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522B1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522B1
KR102661522B1 KR1020210127415A KR20210127415A KR102661522B1 KR 102661522 B1 KR102661522 B1 KR 102661522B1 KR 1020210127415 A KR1020210127415 A KR 1020210127415A KR 20210127415 A KR20210127415 A KR 20210127415A KR 102661522 B1 KR102661522 B1 KR 10266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neumatic tire
absorbing portion
plate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4822A (en
Inventor
나재봉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52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60C19/12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disposed inside of the inner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개구 및 복수 개의 제2개구를 포함하는 흡음부; 및 상기 흡음부를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having a groove; a sound-absorb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tread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and a connection part that secures the sound-absorbing part to the inside of the tread part. Disclosed is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부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neumatic tire having a sound-absorbing portion.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The vehicles that users drive are made up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ti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ensuring user safety.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 amount of automobile driving is increasing due to increased movement of logistics, increased personal workload, etc., and increased family life.

한편, 타이어는 차량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여 차량의 주행 및 제공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차량의 소음은 차체에 의한 소음과 타이어에 의한 소음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타이어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타이어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공명 진동(cavity noise)에 의한 소음이 주요 원인이다.Meanwhile, tire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vehicl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the driving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noise of a vehicle can be divided into noise caused by the vehicle body and noise caused by tires, and the main cause of noise generated by tires is noise caused by cavity noise of the air generated inside the tire.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2010-0106548호 (2010.10.0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06548 (2010.1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provide a pneumatic tire that can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tire.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개구 및 복수 개의 제2개구를 포함하는 흡음부; 및 상기 흡음부를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having a groove; a sound-absorb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tread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and a connection part that secures the sound-absorbing part to the inside of the tread part. Disclosed is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의 직경은 상기 제1개구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ing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바디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is a body that penetrates the second open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read portion. It may include a plate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cross section larger tha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면의 크기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면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first plate and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plate may be differ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음부의 너비의 중앙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음부의 너비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내측과 상기 제1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tread and the first plat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ound absorbing part and the inside of the tread part may be spaced a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ound-absorbing portion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neumatic t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폭의 중앙에서의 두께는 상기 흡음부의 폭의 양 단부에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at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개구 중 인접한 2개의 제1개구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제2개구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may be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opening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어의 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타이어의 펑크(puncture) 시 주입되는 실런트 용액이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neumatic tire in which a sealant solution injected when a tire is punctured can be easily applied while reducing tire noise.

또한 흡음부 및 연결부의 무게가 감소되어, 타이어의 회전 성능 및 소음이 감소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reduced, thereby providing a pneumatic tire with reduced tire rotation performance and noi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II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absorb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ure 2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III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110), 트레드(110)에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월(120), 사이드 월(120) 각각의 하부에 위치한 비드부(130), 트레드(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벨트층(140)과 카카스층(150), 카카스층(15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너라이너(160) 및 트레드(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음부(200) 및 흡음부(200)를 공기입 타이어(1)에 고정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pneumatic tire 1 includes a tread 110, a pair of side walls 120 connected to the tread 110, and a bead portion 130 located below each of the side walls 120. ), the belt layer 140 and carcass layer 150 located below the tread 110, the inner liner 160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arcass layer 150, and located inside the tread 110 It may include a sound-absorbing part 200 and a connection part 300 that secures the sound-absorbing part 200 to the pneumatic tire 1.

트레드(1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1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114)들과 트레드 패턴(114)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116)들이 위치할 수 있다.The tread 110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ire and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Tread patterns 114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performance and blocks 116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s 114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tread 110.

트레드 패턴(114)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그루브와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 그루브와 원주방향 그루브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116)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tread patterns 114 may include grooves for drainage and sipes to improve traction and braking force when driving on wet roads. The groove may include a circumferential groove that match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transverse groov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grooves. The sipe is formed in the block 116 and may be a groov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roove. Sipe can increase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pneumatic tire (1) by absorbing moisture and playing a role in breaking the water film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블록(116)은 트레드(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block 116 is an area that occupies most of the tread 110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사이드 월(120)은 트레드(1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 월(1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부분으로, 카카스층(150)을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1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side wall 120 is arrang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tread 110. The side wall 120 is a side part of the pneumatic tire 1, protects the carcass layer 150, provides lateral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 and can improve riding comfort by performing a bending/extension movement. Additionally, the side wall 120 serves to transmit engine torque received through the drive shaft to the tread 110.

비드부(130)는 사이드 월(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를 림(Rim, 400)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2)와 비드 충전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2)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 충전재(134)는 비드 코어에 부착된 고무일 수 있다.The bead portion 1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de wall 120 and serves to mount the pneumatic tire 1 to the rim 400. The bead portion 130 may include a bead core 132 and a bead filler 134. The bead core 132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wires, and the bead filler 134 may be rubber attached to the bead core.

벨트층(140)은 트레드(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카카스층(150)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로, 벨트층(140)은 서로 중첩된 제1벨트층(141) 및 제2벨트층(143)을 포함한다. 제1벨트층(141)은 제2벨트층(143) 상에 위치하며, 제1벨트층(141)의 폭은 제2벨트층(143)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belt layer 140 is disposed below the tread 110, reduces road shock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protects the carcass layer 150. In one embodiment, the belt layer 140 includes a first belt layer 141 and a second belt layer 143 that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belt layer 141 is located on the second belt layer 143, and the width of the first belt layer 14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belt layer 143.

트레드(110)와 벨트층(140) 사이에는 캡 플라이(1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벨트층(140)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cap ply 145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tread 110 and the belt layer 140. The cap fly 145 is a special cord attached on the belt layer 140 and can improve performance when driving. The cap ply 145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ster synthetic fiber.

카카스층(150)은 벨트층(140)의 아래에 배치되며, 공기입 타이어(1)의 골격을 형성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견디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일 실시예로, 카카스층(150)은 서로 중첩된 제1카카스층(151) 및 제2카카스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카카스층(151)은 비드부(130)에서 턴업되어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된다. 턴업된 제1카카스층(151)의 일 단부는 사이드 월(120)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되어 사이드 월(1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카카스층(153)은 제1카카스층(151) 상에 위치하며, 비드부(130)에서 턴업되어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되되, 턴업된 제2카카스층(153)의 일 단부는 제1카카스층(151)의 일 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비드부(130)의 내측을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카스층(150)이 2개의 카카스층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카카스층(150)은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rcass layer 150 is disposed below the belt layer 140, forms the skeleton of the pneumatic tire 1, and withstands the load and impact received by the pneumatic tire 1 and supports the pneumatic tire 1. Maintain air pressure. In one embodiment, the carcass layer 150 may include a first carcass layer 151 and a second carcass layer 153 that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carcass layer 151 is turned up from the bead portion 130 and extends toward the tread 110. One end of the turned-up first carcass layer 151 is extend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side wall 120,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side wall 120. The second carcass layer 153 is located on the first carcass layer 151, is turned up from the bead portion 130 and extends toward the tread 110, and the turned up second carcass layer 153 One end may be shorter than one end of the first carcass layer 151 to cover the inside of the bead portion 130.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carcass layer 150 is formed of two carcass layers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carcass layer 15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이너라이너(160)는 튜브대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6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inner liner 160 is a layer that prevents air leakage of the pneumatic tire 1 instead of a tube, and may be made of a rubber layer with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60 may be made of high-density butyl rubber, etc., and may maintain the air pressure within the pneumatic tire 1.

흡음부(200)는 한 쌍의 사이드 월(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트레드(110)의 내측,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60) 상에 배치된다. 흡음부(20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공명 진동을 저감시켜 진동 및 소음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tread 110, for example, on the inner liner 160, so as to be located between a pair of side walls 120. The sound absorption unit 200 can reduce resonance vibration of air occurring inside the pneumatic tire 1 and prevent vibration and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서 흡음부(200)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흡음부(200)는 트레드(110)의 내측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흡음부(200)는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결된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und-absorbing part 200 may include polyurethane foam.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tread 1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have a ring shape extending and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

흡음부(200)의 제1폭(W1)은 한 쌍의 사이드 월(120) 사이의 제2폭(W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폭(W2)은 사이드 월(120)들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 중 가장 큰 폭(거리)를 나타낸다. 흡음부(200)의 양 단부, 즉 사이드 월(120)들 각각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사이드 월(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width W1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120. Here, the second width W2 represents the largest width (distance) among the distances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120. Both ends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hat is, edges adjacent to each of the side wall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흡음부(200)는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심선(CL)은 트레드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나타낸다. 즉, 흡음부(200), 및 흡음부(200)에 배치된 후술할 복수 개의 제1개구(210) 및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ubstantially left-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shown in FIG. 2 . Here, the center line (CL) represents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read. That is,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nd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isposed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to b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there is.

흡음부(200)는 흡음부(20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 개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개구(21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개구(21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개구(21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3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제1개구(210)는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3개가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ound-absorbing par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penetrating the sound-absorbing part 200.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In one embodiment, thre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may be arranged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two or four or more. there i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arranged in three numbers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복수 개의 제1개구(210)는 흡음부(200)를 관통하여,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60)와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에 날카로운 못 등이 박혀서 타이어에 펑크(puncture)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TMK(tire mobility kit)를 이용하여 임시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TMK의 실런트 용액을 타이어에 주입하여 임시적으로 펑크가 난 곳을 봉입한다. 이때 흡음부(200)가 이너라이너(160)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실런트 용액이 이너라이너(160) 내지 트레드(110)까지의 파손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개구(210)를 통해 실런트 용액이 흡음부(200)를 관통하여 이너라이너(160) 내지 트레드(110)의 파손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may penetrate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nd form a passage with the inside of the pneumatic tire 1,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60. If a sharp nail, etc. is stuck in the pneumatic tire (1) and a puncture occurs in the tire, the user can take temporary measures using a TMK (tire mobility kit). In other words, the user injects TMK's sealant solution into the tire to temporarily seal the puncture site. At this time, because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s arranged to cover the inner liner 160,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he sealant solution could not reach the damaged area from the inner liner 160 to the tread 1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ant solution may penetrate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and reach the damaged portion of the inner liner 160 to the tread 110.

또한, 흡음부(200)는 복수 개의 제1개구(210)를 포함함으로써 흡음부(200)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타이어(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nd thus the weight of the tire 1.

흡음부(200)는 흡음부(20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개구(220)에는 후술할 연결부(300)가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흡음부(200)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공기입 타이어(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2개가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ound-absorbing par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penetrating the sound-absorbing part 200. A connection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and penetrate there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In one embodiment, two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arranged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일 실시예에서 제2개구(220)의 크기는 제1개구(21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개구(220)의 크기는 제1개구(210)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개구(220)의 직경은 제1개구(2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개구(220)의 크기는 후술할 연결부(3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개구(220)의 크기와 제1개구(210)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first opening 210. In another embodiment,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opening 210.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ing 210.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2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220 and the size of the first opening 210 are the same.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흡음부(200)의 폭(도 2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의 양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한 쌍의 사이드 월(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개구(220)는 흡음부(200)의 폭에서 중심선과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width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FIG. 2)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pair of side walls 120 . In other words,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enter line and one end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또한, 복수 개의 제2개구(220)는 복수 개의 제1개구(210)와 함께 흡음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1개구(210) 중 인접한 2개의 제1개구(210) 사이에 복수 개의 제2개구(220)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disposed 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Specificall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openings 21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흡음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공기입 타이어(1)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흡음부(200), 구체적으로 제2개구(220)를 관통하여 일측이 공기입 타이어(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00)에 의해 관통된 흡음부(200)도 또한 공기입 타이어(1)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2 to 4 ,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be fixed to the pneumatic tire 1 by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connecting portion 300 may penetrate the sound absorbing portion 200, specifically the second opening 220, and be fixed on one side to the pneumatic tire 1. Accordingly,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penetra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300 can also be fixed to the pneumatic tire 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바디(330),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330),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connection portion 300 may include a body 330, a first plate 310, and a second plate 320. In one embodiment, the body 330,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include rubber.

바디(330)는 흡음부(200), 구체적으로 제2개구(220)를 관통하도록 세장형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 바디(330)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제2개구(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30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as to penetrate the sound absorbing portion 200, specifically the second opening 220,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However, as another example, the body 330 may be formed in a polygon, or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220.

바디(330)의 양측에는 각각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일 실시예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내지 5 mm 일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바디(330)에 관통되는 흡음부(200)가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흡음부(200)가 바디(3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A first plate 310 and a second plate 32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330,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be plates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be, for example, 2 to 5 mm. A sound-absorbing portion 200 penetrating the body 3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and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are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 can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body 330.

제1플레이트(310)는 공기입 타이어(1),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310)와 공기입 타이어(1),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60) 사이에는 접착층(350)이 개재되어 제1플레이트(310)를 이너라이너(16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350)은 일 실시예에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의 일면에만 접착층(350)이 개재됨으로써, 접착층(350)이 흡음부(200)의 일면 전체에 개재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중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50)이 이너라이너(160)의 일면 전체에 도포됨으로써 실런트 용액이 접착층(350)에 가로막혀 이너라이너(160) 내지 트레드(110)까지의 파손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310 may be fixed to the pneumatic tire 1,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60. In one embodiment, an adhesive layer 35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310 and the pneumatic tire 1,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60, to adhere the first plate 310 to the inner liner 160. You can. The adhesive layer 350 may include silicon in one embodiment. In this way, by interposing the adhesive layer 350 on only one side of the first plate 310, the weight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adhesive layer 350 is interposed on the entire one side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layer 350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liner 160, the problem of the sealant solution being blocked by the adhesive layer 350 and not reaching the damaged area from the inner liner 160 to the tread 110 can be prevented. there is.

제2플레이트(320)는 제1플레이트(310)와 반대되는 측에서 흡음부(200)를 덮어서, 흡음부(200)가 연결부(300), 구체적으로 바디(3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320 covers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plate 310, preventing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from leaving the connection portion 300, specifically the body 310. there is.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각각 바디(330)의 길이방향(도 5의 z 방향)에 수직인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330)가 원기둥이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바디(330)의 밑면의 직경보다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의 직경이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330)의 직경은 5 내지 15 mm 이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의 직경은 20 내지 45 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음부(200)는 제2개구(220)가 바디(33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each have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direction in FIG. 5) of the body 330. For example, when the body 330 is a cylinder and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e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body 3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The diameter of the second plate 320 may be large. For example, the body 330 may have a diameter of 5 to 15 mm, and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have a diameter of 20 to 45 mm. Accordingly, the sound-absorbing part 200 can be fixed between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with the second opening 220 penetrated by the body 330.

일 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That is,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이와 같이, 흡음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관통되고, 연결부(300)가 공기입 타이어(1)에 접착됨으로써, 흡음부(200)는 공기입 타이어(1),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6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된 거리는 제1플레이트(3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음부(200)와 이너라이너(160) 사이의 이격된 거리 또는 공간을 통해 실런트 용액이 이너라이너(160) 내지 트레드(110)까지의 파손 부위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ound-absorbing part 200 is penetrated by the connecting part 300, and the connecting part 300 is adhered to the pneumatic tire 1, so that the sound-absorbing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tire 1, for example, the inner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ner 160. At this time, the spaced apart distance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plate 310. Accordingly, the sealant solution can easily reach the damaged area from the inner liner 160 to the tread 110 through the distance or space between the sound absorbing portion 200 and the inner liner 160.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플레이트(310)의 직경이 제2플레이트(3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접착층(350)을 통해 공기입 타이어(1)에 접착되는 제1플레이트(310)의 접착면적을 크게 하여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320)는 흡음부(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2개구(22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면서도,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어 공기입 타이어(1)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diameter of the first plate 31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late 320. This can improve adhesion stability by increasing the adhesive area of the first plate 310 bonded to the pneumatic tire 1 through the adhesive layer 350.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3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ing 220 to prevent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from being separated, and can prevent the weight of the pneumatic tire 1 from increasing by being formed too large. .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흡음부(200)의 폭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결부(30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결부(300)가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부(300) 사이에는 제1개구(21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to 4 ,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3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n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constant.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may be constant. A first opening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00.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gure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결부(30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3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constant.

또한 연결부(300)는 복수 개의 제1개구(21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한 가상의 사각형에 대해 4개의 꼭지점 및 4개의 꼭지점 중 인접한 2개의 꼭지점 사이에 해당하는 4개의 점에 제1개구(210)가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300 may be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 For example, the first opening 210 may be disposed at four vertices of a virtual quadrangle centered on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at four points corresponding to two adjacent vertices of the four vertices.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도 4 및 도 8의 연결부(300)의 배치를 조합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300)는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서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 연결부(300) 사이에는, 흡음부(200)의 폭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2개의 연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300)는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흡음부(200)의 폭의 양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연결부(300) 및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 배치된 1개의 연결부(300)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00)가 흡음부(200)의 양 단부에서 흡음부(200)를 공기입 타이어(1)에 고정시킴에 따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연결부(300)가 흡음부(200)의 중앙에 하나만 배치되어 연결부(300) 및 접착층(350)의 개수 증가를 감소시키고 중량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arranged in a combin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parts 300 of FIGS. 4 and 8 . That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3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At this time, between the two adjacent connecting portions 3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two connecting portions 3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two connecting portions 300 and the sound absorbing portion 20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 absorbing portion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 One connection part 300 may be arranged alternately. 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ion 300 secures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o the pneumatic tire 1 at both ends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hereby providing a firm fixing force, while the connecting portion 300 secures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o the pneumatic tire 1. By placing only one in the cent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nection parts 300 and the adhesive layer 350 can be reduced and the increase in weight can be reduc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ure 2 showing a sound-absorbing part and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흡음부(200)의 폭의 양 단부에서의 두께(t2)는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서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서의 두께(t1)가 가장 크고, 양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부(20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 단부로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음부(200)는 도 10과 같이 일면이 경사진 두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음부(20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 단부로 비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음부(2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면이 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t2 at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1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That is, the thickness t1 is greatest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and the thickness may gradually decrease toward both ends.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decrease linearly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ccordingly,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two planes with one surface inclined, as shown in FIG. 10 . As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decrease non-linearly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may have one surface formed of two curved surfaces.

한편, 복수 개의 제1개구(210)의 깊이도 또한, 흡음부(200)의 폭의 중앙에 있는 제1개구(210)의 깊이가 가장 크고 흡음부(200)의 폭의 양 단부에 있는 제1개구(210)의 깊이가 가장 작을 수 있다. Meanwhile, as for the depth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210, the depth of the first opening 210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s the largest, and the depth of the first opening 210 at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200 is the largest. The depth of one opening 210 may be the smalles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 중심을 공기입 타이어(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고, 주행 중 공기입 타이어(1)의 질량 분포가 어느 특정 위치로 쏠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의 내부 공기 진동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공명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enter of mass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neumatic tire 1, and the mass distribution of the pneumatic tire 1 can be prevented from shifting to any specific position while driving. In addition, resonance vibration can be efficiently reduced by efficiently dispersing the internal air vibration of the pneumatic tire 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개구(210), 및 연결부(300)가 관통하는 제2개구(220)를 구비하는 흡음부(200)를 포함함에 따라, 실런트 용액이 개구들을 통해 파손 부위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런트 용액은 흡음부(200)와 공기입 타이어(1)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파손 부위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와 공기입 타이어(1)의 접착 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접착층의 배치가 최소화되고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의 중량 감소는 타이어의 회전 저항, 차량의 승차감, 소음 등에서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ound-absorbing portion 200 having a first opening 210 and a second opening 220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300 penetrates, so that the sealant solution penetrates the opening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neumatic tire that can easily reach the damaged area. Additionally, the sealant solution can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ound absorbing part 200 and the pneumatic tire 1 and can easily reach the damaged area. Additionally, as the adhesive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00 and the pneumatic tire 1 is minimized, the arrangement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inimized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Reducing the weight of the pneumatic tire 1 can have an advantageous effect on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tire, vehicle ride quality, noise, etc.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h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concisely and clearly,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the absence of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It can be express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or similar designators us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xample,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unless there is a statement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Additionally, unless the order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lear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above.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at is not the case.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
114: 트레드 패턴 116: 블록
120: 사이드 월 130: 비드부
132: 비드 코어 134: 비드 충전재
140: 벨트층 141: 제1벨트층
143: 제2벨트층 145: 캡플라이
150: 카카스층 151: 제1카카스층
153: 제2카카스층 160: 이너라이너
200: 흡음부 210: 제1개구
220: 제2개구 300: 연결부
310: 제1플레이트 320: 제2플레이트
330: 바디 350: 접착층
400: 림
1: Pneumatic tire 110: Tread
114: Tread pattern 116: Block
120: side wall 130: bead part
132: bead core 134: bead filling material
140: belt layer 141: first belt layer
143: second belt layer 145: cap fly
150: Carcass layer 151: First carcass layer
153: second carcass layer 160: inner liner
200: sound-absorbing part 210: first opening
220: second opening 300: connection part
310: first plate 320: second plate
330: Body 350: Adhesive layer
400: Rim

Claims (11)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개구 및 복수 개의 제2개구를 포함하는 흡음부;
상기 흡음부를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고정하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과 상기 제1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흡음부가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 tread portion having a groove;
a sound-absorb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tread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A connection part that fixes the sound absorbing part to the inside of the tread part,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a body penetrating the second opening, one side of the body, and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tread A connection part including a first plate fixed to the inside of the unit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t includes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tread portion and the first plate,
A pneumatic tire, wherein the sound-absorb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의 직경은 상기 제1개구의 직경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A pneumatic tir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ing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면의 크기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면의 크기는 상이한,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A pneumatic tire, wherei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first plate and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plate are diffe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음부의 너비의 중앙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on portion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음부의 너비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은 이격되어 있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A pneumatic tire in which the sound-absorbing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tread portion are spaced a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인,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und-absorbing portion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neumatic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폭의 중앙에서의 두께는 상기 흡음부의 폭의 양 단부에서의 두께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A pneumatic tire wherein the thickness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at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ound-absorb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개구 중 인접한 2개의 제1개구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제2개구 중 하나가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A pneumatic tir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i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KR1020210127415A 2021-09-27 2021-09-27 Pneumatic tire KR102661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15A KR102661522B1 (en) 2021-09-27 2021-09-27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15A KR102661522B1 (en) 2021-09-27 2021-09-27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22A KR20230044822A (en) 2023-04-04
KR102661522B1 true KR102661522B1 (en) 2024-04-29

Family

ID=8592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415A KR102661522B1 (en) 2021-09-27 2021-09-27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52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319A (en)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079263A1 (en) * 2015-01-13 2018-03-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neumatic vehicle ti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6548A1 (en) 2008-10-29 2010-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meeting calendar entries
KR101900591B1 (en) * 2017-01-04 2018-09-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A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319A (en)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079263A1 (en) * 2015-01-13 2018-03-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neumatic vehicle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22A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522B1 (en) Pneumatic tire
KR101890371B1 (en) pneumatic tire
KR102082950B1 (en) Pneumatic tire
KR102126000B1 (en) Pneumatic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314845B1 (en) Tire
KR101894013B1 (en) Tire
KR102267438B1 (en)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KR102097076B1 (en) Pneumatic tire
JP5332077B2 (en) Run flat tire
KR102425078B1 (en) Tire
KR101775106B1 (en) pneumatic tire
KR102015869B1 (en) Tire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568639B1 (en) Tire
KR102304430B1 (en) Tire
KR102412976B1 (en) Inner liner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471064B1 (en) Tire
KR102023653B1 (en) pneumatic tire
KR101890808B1 (en) pneumatic tire
KR102535308B1 (en) Tire for electric vehicles
KR102113315B1 (en) Pneumatic tire
KR102318398B1 (en) Tire
KR101970004B1 (en) Method of designing tire and tir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775105B1 (en)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