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928B1 -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928B1
KR101044928B1 KR1020100070344A KR20100070344A KR101044928B1 KR 101044928 B1 KR101044928 B1 KR 101044928B1 KR 1020100070344 A KR1020100070344 A KR 1020100070344A KR 20100070344 A KR20100070344 A KR 20100070344A KR 101044928 B1 KR101044928 B1 KR 10104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dor
composition
powd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호
Original Assignee
권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호 filed Critical 권혁호
Priority to KR102010007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에 관한 것으로, 기존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 악취제거장치를 부착하거나, 탈취제를 분무, 혹은 전기를 사용하여 펜을 돌려 배출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악취제거장치가 부착되는 부위나 탈취제가 분무 되는 그 외 부위에서는 탈취율이 높지 못하며, 지속적으로 교체나 보충이 필요하며, 실내에 곰팡이가 발육하여 비위생적이며, 전기를 사용하여 강제 배기방법은 전기가 필요로 하며, 이동과 위치에 제한이 있고, 그리고 전기사용에 따른 비용이 들며, 외부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시 발생하는 실내의 악취를 제거하지 못하여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에 불쾌한 환경이 조성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이동식 화장실 벽(30)과 지붕(35)의 내측인 이동식 화장실의 내면(20)을 탈취효과와 항균성, 그리고 음이온 발생 효과를 지닌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을 하며, 배기관(10)과 배기장치(32) 사이에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된 필터(13)로 구성되는 여과장치(11)를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천연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 무기입자 중 모데나이트 원석분말, 귀양석 원석 분말, 황토분말, 참숯 혹은 활성탄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참숯이나 활성탄등 통기성 있는 다공질 소재에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통기성을 유지하는 것과, 소재에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을 한 후 천공기로 다수의 미세한 천공을 하여 통기성을 가지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의 악취를 탈취하고, 실내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며, 실내에 음이온을 발생하여 이동식 화장실의 이용자와 주변에 있는 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종래 악취제거방법인 악취제거장치의 교체와 탈취제 보충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며, 굴뚝효과와 바람에 의한 원심력이나,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배기장치(32)로써 내기를 외기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위치나 이동에 제한이 없다.

Description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Mobile toilet of deodoriz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내부의 악취와 배기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 구조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이동식 화장실의 정화조에서 미생물, 기타 균주를 사용하는 분뇨 분해 방식을 사용하는데, 자연 발생하는 악취, 암모니아 가스 등을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 기존 종래의 악취 제거 방법은 가스 흡착제를 사용한 악취제거장치를 부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탈취제를 분무하거나, 전기를 사용하여 펜을 돌려 외기를 도입하고 내기를 배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악취제거장치 부착과 탈취제 분무는 악취제거장치가 부착되는 부위나 탈취제가 분무 되는 부위의 악취는 줄지만, 그 외 부위에서는 탈취율이 높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악취제거장치의 교체나 탈취제 보충이 필요하며, 이동식 화장실 내에 곰팡이가 발육하여 비위생적이다.
또한, 전기를 사용하여 강제 배기방법은 태양광, 풍력과 같은 전기 자급 장치의 비용과 전기를 자급하지 못할 경우 전기를 공급 받아야 함으로 이동과 위치에 제한이 있고, 그리고 전기사용에 따른 유지비가 들며, 배기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기 되는 악취의 탈취율이 높지 못하여 외부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시 발생하는 실내의 악취를 제거하지 못하여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는 불쾌한 환경이 조성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 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악취와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며, 이동식 화장실 내부에 곰팡이가 발육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악취제거장치의 교체나 탈취제의 보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며, 추가적인 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위치나 이동에 제한이 없는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100중량% 기준으로 천연 제올라이트 분말 20중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 무기입자 중 모데나이트 원석분말 15중량%, 귀양석 원석 분말 15중량%, 황토분말 30중량%와 참숯 또는 활성탄 분말 20중량%를 포함하고,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아크릴에멀젼이나 우레탄에멀젼에 혼합한 아크릴에멀젼혼합액 또는 우레탄에멀젼혼합액 100중량%기준으로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10~20중량% 첨가 후 교반하여 최종두께 0.3㎜ ~ 0.5㎜로 화장실의 내면(20)에 코팅하고, 이동식 화장실의 배기관(10), 여과장치(11)와 배기장치(32)를 구비하되,
상기 여과장치(11)는 다수개로 적층되는 필터(13), 필터(13)의 변형을 막아주는 필터프레임(14)과 연결부(15)를 구비하여 배기장치(32)의 연결홈(16)과 체결이 가능하고, 배기관(10)의 연결홈(16)과도 연결이 가능하며,
필터(13)는 참숯 또는 활성탄 분말의 다공성 물질로서 수용성 에멀젼과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9:1로 교반 후 뿜칠로 코팅을 하여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통기공(1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과제의 해결 수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화장실의 실·내외의 악취를 탈취하고, 실내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며, 실내에 음이온을 발생하여 이동식 화장실의 이용자와 주변에 있는 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더불어 종래 악취제거방법인 악취제거장치의 교체와 탈취제 보충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며, 굴뚝효과와 바람에 의한 원심력이나,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배기장치(32)로써 내기를 외기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위치나 이동에 제한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탈취시험 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탈취시험 성적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항곰팡이시험 성적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항곰팡이시험 성적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음이온발생시험 성적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기능성 무기미립자, 황토, 참숯이나 활성탄, 등의 복합체 분말로 이루어지되, 악취제거용 조성물 100중량% 기준으로 천연 제올라이트 분말 20중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 무기입자 중 모데나이트 원석분말 15중량%, 귀양석 원석 분말 15중량%, 황토분말 30중량%, 참숯 또는 활성탄 분말 20중량%를 포함하며,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입도는 0.1㎛~100㎛이다.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각 조성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삭제
여기서, 천연 제올라이트는 모스굳기가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고,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어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고,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음이온 교환성을 가져, 주로 흡착제와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 양이온 교환특성을 이용한 경수 연화제로 사용된다.
여기서, 모데나이트 원석분말은 사방정계의 결정을 이루며, 4~5의 모스경도를 가지고, 프리즈마틱 결정으로 미세하며 침상이나 미세섬유의 성상을 가져 탈취, 분해, 열감량 소재, 촉매볼 등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귀양석 원석 분말은 보통의 세라믹들이 40℃의 고온에서 90% 이상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반면 25℃, 즉 실온에서 96%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특성과, 토르말린 보다 10배 정도 높은 최대 24,000 ION/cc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높은 계면활성 효과와 방사능원소를 함유하지 않은 인체에 유익한 천연물질로써 원적외선, 팩, 가루치약, 촉매볼 등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황토분말은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가지고 있고, 이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있으며,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리 등으로 구성되어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 하고, 황토의 효소 성분에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4가지가 포함되어 있어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 제거, 분해력, 비료 요소, 정화 작용의 역할을 하고 있어 팩, 볼, 페인트, 황토방용 퍼티, 모르타르 등으로 사용된다.

참숯이나 활성탄 분말은 복사열로 나무를 구울 때 나무의 세포벽이 타들어가면서 0.01㎛~0.1㎛ 크기의 미세 기공들이 형성되는 다공성 물질로 변화하여 1g에 250㎡~300㎡의 표면적을 형성하여 기체분자를 효과적으로 흡착한다.
그리고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0.1㎛~10㎛의 입도를 가질 때 탈취성과 항균성, 음이온 발생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악취제거 성능을 한국 건자재 시험연구원의 결과인 표 1, 표 2,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탈취시험(암모니아, NH₃)
경과시간(분) Blank농도(ppm) Sample농도(ppm) 탈취율(%)
0 200 200 -
30 195 14 92.8
60 192 8 95.8
90 188 3 98.4
120 185 1 99.5
시험방법 KICM-FIR-1085 : 2010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KICM-FIR-1085 시험방법에서 30분경과 92.8% 암모니아 탈취로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이 없을 때에 비해 90% 이상의 탈취율의 성능이 있으며, 120분 경과 99.5% 암모니아 탈취로 악취제거용으로의 우수한 성능을 도출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항공팡이시험
배양시험의 기간

시험결과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0 0 0 0
시험방법 ASTM G-21 : 2002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ASTM G-21 시험방법에서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Gliocladium virens ATCC 9645, Aurebasidium pullulans ATCC15233의 곰팡이 균주(혼합균주)가 발육하지 않은 결과로 항균용으로의 우수한 성능을 도출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단위 구분 결과 시험방법
음이온 : Blank ION/㏄ 1 78 KICM-FIR-1042 : 2006
음이온 : Sample ION/㏄ 1 5815 KICM-FIR-1042 : 2006
표 3에서와 같이,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KICM-FIR-1042 시험방법에서 5815 ION/㏄의 음이온을 발생한 결과로 친환경 음이온 발생체로의 우수한 성능을 도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취, 항균, 음이온 발생의 성능을 가진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도 2와 같이 이동식화장실의 벽(30)과 지붕(35)의 내측인 화장실의 내면(20)에 코팅하며,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된 필터(13)로 구성되는 여과장치(11)를 배기관(10)과 배기장치(32) 사이에 체결하여 실내·외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화장실의 내면(20)에 코팅하는 예로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수용성 에멀젼의 종류인 아크릴에멀젼이나 우레탄에멀젼에 혼합한 아크릴에멀젼혼합액 또는 우레탄에멀젼혼합액 100중량%기준으로 악취제거용 조성물 10~20중량%과 아크릴에멀젼 또는 우레탄에멀젼 80~90중량%로 교반하여 화장실의 내면(20)에 바람직하게는, 초벌, 재벌, 정벌로 각 1회씩 총 3회 뿜칠을 하여 최종두께 0.3㎜ ~ 0.5㎜로 코팅한다.
상기 여과장치(11)는 원통형이나 사각박스형의 형태를 지니며, 그 속의 필터(13)는 테두리에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필터프레임(14)으로 필터(13)의 변형을 막아주며, 여과장치(11)에 수㎜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필터(13)의 통기구(12)가 서로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다수개로 적층되어 정화조(31)에서 배기관(10)을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 여과장치(11)의 필터(13)와 접촉할 면적을 넓혀준다.
상기 여과장치(11) 내의 각각의 필터(13)는 상기 참숯이나 활성탄 분말을 포함한 통기성 있는 다공성 물질로서, 수용성 에멀젼과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9:1로 교반 후 뿜칠로 코팅을 하여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통기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장치(11)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부(15) 및 배기장치(32) 하부와 배기관(10) 상부에 연결홈(16)을 구비하여 배기관(10)의 연결홈(16)에 여과장치(11)의 하부 연결부(15)가 삽입되고, 여과장치의 상부 연결부(15)에 배기장치(32)의 연결홈(16)이 삽입되어 상기 여과장치(11)와 배기장치(32) 및 배기관(10)의 체결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삭제
즉,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제거구조에 있어서, 하부는 정화조(31)와 계단(33)으로 구성되며, 외부는 사각박스형 혹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벽(30)과 문(36)을 구성되며, 내부는 화장실 내부에 떠도는 악취를 제거하고,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며, 음이온을 발생시켜 화장실 이용자가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표면적 넓게 코팅되는 화장실의 내면(20)과 변기(34)로 구성되며, 상부는 오픈스택이나 터빈 혹은 디플렉터 등으로 굴뚝효과와 바람에 의한 원심력이나,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정화조(31)와 배기관(10) 속의 기압을 낮추어 정화조(31)의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방지하며,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장치(32)와 배기관(10), 그리고 그 사이에 체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되는 복수층의 필터(13)로 탈취하는 여과장치(11)와 지붕으로 구성되어 이동식 화장실의 내·외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따라서, 종래 악취제거방법인 악취제거장치의 교체와 탈취제 보충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며, 굴뚝효과와 바람에 의한 원심력이나,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배기장치(32)로써 내기를 외기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위치나 이동에 제한이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조 및 조성물을 도면과 표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배기관 11: 여과장치
12: 통기공 13: 필터
14: 필터프레임 15: 연결부
16: 연결홈 20: 화장실의 내면
30: 벽 31: 정화조
32: 배기장치 33: 계단
34: 변기 35: 지붕
36: 문 38: 오물
39: 필터 간격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의 구성에 있어서,

    악취제거용 조성물은 100중량% 기준으로 천연 제올라이트 분말 20중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 무기입자 중 모데나이트 원석분말 15중량%, 귀양석 원석 분말 15중량%, 황토분말 30중량%와 참숯 또는 활성탄 분말 2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아크릴에멀젼이나 우레탄에멀젼에 혼합한 아크릴에멀젼혼합액 또는 우레탄에멀젼혼합액 100중량%기준으로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10~20중량%와 아크릴에멀젼 또는 우레탄에멀젼 80~90중량%로 교반하여 최종두께 0.3㎜ ~ 0.5㎜로 화장실의 내면(20)에 코팅하고, 이동식 화장실의 배기관(10), 여과장치(11)와 배기장치(32)를 구비하되,

    여과장치(11)도 상기 악취제거용 조성물로 코팅되는 필터(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11)는 다수개로 적층되는 필터(13), 필터(13)의 변형을 막아주는 필터프레임(14)과 연결부(15)를 구비하여 배기장치(32)의 연결홈(16)과 체결이 가능하고, 배기관(10)의 연결홈(16)과도 연결이 가능하되,
    필터(13)는 참숯 또는 활성탄 분말의 다공성 물질로서 수용성 에멀젼과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9:1로 교반 후 뿜칠로 코팅을 하여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통기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5. 삭제
KR1020100070344A 2010-07-21 2010-07-21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KR10104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4A KR101044928B1 (ko) 2010-07-21 2010-07-21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4A KR101044928B1 (ko) 2010-07-21 2010-07-21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928B1 true KR101044928B1 (ko) 2011-06-28

Family

ID=4440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44A KR101044928B1 (ko) 2010-07-21 2010-07-21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9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20A (ko) 2014-12-18 2016-06-28 (주)써스텍 악취제거용 필터 유닛
KR20170109021A (ko) * 2016-01-12 2017-09-27 다이토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KR101992373B1 (ko) 2019-01-15 2019-06-24 최승석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20210060077A (ko) *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05A (ko) * 2000-06-01 2003-03-17 아에로캐스트. 컴, 인크. 콘텐트 추적
KR200322805Y1 (ko) 2003-05-06 2003-08-14 (주) 삼원 에프 알 피 이동식 간이 화장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05A (ko) * 2000-06-01 2003-03-17 아에로캐스트. 컴, 인크. 콘텐트 추적
KR200322805Y1 (ko) 2003-05-06 2003-08-14 (주) 삼원 에프 알 피 이동식 간이 화장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20A (ko) 2014-12-18 2016-06-28 (주)써스텍 악취제거용 필터 유닛
KR20170109021A (ko) * 2016-01-12 2017-09-27 다이토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CN107429508A (zh) * 2016-01-12 2017-12-01 大都技研株式会社 移动式冲水厕所系统
KR101953758B1 (ko) * 2016-01-12 2019-03-04 다이토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CN107429508B (zh) * 2016-01-12 2020-05-19 大都技研株式会社 移动式冲水厕所系统
KR101992373B1 (ko) 2019-01-15 2019-06-24 최승석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20210060077A (ko) *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102315338B1 (ko) * 2019-11-18 2021-10-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928B1 (ko)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CN101486867A (zh) 光触媒涂料
CN110204933A (zh) 一种多功能负离子干粉涂料
CN103755226A (zh) 一种具有综合功能的干粉型生态贝壳粉环保复合涂料
CN202248635U (zh) 一种硅藻泥复合光触媒TiO2可净化空气的阴角线
JP2006132112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建築物内装材
JP2007283206A (ja) フィルター
JP2016121040A (ja) 複合炭素材、この複合炭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ボード
KR20100124459A (ko)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
CN202401706U (zh) 一种多功能绿色环保型天花板
KR20070045724A (ko)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친환경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012B1 (ko) 항균 및 공기정화용 친환경패널을 구비한 가구
JP2006232623A (ja) 室内用漆喰組成物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CN201098386Y (zh) 装饰气体吸附垫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KR101003195B1 (ko) 공기정화용 쓰레기통
KR100885607B1 (ko) 기능성 숯
KR101434384B1 (ko) 포졸란 광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4931B1 (ko)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용 필터볼
KR101462585B1 (ko) 유골함 안치단
KR101394956B1 (ko) 스프레이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CN208312526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浴霸滤网
KR100726796B1 (ko) 포조란분말 소성물과 이를 이용한 탈취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