체(110)와 인접하여 잘록홈부(113a)를 더 형성함에 따라 판재의 틈새가 정화모듈(100)(100')의 배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판재의 틈새에 끼움고정부(113)를 억지 끼워 조립한 후, 정화모듈(100)(100')을 직각 방향으로 구부려 볼트고정부(112)를 통해 판재에 고정시켜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잘록홈부(113a)에 의해 수용본체(110)로부터 끼움고정부(113)는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얇은 두께를 갖는 잘록홈부(113a)로 인해 정화모듈(100)(100')의 고정 방향에 대한 전환 과정에서 끼움고정부(113)의 절곡이 일어나는 도중 해당 절곡부가 절단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용본체(110)의 상측과 하측 및 후측에는 반복 나열의 본체통기공(114)(114')이 형성되고, 위 커버체(120)는 반복의 커버통기공(121)(1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으로 정화블록(130)(1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본체(110)에 대한 커버체(120)의 결합을 통해 수용본체(110)의 내부가 밀폐되더라도 본체통기공(114)(114')과 커버통기공(121)(121')을 통해 자유로운 공기의 소통이 사방으로 이루어지면서 수납가구(200)의 내부 습도 조절은 물론 정화블록(130)(130')에 의한 탈취 및 항균 작용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기한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에는 끝단에 걸림턱(117)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림편(118)(118')을 돌출 형성하고, 정화블록(130)(130')에는 관통의 물림공(131)(131')을 형성하여 정화블록(130)(130')의 물림공(131)(131')으로 물림편(118)(118')이 탄력 계지되면서 충입공간(111)(111') 내 정화블록(130)(130')의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충입공간(111)(111')으로 정화블록(130)(130')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정화블록(130)(130')의 크기에 비하여 충입공간(111)(111')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커야하는 것인데 충입공간(111)(111')이 넉넉한 경우 삽입된 정화블록(130)(130')이 유동하면서 불필요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고, 잦은 유동이나 충격에 의해 부스러기 혹은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림편(118)(118')과 물림공(131)(131')을 각기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충입공간(111)(111')을 향하여 정화블록(130)(130')을 삽입하게 되면 정화블록(130)(130')의 물림공(131)(131')으로 물림편(118)(118')이 압축 상태로 삽입됨과 더불어 정화블록(130)(130')을 충입공간(111)(111')의 내측 끝까지 충분히 삽입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물림편(118)(118')이 탄력 복원되면서 단부의 걸림턱(117)이 정화블록(130)(130') 전면에 계지될 것이므로 결국 정화블록(130)(130')은 유동 없이 안정적인 삽입 및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전기한 정화블록(130)(130')의 물림공(131)(131') 양측에는 확장 함몰형태의 돌출방지홈(132)(132')을 추가적으로 더 형성함에 따라, 수용본체(110)의 물림편(118)(118')에 형성된 걸림턱(117)이 돌출방지홈(132)(132') 내에 위치하여 확장 계지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물림편(118)(118')의 끝단이 정화블록(130)(130')의 표면으로부터 미 돌출인 상태로 상호 계지 결합되면서 커버체(120)와의 간섭을 방지하게 되고, 이러한 돌출방지홈(132)(132')을 통해 정화블록(130)(130')을 뒤집어 반대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물림편(118)(118')의 끝단 및 걸림턱(117)이 정화블록(130)(13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조립 및 사용 편의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물림편(118)(118')에 의해 결합 고정된 정화블록(130)(130')은 물림편(118)(1180')의 걸림턱(117)으로 인해 임의로 되빠지거나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물림편(118)(118')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갖고 있어 정화블록(130)(13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겸하게 되므로 결국 수납가구(200)에 충격이 작용하거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정화블록(130)(130')은 물림편(118)(118')이 갖는 탄력 작용으로 인해 수용본체(110)로부터 덜그럭 거리거나 충입공간(111)(111')의 내면과 충돌하여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 예시의 수용본체(110) 볼트고정부(112)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용본체(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물림단턱(115)을 더 형성하여 정화모듈(100)(100') 연결 설치시 일측 정화모듈(100)의 끼움고정부(113)가 타측 정화모듈(100')의 물림단턱(115)에 계지된 상태로 볼트고정부(112)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대향측이 동시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화모듈(100)(100')은 수납가구 내부에 단일개체로 설치 사용하거나 수납가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복수로 설치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상에서 복수로 이격 설치되거나 연속하여 연결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다수 개의 정화모듈(100)(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정화모듈(100) 수용본체(110) 일측에 구비된 끼움고정부(113)를 수납가구 내 설치지점 판재 틈새로 억지 삽입하여 끼운 다음 타측 볼트고정부(112)를 판재에 볼팅 고정하기 전 이웃하는 또 다른 정화모듈(100')의 수용본체(110) 일측 끼움고정부(113)를 앞선 가고정상태의 정화모듈(100) 볼트고정부(112)에 형성된 물림단턱(115)으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선행 정화모듈(100)의 볼트고정부(112)에 형성된 관통공(112a)으로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후행 정화모듈(100')의 끼움고정부(113)를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판재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여 단일의 체결볼트로 선행 정화모듈(100)의 볼트고정부(112) 및 후행 정화모듈(100')의 끼움고정부(113)를 연속적으로 동시 고정할 수 있어 연결 설치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위 물림단턱(115)은 다수 개의 정화모듈(100)(100')을 연이어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돌출 형성된 끼움고정부(113)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로 이웃하는 정화모듈(100)(100')이 판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위에서의 정화모듈(100)(100')을 단독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물림단턱(115)에 별도의 탄력패드를 부착 형성하여 탄력패드가 갖는 부드러운 탄력성으로 인해 수납가구의 판재에 밀착 설치된 정화모듈(100)(100')과 수납가구 판재 사이에서의 불필요한 소음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의 탄력패드에 대한 두께를 물림단턱(115)의 깊이보다 두껍게 제작하여 부착 형성하는 경우에는 탄력패드의 두께로 인해 정화모듈(100)(110')의 배면이 수납가구 판재의 내면과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이러한 소정의 간격은 수용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본체통기공(114)(114')을 따라 정화블록(130)(130')에 의한 작용 및 효과가 수납 가구에 영향을 끼치도록 하는 통로를 확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으로 정화블록(130)(1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충입공간(111)(111') 및 수용본체(110)의 전면에는 별도 구비의 커버체(120)를 결합함으로써, 정화블록(130)(130')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단일 개체로 유닛화된 정화모듈(100)(100')의 구현이 가능하고, 상기 커버체(120)는 수용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 혹은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수용본체(110) 전면의 상,하측 내면에는 횡방향으로 안내홈(116)(116')을 형성하고, 커버체(120)의 상,하단에는 레일돌기(122)(122')를 돌출 형성하여 안내홈(116)(116')으로 레일돌기(122)(1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통해 수용본체(110)로부터 커버체(120)가 간편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의 정화블록(130)(130')은 다양한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고체화시킴으로써 생산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여 수납가구(200)의 내부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형태이면 소재의 제한없이 모두가 가능한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자연에서 버려지거나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석고와 패각, 숯 등의 천연소재를 활용하여 자원의 재생 및 순환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위 예시의 정화블록(130)(130')은 수납가구(200) 내부의 습도 조절을 통한 곰팡이 번식이나 증식을 억제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탁월한 항균력 및 탈취력을 구현하여 각종 세균이나 유해물질에 대한 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석고와 패각분말과 왕겨숯 및 숯과 천연재와 정제수를 혼배합하여 고체화되도록 가공 성형하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14(석고) : 8(패각분말) : 2.5(왕겨숯 및 숯) : 10(정제수) : 1(천연재)의 중량비율로 혼합 후 압축 성형한 다음 5 ~ 12시간 동안 55 내지 1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석고(石膏)는 황산칼슘의 이수화물(二水化物)로 이루어진 석회질 광물로서, 물이나 습기를 흡수하여 굳어지는 고화제 역할을 겸하며 인체 유해한 가스배출이 없는 친환경 다공성 재료로 습도 조절, 유해물질 흡착, 생활악취제거 등의 특성을 지니며, 석고 함량이 14를 초과하면 강도발현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고 14 미만인 경우 패각분말과의 혼합 가교성 내지 반응성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패각분말은 패각을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패각이란 연체동물에서 연체를 싸서 보호하는 무기질의 분비형성물로, 이러한 패각은 전복 껍질, 석화 껍질, 조개 껍질, 가리비 껍질 등 각종 패각류의 종류에 따라 분쇄하였을 때 그 질감과 색상이 매우 미려하고 다양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생물 화학적으로 조성된 다공성의 칼슘성분으로 인하여 상당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고, 주변 공기의 순환 접촉을 통해 공기 중 오염물질 등을 흡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패각분말 혼합 비율이 8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혼합물(석고)간의 결합성과 발현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패각분말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된 패각미립분말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상기 패각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패각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각은 전복 껍질, 석화 껍질, 소라 껍질, 조개 껍질 및 가리비 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패각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패각 세척 공정을 수행하되, 패각을 20 내지 30℃ 온도의 세척액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세척액은 티오요소류 화합물 1 내지 3 중량%, 과산화수소 3 내지 5 중량%, 구연산나트륨 2 내지 4 중량%, 킬레이트제 0.1 내지 0.3 중량%,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 내지 3 중량% 및 100 중량%를 만족하는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한다.
티오요소류 화합물은 패각을 세척할 때 세척액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티오요소류 화합물은 티오요소 (NH2)2CS 또는 일반식 (R1R2N)(R3R4N)C=S(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에틸기 또는 메틸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로 표현되는 티오요소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는 산화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과산화수소는 세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구연산나트륨은 패각에 대한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킬레이트제는 세척액의 세척 능력 저하 현상을 방지하고, 이물질이나 금속이온이 화학결합을 통해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디에틸렌트리니트릴로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rinitrilo pentaacetic acid ; DTPA) 및 글루타믹엑시드-2-아세틱엑시드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져 패각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고, 탈이온수는 물속의 이온이 제거된 것으로, 상기 탈이온수는 비저항값이 18MΩ·cm 이상인 탈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위 예시와 같이 세척된 패각을 1차 분쇄하여 패각조립분말(입도 1~3mm 정도의 크기)을 제조하되, 드럼 그래뉼레이터(Drum granulator) 또는 압축식 펠레타이저(pelletizer) 등과 같은 공지된 가공기를 이용하여 분쇄될 수 있고, 이어 패각조립분말을 소성로에 투입한 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작업을 수행하며, 이때 소성된 패각조립분말의 미세 기공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가열하여 열산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소성 패각조립분말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소성 과정에서 패각조립분말을 구성하는 탄산칼슘은 하기와 같이 산화칼슘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수 있다.
탄산칼슘(CaCO3) → 산화칼슘(CaO) + 이산화탄소(CO2)
그런 다음, 상기 소성된 패각조립분말을 볼밀(ball mill)이나 각종 공지된 분쇄기를 통해 2차 분쇄하여 소성 패각미립분말이 생성되도록 하되, 패각미립분말의 입경이 1 내지 100㎛가 되도록 2차 분쇄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조공정으로부터 양질의 소성 패각미립분말을 얻게 됨은 물론, 이러한 자연 친화적 패각미립분말로부터 정화블록의 가공 성형성(고화성)과 내구성이 증진되고 주변 습도 조절을 통한 제습 특성 및 오염물질 흡착 제거 기능 등이 발현될 수 있다.
위 예시의 왕겨숯(chaff charcoal)은 왕겨를 숯모양으로 태운 것으로서 유해물질 분해 및 공기정화 특성과 제습기능을 위해 혼입되며, 왕겨숯과 함께 배합되어지는 숯은 친환경 재료로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고 습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되 높은 공극율로 인하여 조성물의 분산성을 높여줌과 더불어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정화블록(130)의 표면경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이 다습할 경우 습기를 흡수하고 주변이 건조할 경우 습기를 발산하여 부패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숯 분말은 조릿대 숯, 대나무 숯, 참나무 숯, 코코넛 숯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시 위 군으로부터 택일된 1종 내지 2종 이상의 활성화된 숯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라 대나무 숯이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의 대나무 숯 분말은 대나무 숯을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대나무 숯은 일반 숯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2배 가량 많으며, 특히 흡착제로 이용되고 있는 실리카겔의 주성분인 규산이 일반 숯에 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탈취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대나무 숯은 수돗물을 부드럽게 하고, 미량의 염소이온의 발생으로 소독효과가 인정되어 입욕제로 사용되며, 고온탄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매우 높고 전자파 차폐효능이 인정되며 음이온 발생효과가 있어 수납가구 내부에 넣어진 정화블록의 혼입물로 매우 적합한 조성물이라 할 것이다.
특히, 대나무 숯은 죽재를 400℃ 이상의 고온처리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생성 후 일정기간 무균상태로 유지되며, 무기물만이 극소량 함유되고 무기물의 약 60%가 칼슘, 칼륨 등의 알칼리 성분이기 때문에 강한 알칼리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대나무 숯은 표면적이 큰 다공질체로 되어 있고 유기물 함유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대나무 숯 내로 침입하더라도 증식하지 못하고, 산성을 선호하는 미생물의 증식이 대나무 숯의 알칼리성으로 인해 억제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데,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대나무 숯 분말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대나무를 준비한 후 상기 대나무를 1 내지 3cm 길이 단위의 대나무 칩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된 대나무 칩을 탄화로에 투입한 후 6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8 내지 10시간 동안 1차 가열하고, 상기 1차 가열된 대나무 칩을 탄화로에서 분리하여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1차 냉각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1차 냉각된 대나무 칩을 1,0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2차 가열한 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2차 냉각하여 대나무 숯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대나무 숯을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1 내지 200메쉬(mesh) 범위로 분쇄함으로써 대나무 숯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천연재는 녹차 추출물,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택일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데 녹차의 카테킨은 항균제와 탈취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녹차의 향시를 통해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쑥은 독특한 향기를 지니는데 쑥의 향기 중에 치네올이라는 성분은 대장균, 디프테리아균을 죽이거나 발육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이를 정화블록에 활용하여 결로 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번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강한 살균작용이 있으므로 벼룩 등의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천연재는 전체 비율 중 1의 비율로 투입된다.
또한, 정제수는 석고, 패각분말, 왕겨숯 및 숯, 천연재 등의 조성물을 반죽 형태로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정화재의 비율이 10을 초과하면 희석이 과해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 미만이면 혼합 물질들과의 반응성이 용이하지 않아 만족스런 강도가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정화블록(130)(130')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14(석고) : 8(패각분말) : 2.5(왕겨숯 및 숯) : 10(정제수) : 1(천연재)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형태의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한 후 5시간 동안 1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정화블록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14(석고) : 8(패각분말) : 2.5(왕겨숯 및 숯) : 10(정제수) : 1(천연재)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한 후 12시간 동안 55℃ 온도에서 건조하여 정화블록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석고와 패각분말과 왕겨숯 및 숯과 정제수와 천연재를 14 : 8 : 2.5 : 10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혼합물을 압축 성형한 다음 8시간 동안 100℃ 온도에서 건조하여 정화블록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16(석고) : 6(패각분말) : 2.5(왕겨숯 및 숯) : 10(정제수) : 0.5(녹차 추출물 및 유칼립투스 오일)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한 후 7시간 동안 160℃ 온도에서 건조하여 정화블록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14(석고) : 7(패각분말) : 1.5(왕겨숯 및 숯) : 10(정제수) : 1(녹차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한 후 14시간 동안 45℃ 온도에서 건조하여 정화블록을 제조하였다.
1.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탈취 시험
300cc의 삼각 플라스크에 하기에 기재된 농도를 나타내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악취원을 넣고,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정화블록 시편을 각각 5g씩 첨가 및 밀폐한 후 방치하였고, 이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 암모니아 탈취 시험
28% 암모니아수를 4배 부피의 물에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희석액 0.15cc를 넣어 암모니아 농도가 16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암모니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3분 후 65 67 61 138 131
5분 후 43 44 39 125 122
10분 후 26 25 21 120 118
30분 후 13 12 9 109 103
60분 후 6 7 4 94 93
(2)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30% 메틸메르캅탄-메탄올용액을 200배로 물에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희석액 중에서 0.2cc를 덜어내어 암모니아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때, 메틸메르캅탄 농도가 17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52 55 54 102 98
2시간 후 21 24 23 85 77
3시간 후 9 10 8 73 64
(3) 황화수소 탈취 시험
정제수 1에 황화수소 3을 상온에서 용해하여 용해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용해액을 5배로 희석한 것을 0.5cc 덜어내어 암모니아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때, 황화수소 농도가 31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황화수소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121 115 118 232 218
2시간 후 73 69 70 183 174
3시간 후 13 10 11 156 144
(4)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200cc 플라스크에, [메탄올에 30% 용해한 메틸메르캅탄 알코올 용액 10 : 물 1000]을 0.1cc 덜어 밀폐 교반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61 58 63 102 94
2시간 후 33 29 36 96 81
3시간 후 18 17 20 85 81
상기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른 정화제는 비교예 1, 2에 따른 정화제에 비하여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VOC 제거 효율 측정
가로 × 세로 × 높이가 각각 3cm × 3cm × 3cm로 동일한 부피(표면적)의 정육면체 형상을 갖는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의 정화블록 시편을 용량 30L인 항온조 내에 배치하고 초기 VOC 농도를 400ppm로 동일하게 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VOC 농도(ppm)를 측정하여 제거 효율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VOC 제거 효율 시험 (단위 : ppm)
구분 음성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20분 후 392 301 293 312 354 334
40분 후 386 186 181 195 321 307
60분 후 371 125 119 122 286 271
80분 후 357 78 72 77 234 206
100분 후 332 49 44 45 195 178
120분 후 326 30 27 31 167 152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른 정화블록은 비교예 1, 2에 따른 정화블록에 비하여 VOC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항균 활성 시험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의 정화블록 시편에 대해 항균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항균 활성 시험은 상기 정화블록 시편 30g을 세균액에 넣고 25℃에서 24시간 진탕배양 후, 균수 측정(진행회수 150회/분)을 하였으며, 측정방법은 섀이크플래스크(Shake Flask)방법, 대장균은 Escherichia Coli ATCC25922를 사용하였다.
항균 활성 시험 (단위 : 세균수/㎖)
구분 시험 결과(세균수/㎖)
접촉 직후 24시간 후
음성 대조군 5100 5489
실시예 1 5100 1954
실시예 2 5100 1961
실시예 3 5100 1944
비교예 1 5100 4562
비교예 2 5100 4128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른 정화블록은 비교예 1, 2에 따른 정화블록에 비하여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예시의 다양한 시험 결과로부터 기능적 특성이 확인되어진 정화블록(130)(130')은 케이스 형태의 정화모듈(100)(100')에 장착 사용되어지되 수납가구(200)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와 방향 및 개체수로 밀착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설치 위치나 방향 혹은 개체수는 수납가구(200)의 크기나 사용목적 혹은 용도 등에 따라 소비자 혹은 제조사가 임의로 결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수납가구(200)의 측판(201)과 뒷판(202)의 사이 틈새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를 억지 삽입한 후, 수용본체(110)의 볼트고정부(112)를 체결볼트에 의해 측판(201) 내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의 뒷판(202)은 측판(201) 보다는 얇은 베니어 합판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고, 고급가구 혹은 내구성이 보강된 수납가구와 같이 뒷판(202)이 두꺼운 형태의 수납가구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판(201)과 뒷판(202)의 사이 틈새가 거의 없거나 끼움고정부(113)가 삽입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틈새만을 갖고 있을 경우에는 아예 수납가구의 제작 및 판재 고정과정에서 측판(201)과 뒷판(202)의 사이에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를 미리 집어넣어 이들 측판(201)과 뒷판(202)의 상호 고정 과정에서 끼움고정부(113)가 물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사전에 작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100)(10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납가구(200)의 측판(201)과 뒷판(202)에 동시에 밀착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단일 개체 혹은 연속 개체의 형태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도 9의 도시와 같이 수납가구(200)의 측판(201)과 윗판(203)의 사이 틈새를 이용하여 측판(201)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윗판(203)의 아랫면에 단독 혹은 연결 형태로 고정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100)(100')는 수납가구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설치 위치와 설치 개수는 물론 설치 방향 등에 대한 자유로운 가변 적용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내부 정화블록(130)(130')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손쉽게 분리 및 개방시켜 새로운 정화블록으로 교체하거나 전혀 다른 특징을 발휘하는 예컨데, 황토만으로 이루어진 정화블록이거나 숯만으로 이루어진 정화블록 혹은 맥반석이나 자수성 등이 포함된 기능성 정화블록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이들에 의해 더욱 다양한 효과를 수납가구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수용본체(110)의 상,하면에는 수납가구(200)의 판재 틈새로 삽입되는 끼움날개(119)(119')를 더 돌출 형성하여, 전기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와 상기의 끼움날개(119)(119')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볼트고정부(112)를 통해 수용본체(110)가 수납가구(200)의 판재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위에서의 끼움날개(119)(119')는 수용본체(110)의 상,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존의 끼움고정부(113)와 볼트고정부(112)에 의존하고 있는 고정 방법으로부터 진일보하여, 끼움고정부(113) 혹은 끼움날개(119)(119')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판재와 판재 사이 틈새로 밀어넣은 후 볼트고정부(112)를 통해 견고하게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정화모듈(100)(10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끼움고정부(113)와 끼움날개(119)(119')를 동시에 사용하여 더욱 강력하고 견고한 밀착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는 것으로, 위에서의 끼움날개(119)(11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모듈(100)(100')의 설치 방향이나 형태를 더욱 다양하게 가변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크기 혹은 설치 방향과 개체수를 갖는 정화모듈(100)(100')이 구비된 수납가구(200)는 정화모듈(100)(100')이 갖는 우수한 습도조절 작용으로 인해 항상 수납가구(200)의 내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을 것이고, 상기의 정화모듈(100)(100')은 단순히 습도 조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탈취 및 항균성을 갖춰 수납가구 내 각종 물품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정화모듈(100)(100')의 설치 위치 역시 수납가구 내부 중 가장 효용성이 떨어지는 판재 내면이나 내측 모서리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납가구의 내부 가용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 정화모듈
110 : 수용본체 111,111' : 충입공간
112 : 볼트고정부 113 : 끼움고정부
114,114' : 본체통기공 115 : 물림단턱
116,116' : 안내홈 117 : 걸림턱
118,118' : 물림편 119,119' : 끼움날개
120 : 커버체 121,121' : 커버통기공
122,122' : 레일돌기
130 : 정화블록 131,131' : 물림공
132,132' : 돌출방지홈
200 : 수납가구 201 : 측판
202 : 뒷판 203 : 윗판

Claims (12)

  1. 수용본체(110)와 커버체(120)와 정화블록(130)(130')으로 조합되어진 정화모듈(100)(100')을 수납가구(200) 내면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용본체(110)는 배면이 수납가구(200) 배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면으로는 충입공간(111)(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볼트고정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타측에는 수납가구(200)의 판재 사이로 삽입되게 한 박막의 끼움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 및 후측에는 반복 나열의 본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체(120)는 수용본체(110) 전면에 끼움 체결되어 충입공간(111)(111')을 개폐하며 반복의 커버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블록(130)(130')은 석고와 패각분말, 왕겨숯 및 숯, 천연재, 정제수를 포함하여 고체화된 것으로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 내에 끼움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본체(110)의 볼트고정부(112) 배면 위치에 물림단턱(115)을 형성하여 정화모듈(100)(100') 연결 설치시 일측 정화모듈(100)의 끼움고정부(113)가 타측 정화모듈(100')의 물림단턱(115)에 계지된 상태로 볼트고정부(112)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대향측이 동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 일측으로 잘록홈부(113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본체(110) 전면의 상,하측 내면에는 안내홈(116)(116')을 형성하고, 커버체(120)의 상,하단에는 레일돌기(122)(122')를 돌출 형성하여 안내홈(116)(116')으로 레일돌기(122)(122')가 삽입되어 수용본체(110)로부터 커버체(120)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본체(110)의 충입공간(111)(111')에는 끝단에 걸림턱(117)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림편(118)(118')을 돌출 형성하고, 정화블록(130)(130')에는 관통의 물림공(131)(131')을 형성하여 정화블록(130)(130')의 물림공(131)(131')으로 물림편(118)(118')이 탄력 계지되면서 충입공간(111)(111') 내 정화블록(130)(130')의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정화블록(130)(130')의 물림공(131)(131') 양측으로 확장 함몰 형태의 돌출방지홈(132)(132')을 형성하여 물림편(118)(118') 일측의 걸림턱(117)이 상기 돌출방지홈(132)(132') 내에 위치 체결된 상태에서 정화블록(130)(13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블록(130)(130')은 석고와 패각분말과 왕겨숯 및 숯과 정제수와 천연재를 14 : 8 : 2.5 : 10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 후 5 ~ 12시간 동안 55 내지 1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모듈(100)(100')은 수납가구(200) 내측의 측판(201)과 뒷판(202) 사이 틈새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가 억지 삽입되게 하고, 수용본체(110) 타측 볼트고정부(112)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수납가구(200) 측판(201)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모듈(100)(100')은 수납가구(200) 내측의 측판(201)과 뒷판(202) 사이 틈새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가 억지 삽입되게 하고, 수용본체(110) 타측 볼트고정부(112)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수납가구(200) 뒷판(202)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모듈(100)(100')은 수납가구(200) 내측의 측판(201)과 윗판(203) 사이 틈새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가 억지 삽입되게 하고, 수용본체(110) 타측 볼트고정부(112)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수납가구(200) 측판(201)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모듈(100)(100')은 수납가구(200) 내측의 측판(201)과 윗판(203) 사이 틈새로 수용본체(110)의 끼움고정부(113)가 억지 삽입되게 하고, 수용본체(110) 타측 볼트고정부(112)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수납가구(200) 윗판(203)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본체(110) 상,하면에는 수납가구(200) 판재 틈새로 삽입되는 끼움날개(119)(119')를 더 돌출 형성하여 끼움고정부(113)와 상기 끼움날개(119)(119')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볼트고정부(112)를 이용하여 수납가구(200) 일측 판재에 수용본체(110)가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KR1020230077888A 2023-06-19 2023-06-19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KR10260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888A KR102606851B1 (ko) 2023-06-19 2023-06-19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888A KR102606851B1 (ko) 2023-06-19 2023-06-19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851B1 true KR102606851B1 (ko) 2023-11-29

Family

ID=889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888A KR102606851B1 (ko) 2023-06-19 2023-06-19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85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816B1 (ko) 1999-02-04 2002-03-25 김태순 방습과 방충 및 탈취기능을 갖는 가구
KR200318114Y1 (ko) 2003-03-14 2003-06-27 김창용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KR200434071Y1 (ko) * 2006-09-12 2006-12-15 이동명 가구용 제습제 케이스
KR20110000909U (ko) * 2009-07-21 2011-01-27 김귀삼 전기온열매트의 탈취항균장치
JP2016154591A (ja) * 2015-02-23 2016-09-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収納家具の可動部、薬剤収容容器および収納家具
KR101694501B1 (ko) 2015-11-11 2017-01-10 (주)에스와이산업 가구용 제습기
KR20170011258A (ko) * 2015-07-22 2017-02-02 이용화 다용도 복합 탈취기
KR101774507B1 (ko) * 2017-01-06 2017-09-04 이남주 기능성 친환경 건축재
KR102159286B1 (ko) 2019-12-03 2020-09-23 강호진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
US11324849B2 (en) * 2016-06-30 2022-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agrance dispenser with user-selectable release rat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816B1 (ko) 1999-02-04 2002-03-25 김태순 방습과 방충 및 탈취기능을 갖는 가구
KR200318114Y1 (ko) 2003-03-14 2003-06-27 김창용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KR200434071Y1 (ko) * 2006-09-12 2006-12-15 이동명 가구용 제습제 케이스
KR20110000909U (ko) * 2009-07-21 2011-01-27 김귀삼 전기온열매트의 탈취항균장치
JP2016154591A (ja) * 2015-02-23 2016-09-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収納家具の可動部、薬剤収容容器および収納家具
KR20170011258A (ko) * 2015-07-22 2017-02-02 이용화 다용도 복합 탈취기
KR101694501B1 (ko) 2015-11-11 2017-01-10 (주)에스와이산업 가구용 제습기
US11324849B2 (en) * 2016-06-30 2022-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agrance dispenser with user-selectable release rate
KR101774507B1 (ko) * 2017-01-06 2017-09-04 이남주 기능성 친환경 건축재
KR102159286B1 (ko) 2019-12-03 2020-09-23 강호진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5226A (zh) 一种具有综合功能的干粉型生态贝壳粉环保复合涂料
KR102606851B1 (ko)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KR100701566B1 (ko) 마감패널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21040A (ja) 複合炭素材、この複合炭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ボード
CN101934083A (zh) 一种室内环保高效空气净化组合物及其制品
KR20170058578A (ko) 천연 광물질이 함유된 천연 건축내장재의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044928B1 (ko)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CN201176818Y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门
KR200401575Y1 (ko) 숯 필터장치
KR100858351B1 (ko) 친환경 및 기능성 수성 도료 조성물
JP2003253973A (ja) ドア装置
KR200465880Y1 (ko) 숯을 이용한 실내장식 마감판재
KR200216484Y1 (ko) 도어용 장식틀
KR200270568Y1 (ko) 기능성 합지풀로 제조된 골판지 및 그 종이상자
KR200401574Y1 (ko) 숯 필터 장치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20050071852A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KR200397039Y1 (ko) 흡습수단을 구비한 건축/가구용 자재
KR101683100B1 (ko) 황토 및 질석을 함유한 가구용 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구용 부재
KR20030091079A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흡착탈취제
KR200211891Y1 (ko) 기능성 가구
WO2005110742A1 (en) Air drain of wood-charcoal-different material composite for humanbody-favored building material
KR200315135Y1 (ko) 숯블록 수납구조를 갖는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