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258A - 다용도 복합 탈취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복합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258A
KR20170011258A KR1020150103570A KR20150103570A KR20170011258A KR 20170011258 A KR20170011258 A KR 20170011258A KR 1020150103570 A KR1020150103570 A KR 1020150103570A KR 20150103570 A KR20150103570 A KR 20150103570A KR 20170011258 A KR20170011258 A KR 20170011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upling
upper cover
guide groove
capsu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김승제
Original Assignee
이용화
김승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김승제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15010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258A/ko
Publication of KR20170011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복합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방향제, 탈취제, 또는 유해충 퇴치제가 수용되는 메인캡슐 본체와, 그 메인캡슐 본체로 탈/부착되는 가변 설치부재를 형성하여, 특정된 어느 하나의 취급(설치)형태, 예컨대, 거치형, 걸이형, 부착형, 장식용, 수납용 등과 같은 용도별 특성에 구애받음 없이,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가변적인 설치 및 이용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가변적 설치 및 이용관계로서, 화장실용, 신발장용, 옷장용, 침실용 등과 같은, 사용장소별 특성에 또한 제한됨 없이 범용적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사용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복합 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관계에 의해 내측면으로 약제수용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돌출구조를 취하는 설치부재 연결구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커버 전면에 약제 발산공을 더 형성시킨 메인캡슐 본체;
그리고, 상기 설치부재 연결구에 탈/부착 결합되는 가변설치수단으로서, 체결유도공을 형성한 캡슐 연결판을 마련하고, 상기 캡슐연결판 일측면에 "ㄷ"형상의 설치 유도홈을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재차, 상기 설치유도홈 내측 상부면에 보조마찰 돌기를 더 형성시킨 가변설치 부재로 구성되게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복합 탈취기{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장, 화장실, 옷장, 사무실, 침실 등, 어는 특정된 하나의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환경에 따라 그 제품의 형상적 구조를 가변적 형태로 선택 변형하여, 설치 다용도 복합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환기가 원활하지 못한 실내의 공기는 각종 세균과 먼지, 또는 담배연기와 같은, 각종 유해가스 등에 의해 항상 오염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실내 오염물질은 인체 내로 쉽게 침투하여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질병발생에 결정적인 유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 원룸 등과 같이 서구화된 오늘날의 주거환경 특성상, 신발장, 화장실 등과 같이 세균번식 및 악취발생의 우려가 높은 시설들이 침실이나 거실, 주방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그들 시설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해균 및 악취에 사람들은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결국 생활환경이 불결해질 수밖에 없음은 물론, 심지어 질병발생의 문제점 또한 야기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에 있어서는, 이러한 다양한 실내 오염물질 및 악취 등을 안정적으로 정화 및 탈취처리하여,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되게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수단, 예컨대, 각종 공기정화기와 탈취기, 그외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 및 탈취제 등이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방향제 및 탈취제는 좋은 향을 발산하는 액상의 약제 또는 그 약제를 수용한 포대 내지 캡슐 등의 구조로서, 이 약제에 의한 향 발산작용에 의해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불쾌한 악취를 제거하며,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방향수단(방향제) 또는 탈취수단(탈취제)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실용신안등록 제0287257호)된 "휴대용 허브방향캡슐"과 같은 형태로서, 사용 내지 취급형태에 따라 거치형, 걸이형, 부착형, 장식용 등의 캡슐구조, 또는, 수납포대구조, 또는, 분사용기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또 다르게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별 특성에 따라, 화장실용, 신발장용, 옷장용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별 물품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와 같이, 제공되는 종래의 방향수단 또는 탈취수단은, 그 취급 및 사용목적, 그리고, 장소별 특성에 맞추어, 각각 용도별로 개별구매해야 하는 것으로, 매우 비경제적인 사용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특히, 사용자 필요에 따른 장소별 변환사용, 예컨대, 신발장용을 화장실용으로 설치이용하거나, 혹은, 화장실용을 옷장용으로 설치 이용하는 것 등과 같이, 그 변환사용 자체가 불가한 것으로, 이에, 호환성 결여라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치명적 문제로 인하여 사용효율성 및 편의성 또한 극히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도 및 장소별 제한 사용구조를 갖는 종래 방향수단 및 탈취수단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제 또는 탈취약제가 수용되는 메인캡슐 본체와, 그 메인캡슐 본체로 탈,부착 결합하는 가변 설치부재를 형성하여, 특정된 어느 하나의 취급(설치)형태, 예컨대, 거치형, 걸이형, 부착형, 장식용, 수납용 등과 같은 용도별 특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가변적인 설치 및 이용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가변적 설치 및 이용관계로서, 화장실용, 신발장용, 옷장용, 침실용 등과 같은, 사용장소별 특성에 또한 제한됨 없이 범용적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사용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복합 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적 사용특성을 갖는 방향 내지 탈취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센서감지에 의한 조명기능, 그 조명기능과 함께 발휘되는 살균정화기능, 초음파 발진에 의한 유해충 퇴치기능, 그리고, 발풍작용에 의한 약제강제 발산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되도록 하여, 강한 향에 의해 불쾌한 냄새를 단순히 덮는 것이 아니라, 실내 또는 시설물 내의 오염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살균 정화처리할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그 오염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인체 유해한 악취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소비자의 사용만족도 또한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복합 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관계에 의해 내측면으로 약제수용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돌출구조를 취하는 설치부재 연결구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커버 전면에 약제 발산공을 더 형성시킨 메인캡슐 본체;
그리고, 상기 설치부재 연결구에 탈/부착 결합되는 가변설치수단으로서, 체결유도공이 마련된 캡슐 연결판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연결판 일측면에 "ㄷ"형상의 설치 유도홈을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재차, 상기 설치유도홈 내측 상부면에 보조마찰 돌기를 더 형성시킨 가변설치 부재로 구성되게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가 수용되는 메인캡슐 본체와, 상기 메인캡슐 본체에, 선택으로 탈/부착 결합하는 설치부재를 더 마련시킨 구성으로서, 이는, 특정된 어느 하나의 취급(설치)형태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가변적 설치관계로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이러한, 가변적 설치이용관계에 따라, 화장실, 신발장, 옷장, 침실과 같은, 사용장소별 특성 등에 또한 한정됨 없이 범용적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르게, 본 발명은, 단순한 방향 내지 탈취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UV엘이디 램프에 의한 조명기능, 그 조명기능과 함께 발휘되는 살균정화기능, 초음파 발진에 의한 유해충 퇴치기능, 그리고, 발풍 작용에 의한 약제강제 발산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되게 하여, 실내 오염공기를 안정적으로 살균 정화처리되게 함과 동시에, 오염공기로 인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소비자의 사용만족도 또한 증대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결합 단면구성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설치부재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변설치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메인캡슐 본체(1)와, 가변설치 부재(2)와, 전원공급부(3)와, 발풍작동부(4)와, 초음파 발진부(5)와, 발광부(6)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메인캡슐 본체(1)는, 방향제, 탈취제,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M)를, 포대 또는 필터 등에 충진시키거나 흡수시킨 형태로, 선택적 교환 수용되게 하는 본 발명의 외관몸체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메인캡슐 본체(1)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분리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결합관계에 의해 메인캡슐 본체(1) 내측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태의 약제수용 공간부(13)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며, 재차, 이러한, 구성에 있어, 상기 상부커버(11)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 중앙부에 소정길이로 수직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설치부재 연결구(111)를 일체로 더 형성되게 하고, 재차, 상기 하부커버(12)의 전면으로는 원형띠 형상을 취하며,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간격 및 관통구조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약제 발산공(121)을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112는 커버결합구)
이때, 전술한 구성에 있어, 상부커버(11)로 형성되는 수직돌출구조의 설치부재 연결구(11)는, 선택에 따른 다양한 기능 및 형상, 예컨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소재를 자력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마그네틱(111-1)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외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그에 따라, 후술하는 가변설치 부재(2)와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볼트(111-2)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 가압 밀착결합 기능을 갖는 밀착고정고(111-3)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변설치 부재(2)는, 전술한 메인캡슐 본체(1)와 탈,부착 결합관계를 갖으며, 그 메인캡슐 본체(1)를 필요한 장소 내지 위치에 가변적으로 설치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가변설치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가변설치 부재(2)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형구조를 취하며, 그 하부면 중앙부에 소정깊이를 갖는 형상의 체결유도공(21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유도공(211)을 형성한 캡슐연결판(21) 일측면에 직각 절곡구조, 예컨대, "ㄷ"형상으로 절곡된 설치유도홈(22)을 일체로 연결형성하며, 재차, 상기 형성된 설치유도홈(22) 내측 상부면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배치구조를 이루며, 일정한 간격배열로 돌출되는 보조마찰 돌기(23)를 일체로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구성에 있어, 상기 체결유도공(211)은, 전술한 상부커버(11)의 설치부재 연결구(11)와 강제 삽입식 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수단인바, 이에, 이와 같은, 체결유도공(211)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111-1)으로 이루어진 설치부재 연결구(11)와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금속자성체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볼트(111-2)로 이루어진 설치부재 연결구(111)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는 관통형 너트(211-1)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 상기 밀착고정편(111-3)으로 이루어진 설치부재 연결구(11)와 슬라이딩 걸림 구조로 결합하게 하는 고정편 체결홈(211-2) 으로 선택적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3)는, 후술하는, 발풍작동부(4)와, 초음파 발진부(5), 그리고, UV엘이디 램프(6)의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에너지 공급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전원공급부(3)는 축전지(B)가 탈/부착 결합하는, 통상의 배터리 수단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취하는 것인바,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원공급부(3)에 대한 구체적 배선연결관계 및 일련의 전기공급 및 흐름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면 미설명 부호 S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또한, 상기 발풍작동부(4)는, 축전지(B)로부터 제공받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인위적으로 바람을 발생하게 하여, 전술한, 메인캡슐 본체(1) 내에 수용된 약제성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토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보조수단인바, 이에, 이와 같은, 발풍작동부(4)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날개(4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날개(41)를 수용토록 하여, 외부구성요소들과의 접촉 및 그들 간섭으로부터 회전날개(41)를 보호토록 하기 위한 간섭방지망(42)을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진부(5)는, 축전지(B)로부터 제공받는 에너지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게 하여, 모기, 바퀴 등과 같은 유해충의 실내유입을 차단 또는 박멸되게 하는 본 발명의 부가적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초음파 발진부(5)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진센서(51)와, 초음파의 발진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52), 그리고, 발진된 초음파를 외부로 확산 되게 하는 초음파 출력스피커(5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6)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가 설치된 장소 특정 위치에 조명기능과 함께 자외선 살균정화기능을 부가되게 하는 보조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발광부(6)는, 기판에 탑재된 UV엘이디 램프(61)를 마련하고,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온/오프 작동관계를 자동 또는 수동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작동설정스위치(62)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작동관계를 자동감지에 의해 제어토록 하는 감지센서(62)와,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작동관계를 수동으로 제어토록 하는 수동조작 스위치(63)로 더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먼저, 상부커버(11)의 내측 일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를 결합 설치시키고, 상부커버(11) 내측 중앙부에 발풍작동부(4)를 더 설치형성시키며, 재차, 상기 발풍작동부(4) 일측면에 초음파 발진부(5)를 근접 설치되도록 한다.
이후, 하부커버(12) 외측 전면 중앙부에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6)를 더 결합 설치되도록 한 상태하에, 그들,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를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메인캡슐 본체(1)를 형성한다.
이때, 이와 같이,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메인캡슐 본체(1)는, 그 내측면에 약제수용 공간부(13)가 형성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약제수용 공간부(13)로는, 방향제, 탈취제,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M)가, 포대 또는 필터 등에 충진 또는 흡수된 물품형태로서, 수용 구성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캡슐 본체(1)에 있어, 상부커버(11)로 형성된 설치부재 연결구(111)를 결합수단으로 하여, 그 설치부재 연결구(111)에, 마그네틱(111-1)에 의한 자력결합방식, 볼트(111-2) 및 관통형 너트(211-2)에 의한 나사체결방식, 그리고, 밀착고정구(111-3)와 고정편 체결홈(211-2)에 의한 슬라이딩 걸림 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메인캡슐 본체(1)와 가변설치 부재(2)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를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는, 위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필수 구비요건으로 마련해야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효율성 및 사용자요구에 따라, 전원공급부(3), 발풍작동부(4), 초음파 발진부(5), 발광부(6) 구성을 배제시킨 형태로 하여, 메인캡슐 본체(1)와 가변설치 부재(2)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 메인캡슐 본체(1)와, 가변설치 부재(2)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전원공급부(3)와, 발풍작동부(4)와, 초음파발진부(5)와, 발광부(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부가구성시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탈취기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메인캡슐 본체(1)에 가변설치 부재(2)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시켜,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장용은 물론, 그외, 화장실용, 옷장용, 침실용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 이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설치 이용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는, 약제(M)에 의한 방향,탈취,유해충 차단기능과, 발풍작동부(4)에 의한 약제(M) 강제방출기능, 초음파 발진부(5)에 의한 유해충 박멸 배가 기능, 그리고, UV엘이디 램프(61)의 자외선 발광에 따른 조명 및 살균기능을 복합적으로 병행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변설치 부재(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로서의 가변설치 부재(2) 있어, "ㄷ"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설치유도홈(22) 상부면 중앙에 관통구조를 취하는 거치공(221)을 더 형성토록 하고, 재차, 상기 설치유도홈(22) 측면부는 도 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표시면(222)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가변설치 부재(2)는, 거치공(221)을 이용하여, 메인캡슐 본체(1)를, 실내 벽면 등에 걸이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 다르게, 광고표시면(222)을 통해 각종 광고문안 등을 표시 노출되도록 하여, 각종 판촉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 : 메인캡슐 본체 2 : 가변설치 부재 3 : 전원공급부
4 : 발풍작동부 5 : 초음파 발진부 6 : 발광부
11 : 상부커버 12 : 하부커버 13 : 약제수용 공간부
21 : 캡슐연결판 22 : 설치유도홈 23 : 보조마찰돌기
41 : 회전날개 42 : 간섭방지망 61 : UV엘이디 램프
62 : 감지센서 63 : 수동조작 스위치

Claims (5)

  1. 상,하 분리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로 이루어지고,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결합관계에 의해 그 내측면으로 약제수용 공간부(13)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11)의 상부면 중앙부에 돌출구조를 취하는 설치부재 연결구(111)를 더 형성하고, 상기 하부커버(12) 전면에 원형띠 형상을 취하는 다수개의 약제 발산공(121)을 더 형성한 메인캡슐 본체(1);
    상기 설치부재 연결구(111)에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는 가변설치수단으로서, 그 중앙부에 체결유도공(211)이 마련된 캡슐 연결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연결판(21) 일측면에 직각 절곡구조로 일체화 연결되는, "ㄷ"형상의 설치 유도홈(22)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유도홈(22) 내측 상부면에 보조마찰 돌기(23)를 더 형성한 가변설치 부재(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슐 본체(1)에 있어, 상부커버(11)는, 내측 일면에 축전지(B)가 장착된 전원공급부(3)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11) 내측 중앙부에 발풍작동부(4)를 더 설치형성하되, 상기 발풍작동부(4)는, 회전날개(41)와, 회전날개(41)를 보호하는 간섭방지망(42)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풍작동부(4) 일측면에 초음파 발진부(5)가 더 근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슐 본체(1)에 있어, 하부커버(12)는, 외측 전면 중앙부에 발광부(6)를 더 형성하되, 상기 발광부(6)는, UV엘이디 램프(61)와,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온/오프 작동관계를 자동과 수동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작동설정스위치(62)와,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는 감지센서(62)와, 상기 UV엘이디 램프(61)의 작동관계를 수동제어하는 수동조작 스위치(63)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설치 부재(2)는, "ㄷ"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설치유도홈(22) 상부면 중앙에 관통구조의 거치공(2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유도홈(22) 측면부는 광고표시면(222)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 연결구(111)는, 자력작용을 행하는 마그네틱(111-1), 나사체결방식을 갖는 볼트(111-2), 압착결합방식을 갖는 밀착고정편(111-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 연결구(111)로 결합되는 체결유도캡(211)은, 마그네틱과 자력결합되는 금속자성체, 볼트(111-2)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관통형 너트(211-1), 밀착고정편(111-3)을 슬라이딩 결합되게 하는 고정편 체결홈(211-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 탈취기.
KR1020150103570A 2015-07-22 2015-07-22 다용도 복합 탈취기 KR20170011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0A KR20170011258A (ko) 2015-07-22 2015-07-22 다용도 복합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0A KR20170011258A (ko) 2015-07-22 2015-07-22 다용도 복합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58A true KR20170011258A (ko) 2017-02-02

Family

ID=5815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570A KR20170011258A (ko) 2015-07-22 2015-07-22 다용도 복합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5111A (zh) * 2018-10-11 2020-01-24 宁波爱科特环境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香氛和防蛀功能的除湿机
KR102606851B1 (ko) * 2023-06-19 2023-11-29 송성철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5111A (zh) * 2018-10-11 2020-01-24 宁波爱科特环境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香氛和防蛀功能的除湿机
KR102606851B1 (ko) * 2023-06-19 2023-11-29 송성철 친환경 다기능 정화모듈이 내재된 수납형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8254A1 (en) Automatic sanitizer and deodorizer
KR20140119495A (ko) 탁상용 다기능 공기 정화기
KR20110049465A (ko) 다기능 화면노출 웰빙형 공기 청정살균기
KR20170011258A (ko) 다용도 복합 탈취기
US20130276220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and the like
ATE553785T1 (de) Geregelter spender von raumbeduftungsmitteln und/oder parfümen, der in eine wand einbaubar ist
KR101930809B1 (ko) 수납장용 받침대
KR100461780B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US20070272895A1 (en) Deodorizing system
JP3120431U (ja) 車両用健康空気清浄装置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2001079076A (ja) 放香装置
KR200393549Y1 (ko) 항산화제 비타민을 갖는 조명기구
JP2021185991A (ja) 照明器具
KR101058562B1 (ko) 자외선 살균 소독기
KR200262167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US8136172B1 (en) Scented toilet seat
CN211898763U (zh) 除臭喷香装置及除臭喷香马桶
KR101111698B1 (ko) 항균 탈취가 가능한 실내 장식용기
KR20170055285A (ko) 세정비누로 재활용되는 복합탈취기용 탈취재
KR200384497Y1 (ko) 습기 및 악취 제거장치
US9211353B2 (en) Clarifier for bidet with phytoncide filter
CN218064813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智能家居灭蚊照明灯
KR200415244Y1 (ko) 현관등 공기 살균 탈취기
KR20110006095U (ko) 공기 정화수단을 구비한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