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334B1 - Tire - Google Patents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334B1
KR102606334B1 KR1020210146251A KR20210146251A KR102606334B1 KR 102606334 B1 KR102606334 B1 KR 102606334B1 KR 1020210146251 A KR1020210146251 A KR 1020210146251A KR 20210146251 A KR20210146251 A KR 20210146251A KR 102606334 B1 KR102606334 B1 KR 10260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control member
flow control
ti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1720A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334B1/en
Publication of KR2023006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7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3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60C11/0323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tread comprising channels under the tread surface, e.g. for drain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흐름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mounted on and used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wherein the tread portion includes at leas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driven, and a side portion that includes an area adjacent to the trea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A wall, one or more groove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fluid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and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A tire including a flow control member is disclosed.

Description

타이어{Tire}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ires.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이동 수단, 예를들면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The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by users, for example, vehicles, are made up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ti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components for ensuring user safety.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 amount of automobile driving is increasing due to increased movement of logistics, increased personal workload, etc., and increased family life.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ires can maintain driving safety through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but when driving is not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at is, when the tires are not controlled as desired on the road surfac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This can be a problem.

또한, 타이어에 대한 우천시 주행 등 타이어에 대한 배수 특성이 문제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한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characteristics of tires may be problematic, such as when driving in rainy weather, which limits the improvement of driving stability and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서의 수막 발생을 제어하고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핸들링 특성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 that can improve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driving safety by controlling water film generation in area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smoothing drain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흐름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mounted on and used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wherein the tread portion includes at leas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driven, and a side portion that includes an area adjacent to the trea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A wall, one or more groove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fluid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and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A tire including a flow control member is dis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ranged member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of the groove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적어도 두 개의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may be disposed in plural numbers,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be disposed in at least two grooves among the plurality of groove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include one formed so that at least one area moves by an external for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based o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include on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include on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들에 관한 타이어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서의 수막 발생을 제어하고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핸들링 특성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Tir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an improve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driving safety by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water films in area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smoothing drain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설명을 위하여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T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een from one direction to explain the tir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ures 1 and 2.
Figure 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3.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4.
FIG. 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7.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8.
FIG. 1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9.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11.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12.
FIG.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T direction of FIG. 11.
Figure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15.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19.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20.
FIG. 2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2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설명을 위하여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een from one direction for explaining the tire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 Ⅲ- of FIGS. 1 and 2.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III.

도 4는 도 3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3.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4 , and FIG. 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5 .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그루브(115) 및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tir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ead portion 110, a sidewall 180, a groove 115,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주행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tire 10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around the central axis (AX). Additionally, a wheel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ire 100 in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central axis (AX).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이동 수단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은 이동 수단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차량일 수 있고, 그 외에 비행기 기타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portion 110 may include an area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100 is mounted on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riven. For example, the tread portion 110 may include an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driv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y be a vehicle, or may include an airplane or other various means.

트레드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tread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it can be manufactured by adding various additives to a rubber-based material base.

그루브(115)는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에 제거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groove 115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110.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ion removed from the tread portion 1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110.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예를들면 도 2 및 도 3의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이다. 구체적 일 예로서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groove 115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for example, the Y-axis direction in FIGS. 2 and 3).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groove 115 may have a length 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As a specific example, the groove 115 may have a shape extending lo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115)와 인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주행 방향(RT)과 교차 또는 직교한 방향을 길이를 갖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tread portion 110 may have one or more patterns, and these patterns may be adjacent to one or more grooves 115.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groove 115 may include a groove having a length that intersects or is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tire 100.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115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tire 100.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19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idewall 180 is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1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100 may include a bead portion 190 for effective mounting on a wheel (not shown), and the sidewall 180 is between the tread portion 110 and the bead portion 190. can be placed.

사이드월(180)은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을 통하여 타이어(100)는 굴신 운동을 할 수 있다.The sidewall 180 may include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driven. The tire 100 can flex and extend through the sidewall 180.

사이드월(180)은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데,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The sidewall 18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110 of the tire 100, and the material of the sidewall 180 on one side and the sidewall 180 on the other side may be the same.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terials of the sidewall 180 on one side and the sidewall 180 on the other side may be different.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조성물을 다르게 하여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modulus may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sidewall 180 on one side and the sidewall 180 on the other side.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90)가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ad portion 19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sidewall 180 opposite to the area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110.

비드부(1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어 영역 및 완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ead portion 19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include a core area and a buffer area.

비드부(190)의 코어 영역은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The core area of the bead portion 190 may have a wire, for example, a wire bundle-shaped area in the form of a square or hexagonal steel wire coated with rubber.

비드부(190)의 완충 영역은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The buffer area of the bead portion 190 is formed to surround the core area, and can distribute the load on the core area and relieve external shock.

또한, 타이어(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ire 100 may include a body ply 130 at least in an area overlapping the tread portion 110.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ly 130 forms the main frame of the tire 100 and can support the load received by the tire 100 and absorb shock from the road surfac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ody ply 130 may include a cord type.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가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ap ply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ly 130 and the tread portion 110. The cap ply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rd shapes.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lt layer 17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cap ply 120 and the body ply 130. The belt layer 170 can alleviate the shock that the tire 100 receives from the road surface whe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100 is driven and exp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110 to improve grounding characteristics and driving stability. .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elt layer 17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multiple layers.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160)가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ner liner 1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130. The inner liner 160 is dispos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tire 100 to reduce or prevent air leakage.

이너 라이너(1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접한 층과 부착되도록 고무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The inner liner 16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for example, may contain a rubber-based material to adhere to an adjacent layer. Additionally, as an optional example, it may contain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11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1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로 정의되는 공간에서의 액체, 구체적 예로서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115. For examp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specifically water, in the space defined by the groove 1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내측면 중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 115.

예를들면 그루브(115)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단 개방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닥면(115C) 및 상기 바닥면(115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115a) 및 제2 내측면(115b)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oove 115 has a bottom surface 115C far from the upper open are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irst inner surface 115a and a second inner surface opposing each other with the bottom surface 115C interposed ( 115b) may be included.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제1 내측면(115a) 또는 제2 내측면(115b) 중 하나, 예를들면 제1 내측면(115a)에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내측면(115a)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제1 내측면(115a)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내측면(115a)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or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for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 can be fixe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제2 내측면(115b)과는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폭 방향, 예를들면 제1 내측면(115a)에서 제2 내측면(115b)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길이는 그루브(115)의 폭과 동일 또는 그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일 시점에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2 내측면(115b)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have a shape separated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have a leng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115, for example, a direction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to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length of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groove 115. Through this, at least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at least at one point in time. Specific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깊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바닥면(115c)과 구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하면은 바닥면(115c)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extend deeply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115.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have a shape distinct from the bottom surface 115c.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separate from the bottom surface 115c. there is.

구체적 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하면은 바닥면(115c)과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5c.

또한, 다른 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하면은 바닥면(115c)과 분리된 채 부분적으로는 접할 수 있다. Additionally, as anothe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5c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115c.

이를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를 기준으로 제1 내측면(115a)에만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rough this,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ixed only to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with respect to the groove 115.

그리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가 제1 내측면(115a)에 고정된 채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area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115 whi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의 개방 영역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최상단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110)의 상면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115 toward the open area at the top.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not reach the top of the groove 115 and may not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110 through this.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for example, may contain a flexible material.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contain a rubber material.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트레드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조 과정 시 트레드부(110), 그루브(115)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ead portion 110,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read portion 110 and the groove 11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러한 재질을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예를들면 그루브(115)의 내측에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배수 특성 및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material,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can move at least on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115,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for example, water inside the groove 115 to drain the fluid. The characteristics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100 can be improved.

구체적 예로서 빗길 또는 웅덩이 기타 타이어(100)가 물이 있는 환경을 지나갈 때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잇다.As a specific example, handl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hen the tire 100 passes through a rainy road or a puddle or other watery environment.

도 5는 도 4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4 , and FIG. 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5 .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100)가 이동 수단의 주행을 통한 주된 주행 방향(RT), 예를들면 전진 주행시의 주행 방향(RT)으로 운동 시 그루브(115)의 내측에서의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주행 방향(RT)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종의 배리어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장착한 이동 수단의 주행중 타이어(100)의 주행 방향(RT), 즉 이동 수단의 전진 주행과 같은 가속 운동 시 그루브(115)의 일 영역에서 적어도 유체의 일부를 가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와 인접한 타이어(100)의 접지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 에서의 물이 머무르는 것을 감소하여 수막 형성을 감소 또는 제한할 수 있어서 주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when the tire 100 moves in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RT) through the traveling means, for example, the traveling direction (RT) during forward driving, fluid such as water inside the groove 115 The flow direction (WT) of the flui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the flow direction (WT) of this fluid is limited 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a kind of barrier and It can be of the same form. Through this, at least part of the fluid can be trapped in one area of the groove 115 during acceleration movement such as forward travel of the moving means (RT) of the tire 100 while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tire 100 is traveling. Accordingly, the retention of water in the contact area of the adjacent tire 100, for example,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110,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or limiting water film formation, thereby improving dri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

그리고 도 6과 같이 타이어(10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정지 시 관성에 의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은 도 6과 같이 형성되고,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일측, 즉 제2 내측면(115b)에 고정되지 않은 영역도 관성 및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밀리면서 통로 영역(PW)이 형성되고, 통로 영역(PW)을 통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이 연결되면서 물과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tire 100 stops,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formed as shown in FIG. 6 due to inertia, and one sid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that is, the second inner surface ( The area that is not fixed in 115b) is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by inertia and fluid flow, forming a passage area (PW), and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connected through the passage area (PW), allowing fluid such as water to flow. Can be drained easily.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 영역이 제2 내측면(115b)과 연결되거나 이격되는 과정을 위한 운동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us the movement process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one region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115a)에 고정되고 다른 영역은 제2 내측면(115b)을 향하도록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1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115b)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길이를 가질 때 타이어(100)의 전진 방향과 같은 주된 주행 방향(RT)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and the other area of the groove 115 is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It may have an inclined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For example, when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protrudes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1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and has a length, the main driving direction (same a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ire 100)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RT).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가 도 5와 같은 주행 방향(RT)으로 전진 주행 시 그루브(115) 내측에서는 유체가 주행 방향(RT)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일 영역에 힘을 가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단부를 포함한 일 영역을 밀어 제2 내측면(115b)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가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배리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은 타이어(100)가 제동 시 관성에 의하여 제2 내측면(115b)와 연결되었던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의 일 영역이 제동 전 주행 방향(RT)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면서 제2 내측면(115b)과 이격되고 통로 영역(PW)을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tire 100 moves forward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as shown in FIG. 5, the fluid inside the groove 115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flows into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Force is applied to push one area including the end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to connect to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where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has a barrier-like shape that restri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You can have In addition, when the tire 100 as shown in FIG. 6 is braked, an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that wa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115b due to inertia moves rapid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before braking, causing the second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115b and form a passage area (PW).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지중 유체 등의 영향이 없이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타이어(100)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140)는 도 6과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그루브(115)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고정된 채 이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고정되지 않고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re is no influence of fluid or the like during stopping and no external force is receive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140 of the tire 100 may have the shape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15. It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center and not fixed to the opposite side but spaced apart.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그루브의 적어도 일 영역에 유체 흐름 제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그루브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그루브의 내측면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변의 외력, 예를들면 타이어의 주행을 통한 외력 또는 그루브 내측의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힘을 받을 경우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영역 중 그루브의 내측면에 고정되지 않은 영역은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유체 흐름 제어 부재가 형성될 경우 이러한 운동을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The tire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fluid flow control member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groove. This fluid flow control member may be fix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ther end may not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Through this, when receiving force from a surrounding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running of a tire or a fluid flow inside the groove, th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that is no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can move. For example, i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is movement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이러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통하여 그루브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유체 흐름 제어 부재가 모두 연결된 시점에서는 그루브 내측 공간의 일 영역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일종의 배리어 기능을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동 수단의 전진과 같은 주된 가속 방향으로의 주행 시 물과 같은 유체를 용이하게 가두어 노면과 접하는 타이어의 접지면에서의 물 또는 수분의 잔존을 감소하여 수막 발생을 감소하고 주행 안전성 및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e movement of these fluid flow control members, when all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s facing each other, it can serve as a kind of barrier function to restrict the flow of fluid in one area of the space inside the groove, for example. When driving in the main direction of acceleration, such as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fluids such as water are easily trapped and the remaining water or moisture on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aquaplaning and improving driving safety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can do.

또한, 타이어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제동 시 관성에 의하여 유체는 힘을 받고, 이와 함께 유체 흐름 제어 부재도 힘을 받아 그루브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연결된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일 영역이 운동하여 그루브의 일측면과 이격되면서 통로 영역을 형성하여 유체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is braked, the fluid receives a force due to inertia, and along with this,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also receives a force, so that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moves, thereby forming the groove. By being spaced apart from one side, a passage area can be formed to facilitate fluid drainage.

이를 통하여 이동 수단의 제동 성능을 원활하게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can be smoothly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enlarging K of Figure 7. FIG. 9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8, and FIG. 10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9.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그루브(215) 및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tire 2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ead portion 210, a sidewall 280, a groove 215,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이동 수단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tread portion 210 may include an area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200 is mounted on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riven.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루브(215)는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의 두께 방향으로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에 제거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groove 215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210.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ion removed from the tread portion 2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210.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29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와 비드부(2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sidewall 280 is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2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200 may include a bead portion 290 for effective mounting on a wheel (not shown), and the sidewall 280 is provided between the tread portion 210 and the bead portion 290. can be placed.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290)가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ad portion 29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sidewall 280 opposite to the area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210.

또한, 타이어(200)는 적어도 트레드부(2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가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ire 200 may include a body ply 230 at least in an area overlapping the tread portion 2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ap ply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ly 230 and the tread portion 210.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lt layer 27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cap ply 220 and the body ply 230.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260)가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ner liner 2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230.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21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2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로 정의되는 공간에서의 액체, 구체적 예로서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215. For examp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specifically water, in the space defined by the groove 2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내측면 중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 215.

예를들면 그루브(215)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단 개방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닥면(215C) 및 상기 바닥면(215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215a) 및 제2 내측면(215b)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oove 215 has a bottom surface 215C far away from the upper open are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irst inner surface 215a and a second inner surface opposing each other with the bottom surface 215C interposed ( 215b) may be included.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제1 내측면(215a) 또는 제2 내측면(215b) 중 하나, 예를들면 제1 내측면(215a)에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내측면(215a)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제1 내측면(215a)과 일체로 제1 내측면(215a)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or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for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 can be fixe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and protrude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제2 내측면(215b)과는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폭 방향, 예를들면 제1 내측면(215a)에서 제2 내측면(215b)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길이는 그루브(215)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일 시점에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2 내측면(215b)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내측면(2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215b)을 향하고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have a shape separated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have a leng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215, for example, a direction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to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ength of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groove 215. Through this, at least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at least at one point in time, for example,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It may be connected to have an inclined shap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215. Specific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깊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바닥면(215c)과 구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하면은 바닥면(215c)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extend deeply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215.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have a shape distinct from the bottom surface 215c.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in a shape separate from the bottom surface 215c. there is.

이를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를 기준으로 제1 내측면(215a)에만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rough this,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ixed only to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with respect to the groove 215.

그리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가 제1 내측면(215a)에 고정된 채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region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215 whi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의 개방 영역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최상단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210)의 상면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215 toward the open area at the top.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not reach the top of the groove 215 and may not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210 through this.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and, for example, may contain a flexible material.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contain a rubber material.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트레드부(2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조 과정 시 트레드부(210), 그루브(215)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ead portion 210,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read portion 210 and the groove 21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러한 재질을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예를들면 그루브(215)의 내측에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배수 특성 및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material,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can move at least on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215,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for example, water inside the groove 215, to drain the fluid. The characteristics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200 can be improved.

구체적 예로서 빗길 또는 웅덩이 기타 타이어(200)가 물이 있는 환경을 지나갈 때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잇다.As a specific example, handl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hen the tire 200 passes through a rainy road or a puddle or other watery environment.

도 9는 도 8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8, and FIG. 10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9.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타이어(200)가 이동 수단의 주행을 통한 주된 주행 방향(RT), 예를들면 전진 주행시의 주행 방향(RT)으로 운동 시 그루브(215)의 내측에서의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주행 방향(RT)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종의 배리어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장착한 이동 수단의 주행중 타이어(200)의 주행 방향(RT), 즉 이동 수단의 전진 주행과 같은 가속 운동 시 그루브(215)의 일 영역에서 적어도 유체의 일부를 가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와 인접한 타이어(200)의 접지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 에서의 물이 머무르는 것을 감소하여 수막 형성을 감소 또는 제한할 수 있어서 주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9, when the tire 200 moves in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vehicle, for example, in the forward traveling direction (RT), fluid such as water inside the groove 215 The flow direction (WT) of the flui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the flow direction (WT) of this fluid is limited 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a kind of barrier and It can be of the same form. Through this, at least part of the fluid can be trapped in one area of the groove 215 during acceleration movement, such as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tire 200, that is, forward travel of the moving vehicle, while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200 is traveling. Accordingly, the retention of water in the contact area of the adjacent tire 200, for example,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210,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or limiting water film formation, thereby improving dri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

그리고 도 10과 같이 타이어(20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정지 시 관성에 의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은 도 10과 같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일측, 즉 제2 내측면(215b)에 고정되지 않은 영역도 관성 및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밀리면서 통로 영역(PW)이 형성되고, 통로 영역(PW)을 통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이 연결되면서 물과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0, when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tire 200 stops,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due to inertia, and accordingly, one side, that is,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The area that is not fixed to (215b) is also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by inertia and fluid flow, forming a passage area (PW), and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connected through the passage area (PW), forming a fluid such as water. can be easily drained.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 영역이 내측면(215b)과 연결되거나 이격되는 과정을 위한 운동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us the movement process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one area from the inner surface 215b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215a)에 고정되고 다른 영역은 제2 내측면(215b)을 향하도록 그루브(2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2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215b)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길이를 가질 때 타이어(200)의 전진 방향과 같은 주된 주행 방향(RT)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and the other area of the groove 215 is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It may have an inclined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For example, when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protrudes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and has a length, the main driving direction (same a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ire 200)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RT).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가 도 9와 같은 주행 방향(RT)으로 전진 주행 시 그루브(215) 내측에서는 유체가 주행 방향(RT)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일 영역에 힘을 가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단부를 포함한 일 영역을 밀어 제2 내측면(215b)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가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배리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은 타이어(200)가 제동 시 관성에 의하여 제2 내측면(215b)와 연결되었던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의 일 영역이 제동 전 주행 방향(RT)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면서 제2 내측면(215b)과 이격되고 통로 영역(PW)을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tire 200 moves forward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as shown in FIG. 9, flui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RT) inside the groove 215 and flows into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Force is applied to push one area including the end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to connect to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where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has a barrier-like shape that restri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You can have In addition, when the tire 200 as shown in FIG. 10 is braked, an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that wa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215b due to inertia moves rapid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before braking, causing the second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215b and form a passage area (PW).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지중 유체 등의 영향이 없이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타이어(200)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도 10과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그루브(215)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고정된 채 이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고정되지 않고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re is no influence of fluid or the like during a stop and no external force is receive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of the tire 200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0,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15. It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center and not fixed to the opposite side but spaced apart.

본 실시예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그루브의 폭보다 큰 값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수단의 주행 시 그루브의 내측면의 양측면에 효율적으로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배리어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배리어 기능을 구현 시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이동 수단의 주된 가속 주행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를 용이하게 이루어 효율적으로 유체를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and thus is efficient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running, effectively performing a barrier function to limit the flow of fluid. It can be done. For example, when implementing the barrier function, the groove can be connected in an inclined form in the width direction,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inclined form can be easily formed along the main acceleration direc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o efficiently restrict fluid in one direction. there is.

또한, 이동 수단의 제동 시에도 관성에 의하여 그루브의 일 측면이 쉽게 이동, 예를들면 도 9 또는 도 10 기준으로 하측으로 운동할 수 있어 통로 영역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배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oving means is braked, one side of the groove can easily move due to inertia, for example, moving downward based on FIG. 9 or 10, so that a passage area can be easily formed and drainag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 11. FIG. 13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12, and FIG. 14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13.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그루브(315) 및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to 14 , the tire 3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ead portion 310, a sidewall 380, a groove 315,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트레드부(310)는 타이어(300)를 이동 수단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tread portion 310 may include an area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300 is mounted on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riven.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루브(315)는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의 두께 방향으로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에 제거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groove 315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310.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ion removed from the tread portion 3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310.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3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39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와 비드부(3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sidewall 380 is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3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300 may include a bead portion 390 for effective mounting on a wheel (not shown), and the sidewall 380 is provided between the tread portion 310 and the bead portion 390. can be placed.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390)가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ad portion 39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sidewall 380 opposite to the area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310.

또한, 타이어(300)는 적어도 트레드부(3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20)가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ire 300 may include a body ply 330 at least in an area overlapping the tread portion 3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ap ply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ly 330 and the tread portion 310.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70)이 캡플라이(320)와 바디 플라이(3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lt layer 37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cap ply 320 and the body ply 330.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360)가 바디 플라이(3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ner liner 3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330.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31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3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로 정의되는 공간에서의 액체, 구체적 예로서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315. For examp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specifically water, in the space defined by the groove 3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내측면 중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 315.

예를들면 그루브(315)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단 개방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닥면(315C) 및 상기 바닥면(315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315a) 및 제2 내측면(315b)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oove 315 has a bottom surface 315C far from the upper open are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irst inner surface 315a and a second inner surface opposing each other with the bottom surface 315C interposed ( 315b) may be included.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제1 내측면(315a) 또는 제2 내측면(315b) 중 하나, 예를들면 제1 내측면(315a)에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내측면(315a)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제1 내측면(315a)과 일체로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or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for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 can be fixe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and protrude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제2 내측면(315b)과는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폭 방향, 예를들면 제1 내측면(315a)에서 제2 내측면(315b)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길이는 그루브(315)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일 시점에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2 내측면(315b)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315b)을 향하고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have a shape separated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have a leng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315, for example, a direction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ength of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groove 315. Through this, at least one region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at least at one point in time, for example, facing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It may be connected to have an inclined shap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315. Specific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영역의 두께의 값은 상이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have a thickness, and the thickness values of at least two different regions may be different.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영역 중 제1 내측면(315a)에 인접한 영역의 제1 두께(TH1)는 제2 내측면(315b)에 인접한 영역의 제2 두께(TH2)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hickness TH1 of th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adjacent to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H2 of the area adjacent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It can have a value.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두께(TH1)로부터 제2 두께(TH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값이 작아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두께(TH2)를 갖는 영역이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내측면(315b)에 연결되거나 이격되는 후술할 도 13 및 도 14의 운동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region whose valu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thickness TH1 to the second thickness TH2. Through this, the area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H2 can easily move, an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FIGS. 13 and 14 connected to or spaced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roceed efficiently.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240)는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315b)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제2 두께(TH2)를 갖는 영역이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내측면(315b)에 연결되거나 이격되는 후술할 도 13 및 도 14의 운동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fluid flow control member 240 may be curved. For example, it may have a curved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Through this shape, the area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H2 can easily move, an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FIGS. 13 and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to or spaced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깊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바닥면(315c)과 구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하면은 바닥면(315c)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extend deeply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315.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have a shape distinct from the bottom surface 315c.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in a shape separate from the bottom surface 315c. there is.

이를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를 기준으로 제1 내측면(315a)에만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rough this,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ixed only to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with respect to the groove 315.

그리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제1 내측면(315a)에 고정된 채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region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315 whi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의 개방 영역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최상단에까지는 이르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310)의 상면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315 toward the open area at the top.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not reach the top of the groove 315 and may not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310 through this.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고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and, for example, may contain a flexible material.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contain a rubber material.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트레드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조 과정 시 트레드부(310), 그루브(315)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ead portion 310,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read portion 310 and the groove 31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러한 재질을 통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예를들면 그루브(315)의 내측에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배수 특성 및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material,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can move at least on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315,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for example, water inside the groove 315 to drain the fluid. The characteristics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300 can be improved.

구체적 예로서 빗길 또는 웅덩이 기타 타이어(300)가 물이 있는 환경을 지나갈 때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잇다.As a specific example, handl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hen the tire 300 passes through a rainy road or a puddle or other watery environment.

도 13은 도 12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12, and FIG. 14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13.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어(300)가 이동 수단의 주행을 통한 주된 주행 방향(RT), 예를들면 전진 주행시의 주행 방향(RT)으로 운동 시 그루브(315)의 내측에서의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주행 방향(RT)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종의 배리어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를 장착한 이동 수단의 주행중 타이어(300)의 주행 방향(RT), 즉 이동 수단의 전진 주행과 같은 가속 운동 시 그루브(315)의 일 영역에서 적어도 유체의 일부를 가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와 인접한 타이어(300)의 접지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의 일 영역 에서의 물이 머무르는 것을 감소하여 수막 형성을 감소 또는 제한할 수 있어서 주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영역 중 제1 두께(TH1)보다 제2 두께(TH2)가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용이한 운동 능력으로 배리어 형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315b)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굴곡진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유체를 효과적으로 가두는 배리어 기능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tire 300 moves in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moving means, for example, the traveling direction (RT) during forward travel, fluid such as water inside the groove 315 The flow direction (WT) of the flui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the flow direction (WT) of this fluid is limited 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a kind of barrier and It can be of the same for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t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in one area of the groove 315 during acceleration movement, such as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tire 300, that is, forward travel of the moving vehicle, while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300 is traveling. Accordingly, the retention of water in the contact area of the adjacent tire 300, for example,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310, can be reduced to reduce or limit water film formation, thereby improving dri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 At this time, the second thickness TH2 in th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so that the barrier shape can be easily formed with easy movement ability. In additio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thereby effectively trapping the fluid.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arrier function.

그리고 도 14과 같이 타이어(30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정지 시 관성에 의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은 도 14와 같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일측, 즉 제2 내측면(315b)에 고정되지 않은 영역도 관성 및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밀리면서 통로 영역(PW)이 형성되고, 통로 영역(PW)을 통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이 연결되면서 물과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tire 300 stops,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formed as shown in FIG. 14 due to inertia, and accordingly, one side, that is,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The area that is not fixed to (315b) is also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by inertia and fluid flow, forming a passage area (PW), and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connected through the passage area (PW), forming a fluid such as water. can be easily drained.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 영역이 제2 내측면(315b)과 연결되거나 이격되는 과정을 위한 운동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us the movement process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one region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315b)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굴곡진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곡면을 통하여 도 14의 통로 영역(PW)을 통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을 통한 배수 시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and through this curved surface, FIG. 14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en draining through the fluid flow direction (WT) through the passage area (PW).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315a)에 고정되고 다른 영역은 제2 내측면(315b)을 향하도록 그루브(3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일 영역이 제1 내측면(315a)으로부터 제2 내측면(315b)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길이를 가질 때 타이어(300)의 전진 방향과 같은 주된 주행 방향(RT)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and the other area of the groove 315 is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It may have an inclined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For example, when one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protrudes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315a toward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and has a length, the main driving direction (same a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ire 300)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RT).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행 방향(RT)으로 전진 주행 시 그루브(315) 내측에서는 유체가 주행 방향(RT)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일 영역에 힘을 가하여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단부를 포함한 일 영역을 밀어 제2 내측면(315b)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배리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은 타이어(300)가 제동 시 관성에 의하여 제2 내측면(315b)와 연결되었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일 영역이 제동 전 주행 방향(RT)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면서 제2 내측면(315b)과 이격되고 통로 영역(PW)을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tire 300 moves forward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as shown in FIG. 13, the fluid inside the groove 315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A barri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by applying force to one area to push one area including the end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whereb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restri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It may have a similar form. In addition, when the tire 300 as shown in FIG. 14 is braked, an area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that wa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surface 315b due to inertia moves rapid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before braking, causing the second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315b and form a passage area (PW).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지중 유체 등의 영향이 없이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타이어(300)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도 14과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그루브(315)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고정된 채 이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고정되지 않고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re is no influence of fluid or the like during a stop and no external force is receive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of the tire 300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4,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315. It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center and not fixed to the opposite side but spaced apart.

도 15는 도 11의 T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FIG. 15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T direction of FIG. 11.

도 15를 참조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복수 개(예를들면 두 개 이상)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그루브(315)에 서로 이격된 형태로 복수 개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 개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각각과 인접한 영역 또는 그 사이의 영역에서의 물과 같은 유체의 배리어 또는 배수 성능 효율 증가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e.g., two or more) may be arrang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groove 315. A flow control member 340 may be disposed. Through thi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arrier or drainage performance efficiency of fluid such as water in the area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or in the area between them can be increased.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Figure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15.

도 16을 참조하면 타이어(300")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로 다른 복수의 그루브(315')의 각각에 복수 개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of the tire 300" may be arrang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in eac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grooves 315'. ') can be placed.

도 17을 참조하면 타이어(300")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로 다른 복수의 그루브(315")의 각각에 복수 개의 각각에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of the tire 300"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for example,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in eac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grooves 315", and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wo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may be disposed.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 340', 34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복수 개를 설정할 수 있다.The number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340', and 340" shown in FIGS. 15 to 17 is exemplary, and a plurality of various fluid flow control members 340, 340', and 340" can be set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도 15 내지 도 17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 또는 후술할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structures of FIGS. 15 to 17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미도시), 그루브(415) 및 유체 흐름 제어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ire 4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ead portion 410, a sidewall (not shown), a groove 415,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44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루브(415)에 배치된 유체 흐름 제어 부재(440)는 그루브(4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의 개방 영역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 흐름 제어 부재(440)는 그루브(415)의 최상단에까지 이르도록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41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440 disposed in the groove 415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415 toward the upper open area.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440 may be formed high enough to reach the top of the groove 41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410 through this.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8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 또는 후술할 실시예에 필요 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tructure of FIG. 18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f necessary.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K in Figure 19.

도 21은 도 20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1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20, and FIG. 22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21.

도 19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500)는 트레드부(510), 사이드월(580), 그루브(515) 및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19 to 22, the tire 5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ead portion 510, a sidewall 580, a groove 515,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트레드부(510)는 타이어(500)를 이동 수단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tread portion 510 may include an area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500 is mounted on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riven.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루브(515)는 트레드부(5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510)의 두께 방향으로 트레드부(510)의 일 영역에 제거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groove 515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510.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ion removed from the tread portion 5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510.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사이드월(580)은 트레드부(5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5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59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580)은 트레드부(510)와 비드부(5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경 적용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The sidewall 580 is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5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re 500 may include a bead portion 590 for effective mounting on a wheel (not shown), and the sidewall 5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ead portion 510 and the bead portion 590. can be placed. More specific details are omitted since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r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590)가 사이드월(580)의 영역 중 트레드부(5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ad portion 59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sidewall 580 opposite to the area connected to the tread portion 510.

또한, 타이어(500)는 적어도 트레드부(5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520)가 바디 플라이(530)와 트레드부(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ire 500 may include a body ply 530 at least in an area overlapping the tread portion 510.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ap ply 5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ly 530 and the tread portion 510.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570)이 캡플라이(520)와 바디 플라이(5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elt layer 57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cap ply 520 and the body ply 530.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560)가 바디 플라이(5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ner liner 5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530.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51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5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는 그루브(515)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는 그루브(515)로 정의되는 공간에서의 액체, 구체적 예로서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515 . For exampl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specifically water, in the space defined by the groove 515.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는 서로 적어도 2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include at least two members, for example, a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a second control member 542.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는 그루브(515)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는 각각 제1 내측면(515a) 및 제2 내측면(515b)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may be formed on different inner surfaces of the groove 515,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515a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515b, respectively.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는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적어도 일정 시점에 접하면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example, to overlap each other. As a specific example, it can be formed to be connected by touching at least at a certain point in time.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영역의 두께의 값은 상이할 수 있고, 서로 멀리 떨어진 영역의 두께가 서로 인접한 영역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have a thickness, and the thickness values of at least two different regions may be different, and regions that are far apart from each other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The thickness of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adjacent areas.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의 각각의 두께는 전술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340)의 두께에 대한 설명과 유사할 수 있다.Each thickness of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may b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340 described abo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 각각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 각각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선을 가질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have a curve.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may have a curved shap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 각각은 그루브(515)의 두께 방향을 따라 깊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는 바닥면(515c)과 구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하면은 바닥면(515c)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extend deeply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oove 515. Additionally,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have a shape distinct from the bottom surface 515c.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be formed in a shape separate from the bottom surface 515c. there is.

도 21은 도 20의 P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의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1 is a schematic view viewed from the P direction of FIG. 20, and FIG. 22 is a view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FIG. 21.

우선 도 21을 참조하면 타이어(500)가 이동 수단의 주행을 통한 주된 주행 방향(RT), 예를들면 전진 주행시의 주행 방향(RT)으로 운동 시 그루브(515)의 내측에서의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주행 방향(RT)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WT)은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에 따라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종의 배리어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500)를 장착한 이동 수단의 주행중 타이어(500)의 주행 방향(RT), 즉 이동 수단의 전진 주행과 같은 가속 운동 시 그루브(515)의 일 영역에서 적어도 유체의 일부를 가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와 인접한 타이어(500)의 접지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부(510)의 일 영역 에서의 물이 머무르는 것을 감소하여 수막 형성을 감소 또는 제한할 수 있어서 주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가 서로 접촉하면서 배리어가 될 수 있어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의 각각의 길이를 늘리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서로가 연결되어 배리어와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1, when the tire 500 moves in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RT) through the traveling means, for example, the traveling direction (RT) during forward driving, fluid such as water inside the groove 515 The flow direction (WT) of the flui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RT), and the flow direction (WT) of this flui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It is limited, and accordingly, it can take the form of a kind of barrier as shown in FIG. 21. Through this, at least part of the fluid can be trapped in one area of the groove 515 during acceleration movement, such as in the traveling direction (RT) of the tire 500, that is, forward travel of the moving vehicle, while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500 is traveling. Accordingly, the retention of water in the contact area of the adjacent tire 500, for example, in one area of the tread portion 510,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or limiting water film formation, thereby improving dri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may act as a barrier while contacting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They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of each, creating a barrier-like effect.

그리고 도 22와 같이 타이어(50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정지 시 관성에 의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은 도 22와 같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체 흐름 제어 부재(540)의 제1 제어 부재(541) 및 제2 제어 부재(542)의 각각의 일측, 즉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고정되지 않은 영역이 관성 및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밀리면서 통로 영역(PW)이 형성되고, 통로 영역(PW)을 통하여 유체 흐름 방향(WT)이 연결되면서 물과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22, when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tire 500 stops,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formed as shown in FIG. 22 due to inertia, and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member 541 of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540 And each side of the second control member 542, that is, the area that is no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515, is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by inertia and fluid flow to form a passage area (PW), and the passage area As the fluid flow direction (WT) is connected through (PW), fluid such as water can be easily drained.

본 실시예의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그루브의 서로 대향된 내측면의 각각에 배치된 제1 제어 부재 및 제2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제어 부재 및 제2 제어 부재는 각각 그루브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trol member and a second control member disposed on each of the opposing inner surfaces of the groov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member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may each have an inclined shape in the groove length direction, and 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y may have curved surfaces that are convex in opposite directions.

이를 통하여 이동 수단의 가속 주행 또는 정지 시 제1 제어 부재 및 제2 제어 부재가 외력, 예를들면 이동 수단의 가속 및 그로 인한 관성 또는 유체의 흐름을 통한 힘에 의하여 용이하고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 그루브 내측 공간에서의 물을 가두는 배리어 효과 및 정지 시 물의 배수 효과를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다. Through this, when the moving means accelerates or stops, the first control member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can move easily and smoothly by external force, for example, acceleration of the moving means and the resulting inertia or force through the flow of fluid. . As a result, the barrier effect that traps water in the space inside the middle groove and the water drainage effect when stopped can be easily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 (particular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xample,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unless there is a statement to the contrary), and is the same as describing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Lastly, unless the order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lear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above.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That is not the case.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200, 300, 400, 500: 타이어
110, 210, 310, 410, 510: 트레드부
140, 240, 340, 440, 540: 유체 흐름 제어 부재
100, 200, 300, 400, 500: Tires
110, 210, 310, 410, 510: Tread part
140, 240, 340, 440, 540: No fluid flow control

Claims (10)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유체 흐름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폭에 대응하는 두 내측면 중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와는 이격되도록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폭보다 큰 값의 길이를 갖고 상기 그루브의 폭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Pertaining to tires mounted and used on means of transportation,
A tread portion including at leas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driven;
a sidewall adjacent to the tread portion and including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One or more groove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fluid flow control member disposed to be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grooves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groove,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two inner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roove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other,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Including on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s are arranged in plural numb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s are arranged in plural numbers,
A tire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id flow control members arranged in one of the groove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적어도 두 개의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s are arranged in plural numbers,
A tire, wherei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each disposed in at least two grooves of the plurality of groov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formed so that at least one area moves by an external fo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to have a length based o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the groove has a shape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ncludes a bottom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uid flow control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KR1020210146251A 2021-10-29 2021-10-29 Tire KR102606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51A KR102606334B1 (en) 2021-10-29 2021-10-29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51A KR102606334B1 (en) 2021-10-29 2021-10-29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20A KR20230061720A (en) 2023-05-09
KR102606334B1 true KR102606334B1 (en) 2023-11-29

Family

ID=8640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251A KR102606334B1 (en) 2021-10-29 2021-10-29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3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855A (en) 2010-05-13 2011-11-24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KR101445936B1 (en) 2012-12-20 2014-09-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heat radiation and hydroplaning performance
JP2015533714A (en) * 2012-09-26 2015-11-2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Resonance noise prevention device for ti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6802A (en) * 1990-03-05 1991-12-09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855A (en) 2010-05-13 2011-11-24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2015533714A (en) * 2012-09-26 2015-11-2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Resonance noise prevention device for tire
KR101445936B1 (en) 2012-12-20 2014-09-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heat radiation and hydroplaning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20A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624B2 (en)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RU2550237C2 (en) Pneumatic tire
KR102606334B1 (en) Tire
EP3539799B1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KR102113314B1 (en) Pneumatic tire
KR102082951B1 (en) Pneumatic tire
KR102001983B1 (en) Tire
KR101905117B1 (en) Tire
KR102217976B1 (en) Tire
KR101853845B1 (en) Pneumatic tire
KR102232827B1 (en) Tire
KR102175208B1 (en) Tire
KR102118105B1 (en) Pneumatic tire
KR102097076B1 (en) Pneumatic tire
KR102113315B1 (en) Pneumatic tire
KR101879433B1 (en) Tire
KR102077251B1 (en) Tire
KR102006903B1 (en) Tire
KR20240010976A (en) Tire
KR20200033604A (en) Tire
KR102200528B1 (en) Tire
KR102015869B1 (en) Tire
KR102001984B1 (en) Tire
KR102661522B1 (en) Pneumatic tire
KR102243506B1 (en)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