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248B1 - 반죽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반죽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248B1
KR102606248B1 KR1020230063713A KR20230063713A KR102606248B1 KR 102606248 B1 KR102606248 B1 KR 102606248B1 KR 1020230063713 A KR1020230063713 A KR 1020230063713A KR 20230063713 A KR20230063713 A KR 20230063713A KR 102606248 B1 KR102606248 B1 KR 10260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unit
rotating
disposed
form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식품
Priority to KR102023006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8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Tools having mixing or cutting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ir ax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는, 수용된 식용반죽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을 제공하는 반죽볼 성형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식용반죽이 수용된 채, 일정량 소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부측을 포위하며, 소분된 식용반죽을 롤링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평탄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회동버킷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회동버킷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죽볼 성형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ough}
본 발명은 반죽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용된 식용반죽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을 제공하는 반죽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과, 제빵 등을 생산하기 위한 라인에는 소정의 첨가제와 밀가루를 반죽한 반죽을 성형하고 커팅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하기 위한 반죽성형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반죽성형기는 반죽이 공급되는 반죽통과 반죽통의 하면에 구비되는 노즐을 포함하여, 반죽이 반죽통에서 노즐을 통해 사출되며 커터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커팅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고, 그 후 베이킹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제과, 제빵 등에 다양한 맛과 식감을 구현해내기 위해 초콜릿칩 또는 씨앗, 땅콩,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 등의 입상재료(이하, 알갱이라 한다.)를 반죽에 첨가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34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된 식용반죽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을 제공하는 반죽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는, 수용된 식용반죽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을 제공하는 반죽볼 성형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식용반죽이 수용된 채, 일정량 소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부측을 포위하며, 소분된 식용반죽을 롤링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평탄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회동버킷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회동버킷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버킷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소분된 식용반죽이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반죽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는,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면과 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호퍼부에 고정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와 독립적으로 운동하고, 소분된 식용반죽은, 상기 회동버킷부와 상기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반죽볼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호퍼부는, 상기 회동버킷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채,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공간 내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수용부 내의 식용반죽이 소분된 채, 상기 내측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회동버킷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호퍼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회동지지부, 상기 회동지지부에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회동버킷부가 회동되는 메인회전축을 제공하는 메인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회전부에 전달하는 메인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버킷부는, 상기 메인회전축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메인회전부는,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매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매개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되,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나선형 경사면을 형성하는 나선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성부는,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식용반죽이, 상기 내측공간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구름접촉에 따른 반죽볼 변형이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매개부가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식용반죽이 이동되는 제2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제2 원통부의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한 위치 이동에 따라 개폐되고, 상기 메인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며, 상기 제2 원통부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배출공이 개폐되도록 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연동회전축, 상기 연동회전축과 상기 메인회전축을 매개하여, 상기 메인회전축의 회전에 상기 연동회전축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벨트부, 상기 회동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축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원통부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상기 회동지지부를 지지하는 승강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공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연동회전축은, 상기 승강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높이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단차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단차대응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서되는 제2 단차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동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1 단차대응부와 상기 제2 단차대응부를 교번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2 원통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이 폐쇄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차대응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상기 호퍼부는,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수용부 내의 식용반죽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의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식용반죽의 유동 및 배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반죽 중 일정량을 소분하되, 소분된 식용반죽이 구 형상과 가깝도록 롤링하여, 특정음식을 만들기 위한 공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식용반죽을 반죽볼 형태로 변형시키는 나선형성부가, 호퍼부의 구성과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버튼부의 배치공간을 구획함으로써, 본 발명의 반죽볼 성형장치가 컴팩트한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회동버킷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1)는, 수용된 식용반죽(B1)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B2)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식용반죽(B1)은, 특정음식(일례로 만두, 호떡, 빵, 떡 등)을 만들기 위하여, 곡물가루에 특정재료를 넣어 일정 점도로 만들어진 일종의 곡물 반죽이다.
본 발명의 반죽볼 성형장치(1)는, 식용반죽(B1) 중 일정량을 소분하되, 소분된 식용반죽(B1)이 구 형상과 가깝도록 롤링하여, 특정음식을 만들기 위한 공정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반죽볼 성형장치(1)는, 베이스부(10), 호퍼부(20), 회동버킷부(30) 및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일종의 선반으로 내부에 상기 구동부(4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평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걸침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수용부(21)가 상기 회동버킷부(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부(21)를 지지하는 호퍼지지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퍼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식용반죽(B1)이 수용된 채, 일정량 소분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호퍼부(20)는, 수용부(21), 연장부(23) 및 주입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회동버킷부(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채,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식용반죽(B1)이 수용되며, 상기 수용부(21)의 상부에는 경첩에 의해 상기 수용부(21)와 연결된 채, 개폐되는 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는, 상기 수용부(21)의 상부를 커버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는, 상기 수용부(21)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식용반죽(B1)은 상기 연통공간을 따라 상기 회동버킷부(30)의 하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공간 내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공(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25)는, 상기 수용부(21)에 장착된 채, 상기 수용부(21) 내의 식용반죽(B1)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25)는,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용공간의 양압에 의한 식용반죽(B1)의 배출공(H)으로의 배출이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입부(25)를 통해 상기 식용반죽(B1)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수용부(21)가 상기 연장부(23)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식용반죽(B1)은 자중에 의해 상기 연장부(23)로 원활히 유동 된다. 상기 주입부(25)는, 식용반죽(B1)의 점도가 높아 자중에 의한 유동이 원활히 구현되지 않을 경우에 구동되어 식용반죽(B1)의 유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는, 상기 주입부(25)에 의한 공기 주입 시, 상기 캡부로의 공기 배출을 막아 상기 주입부(25)에 의한 식용반죽(B1)이 유동이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25)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의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식용반죽(B1)의 유동 및 배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버킷부(30)는, 상기 호퍼부(20)의 하부측을 포위하며, 상기 배출공(H)으로부터 배출되어 소분된 식용반죽(B1)을 롤링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평탄면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회동버킷부(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버킷부(30)는 상기 걸침부(13)에 걸쳐진 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부(41), 회동지지부(43), 메인회전부(45) 및 메인벨트부(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1)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43)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전부(45)는, 상기 회동지지부(43)에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회동버킷부(30)가 회동되는 메인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벨트부(47)는, 상기 모터부(41)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회전부(4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동버킷부(30)는, 상기 메인회전축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회전부(45)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전부(45)는,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23)와 연결되는 매개부(4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버킷부(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소분된 식용반죽(B1)이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반죽볼(B2)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회동버킷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의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1)의 상기 배출공(H)은, 상기 수용부(21) 내의 식용반죽(B1)이 소분된 채, 상기 내측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는, 제1 원통부(231) 및 제2 원통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통부(231)는, 상기 수용부(21)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원통부(233)는, 상기 제1 원통부(231)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원통부(2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H)은, 상기 제2 원통부(233)의 상기 제1 원통부(231)에 대한 위치 이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원통부(233)가 상기 제1 원통부(231)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배출공(H)을 폐쇄하거나, 배출공(H)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통부(231)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배출공(H)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H)의 반복된 개폐에 따라, 상기 연장부(23) 내의 식용반죽(B1)은 소분된 채, 상기 내측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H)의 개폐를 위한 상기 제2 원통부(233)의 위치 이동과 관련하여, 후술할 버튼부(6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볼 성형장치(1)는 가이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면과 원형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호퍼부(20)에 고정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30)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소분된 식용반죽(B1)은, 상기 회동버킷부(30)와 상기 가이드부(50)와의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반죽볼(B2)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는, 고정부(51) 및 나선형성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매개부(451)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성부(53)는, 상기 고정부(51)에 고정되되,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나선형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선형성부(53)는, 상기 배출공(H)으로부터 배출된 식용반죽(B1)이, 상기 내측공간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구름접촉에 따른 반죽볼(B2) 변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성부(53)는, 상기 연장부(23) 및 상기 매개부(451)가 배치되는 제1 영역(V1)과, 식용반죽(B1)이 이동되는 제2 영역(V2)을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V1)에는, 상기 매개부(451), 상기 연장부(23) 및 버튼부(6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V2)은 식용반죽(B1)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선형성부(53)는, 식용반죽(B1)을 반죽볼(B2) 형태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버킷부(30)의 내측공간을 구획함으로써, 본 발명의 반죽볼 성형장치(1)가 컴팩트한 구성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죽볼 성형장치(1)는 버튼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메인회전부(45)의 회전에 연동되며, 상기 제2 원통부(233)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배출공(H)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60)는, 연동회전축(61), 연동벨트부(63), 승강부(65) 및 승강지지부(6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동회전축(61)은, 상기 메인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영역(V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벨트부(63)는, 상기 연동회전축(61)과 상기 메인회전축을 매개하여, 상기 메인회전축의 회전에 상기 연동회전축(61)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5)는, 상기 회동지지부(43)의 상부에 지지되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축(61)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원통부(233)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회전축(61)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67)는, 상기 승강부(65)와 상기 회동지지부(4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67)는, 상기 회동지지부(43)로부터 기립된 기립봉(671) 및 상기 기립봉(671)과 상기 회동지지부(43)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기립봉(671)에 인가된 하중에 탄성 변형되는 지지탄성부(6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통부(233)는, 상기 승강부(65)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공(H)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동회전축(61)은, 상기 승강부(65)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높이차를 형성하는 단차부(6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5)는, 상기 단차부(611)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단차대응부(651)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제2 단차대응부(6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는, 일종의 홈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동회전축(61)에 의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와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를 교번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통부(233)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H)이 폐쇄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H)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승강부(65)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원통부(233)는 상기 제1 원통부(231)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1 원통부(231)에 형성된 배출홀을 막아 폐쇄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승강부(65)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원통부(233)는 상기 제1 원통부(231)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 원통부(231)에 형성된 배출홀을 개방한다.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연동회전축(61)에 인가된 높이 방향으로의 외력을 완충하는 회전축탄성부(6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탄성부(69)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에 위치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에 위치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65)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는,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로부터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와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의 경계 영역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로부터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로의 이동 또는 상기 제2 단차대응부(653)로부터 상기 제1 단차대응부(651)로의 이동이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반죽볼 성형장치 B1: 식용반죽
B2: 반죽볼 10: 베이스부
20: 호퍼부 21: 수용부
23: 연장부 H: 배출공
25: 주입부 30: 회동버킷부
40: 구동부 41: 모터부
43: 회동지지부 45: 메인회전부
47: 메인벨트부 50: 가이드부
51: 고정부 53: 나선형성부
60: 버튼부 61: 연동회전축
63: 연동벨트부 65: 승강부
67: 승강지지부 69: 회전축탄성부

Claims (9)

  1. 수용된 식용반죽을, 일정량 소분하여 롤링함으로써 특정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반죽볼을 제공하는 반죽볼 성형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식용반죽이 수용된 채, 일정량 소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부측을 포위하며, 소분된 식용반죽을 롤링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평탄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회동버킷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회동버킷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버킷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소분된 식용반죽이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반죽볼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면과 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호퍼부에 고정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와 독립적으로 운동하고,
    소분된 식용반죽은,
    상기 회동버킷부와 상기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회동버킷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반죽볼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회동버킷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채,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공간 내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수용부 내의 식용반죽이 소분된 채, 상기 내측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회동버킷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호퍼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회동지지부,
    상기 회동지지부에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회동버킷부가 회동되는 메인회전축을 제공하는 메인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회전부에 전달하는 메인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버킷부는,
    상기 메인회전축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메인회전부는,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매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매개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되, 상기 회동버킷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나선형 경사면을 형성하는 나선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성부는,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식용반죽이, 상기 내측공간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구름접촉에 따른 반죽볼 변형이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매개부가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식용반죽이 이동되는 제2 영역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제2 원통부의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한 위치 이동에 따라 개폐되고,
    상기 메인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며, 상기 제2 원통부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배출공이 개폐되도록 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연동회전축,
    상기 연동회전축과 상기 메인회전축을 매개하여, 상기 메인회전축의 회전에 상기 연동회전축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벨트부,
    상기 회동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축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원통부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상기 회동지지부를 지지하는 승강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공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축은,
    상기 승강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높이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단차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단차대응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제2 단차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동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1 단차대응부와 상기 제2 단차대응부를 교번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2 원통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차대응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이 폐쇄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차대응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수용부 내의 식용반죽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의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식용반죽의 유동 및 배출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볼 성형장치.
KR1020230063713A 2023-05-17 2023-05-17 반죽볼 성형장치 KR10260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13A KR102606248B1 (ko) 2023-05-17 2023-05-17 반죽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13A KR102606248B1 (ko) 2023-05-17 2023-05-17 반죽볼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248B1 true KR102606248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13A KR102606248B1 (ko) 2023-05-17 2023-05-17 반죽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2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457A (ja) * 2006-03-10 2007-09-20 Oshikiri:Kk 形状判定装置及び練り生地成形システム
KR20110105062A (ko) * 2010-03-18 2011-09-26 양건태 호떡 성형장치
KR20150018554A (ko) * 2012-06-04 2015-02-23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반죽의 둥글리기 성형 장치 및 둥글리기 성형 방법
KR101815655B1 (ko) * 2017-08-17 2018-01-08 홍성주 굴림만두 성형기
KR101833483B1 (ko) 2016-03-30 2018-03-02 (주)토탈베이커리시스템 로타리밸브를 이용한 반죽 성형기
KR101959984B1 (ko) * 2018-10-25 2019-03-19 최성우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457A (ja) * 2006-03-10 2007-09-20 Oshikiri:Kk 形状判定装置及び練り生地成形システム
KR20110105062A (ko) * 2010-03-18 2011-09-26 양건태 호떡 성형장치
KR20150018554A (ko) * 2012-06-04 2015-02-23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반죽의 둥글리기 성형 장치 및 둥글리기 성형 방법
KR101833483B1 (ko) 2016-03-30 2018-03-02 (주)토탈베이커리시스템 로타리밸브를 이용한 반죽 성형기
KR101815655B1 (ko) * 2017-08-17 2018-01-08 홍성주 굴림만두 성형기
KR101959984B1 (ko) * 2018-10-25 2019-03-19 최성우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486B1 (en) System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bread
KR101235392B1 (ko) 도넛 형상 식품 성형 장치 및 방법
US20210289795A1 (en) Automated bread-making system
CN102770201A (zh) 混合装置
EP2369961B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65059A (ko)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KR102606248B1 (ko) 반죽볼 성형장치
JP4294725B1 (ja) 食材供給装置
KR100943210B1 (ko) 뻥튀기 제조장치
KR20030095856A (ko) 도너츠 후라이기
US3969994A (en) Apparatus for forming ring-shaped foodstuffs
EP0273760A2 (en) An apparatus for shaping a dough product
CN210538507U (zh) 一种新型馅中馅给馅机
KR102050996B1 (ko) 귀리 함유 가공식품 및 가공장치
JP4009673B2 (ja) 可食性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35045A (ja) 食品成形装置
KR102607532B1 (ko) 멥쌀떡 제조방법
JPS633760A (ja) ソフトアイスクリ−ム製造装置
CN218604825U (zh) 一种油条自动撒芝麻装置
JP2019071858A (ja) 包被食品成形装置及び方法
JP4182382B2 (ja) 焼菓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87639Y1 (ko) 떡 성형기의 통콩 주입장치
KR102386356B1 (ko) 팥죽 새알심 성형장치
KR200174535Y1 (ko) 전병제조용 구형 반죽 반제품 성형장치
JP3451037B2 (ja) 定重量飯ブロックの分割成形供給機構及びこれを利用したおにぎり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