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38B1 -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 Google Patents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38B1
KR102267438B1 KR1020190178275A KR20190178275A KR102267438B1 KR 102267438 B1 KR102267438 B1 KR 102267438B1 KR 1020190178275 A KR1020190178275 A KR 1020190178275A KR 20190178275 A KR20190178275 A KR 20190178275A KR 102267438 B1 KR102267438 B1 KR 10226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tie bar
adhesive
tire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추권철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43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body portion, i.e. not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e bar comprising: a first body uni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an adhesive;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so as to cover a first receiv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tire comprising: a tread grounded to the road surface and having tread blocks partitioned by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ransverse groov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tie bar installed in the transverse groove of the trea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ire capable of improving rumble noise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riding performance and comfort performance.

Description

타이바 및 타이바가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본 발명은 타이바 및 타이바가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bar and a pneumatic tire having a tie bar inserted therein.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노면과의 진동에 의한 구조 소음과, 타이어 패턴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패턴 소음으로 나눌 수 있다. 구조 소음은 다시 부밍(booming), 캐비티(cavity) 및 럼블(rumble) 소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부밍과 캐비티 소음은 구조 변경을 통해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럼블 소음은 구조에 의한 소음과 패턴에 의한 소음이 같이 기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으로, 럼블 소음을 저감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noise generated by the ti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tructural noise caused by vibration with the road surface and pattern noise generated by the tire pattern shape. Structural nois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booming, cavity and rumble noise. Among them, booming and cavity noise can be reduced through structural changes. However, the rumble noise is a noise generated due to both the noise by the structure and the noise by the pattern,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rumble noise.

본 발명의 목적은 럼블(rumble) 소음을 개선하고, 동시에 라이드 성능과 컴포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re capable of improving rumble noise and improving riding performance and comfort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유닛과, 제1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uni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n adhesive,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to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hav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유닛은 상기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2 바디유닛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unit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extension surface pass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and the second body unit. A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유닛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착제를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상기 측면으로 안내하는 접착제 유도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unit extends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the adhesive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adhesive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도통로는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유도홈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도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the first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 groove and a second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a second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접착제를 밀폐시키되, 설치충격이 인가되면 파열되는 밀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ealing the adhesiv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film that ruptures when an installation shock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경도는,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ness of the tie bar may be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강성은,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강성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tie ba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며,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들과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들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구비하는 트레드와, 상기 트레드의 상기 횡그루브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할 수 있다.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grounded on a road surface and having tread blocks partitioned by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ransverse groove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It may include a tie bar installed in the transvers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1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e bar includes a first body uni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n adhesive,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so as to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유닛은 상기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2 바디유닛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unit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extension surface pass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and the second body unit. A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유닛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착제를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상기 측면으로 안내하는 접착제 유도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unit extends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the adhesive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adhesive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도통로는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유도홈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도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the first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 groove and a second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a second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접착제를 밀폐시키되, 설치충격이 인가되면 파열되는 밀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ealing the adhesiv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film that ruptures when an installation shock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경도는,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ness of the tie bar may be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강성은,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강성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tie ba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타이어 접지 형상의 변경을 일으키는 구조 변경 없이도,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부를 구비한 타이바(tie bar)를 부착함으로써 타이어의 럼블 소음을 저감시키고 동시에 라이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rumble noise of the tire and improve the riding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by attaching a tie bar having an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without a structural change that causes a change in the tire ground shap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타이바가 횡그루부에 삽입된 타이어의 일부분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타이바가 횡그루브들에 삽입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neumatic tire having a tie bar insert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tion II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of a tire in which the tie bar of FIG. 3 is inserted into a lateral groov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ie bars are inserted into transverse gro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 case where a component or the like is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neumatic tire having a tie bar insert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II-I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트레드(10), 타이어 트레드(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타이어 트레드(10)와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사이의 한 쌍의 숄더부(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는 사이드 월(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비드부(40), 타이어 트레드(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50),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 사이의 벨트층(6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a pneumatic tire 1 includes a tire tread 10 , a pair of sidewalls 20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ire tread 10 , and the tire tread 10 . and a pair of shoulder portions 30 between the pair of sidewalls 20 . In addition, the pneumatic tire 1 includes a bead part 40 positioned under the sidewall 20, a body ply 50 positioned under the tire tread 10, a tire tread 10 and a body ply ( 50) between the belt layers 60 may be included.

타이어 트레드(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며,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타이어 트레드(10)의 표면에는 배수 작용,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그루브들(12, 22)과 그루브들(12, 22)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14, 3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들(14, 31)에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하는 사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The tire tread 10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tire, and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to protect the body ply 50 ,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On the surface of the tire tread 10, grooves 12 and 22 for drainage action,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performance and blocks 14 and 31 partitioned by the grooves 12 and 22 may be located. have. In addition, sipes may be formed in the blocks 14 and 31 to absorb moisture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and break the water film.

그루브들(12, 22)은 종그루브(12)와 횡그루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종그루브(12)는 타이어 트레드(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종그루브(12)에 의해 타이어 트레드(10)에는 메인 블록(14)이 구획될 수 있다. 메인 블록(14)은 타이어 트레드(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grooves 12 and 22 may include a vertical groove 12 and a transverse groove 22 .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12 may be formed as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read 10 . The main block 14 may be partitioned in the tire tread 10 by the longitudinal groove 12 . The main block 14 occupies most of the tire tread 10 ,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횡그루브(22)는 종그루브(12)들 사이에서 종그루브(12)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횡그루브(22)는 트레드(10)의 원주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종그루브(12)들을 연결할 수 있다. 횡그루브(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1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타이바(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그루브(22)에 삽입될 수 있다.The transverse groove 22 may connect the longitudinal grooves 12 between the longitudinal grooves 12 . For example, the transverse groove 22 may connect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long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ad 10 . In the transverse groove 22 , the tie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erted, and specifically, the tie bar 100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r more transverse grooves 22 .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각각은, 일 측이 타이어 트레드(10)의 측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비드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월(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부분으로,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타이어 트레드(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Each of the pair of sidewalls 20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tire tread 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ead unit 40 . The side wall 20 is a side part of the pneumatic tire 1, protects the body ply 50, provides lateral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 and can increase riding comfort by performing a flexing/extension movement. In addition, the side wall 20 serves to transmit the torque of the engine received through the drive shaft to the tire tread 10 .

비드부(40)는 사이드 월(20)의 단부에 형성되어, 공기입 타이어(1)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40)는 비드 코어와 비드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 충전재는 비드 코어에 부착된 고무일 수 있다. 비드부(40)는 비드 코어와 비드 충전재를 스틸체퍼로 감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ead portion 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idewall 20, and serves to mount the pneumatic tire 1 to the rim. The bead part 40 may include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The bead core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wires, and the bead filler may be rubber attached to the bead core. The bead part 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ead core and the bead filler are wrapped with a steel chaf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바디 플라이(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골격을 형성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견디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바디 플라이(5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ly 50 forms the skeleton of the pneumatic tire 1 , withstands loads, impacts, etc. received by the pneumatic tire 1 , and maintains the air pressure of the pneumatic tire 1 . The body ply 5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a high-strength fiber organic material such as steel, polyester, rayon, etc., and then coating it with rubber and rolling it.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 사이의 벨트층(60)은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며,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벨트층(60)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노면에 닿은 타이어 트레드(10) 부위를 넓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60)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elt layer 60 between the tire tread 10 and the body ply 50 may protect the body ply 50 and prevent separation of the tire tread 10 and the body ply 50 . The belt layer 60 may reduce an impact on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crease driving stability by widening a portion of the tire tread 10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he belt layer 60 may be formed by rolling by coat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made of steel or organic fiber with rubber.

타이어 트레드(10)와 벨트층(60) 사이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는 벨트층(6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cap ply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tire tread 10 and the belt layer 60 . The cap ply is a special cord paper attached to the belt layer 60 , an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during driving. The cap ply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ster synthetic fibers.

또한, 바디 플라이(50)의 내측면에는 이너 라이너가 부착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는 튜브 대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 라이너는 밀도가 높은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lin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ly 50 . The inner liner is a layer that prevents air leakage of the pneumatic tire 1 instead of a tube,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may be made of high-density butyl rubber or the like, and may maintain the air pressure in the pneumatic tire 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의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타이바(100)는 제1 바디유닛(101)과, 제1 바디유닛(101)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 the tie bar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unit 101 and a second body unit 102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10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유닛(101)은 접착제 수용부로서 제1 수용부(103)를 구비하고, 제2 바디유닛(102)은 접착제 수용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는 제1 바디유닛(101) 내에만 저장되며, 타이바(100)가 횡그루브(22)에 삽입되면, 타이바(100)는 접착제에 의해, 횡그루브(22) 및 횡그루브(2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블록들의 측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unit 101 is provid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as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body unit 102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In this case, the adhesive is stored only in the first body unit 101 , and when the tie bar 100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22 , the tie bar 100 uses the adhesive to form the transverse groove 22 and the transverse groove. (22) may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locks formed therebetween and fixed.

제1 수용부는 접착제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막(109)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밀폐막(109)은, 타이바(100)가 타이어 트레드(10)에 설치될 때 가해지는 설치충격으로 인해 파열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충격은 일 예로, 타이바(100)를 횡그루브(22)에 삽입하기 위해 가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타이바(100)와 타이바(100)가 접착되는 블록들의 측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충격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충격은 그 밖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film 109 for sealing the adhesive. The first sealing film 109 may be ruptured due to an installation shock applied when the tie bar 100 is installed on the tire tread 10 . Here, the installation impact may be, for example, an impact caus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insert the tie bar 100 into the lateral groove 22, and in another example, the tie bar 100 and the block to which the tie bar 100 is adhered. It may be an impact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ide surfac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allation shock may be caused by other causes.

상기한 바와 같은 설치충격에 의해 제1 밀폐막(109)이 파열되면, 제1 수용부(103)로부터 접착제가 흘러나오고, 흘러나온 접착제는 타이바(100)를 횡그루브(22) 및 블록들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103)로부터 배출된 접착제는, 타이바(100)가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을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제는 설치충격으로 인한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 사이의 틈에 스며들어,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ealing film 109 is ruptured by the installation shock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flows out from the first receiving part 103, and the adhesive flows out of the tie bar 100 through the transverse groove 22 and the blocks. can be attached to As another embodiment, the adhe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may be the tie bar 100 to adhere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 Specifically, the adhesive perme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due to the installation impact, thereby firmly strengthe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바디유닛(102)은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연장면(A)을 기준으로 제1 수용부(103)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10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수용부(103)에는 제1 밀폐막(109)이 형성되고, 제2 수용부(104)에는 제2 밀폐막(1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밀폐막(109)과 제2 밀폐막(110)은 각각 제1 수용부(103)와 제2 수용부(104) 내에 접착제를 밀폐시킬 수 있다. 타이바(100)에 설치충격이 가해지면, 제1 밀폐막(109) 및 제2 밀폐막(110)이 파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수용부(103) 및 제2 수용부(104)로부터 흘러나온 접착제는, 타이바(100)와 횡그루브(22) 및 블록들 사이에서, 그리고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 사이에서, 광범위하고 고밀도로 분포되어, 타이바(1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unit 102 is based on the virtual extension surfac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3 ) and may include a second receiving portion 104 formed symmetrically. In this case, the first sealing film 109 may be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 and the second sealing film 11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 The first sealing film 109 and the second sealing film 110 may seal the adhesive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respectively. When an installation shock is applied to the tie bar 100 , the first sealing film 109 and the second sealing film 110 may be ruptured, and thereb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may be ruptured. The adhesive flowing out from the tie bar 100 and the transverse grooves 22 and blocks, and between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is widely and densely distribu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bar 100 .

일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103)는 제1 바디유닛(101)의 일면에 반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104)는 제2 바디유닛(102)의 일면에 반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용부(103) 및 제2 수용부(104)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홈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may be formed as a hemispherical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01 ,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is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unit 102 . It may be formed as a hemispherical gro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may be grooves having different shapes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유닛들이 서로 분리된 타이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e bar in which body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타이바(100)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103)를 구비하는 제1 바디유닛(101)과, 상기 제1 수용부(103)를 덮도록 제1 바디유닛(101)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6 and 7 , the tie bar 100 includes a first body unit 101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for accommodating an adhesive, and a first body unit 101 to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3 .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unit 102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101 .

타이바(100)는 접착제 수용부가 제1 바디유닛(101)에만 형성되거나, 접착제 수용부가 제1 바디유닛(101) 및 제2 바디유닛(102)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부(103, 104) 및 접착제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tie bar 100 ,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ly on the first body unit 101 , or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103 and 104 and the adhesive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바디유닛(101)은 제1 수용부(103)로부터 제1 바디유닛(101)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접착제 유도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접착제 유도통로는 접착제를 제1 바디유닛(101)의 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body unit 101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guide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art 103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01 . The adhesive guide passage may guide the adhesive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01 .

접착제 유도통로는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유닛(101)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유도통로는 제1 수용부(103)로부터 제1 바디유닛(101)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유도홈(105) 및 제1 수용부(103)로부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도홈(106)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유도홈(105) 및 제2 유도홈(106)은 제1 바디유닛(102)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adhesiv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01 as an embodiment. In addition,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from the first guide groove 105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3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3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01) A second guide groove 106 extending to the second side may be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guide groove 105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06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unit 102 .

접착제 수용부가 제1 바디유닛(101)에만 형성되는 경우, 제2 바디유닛(102)에는 접착제 유도통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adhesiv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ly in the first body unit 101 , the adhesive guide passage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unit 102 .

접착제 수용부가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 모두에 구비된 경우, 접착제 유도통로는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로서, 접착제 유도통로는 제1 바디유닛(101)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유도통로는 제1 수용부(103)로부터 제2 바디유닛(102)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3 유도홈(107) 및 제2 수용부(104)로부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4 유도홈(108)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유도홈(107)과 제2 유도홈(108)은 제2 바디유닛(102)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When the adhesiv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both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 the adhesive guide passage may be provided in both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 At this time, as an embodiment, the adhesiv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01). At this time,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from the third guide groove 107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04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3 to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102) A fourth guide groove 108 extending to the second side may be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guide groove 107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08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unit 102 .

타이바(100)가 횡그루브(22)에 삽입될 때의 설치충격에 의해 제1 바디유닛(101)의 제1 밀폐막(109)이 파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착제가 제1 수용부(103)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이때, 흘러나온 접착제 중 일부는 제1 유도홈(105)을 통해 제1 바디유닛(101)의 제1 측면으로 안내되고, 흘러나온 접착제의 나머지는 제2 유도홈(106)을 통해 제1 바디유닛(101)의 제2 측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film 109 of the first body unit 101 may be ruptured by an installation shock when the tie bar 100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22, and accordingly,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receiving part ( 103) can flow. At this time, some of the spilled adhesive is guided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01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105 , and the remainder of the flowed adhesive is guided through the second guide groove 106 in the first body It can be guided to the second side of the unit 101 .

다른 실시예로서, 흘러나온 접착제의 일부는 제1 유도홈(105) 및 제2 유도홈(106)을 따라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한 일부 접착제는 제1 수용부(103)가 형성된 제1 바디유닛(101)의 상부면으로 이동하여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을 접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바디유닛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some of the spilled adhesive may not flow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05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06 . In this case, some of the adhesives described above mo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01 on which the first receiving part 103 is formed and adhere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Adhe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may be increased.

타이바(100)가 횡그루브(22)에 삽입될 때, 설치충격에 의해 제2 바디유닛(102)의 제2 밀폐막(110)이 파열되어, 접착제가 제2 수용부(104)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이때, 흘러나온 접착제 중 일부는 제3 유도홈(107)을 통해 제2 바디유닛(102)의 제1 측면으로 안내되고, 흘러나온 접착제의 나머지는 제4 유도홈(108)을 통해 제2 바디유닛(102)의 제2 측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When the tie bar 100 is inserted into the lateral groove 22 , the second sealing film 110 of the second body unit 102 is ruptured by the installation impact, and the adhesive flows from the second receiving part 104 . can come out At this time, some of the spilled adhesive is guided to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102 through the third guide groove 107 , and the remainder of the spilled adhesive is guided through the fourth guide groove 108 to the second body. It can be guided to the second side of the unit 102 .

다른 실시예로서, 흘러나온 접착제의 일부는 제3 유도홈(107) 및 제4 유도홈(108)을 따라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한 일부 접착제는 제2 수용부(104)가 형성된 제2 바디유닛(102)의 하부면으로 이동하여 제1 바디유닛(101)과 제2 바디유닛(102)을 접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바디유닛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some of the spilled adhesive may not flow along the third guide groove 107 and the fourth guide groove 108 . In this case, some of the adhesives described above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unit 102 on which the second receiving part 104 is formed and adhere the first body unit 101 and the second body unit 102, Adhe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may be increased.

제1 내지 제4 유도홈(105, 106, 107, 108)은 타이바(100)가 횡그루브(22)에 삽입되고 밀폐막이 파열되는 경우, 접착제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접착제를 바디유닛의 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접착제 유도통로에 의해 안내된 접착제는, 바디유닛의 측면을 블록의 측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guide grooves 105, 106, 107, 108 transfer the adhesive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receiving part to the side of the body unit when the tie bar 100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22 and the sealing film is ruptured. can guide you The adhesive guided by the adhesive guide path may adher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unit to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밀폐막은 접착제 수용부를 밀폐시켜 접착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접착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막은 접착제 수용부 뿐만 아니라, 접착제 유도통로도 밀폐시켜, 접착제 수용부 내의 접착제가 타이바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막은 일정량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파열되어, 접착제가 접착제 수용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aling film seals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the adhesive accommodated in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from leaking. The sealing film seals not only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but also the adhesive guide passage,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in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from leaking out of the tie bar. The sealing film may be ruptured when a force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applied, and the adhesiv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dhesive receiving portion.

도 8은 도 3의 타이바가 타이어 트레드의 횡그루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복수의 타이바가, 타이어의 블록과 블록 사이에 형성된 횡그루브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e bar of FIG. 3 is inserted into a lateral groove of a tire tread.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ie bars are inserted into a block of a tire and a lateral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s.

도 8을 참조하면, 타이바(100)의 폭(w1)은 횡그루브(22)의 폭(w2)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타이바(100)의 높이(h)는 횡그루브(22)의 깊이(d)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width w1 of the tie bar 10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lateral groove 22 . The height h of the tie bar 100 may be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depth d of the transverse groove 22 .

타이바(100)는 횡그루브(22) 내의 임의의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삽입된 타이바(100) 폭(w1)의 끝이 횡그루브(22) 폭(w2)의 끝과 일치할 수 있다.The tie bar 100 may be inserted at any position within the transverse groove 22 . As an example, the end of the width w1 of the inserted tie bar 100 may coincide with the end of the width w2 of the transverse groove 22 .

도 9는 타이바(100)가 타이어 트레드(10)의 횡그루브(22)에 각각 삽입된 상태의 타이어를, 격자 모양으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로서, 타이바(100)는 모든 횡그루브(22)들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이바(100)는 횡그루브(22)들 중 일부에만 삽입될 수 있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tire in a state in which the tie bars 10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ateral grooves 22 of the tire tread 10 in a grid pattern. As an embodiment, the tie bar 100 may be inserted into all of the transverse grooves 2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ie bar 100 may be inserted into only some of the transverse grooves 22 .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횡그루브들(22)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직선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횡그루브들(22)은 원주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FIG. 9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ransverse grooves 22 are shown in a straight line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transverse grooves 2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바(200)는 단일 구조체로 형성되는 바디유닛(201)과, 바디유닛(202)을 타이어 트레드(10)의 블록과 블록 사이에 형성된 횡그루브(22)에 고정시키는 2개의 탄성고정부(202, 2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tie bar 200 includes the body unit 201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and the body unit 202 fixed to the block of the tire tread 10 and the lateral groove 22 formed between the blocks. It may include two elastic fixing parts (202, 203).

탄성고정부(202, 203)는, 가압되는 경우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고정부(202, 203) 에 의해, 타이바(200)가 횡그루브(22)에 삽입될 때 탄성고정부(202, 203)의 형상이 변형되어, 타이바(200)가 횡그루브(2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타이바(200)가 횡그루브(20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탄성고정부(202, 203)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블록들의 측벽에 밀착되어, 타이바(200)가 횡그루브(22)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fixing parts 202 and 203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deformable when pressed. Due to these elastic fixing parts 202 and 203, when the tie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22, the shape of the elastic fixing parts 202 and 203 is deformed, so that the tie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 22) can be inserted into After the tie bar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200 , the elastic fixing parts 202 and 20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walls of the blocks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tie bar 200 is fixed to the transverse groove 22 . can be

타이어 1tire 1 타이어 2tire 2 타이어 3tire 3 타이어 4tire 4 타이어 5tire 5 경도(Hardness)Hardness -- -2%-2% -5%-5% -7%-7% -10%-10% 강성(Stiffness)Stiffness -- +5%+5% +10%+10% +15%+15% +20%+20% 럼블 소음(dB)Rumble noise (dB) 6060 6060 5858 5757 5555 라이딩 및 컴포트 성능Riding and Comfort Performance 6.06.0 6.16.1 6.36.3 6.56.5 7.07.0 핸들링 성능handling performance 6.56.5 6.56.5 6.56.5 6.56.5 6.06.0

< 종래 트레드의 경도: 70 >< Hardness of conventional tread: 70 >

타이어 트레드(10)의 경도보다 동등 이상의 경도를 갖는 타이바(100)를 사용하는 경우 블록 강성이 높아져 럼블 소음은 개선되지만, 라이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tie bar 100 having a hard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tire tread 10 is used, block rigidity is increased to improve the rumble noise, but a problem in which rid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may occur.

위 표 1은, 아바쿠스(abaqus) 분석 방법에 의해 얻어진, 타이바(100)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10)의 경도 및 강성대비, 타이바(100)의 경도 및 강성 데이터를 보여준다. 이러한 데이터는, 타이어의 라이딩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럼블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타이바(100)의 경도 및 강성을 보여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이바(100)의 경도 및 강성은 아바쿠스 분석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도 얻어질 수 있다.Table 1 above shows the hardness and stiffness data of the tire tread 10 on which the tie bar 100 is installed, and the hardness and stiffness data of the tie bar 100 obtained by the abaqus analysis method. These data may show the hardness and rigidity of the tie bar 100 capable of improving the rumble noise without degrading the riding performance of the ti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ardness and rigidity of the tie bar 100 may be obtained by other methods other than the Abacus analysis method.

위 표 1을 참조하면, 타이어의 핸들링 성능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럼블 소음과 라이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타이바의 특징뿐만 아니라, 타이바(100)는 타이어 트레드(10)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타이바(100)의 경도는 타이어 트레드(10)의 경도의 -5% 내지 -7%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in order to maintain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tir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rumble noise and riding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e bar as described above, the tie bar 100 has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10 . It may have a lower hardness, and specifically, the hardness of the tie bar 100 may have a hardness of -5% to -7% of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10 .

타이어의 핸들링 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럼블 소음과 라이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타이바의 특징뿐만 아니라, 타이바(100)는 타이어 트레드(10)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타이바(100)의 강성은 타이어 트레드(10)의 강성의 +10% 내지 +15%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rumble noise and rid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tir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e bar as described above, the tie bar 100 may have a greater stiffness than that of the tire tread 10, Specifically, the rigidity of the tie bar 100 may have a rigidity of +10% to +15% of the rigidity of the tire tread 10 .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바(100)는 타이어 트레드(100) 경도의 -7%인 경도 및 타이어 트레드(100) 강성의 +15%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tie bar 100 may have a hardness of -7% of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100 and a stiffness of +15% of the stiffness of the tire tread 10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바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는, 타이어 접지 형상의 변경을 일으키는 구조 변경 없이도,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부를 구비한 타이바를 부착함으로써 타이어의 럼블 소음을 저감시키고 동시에 라이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ie bar and the tir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mble noise of the tire by attaching the tie bar having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without a structural change causing a change in the tire grounding shape can reduc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riding perform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입 타이어
10: 타이어 트레드
20: 사이드 월
30: 숄더부
40: 비드부
50: 바디 플라이
60: 벨트층
100: 타이바
101: 제1 바디유닛
102: 제2 바디유닛
103: 제1 수용부
104: 제2 수용부
105: 제1 유도홈
106: 제2 유도홈
107: 제3 유도홈
108: 제4 유도홈
109: 제1 밀폐막
110: 제2 밀폐막
200: 타이바
201: 바디유닛
202, 203: 탄성고정부
1: pneumatic tire
10: tire tread
20: side wall
30: shoulder
40: bead unit
50: body fly
60: belt layer
100: tie bar
101: first body unit
102: second body unit
103: first receiving unit
104: second receiving unit
105: first guide groove
106: second guide groove
107: third guide groove
108: fourth guide groove
109: first sealing film
110: second sealing film
200: tie bar
201: body unit
202, 203: elastic fixing part

Claims (15)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유닛; 및
상기 제1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접착제를 밀폐시키되, 설치충격이 인가되면 파열되는 밀폐막을 구비하는, 타이바.
a first body uni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n adhesive; and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so as to cover the first receiving par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ealing the adhesive, the tie bar having a sealing film that ruptures when an installation shock is appli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유닛은 상기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2 바디유닛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타이바.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accommodating part symmetrically form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based on a virtual extension surface pass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and the second body unit, a tie ba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유닛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착제를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상기 측면으로 안내하는 접착제 유도통로를 더 구비하는, 타이바.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unit is extended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adhesive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tie ba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도통로는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유도홈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도홈을 구비하는, 타이바.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a first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tie bar having a second guide groove extending to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경도는,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경도보다 낮은, 타이바.
According to claim 1,
The hardness of the tie bar i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the ti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강성은,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강성보다 큰, 타이바.
According to claim 1,
The rigidity of the tie ba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the tie bar.
노면에 접지되며,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들과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들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구비하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상기 횡그루브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바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1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바디유닛과 결합하는 제2 바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접착제를 밀폐시키되, 설치충격이 인가되면 파열되는 밀폐막을 구비하는, 타이어.
a tread grounded to the road surface and having tread blocks partitioned by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ransverse groove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Including; a tie bar installed in the lateral groove of the tread;
The tie bar includes a first body uni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first body unit so as to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ealing the adhesive, the tire having a sealing film that ruptures when an installation shock is applied.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유닛은 상기 제1 바디유닛과 상기 제2 바디유닛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body unit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art symmetrically form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based on an imaginary extension surface passing between the first body unit and the second body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유닛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착제를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상기 측면으로 안내하는 접착제 유도통로를 더 구비하는,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body uni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guide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art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and guiding the adhesive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유도통로는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유닛의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유도홈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도홈을 구비하는, 타이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dhesive guide passa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a first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tire having a second guide groove extending to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경도는,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경도보다 낮은,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ardness of the tie bar i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the ti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강성은, 상기 타이바가 설치되는 타이어 트레드의 강성보다 큰,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A tire, wherein the rigidity of the tie ba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ire tread on which the tie bar is installed.
KR1020190178275A 2019-12-30 2019-12-30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KR102267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75A KR102267438B1 (en) 2019-12-30 2019-12-30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75A KR102267438B1 (en) 2019-12-30 2019-12-30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438B1 true KR102267438B1 (en) 2021-06-22

Family

ID=7660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75A KR102267438B1 (en) 2019-12-30 2019-12-30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04A (en) * 2017-07-19 2019-01-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04A (en) * 2017-07-19 2019-01-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492B1 (en) Pneumatic tire
KR102267438B1 (en) Tie bar and pneumatic tire with tie bar inserted
KR101890371B1 (en) pneumatic tire
KR102412976B1 (en) Inner liner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082950B1 (en) Pneumatic tire
KR102661522B1 (en) Pneumatic tire
KR101775105B1 (en) Tire
KR102118105B1 (en) Pneumatic tire
KR102535308B1 (en) Tire for electric vehicles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097076B1 (en) Pneumatic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425078B1 (en) Tire
KR102015869B1 (en) Tire
KR102350629B1 (en)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3315B1 (en) Pneumatic tire
KR102023653B1 (en) pneumatic tire
KR101890808B1 (en) pneumatic tire
KR102568639B1 (en) Tire
KR102135891B1 (en) pneumatic tire
KR102318398B1 (en) Tire
KR20190118822A (en) Run-flat tire and method of designing run-flat tire
KR101775106B1 (en) pneumatic tire
KR102578630B1 (en) Pneumatic tires with enhanced side stiffness
KR101973184B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