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01B1 - 골프 클럽 세트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01B1
KR102606401B1 KR1020180066656A KR20180066656A KR102606401B1 KR 102606401 B1 KR102606401 B1 KR 102606401B1 KR 1020180066656 A KR1020180066656 A KR 1020180066656A KR 20180066656 A KR20180066656 A KR 20180066656A KR 102606401 B1 KR102606401 B1 KR 10260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head
internal weight
internal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083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63B53/0475Heads iron-type with one or more enclosed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5Club s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6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loft angle only, i.e. relative angular adjustment between the shaft and the club head about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intended line of play when the club is in its normal address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스윙시의 골프 클럽 헤드의 리턴 용이성을 서로 근사시켜, 스윙을 안정시킨다.
(해결 수단) 상이한 로프트각의 골프 클럽 헤드 (H) (Ha, Hb 및 Hc) 를 구비한 복수의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을 갖춘 골프 클럽 세트이다. 상기 복수의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은, 골프 클럽 헤드 (H) (Ha, Hb 및 Hc) 에 내부 중량물 (20) 이 형성된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을 복수 포함한다.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세트{GOLF CLUB SET}
본 발명은, 로프트각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갖춘 골프 클럽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 세트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골프 클럽 세트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은, 서로 통일된 헤드 형상이나 디자인이 부여되어,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한다. 한편, 세트 내의 각 골프 클럽은, 각 번수에 따른 비거리를 적절히 구분하여 치기 위해서,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일수록, 클럽 전체 길이가 작게 구성되어 있다.
또, 세트 내에 있어서, 각 골프 클럽의 스윙 밸런스를 동일하거나 또는 근접시키기 위해서,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일수록, 헤드 중량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 헤드 중량의 조정은, 클럽 헤드의 디자인의 통일감 등을 저해하지 않도록, 주로, 호젤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일수록, 골프 클럽 헤드의 호젤을 길게 함으로써, 큰 헤드 중량이 부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9600호
종래의 골프 클럽 세트에서는,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일수록, 호젤이 길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골프 클럽 헤드의 힐측에 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일수록, 헤드 무게 중심이 힐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골프 클럽 세트에서는, 스윙시의 골프 클럽 헤드의 리턴 용이성이 골프 클럽 사이에서 서로 상이한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스윙시의 골프 클럽 헤드의 리턴 용이성을 서로 근사시켜, 스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골프 클럽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프트각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갖춘 골프 클럽 세트로서, 상기 복수의 골프 클럽은, 볼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를 구비한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배치된 내부 중량물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구비한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은,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하는 골프 클럽 세트이다.
상기 헤드 본체는, 호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상기 호젤의 길이가 크게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힐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가 1.5 ㎜ 이하여도 된다.
상기 내부 중량물은, 헤드 바닥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상기 내부 중량물을 덮도록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된 고정용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의 윤곽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해도 된다.
상기 고정용 부재의 비중은, 상기 헤드 본체의 비중보다 크고, 또한, 상기 내부 중량물의 비중보다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은, 로프트각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갖춘 골프 클럽 세트로서, 상기 복수의 골프 클럽은, 볼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를 구비한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배치된 내부 중량물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구비한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은,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호젤이 길게 구성된다. 그 때문에,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헤드 무게 중심은 힐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이,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골프 클럽 세트는, 상기 각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를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무게 중심 거리는, 헤드의 리턴 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이다. 이 무게 중심 거리가 일정하게 근접됨으로써,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의 스윙시의 헤드의 리턴 용이성 (클럽 샤프트축 둘레의 회전 용이성) 을 동일하게 근접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 의 (A) ∼ (C) 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골프 클럽의 기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 의 (A) ∼ (C) 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골프 클럽의 기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골프 클럽 헤드의 대표예를 나타내는 앞쪽으로 기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저면도이다.
도 6 의 (A) ∼ (C) 는, 도 4 의 골프 클럽 헤드의 A-A 선, B-B 선 및 C-C 선의 각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의 솔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의 (A) ∼ (C) 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골프 클럽의 기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a 의 (A) ∼ (C) 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골프 클럽의 내부 중량물의 평면도이다.
도 10b 는, 골프 클럽의 내부 중량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의 (A) ∼ (C) 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로프트각이 상이한 골프 클럽의 고정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골프 클럽 헤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6(B)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는, 중량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 의 B-B 선의 위치 상당 단면도이다.
도 15 는, 각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 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은, 골프 클럽 헤드의 기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골프 클럽 헤드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1 의 (A) ∼ (C) 에는,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의 기준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2 의 (A) ∼ (C) 에는, 도 1 의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의 각 골프 클럽 헤드 (H) 를 토측에서 본 측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골프 클럽 (1a, 1b 및 1c) 은, 연속되는 번수의 골프 클럽이 나타내어져 있고, 로프트각 (β) 에 관해서, 골프 클럽 (1a) < 골프 클럽 (1b) < 골프 클럽 (1c) 의 관계로 되어 있다.
[기준 상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 (H) 의 「기준 상태」란, 도 16 에 개념적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페이스 (2) 에 형성된 스코어 라인 (7) 과 수평면 (HP) 이 평행으로 된 상태에서, 골프 클럽 헤드 (H) 가 수평면 (HP) 상에 재치 (載置) 된 상태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이 기준 수직면 (VP)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 수직면 (VP) 은, 수평면 (HP) 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다. 이 기준 상태에 있어서, 스코어 라인 (7) 은, 수평면 (HP) 에 평행이고, 또한, 기준 수직면 (VP) 에 평행이다. 또, 골프 클럽 헤드 (H) 의 방향에 관하여, 골프 클럽 헤드 (H) 의 전측은, 볼을 타격하는 페이스 (2) 측을 의미한다. 골프 클럽 헤드 (H) 의 후측은, 그 반대측을 의미한다. 골프 클럽 헤드 (H) 의 「상측」및 「하측」은, 수직 방향의 「상측」및 「하측」을 각각 의미한다. 골프 클럽 헤드 (H) 의 토-힐 방향은, 골프 클럽 헤드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
[골프 클럽 세트의 기본 형태예]
도 1 ∼ 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는, 상이한 로프트각 (β) 의 골프 클럽 헤드 (H) 를 구비한 복수의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을 갖추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골프 클럽 세트란, 클럽 제조업자로부터 이른바 세트 판매되고 있거나 또는 세트 판매가 추천되고 있는 복수의 골프 클럽의 군을 가리킨다. 이것들은, 전형적으로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세트로서 알려져 있다.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 (1) 은, 예를 들어, 디자인적인 통일감이 부여되어 있는 한편, 각각의 상이한 로프트각 (β) 등에 따라, 클럽마다 의도된 상이한 비거리를 구분하여 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아이언형 골프 클럽 세트가 예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유틸리티형이나 우드형의 골프 클럽 세트로서 실시되어도 된다.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가장 작은 로프트각 (β) 은, 예를 들어 19 ∼ 27 도 정도가 설정되고, 가장 큰 로프트각 (β) 은, 예를 들어 44 ∼ 60 도 정도로 설정된다. 골프 클럽 세트 내의 골프 클럽 (1) 에 의해, 넓은 범위의 비거리를 구분하여 치기 위해, 골프 클럽 세트 내에서 인접하는 번수 간의 로프트각 (β) 의 차는, 예를 들어 3 ∼ 10 도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 (1) 의 합계 개수는 특별히 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5 ∼ 10 개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각 (β) 이 큰 골프 클럽 (1) 일수록, 클럽 전체 길이가 작게 (즉, 클럽 샤프트 (S) 가 짧게)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각 (β) 이 큰 골프 클럽 (1) 일수록, 라이각 (α) 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각각의 골프 클럽 (1) 의 스윙 밸런스를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근접시키기 위해서, 로프트각 (β) 이 큰 (클럽 전체 길이가 작은) 골프 클럽 (1) 일수록, 헤드 중량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 헤드 중량의 조정은, 골프 클럽 헤드 (H) 의 디자인의 통일감 등을 저해하지 않도록, 주로, 호젤 (6) 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트각 (β) 이 큰 골프 클럽 (1) 일수록, 호젤 (6) 의 길이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상에서의 호젤 상단으로부터 수평면 (HP) 까지의 길이) (6L) 가 크게 구성되어 있다.
[골프 클럽 헤드의 기본 구성예]
도 3 ∼ 도 5 에는, 골프 클럽 세트에 포함되는 골프 클럽 헤드 (H) 의 대표예의 정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 도 5 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 (H) 는, 그것들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앞쪽으로 기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앞쪽으로 기운 상태란, 기준 상태에 있는 골프 클럽 헤드 (H) 를 기준 수평축 (수평면 (HP) 및 기준 수직면 (VP) 에 평행한 축) 둘레로 앞쪽으로 기울게 하여, 페이스 (2) 가 수직 (기준 수직면 (VP) 에 평행) 으로 된 상태이다. 또, 도 6 의 (A) ∼ (C) 는, 도 4 의 A-A 선, B-B 선 및 C-C 선의 각 위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 에는, 골프 클럽 헤드 (H) 의 정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및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헤드의 기본 형상]
도 3 ∼ 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 (H) 는, 전형적인 아이언형의 형상을 갖고, 페이스 (2), 톱 (3), 솔 (4), 토 (5) 및 호젤 (6) 을 포함하고 있다.
페이스 (2) 는, 볼을 타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이다. 페이스 (2) 에는, 볼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서,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코어 라인 (7) 이 형성되어 있다.
톱 (3) 은, 페이스 (2) 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H) 의 상면 부분이다.
솔 (4) 은, 페이스 (2) 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헤드 바닥면의 부분이다. 토 (5) 는, 호젤 (6) 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분이고, 톱 (3) 과 솔 (4) 사이를 매끄럽게 접속하고 있다.
호젤 (6) 은, 클럽 샤프트 (S) (도 1 에 나타낸다) 가 연결되기 위한 샤프트삽입공 (8) 을 갖는 부분이고, 예를 들어,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샤프트 삽입공 (8) 의 축 중심선은, 클럽 샤프트 (S) 가 그것에 고착되었을 때에,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에 본질적으로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 (H) 의 몇 가지는,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0), 내부 중량물 (20) 및 고정용 부재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 (20) 이 배치된 골프 클럽 헤드 (H) 를 갖는 골프 클럽을,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을 복수 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3 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본체]
헤드 본체 (10) 는, 골프 클럽 헤드 (H) 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코어 라인 (7) 이 형성된 페이스 (2), 톱 (3), 솔 (4), 토 (5) 및 호젤 (6) 을 포함하고 있다. 헤드 본체 (10) 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헤드 본체는, 도 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페이스 플레이트 (12) 와 페이스 수용부 (14) 를 포함한다. 페이스 플레이트 (12) 및 페이스 수용부 (14) 는 서로 상이한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 (12) 는, 예를 들어, 골프 클럽 헤드 (H) 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을 갖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페이스 플레이트 (12) 에는, 티탄 합금 등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4.5 이하인 티탄 합금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는, 헤드 무게 중심을 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페이스 수용부 (14) 는, 예를 들어, 톱 (3), 솔 (4) 및 토 (5) 로 둘러싸인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 (O) 를 갖고 있다. 페이스 수용부 (14) 는, 개구부 (O) 의 둘레에, 페이스 플레이트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고착되는 페이스 장착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페이스 장착부 (16) 에 페이스 플레이트 (12) 가 고착됨으로써, 개구부 (O) 는 닫힌다. 페이스 플레이트 (12) 와 페이스 수용부 (14) 는, 예를 들어, 용접, 납땜, 접착제 또는 코킹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착된다. 페이스 수용부 (14) 는, 추가로, 호젤 (6) 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페이스 수용부 (14) 는, 기본적인 강도와 양호한 가공성을 갖는 철기 합금이 채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또는 탄소강 등이 사용된다. 이것들의 비중은, 7.0 을 초과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은 양태는, 헤드 무게 중심을 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다른 양태에서는, 헤드 본체 (10) 는, 1 종류 또는 3 종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1 종류의 재료로 구성된 헤드 본체 (10) 는, 전형적으로는, 페이스 플레이트 (12) 와 페이스 수용부 (14) 가 별도의 부재가 아니고, 이것들이 일체적으로 하나의 부재로 만들어진 1 피스 구조이다. 다른 예로서, 헤드 본체 (10) 는,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페이스 플레이트 (12) 및 페이스 수용부 (14) 가 일체로 고착된 2 피스 구조여도 된다. 또, 3 종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 헤드 본체 (10) 로는, 예를 들어, 페이스 수용부 (14) 를 2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페이스 플레이트 (12) 와 일체로 고착된 멀티피스 구조를 들 수 있다.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 (10) 에는, 예를 들어, 헤드 마무리 형상의 외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18) 에 후술하는 내부 중량물 (20) 및 고정용 부재 (30) 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골프 클럽 헤드 (H) 의 마무리 형상이 얻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 (18) 는, 헤드 마무리 형상으로부터, 내부 중량물 (20) 및 고정용 부재 (30) 를 제거한 부분 (공간 내지 용적) 으로서 정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 (18) 는, 솔 (4) 측 (보다 상세하게는, 페이스 수용부 (14) 의 솔) 에 형성되어 있고, 토-힐 방향으로 길게 홈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부 중량물]
내부 중량물 (20) 은, 헤드 본체 (10) 보다 큰 비중을 갖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헤드 본체 (10) 가, 1 종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헤드 본체 (10) 의 비중은 당해 재료의 비중을 의미한다. 한편, 헤드 본체 (10) 가 비중이 상이한 복수의 재료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헤드 본체 (10) 의 비중은, 각 재료의 비중을, 각 재료가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체적으로 가중시킨 가중 평균치로서 특정된다.
내부 중량물 (20) 은,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의 결정에 큰 영향을 주어,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근접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 (20) 은, 헤드 무게 중심을 헤드의 하방 또한 후방에 근접시키도록 배치된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부 중량물 (20) 은, 예를 들어, 토-힐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토-힐 방향의 길이 (WL) 가, 스코어 라인 (7) 의 토측 단 (7a) 으로부터 힐측 단 (7b) 까지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내부 중량물 (20) 의, 토-힐 방향과 직교하는 횡단면적은, 토-힐 방향의 양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의 조정과 골프 클럽 헤드의 스윙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내부 중량물 (20) 의 중량은, 예를 들어 헤드 전체 중량의 약 7.0 % ∼ 12.0 %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은, W, Ni 및 Fe 를 함유하는 텅스텐·니켈·철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중량물 (20) 의 비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 된다. 또, 내부 중량물 (20) 의 비중은, 상기의 어느 하한치와의 조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8.5 이하의 범위가 된다. 비중이 클수록, 중량물을 소형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합금은, 예를 들어, 그 화학 성분 중, Fe 에 대한 W 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보다 큰 비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W 의 증가에 의해 고비중화된 내부 중량물 (20) 은, 상대적으로 Fe 의 비율이 저하되므로, 연철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철기 합금에 대한 용접성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의 내부 중량물 (20) 에는, 헤드 본체 (10) 와 용접할 수 없을 정도까지 W 의 비율을 높여 고비중화된 상기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은 오목부 (18) 에 배치된다. 내부 중량물 (20) 의 용적은, 오목부 (18) 의 용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은, 오목부 (18)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는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용 부재]
고정용 부재 (30) 는, 내부 중량물 (20) 을 덮도록 헤드 본체 (10) 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 ∼ 도 6 참조). 고정용 부재 (30) 는,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0) 에 용접 고정 가능한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는, 비중에 관해서, 헤드 본체 (10) 보다 크고, 또한, 내부 중량물 (20) 보다 작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뿐만 아니라, 고정용 부재 (30) 의 중량도, 골프 클럽 헤드 (H) 의 무게 중심 위치의 설계에 이용할 수 있다.
고정용 부재 (30) 에 적합한 금속 재료로는, 예를 들어, 내부 중량물 (20) 과 유사한 W, Ni 및 Fe 를 함유하는 텅스텐·니켈·철 합금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합금은, W 의 비율을 조정하는 (내부 중량물 (20) 의 그것과 비교하여 줄이는) 것에 의해, 철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헤드 본체 (10) 에 대한 용접성 (용접 이음매의 접합 강도) 을 유지하면서, 헤드 본체 (10) 보다 높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의 비중은, 8.0 ∼ 10.0 의 범위가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는, 내부 중량물 (20) 을 완전히 덮도록 헤드 본체 (10) 에 고정되어 있다 (도 4 ∼ 도 6 참조). 따라서, 내부 중량물 (20) 은, 헤드 마무리 형상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고 헤드 내부에 배치되어, 헤드 외방으로부터는 볼 수 없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각 골프 클럽 사이에서 내부 중량물 (20) 의 형상이나 위치가 상이해도, 그것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므로, 헤드의 디자인 등에 통일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용 부재 (30) 는, 예를 들어, 헤드 본체 (10) 와 용접 고착된다.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정용 부재 (30) 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가 헤드 본체 (10) 와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도 6(A) ∼ (C) 및 도 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용 부재 (30) 는, 내부 중량물 (20) 의 헤드 외방측의 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접하는 내측면 (32)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부재 (30) 는, 내부 중량물 (20) 의 덜컹거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는, 적어도 백면 (17)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백면 (17) 은, 앞쪽으로 기운 상태의 골프 클럽 헤드 (H) 에 있어서, 헤드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의 중량에 의해서도, 헤드 무게 중심을 보다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는, 솔 (4)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의 중량에 의해서도, 헤드 무게 중심을 보다 낮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고정용 부재 (30) 는, 내부 중량물 (20) 의 일부만을 덮을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의 일부는, 헤드 외방으로부터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양태에 있어서도, 헤드 외부로부터 내부 중량물 (20) 이 보이는 범위가 작아지므로, 헤드 외관이나 디자인 자유도의 악화가 방지된다. 따라서, 내부 중량물 (20) 은, 그 일부가 헤드 본체 (10) 와 고정용 부재 (30) 사이에서 유지되는 형태가 포함된다.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
도 9 에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 중에서 선택된 3 개의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의 기준 상태의 정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골프 클럽 (1) (1a, 1b 및 1c) 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번수가 연속되는 것으로, 로프트각 (β) 에 관해서, 골프 클럽 헤드 (Ha) < 골프 클럽 헤드 (Hb) < 골프 클럽 헤드 (Hc) 의 관계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의 위치에 대해서는, 기준 상태의 골프 클럽 헤드 (H) 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 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의 거리 (20L) 로서 특정된다. 따라서,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 (H) 일수록,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으로부터의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까지의 상기 거리 (20L) 는 크게 구성된다. 또, 하나의 골프 클럽 헤드 (H) 에 복수의 내부 중량물 (20) 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 도 10b 와 같이, 예를 들어, 내부 중량물 (20) 이, 토측의 내부 중량물 (20T) 및 힐측의 내부 중량물 (20H) 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내부 중량물 (20T 및 20H) 을 하나의 집합체로 간주하고, 그 집합체의 무게 중심이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으로서 정의된다.
종래의 골프 클럽 세트에서는,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헤드 무게 중심이 힐측에 위치하는 (즉, 상기 거리 (20L) 가 작은)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골프 클럽 세트는, 로프트각 (β) 이 큰 골프 클럽 헤드 (H) 일수록,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이 토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 (GL) 를 일정하게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골프 클럽 헤드 (H) 의 무게 중심 거리 (GL) 는, 도 9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준 상태의 골프 클럽 헤드 (H) 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 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 (S) 의 축 중심선 (Z) 으로부터 헤드 무게 중심 (G) 까지의 축 중심선 (Z)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이다. 무게 중심 거리 (GL) 는, 스윙 중인 골프 클럽 헤드 (H) 의 리턴 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이 무게 중심 거리 (GL) 가 일정하게 근접됨으로써, 골프 클럽 세트 내의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의 스윙 중인 헤드의 리턴 용이성 (클럽 샤프트축 둘레의 회전 용이성) 을 근사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면, 내부 중량물 (20) 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복수의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 (H) 의 무게 중심 거리 (GL) 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그들 골프 클럽 헤드 (H) 의 무게 중심 거리 (GL) 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가 된다.
골프 클럽 세트 내의 적어도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헤드의 리턴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무게 중심 거리 (GL) 는,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9.0 ㎜ 이하가 된다. 한편, 무게 중심 거리 (GL) 가 지나치게 작으면, 스윙 중에 골프 클럽 헤드 (H) 가 과도하게 리턴되기 쉬워져, 나아가서는 타구의 방향성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무게 중심 거리 (GL) 는, 바람직하게는 31 ㎜ 이상이 된다.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의 위치는, 내부 중량물 (20) 의 헤드 본체 (10) 에 대한 배치 위치, 내부 중량물 (20) 의 형상 및/또는 내부 중량물 (20) 의 크기 등을 바꿈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의 위치를 토측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내부 중량물 (20) 의 위치를 토측에 가까이 대는 것, 및/또는, 내부 중량물 (20) 의 토측 부분을 힐측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 등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0a 의 (A) ∼ (C) 에는, 골프 클럽 헤드 (Ha, Hb 및 Hc) 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중량물 (20) 의 평면도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이 토-힐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a 의 (A) ∼ (C)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부 중량물 (20) 은, 토-힐 방향을 따른 가로로 긴 형상을 갖고 있다. 각 내부 중량물 (20) 의 토-힐 방향을 따른 치수는 거의 동일하고, 예를 들어 68 ㎜ ± 3 ㎜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내부 중량물 (20) 은 동일한 비중을 갖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각 내부 중량물 (20) 은, 토-힐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최대의 치수가 되는 최대 폭부 (20M)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내부 중량물 (20) 은, 이 최대 폭부 (20M) 로부터 토측 및 힐측을 향하여 폭 치수가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또, 각 내부 중량물 (20) 에 있어서, 최대 폭부 (20M) 의 위치는, 토-힐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 (H) 에 배치되는 내부 중량물 (20) 일수록, 최대 폭부 (20M) 가 상대적으로 내부 중량물 (20) 의 토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양태로서, 도 1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중량물 (20T 및 20H)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것들의 위치나 형상이 동일해도, 내부 중량물 (20T 및 20H) 의 비중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측의 내부 중량물 (20T) 및 힐측의 내부 중량물 (20H) 의 형상 및 위치는, 각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한편,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의 내부 중량물 (20T) 의 비중이, 힐측의 내부 중량물 (20H) 의 비중에 대해, 보다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도,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내부 중량물 (20) 의 무게 중심 (Gw) 의 위치를 각 골프 클럽 헤드 (H) 와 상이하게 한 경우, 내부 중량물 (20) 의 형상이나 배치가 각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이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 도 6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용 부재 (30) 가, 내부 중량물 (20) 을 완전히 덮도록 헤드 본체 (10) 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중량물 (20) 은, 헤드 외방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세트에 의하면, 각 골프 클럽 간에 내부 중량물 (20) 의 형상이나 위치가 상이해도, 그것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기 때문에, 헤드의 디자인 등에 통일감을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의 (A) ∼ (C) 에는, 골프 클럽 헤드 (Ha, Hb 및 Hc) 에 배치되어 있는 각 고정용 부재 (30) (30a, 30b 및 30c) 의 평면도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도 11 의 (A) ∼ (C)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고정용 부재 (30) 는, 토-힐 방향의 길이 (30X) 와, 토-힐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 (30Y) 을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각 고정용 부재 (30) 의 윤곽 형상은, 언뜻 보아 동일하게 보이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고정용 부재 (30) 사이에 있어서, 그것들의 토-힐 방향의 길이 (30X) 의 차, 및, 폭 (30Y) 의 차는 3 ㎜ 이하로 억제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헤드 본체 (10) 와 고정용 부재 (30) 의 접합 위치도, 각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일반적으로, 헤드 외면에 형성되는 용접 위치는,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새틴 또는 도장 등으로 마무리할 필요가 있고, 미러 마무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세트에 포함되는 각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헤드 외면 상의 용접 위치가 각각 상이하면, 통일된 헤드 마무리 가공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고정용 부재 (30) 에 의하면, 골프 클럽 세트의 각 골프 클럽 헤드 (H) 에 대해, 통일된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변형예]
(양태 1)
도 1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 (10) 에 형성된 오목부 (18) 는, 헤드 외면으로부터 오목한 바닥부 (18a) 와, 이 바닥부 (18a) 를 향해 테이퍼 상으로 배치된 1 쌍의 사면 (斜面) (18b)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사면 (18b) 의 일방은 페이스 (2) 와 평행이고, 타방은 페이스 (2) 와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사면 (18b, 18b) 사이에는, 거의 직각인 코너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너의 안측에, 바닥부 (18a)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 (18a) 는, 2 개의 사면에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중량물 (20) 은, 1 쌍의 사면 (18b, 18b) 에 맞닿는 (끼워 넣어지는) 테이퍼 부분 (26) 을 갖는다. 즉, 테이퍼 부분 (26) 은, 사면 (18b, 18b) 과 본질적으로 면 접촉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또, 테이퍼 부분 (26) 의 선단면 (28) 은, 테이퍼 부분 (26) 이 사면 (18b, 18b) 과 본질적으로 면 접촉했을 때에, 오목부 (18) 의 바닥부 (18a) 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내부 중량물 (20) 의 위치는, 1 쌍의 사면 (18b) 에 의해 구속되고, 내부 중량물 (20) 의 헤드 내부에서의 덜컹거림이 저해된다. 따라서, 볼 타격시, 내부 중량물 (20) 의 헤드 내부에서의 덜컹거림이나 진동에서 기인한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상기의 구성으로 내부 중량물 (20) 의 덜컹거림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중량물 (20) 의 테이퍼 부분 (26) 등에 대해서는, 높은 가공 정밀도가 불필요해지므로, 생산성도 향상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간극은, 0.5 ㎜ 이상이 된다.
(양태 2)
도 6(B) 및 그 부분 확대도인 도 1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양태 1 에 더하여 또는 양태 1 대신에, 헤드 본체 (10) 의 오목부 (18) 에는, 헤드 외방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 (19) 가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 (19) 는, 예를 들어, 오목부 (18) 의 바닥부 (18a) 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 (19) 는, 예를 들어, 대략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볼록부 (19) 는, 오목부 (18) 에 하나 형성되어 있지만, 2 개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내부 중량물 (20) 에는, 볼록부 (19) 에 대응하여, 관통공 (22) 이 형성된다. 내부 중량물 (20) 은, 관통공 (22) 에 헤드 본체 (10) 의 볼록부 (19) 가 끼워 넣어지도록 오목부 (18) 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내부 중량물 (20) 은, 오목부 (18) 의 사면 (18b) 과의 접촉뿐만 아니라, 그 관통공 (22) 이 볼록부 (19) 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덜컹거림이나 진동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의 관통공 (22) 은, 도 5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부 중량물 (20) 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내부 중량물 (20) 의 진동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중량물 (20) 의 길이 방향이란, 내부 중량물 (20) 의 최대 길이 (WL) 가 되는 방향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힐 방향이다. 또, 길이 방향의 중앙부란, 상기 최대 길이 (WL) 의 길이 방향의 중앙점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내부 중량물 (20) 의 최대 길이의 20 % 의 범위 내의 부분으로 한다.
(양태 3)
도 1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양태 2 를 전제로 하여, 관통공 (22) 과 볼록부 (19) 사이에, 내부 중량물 (20) 을 헤드 본체 (10)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부 (50) 가 배치되어도 된다. 걸림부 (50) 는, 관통공 (22) 과 볼록부 (19)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양자의 상대적인 이동을, 마찰의 작용 및/또는 기계적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걸림부 (50)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볼록부 (19) 의 선단부에 용접 고착된 용접 비드 (52) 를 채용할 수 있다. 용접 비드 (52) 는, 유동성을 갖는 용융 금속이 고화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 (19) 를 구성하고 있는 금속 재료 (즉, 헤드 본체 (10) 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 재료) 와 용융·일체화되어 있다.
용접 비드 (52) 는, 고화 전의 상태에서는 유동성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중량물의 관통공 (22) 과 헤드 본체 (10) 측의 볼록부 (19) 를 끼워 맞춘 후에, 양자 간의 미소한 간극에 공급됨으로써, 그 내부에 침투하고, 그 간극을 메운 상태에서 볼록부 (19) 에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걸림부 (50) 는, 내부 중량물 (20) 과 직접적으로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관통공 (22) 과 볼록부 (19) 의 간극을 줄여, 양자의 밀착성을 높인다. 이것은, 헤드 본체 (10) 에 대한 내부 중량물 (20) 의 진동, 즉, 볼록부 (19) 의 돌출 방향 및 돌출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걸림부 (50) 에 의한 내부 중량물 (20) 의 구속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 (19) 의 선단측에 테이퍼부 (19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테이퍼부 (19a) 와 관통공 (22) 의 내면 사이에는, 헤드 외면을 향해 확대되는 간극 (공간) 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간극은, 용접 이음매의 이른바 개선 (開線) 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에 용융 금속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 용융 금속은, 예를 들어, 볼록부 (19) 와는 별도로 용가재로서 상기 공간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가재는, 볼록부 (19) 의 표면과 서로 용융되고, 일체화하면서 고화된다. 용융 금속의 고화에 의해, 볼록부 (19) 의 외주 부분에는, 용접 비드 (52) 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50) 가 형성되어, 관통공 (22) 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관통공 (22) 은, 헤드 본체 (10) 측의 제 1 개구 (22a) 와 헤드 외방측의 제 2 개구 (22b) 를 갖지만,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 2 개구 (22b) 는, 제 1 개구 (22a) 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실시형태의 관통공 (22) 은, 제 2 개구 (22b) 로부터 헤드 본체 (10) 측을 향해 횡단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테이퍼상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관통공 (22) 과 볼록부 (19) 사이에, 헤드 외방을 향해 서서히 확대되는 걸림부 (50) 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 (공간) 을 제공할 수 있다. 유동성을 갖는 용융 금속이 이와 같은 간극에 공급되면, 용융 금속은, 간극의 깊숙한 곳 (볼록부 (19) 의 근원측) 까지 보다 충전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간극에 형성된 용접 비드 (52) 는, 내부 중량물 (20) 을 헤드 외방측에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양태에 의하면, 내부 중량물 (20) 의 볼록부 (19) 의 돌출 방향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구속되어, 내부 중량물 (20) 의 진동 에서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2 개구 (22b) 의 횡단면적을 크게 하는 변형예로는, 도 1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2 개구 (22b) 측에, 스텝상으로 내경이 확대된 확경 부분 (25) 을 가져도 된다. 확경 부분 (25) 의 양태는, 볼록부 (19) 의 테이퍼부 (19a) 의 구성과 함께 실시되면, 보다 효과적이지만, 볼록부 (19) 에 테이퍼부 (19a) 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걸림부 (50) 로는, 용접 비드 (52)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링상의 탄성체,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제 링 등의 쐐기 부재가 볼록부 (19) 와 관통공 (22) 사이에 압입되어도 된다. 어쨌든, 걸림부 (50) 는, 고정용 부재 (30) 로 덮이기 때문에, 헤드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헤드 외관 등을 저해할 우려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여러 가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양태로 변형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실시형태 사이에 있어서도, 1 이상의 특징 부분 (변경 부분) 을 서로 이용하거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도 1 ∼ 도 11 을 사용하여 설명한 기본 형태를 갖는 골프 클럽 세트가, 표 1 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작 (試作) 되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골프 클럽 세트는, 4 ∼ 9 번 아이언 (4i ∼ 9i), 및, 3 종류의 웨지 (PW : 피칭 웨지, AW : 어프로치 웨지 및 SW : 샌드 웨지) 의 합계 9 개의 골프 클럽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골프 클럽 세트에 있어서,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은, 4i ∼ 7i 의 4 개뿐이다. 그 이외의 골프 클럽의 골프 클럽 헤드는, 내부 중량물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오목부를 갖는 헤드 본체와, 상기 오목부에 고정된 고정용 부재로 구성되고, 이 고정용 부재가 실질적으로 중량물로서 기능하고 있다.
Figure 112018056790853-pat00001
도 15 에는, 각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 외에, 헤드 본체의 무게 중심,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 고정용 부재의 무게 중심의 각 위치 (기준 상태의 정면도에 있어서의 클럽 샤프트의 축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 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내어져 있다.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헤드 본체 (페이스 플레이트 + 페이스 수용부) 의 무게 중심의 클럽 샤프트의 축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는,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작아지고 있다. 요컨대,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무게 중심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힐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주로, 호젤의 길이의 영향에 따른다.
한편,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클럽 샤프트의 축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져 있다. 즉,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은,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부 중량물을 채용함으로써, 각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는, 38.1 ∼ 39.0 ㎜ 의 범위에 들어가 있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1 : 골프 클럽
2 : 페이스
6 : 호젤
7 : 스코어 라인
10 : 헤드 본체
20 : 내부 중량물
30 : 고정용 부재
Gw : 무게 중심
H : 골프 클럽 헤드
S : 클럽 샤프트

Claims (8)

  1. 로프트각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갖춘 골프 클럽 세트로서,
    상기 복수의 골프 클럽은, 볼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를 구비한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배치된 내부 중량물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구비한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헤드 본체는, 호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상기 호젤의 길이가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의 무게 중심은,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토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복수의 골프 클럽 사이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가 2.0 ㎜ 이하인, 골프 클럽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로프트각이 큰 골프 클럽 헤드일수록, 힐측에 위치하는, 골프 클럽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복수의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 거리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가 1.5 ㎜ 이하인, 골프 클럽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은 헤드 바닥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골프 클럽 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상기 내부 중량물을 덮도록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된 고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중량물이 형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의 윤곽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골프 클럽 세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의 비중은, 상기 헤드 본체의 비중보다 크고, 또한, 상기 내부 중량물의 비중보다 작은, 골프 클럽 세트.
  8. 삭제
KR1020180066656A 2017-07-13 2018-06-11 골프 클럽 세트 KR102606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6692A JP6307200B1 (ja) 2017-07-13 2017-07-13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JP-P-2017-136692 2017-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83A KR20190008083A (ko) 2019-01-23
KR102606401B1 true KR102606401B1 (ko) 2023-11-24

Family

ID=6182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656A KR102606401B1 (ko) 2017-07-13 2018-06-11 골프 클럽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3338B2 (ko)
JP (1) JP6307200B1 (ko)
KR (1) KR102606401B1 (ko)
CN (1) CN20887785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513B2 (en) * 2011-11-28 2021-07-20 Acushnet Company Set of golf club head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931187B2 (ja) * 2017-07-13 2021-09-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128A (ja) * 1998-09-10 2000-03-28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
JP2001286583A (ja) * 2000-02-02 2001-10-16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824572B1 (ja) * 2014-12-25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926A (en) * 1960-07-25 1962-10-23 Johnstone James Set of golf clubs
US3995857A (en) * 1973-07-20 1976-12-07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US3995858A (en) * 1973-07-20 1976-12-07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US4247105A (en) * 1975-12-18 1981-01-27 Fabrique National Herstal S.A. Set of golf clubs
BE836770A (fr) * 1975-12-18 1976-06-18 Herstal Sa Jeu de clubs de golf
JPS6031740Y2 (ja) * 1978-11-07 1985-09-21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アイアンクラブセツト
JPS5824572B2 (ja) * 1980-04-28 1983-05-21 国土開発工業株式会社 破砕岩石の土採工法
JPS5886157U (ja) * 1981-12-05 1983-06-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ツト
GB2170719B (en) * 1984-12-25 1989-05-04 Bridgestone Corp Golf club set
JPS62133979A (ja) * 1985-12-04 1987-06-17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用アイアンクラブセツト
US4715601A (en) * 1986-02-25 1987-12-29 Anthony Lamanna Set of golf clubs and method of matching same
US5026056A (en) * 1987-09-15 1991-06-25 Tommy Armour Golf Company Weight-balanced golf club set
JPH0623303Y2 (ja) * 1988-05-09 1994-06-22 横浜ゴム株式会社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ツト
US5160137A (en) * 1988-09-02 1992-11-03 Maruman Golf Kabushiki Kaisha Iron golf club set
JPH0626628B2 (ja) * 1988-09-02 1994-04-13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
US4923197A (en) * 1988-10-14 1990-05-08 Floyd Horgen Set of golf clubs
US4992236A (en) * 1990-01-16 1991-02-12 Shira Chester S Method of making a golf club head and the article produced thereby
US5295686A (en) * 1991-08-16 1994-03-22 S2 Golf Inc. Golf club set
US5616086A (en) * 1992-10-22 1997-04-01 Dunlop Maxfli Sports Corporation Golf club set
JPH07136299A (ja) * 1993-11-16 1995-05-30 Joy Meniii:Kk ゴルフクラブ
US5435559A (en) * 1994-08-24 1995-07-25 Echelon Golf Set of irons with progressive weighting system
JP2780752B2 (ja) * 1994-10-26 1998-07-30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ゴルフの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
JPH09239078A (ja) * 1996-01-04 1997-09-16 Daido Steel Co Ltd ゴルフ用アイアン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アイアンセット
US5755624A (en) * 1996-01-22 1998-05-26 Callaway Golf Company Selectively balanced golf club heads and method of head selection
JPH10127832A (ja) * 1996-10-31 1998-05-19 Daiwa Seiko Inc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
JP2000135300A (ja) * 1998-11-02 2000-05-1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6077171A (en) * 1998-11-23 2000-06-20 Yonex Kabushiki Kaisha Iron golf club head including weight members for adjusting center of gravity thereof
JP2001198243A (ja) * 2000-01-20 2001-07-24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9136517A (ja) * 2007-12-07 2009-06-2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7935000B2 (en) * 2009-04-01 2011-05-03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8915794B2 (en) * 2009-04-21 2014-12-23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8435132B2 (en) * 2009-07-10 2013-05-07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8262495B2 (en) * 2009-09-24 2012-09-11 Nike, Inc. Visual indicator golf club head and golf clubs
JP5181042B2 (ja) 2011-05-18 2013-04-1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8998742B2 (en) * 2013-05-06 2015-04-07 Acushnet Company Progressive iron 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128A (ja) * 1998-09-10 2000-03-28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
JP2001286583A (ja) * 2000-02-02 2001-10-16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824572B1 (ja) * 2014-12-25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3338B2 (en) 2019-12-03
CN208877855U (zh) 2019-05-21
JP2019017524A (ja) 2019-02-07
JP6307200B1 (ja) 2018-04-04
KR20190008083A (ko) 2019-01-23
US20190015716A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950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6931187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060217216A1 (en) Fairway wood with titanium face member
CN107551501B (zh) 高尔夫球杆头
JP607422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3117032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89348B2 (en) Golf club head
KR102606401B1 (ko) 골프 클럽 세트
CN107551505B (zh) 铁型高尔夫球杆头
JP672894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211752305U (zh) 高尔夫球杆杆头
JP6931188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876633B2 (en)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JP4719113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074843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303345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88364B2 (ja) パターヘッド
JP6000393B1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7290021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825959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272299B2 (en) Golf club head
JP200824608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