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225A -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225A
KR20110023225A KR1020090080938A KR20090080938A KR20110023225A KR 20110023225 A KR20110023225 A KR 20110023225A KR 1020090080938 A KR1020090080938 A KR 1020090080938A KR 20090080938 A KR20090080938 A KR 20090080938A KR 20110023225 A KR20110023225 A KR 20110023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sawdust
board
mixtu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맹호
Original Assignee
최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맹호 filed Critical 최맹호
Priority to KR102009008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225A/ko
Publication of KR2011002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5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친환경적이고 폐기물 처리가 없는 황토보드를 제조하되, 상기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갱이형태로 뭉쳐진 톱밥알갱이를 첨가하여 황토보드의 내부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공기층의 존재로 인한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물과 함께 반죽하는 반죽공정과;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보드성형틀로 가압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건조시켜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죽공정에서의 상기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갱이 형태로 뭉친 소정의 부피를 갖는 톱밥알갱이가 포함되어 상기 톱밥알갱이에 의해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 보드, 점토, 건초, 톱밥, 공극

Description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TRUE FRIENDLY CONSTRUCTION LOESS BOARD}
본 발명은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친환경적이고 폐기물 처리가 없는 황토보드를 제조하되, 상기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갱이형태로 뭉쳐진 톱밥알갱이를 첨가하여 황토보드의 내부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공기층의 존재로 인한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가볍고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알루미늄 판넬에 석고보드를 부착한 건축내장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석고보드는 제조과정에서 석면(발암성물질)이 포함(2 ~ 3%) 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석면으로 만들어진 석고보드가 장착된 건축내장재는 거주자에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습기제거와 화재예방, 방충 및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점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석고보드를 폐기할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발암물질의 비산과 함께 조성재료 및 접착제에 포함된 화학성분 등으로 인하여 폐기장 인근에서 생활하고 있는 주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지 부근의 토양과 수질 등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전반의 웰빙 열풍과 함께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기 위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좀 더 자연친화적이고 인간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주거생활공간을 꾸미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석고보드를 대체하는 자연소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 황토가 단열, 방음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뛰어난 습도조절능력이 확인됨에 따라 각종 건축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바, 다양한 황토를 이용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황토에 대하여 설명하면, 황토는 일반적인 표층 상의 적토와는 구별되게 적토 하부층에서 채취되는 약 알카리성 흙으로써,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황토입자의 크기는 대략 0.02∼0.05㎜이며,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화학적으로 보면 황토는 실리카, 철분, 알루미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석회, 스멕타이트 등으로 조성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특히 스멕타이트는 산소를 생성하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황토는 물을 정화시키는 효과,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야채를 생생하게 소생시키는 효과,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 요통 및 어깨 결림의 완화효과, 피로회복 효과, 통증 완화 효과, 숙면을 돕는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황토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데, 황토방, 황토 찜질방, 황토 사우나 등의 바닥, 천정 또는 벽면에 반죽 형태로 황토가 시공되고 있고, 또한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한 황토 벽돌이나 황토 타일 등이 출시되고 있고, 침대의 바닥판으로도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통상, 황토보드는 황토 반죽을 고압의 프레스 또는 가압 롤러 등의 성형틀로 압착하여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보드를 제조하기 위해 황토로 이루어진 반죽만을 압착 성형하는 경우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강도가 약하며, 제품의 성형 후에 크랙(Crack)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과정에서 수축 및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황토에 백시멘트나 수지(바인더)를 혼합한 반죽을 이용하여 황토보드를 성형하기도 하는데, 이는 오히려 화학물질을 혼합하게 됨으로써 황토 본연의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폐기물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황토보드는 전체적으로 중량이 상당하여 건축용으로 활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황토보드를 제조함에 있어 황토와 성질이 유사한 점토를 혼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에 의해 황토혼합물이 서로 엉키도록 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며,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폐기물 처리가 없으면서도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갱이형태로 뭉쳐진 톱밥알갱이를 첨가하여 황토보드의 내부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공기층의 존재로 인한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질이 함유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건초를 압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지게 형성한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대는 건초그물망보강공정을 포함으로써 황토보드의 인장강도를 극대화하고, 톱밥으로 향나무 톱밥, 솔나무 톱밥, 은행나무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방향 및 향균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 조 방법은,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물과 함께 반죽하는 반죽공정과;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보드성형틀로 가압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건조시켜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죽공정에서의 상기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갱이 형태로 뭉친 소정의 부피를 갖는 톱밥알갱이가 포함되어 상기 톱밥알갱이에 의해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상기 톱밥알갱이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수분을 가한 상태에서 냉각시켜 알갱이 형태로 뭉쳐지도록 하여, 상기 황토혼합물이 상기 성형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톱밥알갱이의 수분이 증발되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던 상기 톱밥알갱이가 상기 톱밥으로 분쇄되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소정의 부피를 갖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상기 황토혼합물은 황토 30 ~ 35 중량%, 점토 15 ~ 20 중량%,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35 중량%, 톱밥 15 중량%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공극은 상기 황토보드의 전체 부피 중 10 ~ 15 부피%를 차지하도록 상기 황토혼합물에 상기 톱밥이 상기 톱밥알갱이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상기 성형공정 이전에 섬유질이 함유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건초를 압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펼 쳐지게 형성한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대는 건초그물망보강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상기 반죽공정에서의 상기 톱밥은 향나무 톱밥, 솔나무 톱밥, 은행나무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반죽공정, 성형공정, 건조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황토보드를 제조함에 있어 황토와 성질이 유사한 점토를 혼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에 의해 황토혼합물이 서로 엉키도록 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며,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폐기물 처리가 없으면서도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갱이형태로 뭉쳐진 톱밥알갱이를 첨가하여 황토보드의 내부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공기층의 존재로 인한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섬유질이 함유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건초를 압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지게 형성한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대는 건초그물망보강공정을 포함으로써 황토보드의 인장강도를 극대화하고, 톱밥으로 향나무 톱밥, 솔나무 톱밥, 은행나무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방향 및 향균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보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반죽공정(S10)과, 건초그물망보강공정(S20)과, 성형공정(S30)과, 건조공정(S40)이 포함된다.
상기 반죽공정(S10)은 황토혼합물을 물과 함께 반죽하는 단계로서 상기 황토혼합물은 황토 20 ~ 40 중량%, 점토 10 ~ 30 중량%,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35 중량%, 톱밥 15 중량%가 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황토 30 ~ 35 중량%, 점토 15 ~ 20 중량%가 배합되도록 한다.
상기 황토는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뛰어난 습도조절능력을 갖고 있어 최근 친환경 건축자재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황토혼합물의 주재료로 이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점토는 상기 황토의 비중이 너무 높을 경우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상기 황토와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으면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황토혼합물의 부재료로 이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는 섬유질의 성분에 의해 상기 황토혼합물이 상호간 엉키도록 함으로써 황토보드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건초로는 통상의 마른 풀, 볏짚, 옥수수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톱밥은 황토보드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함으로써 황토보드의 중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재료인데,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토보드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또는 전부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톱밥알갱이 형태로 상기 황토혼합물에 포함되는데, 상기 톱밥알갱이는 톱밥을 압출성형하여 자체적으로 뭉쳐지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톱밥에 수분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냉각시켜 알갱이 형태로 뭉쳐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톱밥을 압출성형하여 형성한 상기 톱밥알갱이는 황토혼합물의 내부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게 되고, 톱밥알갱이의 특성상 상기 황토 또는 상기 점토에 대비하여 상기 톱밥알갱이 자체의 내부에 미세한 공극(기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톱밥에 수분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냉각시켜 형성된 상기 톱밥알갱이는 상기 황토혼합물이 상기 성형공정(S30)과 상기 건조공정(S40)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톱밥알갱이의 수분이 증발되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던 상기 톱밥알갱이가 상기 톱밥으로 분쇄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소정의 부피를 갖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톱밥을 일반톱밥과 톱밥알갱이로 구분할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일반톱밥과 상기 톱밥알갱이의 비율은 상기 공극이 상기 황토보드의 전체 부피 중 10 ~ 15 부피%를 차지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정해지는데, 통상 황토보드의 전체 부피 중 상기 톱밥알갱이의 부피가 10 ~ 15 부피%를 소폭 초과하도록 구성한다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형성되는 황토보드 내의 공극은 황토보드의 경량화를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층의 존재로 인해 황토보드의 단열효과의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저항형 단열재의 원리는 내부의 기포를 통해 공기가 정지되도록 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단열을 하게 되는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의 공극이 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밥은 향나무 톱밥, 솔나무 톱밥, 은행나무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향나무 톱밥이 사용되는 경우 향기가 나는 방향 성능을 갖는 황토보드를 제조할 수도 있고, 솔나무 톱밥 또는 은행나무 톱밥이 사용되는 경우 향균기능을 갖는 황토보드를 제조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향나무 톱밥 대신에 일반톱밥에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를 첨가함으로써 방향 성능을 갖는 황토보드를 제조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한 함량 및 조건은 여러 실험을 통해 얻어낸 강도 및 중량 등의 면에서 최상의 황토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함량 및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상기 건초그물망보강공정(S20)은 제조되는 황토보드의 인장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상기 성형공정(S30) 이전에 섬유질이 함유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건초를 압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지게 형성한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대는 공정이다.
즉, 상기 건초그물망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상의 풀, 볏짚, 옥수수대 등의 건초를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지게 하여 제작되고, 상기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댄 후 상기 성형공정(S30)에서 보드성형틀을 통해 가압성형함으로써 상기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일체로 엉키도록 함으로써 황토보드의 인장강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일표면에만 덧대고 가압성형하여 황토보드를 제조하였는데, 이렇게 제조된 황토보드는 건초그물망이 덧대어지지 않는 다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천장용 황토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보드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는데,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양표면에 덧대고 가압성형하여 황토보드를 제조하였는데, 이렇게 제조된 황토보드는 인장강도가 크게 향상됨으로써 석고벽보드를 대체하는 친환경 황토벽보드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가 벽보드로 이용되는 경우 양면에 종이가 부착되어 사용됨으로 상기 건초그물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상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보드는 상기 건초그물망보강공정(S20)을 생략하더라도 상기 황토혼합물에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분말이 포함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로 황토보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황토단열재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성형공정(S30)은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판상의 보드로 성형하도록 보드성형틀로 가압성형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성형공정(S30)은 판상의 보드성형틀 내에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넣고 순간적인 압력의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하거나,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보드성형틀에 담아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며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판상으로 성형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은 통상의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일반적인 공정이고 이미 다양한 방법의 성형공정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성형공정(S30)에서는 바닥면에 소정의 패턴형상을 갖는 보드성형틀을 이용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보드의 표면에 심미감을 도모하고 중량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소정의 패턴형상을 갖는 음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S40)은 성형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건조시켜 황토보드를 제조 하는 마무리 공정이다.
즉, 상기 건조공정(S40)은 상기 황토혼합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황토보드가 소정을 강도를 갖도록 굳게 하는 공정인데, 상기 성형공정(S30)에서 상기 보드성형틀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과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1차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성형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30℃ 내외의 열풍으로 건조할 수도 있으며, 처음부터 통풍이 양호한 그늘진 장소에서 3일 정도 자연건조시키는 방법으로 건조시킬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다만, 너무 급격한 건조는 황토보드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80℃ 이상의 열풍건조는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황토혼합물의 건조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고 당업자에게 있어서 일반적인 공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보드의 단면도

Claims (5)

  1. 황토, 점토,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톱밥이 배합된 황토혼합물을 물과 함께 반죽하는 반죽공정과;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보드성형틀로 가압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상기 황토혼합물을 건조시켜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죽공정에서의 상기 황토혼합물에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갱이 형태로 뭉친 소정의 부피를 갖는 톱밥알갱이가 포함되어 상기 톱밥알갱이에 의해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 보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알갱이는, 상기 톱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수분을 가한 상태에서 냉각시켜 알갱이 형태로 뭉쳐지도록 하여, 상기 황토혼합물이 상기 성형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톱밥알갱이의 수분이 증발되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던 상기 톱밥알갱이가 상기 톱밥으로 분쇄되며 상기 황토보드의 내부에 소정의 부피를 갖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혼합물은 황토 20 ~ 40 중량%, 점토 10 ~ 30 중량%, 섬유질이 함유된 분쇄된 건초 35 중량%, 톱밥 15 중량%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공극은 상기 황토보드의 전체 부피 중 10 ~ 15 부피%를 차지하도록 상기 황토혼합물에 상기 톱밥이 상기 톱밥알갱이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정 이전에 섬유질이 함유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건초를 압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지게 형성한 건초그물망을 반죽된 상기 황토혼합물의 표면에 덧대는 건초그물망보강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공정에서의 상기 톱밥은 향나무 톱밥, 솔나무 톱밥, 은행나무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1020090080938A 2009-08-31 2009-08-31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20110023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938A KR20110023225A (ko) 2009-08-31 2009-08-31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938A KR20110023225A (ko) 2009-08-31 2009-08-31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25A true KR20110023225A (ko) 2011-03-08

Family

ID=4393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938A KR20110023225A (ko) 2009-08-31 2009-08-31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2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172A (ko) 2015-04-29 2016-11-09 황토코리아협동조합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KR101707953B1 (ko) 2016-04-29 2017-02-20 황토코리아협동조합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천연보드의 제조방법
KR20170018997A (ko) 2015-08-10 2017-02-21 황토코리아협동조합 친환경 천연보드의 제조방법
KR20200111363A (ko) * 2019-03-19 2020-09-29 김현용 친환경 단열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단열재
KR102587796B1 (ko) 2022-04-18 2023-10-11 주식회사 코어 가구용 친환경 흙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172A (ko) 2015-04-29 2016-11-09 황토코리아협동조합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KR20170018997A (ko) 2015-08-10 2017-02-21 황토코리아협동조합 친환경 천연보드의 제조방법
KR101707953B1 (ko) 2016-04-29 2017-02-20 황토코리아협동조합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천연보드의 제조방법
KR20200111363A (ko) * 2019-03-19 2020-09-29 김현용 친환경 단열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단열재
KR102587796B1 (ko) 2022-04-18 2023-10-11 주식회사 코어 가구용 친환경 흙보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73B1 (ko) 숯을 포함하는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4087B1 (ko) 숯을 내장한 황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458065B1 (ko)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100881070B1 (ko) 한지원료인 천연의 닥 펄프와 황토를 주원료로 사용하여얻는 한지황토판재 및 그 이용방법
KR100780608B1 (ko) 건축내장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20110075338A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0695488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100677761B1 (ko) 기능성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414819B1 (ko) 친환경 황토 단열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805536B1 (ko) 황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814899B1 (ko) 친환경 실내외 건축 보드
KR101579799B1 (ko) 진흙보드 제조방법
KR100802238B1 (ko) 건축용 보드
KR101057346B1 (ko) 침대용 기능성 온열보료
KR100654968B1 (ko) 대마와 석회를 이용한 건축패널
KR101210373B1 (ko) 건축 자재용 황토 불연재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87979A (ja) 小麦ふすまを利用した建材用組成物
KR20040052778A (ko) 경량 판재 제조 방법 및 그 경량 판재
KR100909088B1 (ko) 나노크기의 결합재를 함유한 친환경 마그네슘보드
KR20050117609A (ko) 건축 자재용 황토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