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424B1 - 소형 크레인 - Google Patents

소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424B1
KR102605424B1 KR1020230049356A KR20230049356A KR102605424B1 KR 102605424 B1 KR102605424 B1 KR 102605424B1 KR 1020230049356 A KR1020230049356 A KR 1020230049356A KR 20230049356 A KR20230049356 A KR 20230049356A KR 102605424 B1 KR102605424 B1 KR 10260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rotating
strut
b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상
Original Assignee
조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상 filed Critical 조명상
Priority to KR102023004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8Manually-movable jib cranes for use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2Pivot axis common with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크레인(1)에 관한 것으로, 소형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2)의 상부 상에 배치된 지주(4), 지주(4)에 대해 필요한 때에 한해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3),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부(3)에 연결된 회전부(5)를 포함한다.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크레인 바(53)의 선회를 위한 힌지부(52), 및 대상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 바(53)를 포함한다. 회전부(5)는 크레인 바(53)를 선회시키는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 균형을 위한 질량추 연결 바(55), 및 질량추(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엔 바퀴들(21), 중공 사각 파이프들(22), 및 넘어진 방지 부재들(24)이 내부에 수용되는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이 부착될 수 있다.
소형 크레인(1)은 대상 물품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7), 파지부(7)에 직접/간접적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 대상 물품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회전용 부품(6)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크레인 {SMALL SIZE CRANE}
본 발명은 통상의 크레인에 비해 크기와 무게가 작아 주로 경량의 물품의 이송에 적합한 소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Crane)은 기중기(起重機) 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물품을 들어올려 인근의 원하는 장소로 옮기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물품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크레인의 종류가 나뉜다.
크레인은 각종 공장, 항만, 창고, 공사 현장 등에서 물품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건축, 토목, 조선 등의 기술분야에서 대형 크레인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크레인들은 물품의 종류와 크기, 그리고 이러한 물품이 사용되는 목적 및 이동되어야 하는 장소에 따라 이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타워 크레인은 건축 분야에서 사용된다.
여러 분류의 크레인들 중 비교적 소형인 물품을 운반하는 크레인의 경우 종래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어지는 와이어(체인)의 종단에 갈고리 또는 버켓이 구비되어 물품을 들어올리는 구조를 갖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과 연관된 배경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10-1969855호("이동식 크레인")가 있다.
기존엔 소형 크레인들의 경우에도 주로 수백 킬로그램의 무게를 갖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기존의 소형 크레인들은 작업자가 또는 작업자들이 협력하여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물건을 운반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크레인들이 소형임에도 상당한 중량 및 크기를 가져 한정된 작업장 공간에 부적합하고, 고가였기 때문이다.
기존의 소형 크레인들에서 크레인 운전자가 조종부를 통해 크레인의 와이어에 연결된 모터를 통해 크레인의 높이를 조정하고,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구성은 정밀한 조정을 가능케 하지만, 경량인 물건(예: 수십 킬로그램)에 대한 수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선 작업 속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종래의 소형 크레인은 물건을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만 이송하여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사용범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건을 좌우로 운반하기 힘들어 별개의 운송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에 장착되는 방식의 크레인들의 경우, 유압식으로 차량의 차체를 일부 개조하여 설치해야하며, 조작방법이 까다롭고 주로 대형화물차에만 부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적재하는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사고위험성이 있고 육체적인 한계가 있었다. 지게차를 사용하여 물건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파레트에 물건을 비교적 대량으로 적재하는 사전 수작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발명된 것으로서, 경량인 물품들의 반복적인 운반이 필요한 각종 현장에서 해당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쉽게 조종할 수 있는 소형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크레인 구조가 아닌 수동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갖는 소형 크레인을 발명하였으며, 작업장에서 상대적으로 경량의 물품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가 아닌 새로운 방식을 갖는다.
기존의 소형 크레인이 주로 사용되었던 물품 보다 가볍고 사람이 들어올리기에 무거운 중량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소형 크레인들에 비해 작고, 경량이며, 더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은 작업자가 다른 작업과 병행하여 크레인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작업자가 크레인을 손쉽게 인근의 다른 작업장으로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4엔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 및 넘어짐 방지 부재들(24)을 갖는 바닥부(5)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은 지주(4)의 상부 부분과 연결부(3)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좌측부터 회전부 본체(51)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7엔 회전부 본체(51)가 회전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엔 사용 전 수평 상태에 있는 크레인 바(53)와 오무려진 집게부(7)를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엔 물품의 파지를 위해 아래쪽으로 선회된 크레인 바(53)와 벌어진 집게부(7)를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엔 집게부(7)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는 연결부(3)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지주(4)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13엔 다른 실시예로 회전부(5)가 별도로 레일들(91) 상의 롤링 장치(9)에 의해 이동가능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1)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선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의 상부 상에 배치된 지주(4), 지주(4)와 회전부(5)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3), 연결부(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5)를 포함하며, 또한 대상 물품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7), 및 높이를 조절하고 파지부를 벌리고 오므리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피스톤-실린더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및 대상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 바(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레인(1)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선 크레인(1)이 연결부(3)를 포함하지 않으며, 회전부(5)는 지주(4)로부터 바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지지부(33)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내지 제2 실시예들에서, 수평으로 놓인 크레인 바(53)는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지주(4)는 Z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닥부(2)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형 크레인(1)이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엔 바닥부(2)가 차량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또는, 차량에 장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바닥부(2)는 작업 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크기와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가 크레인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가볍게 제작된 경우, 무거운 물품에 대한 이송 시 바닥부 상부에 안정성을 위한 질량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닥부(2)는 바닥부의 코너들에 부착된 바퀴들(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각형 바닥부의 경우 4개의 바퀴들이 각 코너에 부착되어, 이를 통해 크레인 전체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각 바퀴는 공지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는 또한 바닥부의 하부 상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인 하나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되어 부착된 2개의 사각 파이프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들(22)은, 상기 바닥부의 하부 상에서 상기 방향을 따라 바닥부(2)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방향에 따른 바닥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양 측에 대칭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이프들(22)의 내부로 팔레트 리프터의 2개의 포크들이 삽입될 수 있으며, 팔레트 리프터의 운전자는 포크들을 삽입 후 크레인을 약간 상승시킨 뒤 리프터를 이동시켜 크레인을 인근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바퀴들을 통한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닥부(2)는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은 바닥부(2)의 각 코너(25)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은 외부로 개방된 바닥부(2)의 내부의 중공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 내로 소정 길이의 넘어짐 방지 부재들(24)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실시예에서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은 한 단부 또는 양 단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들 일 수 있다.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들(24)은 짧은 바들이거나, 원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들일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바닥부(2)에선 4개 이상의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들(23)과 넘어짐 방지 부재들(24) 모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관통 구멍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멍들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용 부재를 삽입하여 넘어짐 방지 부재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를 넘어 그리고 바닥부(2)의 둘레를 넘어 돌출되게 장착된 넘어짐 방지 부재들(24)은 하중의 쏠림 현상으로 크레인이 기울어 질때 바닥에 대해 크레인을 지탱하게 된다.
사각형인 바닥부(2)의 각 코너에 1개씩, 또는 2개씩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 및 넘어짐 방지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1개씩 설치되는 경우 서로 교변하는 방향으로 설치(예: 둘레를 따라 X축 - Y축 - X축 - Y축의 순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씩 설치되는 경우 각 코너에 수평 방향으로 1개와 수직 방향으로 1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크레인(1)이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해당 방향에 배치된 넘어짐 방지 부재가 바닥을 지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주(4)는 바닥부(2)의 상부 상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지주(4)는 용접 등에 의해 바닥부(2)와 일체를 이루거나, 나사연결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바닥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 지주(4)는 바닥부(2)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 지주(4)는 바닥부(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지주와 바닥부는 핀-홀과 같은 회전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는 중실이거나, 또는 수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중공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원통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주의 중공(41)은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크레인은 지주(4)의 상부에 배치되게 되는 연결부(3)를 포함한다.
연결부(3)의 본체(31)는 중공 또는 중실인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부(3)는, 지주(4)에 배치될 때를 기준으로, 연결부 본체(31)의 바닥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중공 또는 중실의 연장부(3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는 지주(4) 내의 구멍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원통형 또는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32)가 원통형인 경우, 연장부(32)는 지주(4) 내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멍(41) 내로 삽입된다.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3)는 원통형 연장부(32)를 중심으로(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회전부(5)의 회전과 조합되어 크레인 바(53)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일반적인 작업 시 연결부(3)는 지주(4)에 대해 회전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장의 한 영역에서의 작업이 끝난 뒤 예를 들어 반대편 영역에서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연결부(3)를 지주(4)를 중심으로 180°회전시키면 된다.
지주의 구멍(41)과 연결부(3)의 연장부(32) 사이의 회전은 서로 간의 미소 간극에 의한 미끄럼에 의해 가능하며 이를 돕기 위해 윤할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 사이에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인 연장부(32) 및 지주(4)는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중심축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 높이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인 연장부(32) 및 지주(4)의 관통 구멍들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용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부(3)를 지주(4)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외의 대안이 되는 다른 공지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의 높이를 조정한 후 상기 고정용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부(3)를 특정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할 2개의 높이 조정 수단과 함께 크레인의 높이 조정을 가능케 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4)는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가 수용되며 선회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는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32)는 위쪽과 아래쪽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지주(4)는 위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아래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와 지주(4)의 위쪽 관통홀들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부재가 삽입되며, 이러한 삽입된 부재는 상기 연장부(32)의 선회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를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킨 후 특정한 지주(4)의 아래쪽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32)의 아래쪽 관통홀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크레인(1)이 경사진 지면 상에 위치할 때 크레인의 바닥부(2)가 기울어지더라도, 크레인 바(53)을 다시 수평위치로 맞추어 편평한 바닥에 있을 때와 동일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연결부(3)는 연결부 본체(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 지지부(3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선, 회전 지지부가 연결부(3)에 형성되지 않고, 지주(4)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되며, 지주의 중간보다 윗 부분에, 지주의 상단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선, 지주(4)는 바닥부(2)로부터 이격되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지주(4) 외측에, 지주(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지주(4)가 선회할 수 있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지주 수용 부재(42)가 위치한다. 지주(4)는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지주(4)는 위쪽과 아래쪽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지주 수용 부재(42)는 위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아래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4)의 위쪽 관통홀과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의 위쪽 관통홀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용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지주(4)의 아래쪽 관통홀과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의 아래쪽 관통홀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고정용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지주(4)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위쪽 및 아래쪽 고정용 부재들 중의 하나를 제거한 후 지주(4)를 위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또는 아래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용 부재를 다시 삽입하여, 상기 지주(4)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크레인(1)이 경사진 지면 상에 위치할 때 크레인의 바닥부(2)가 기울어지더라도, 이러한 기울어짐을 보정하여 크레인 바(53)을 다시 수평위치로 맞추어 편평한 바닥에 있을 때와 동일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변형된 실시예를 포함한 제2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부(33)의 구체적 구조, 및 회전부 본체(51)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전 지지부(33)가 회전부(5)의 본체(51)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구멍(50)으로 삽입되어 회전부 본체(51)를 지지함으로써 회전부(5)가 상기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5)의 본체(51)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멍(50)의 중심 축은 회전부 본체(51)의 중심 축과 일치하거나 또는 편심될 수 있다.
회전부(5)에 형성된 구멍(50)과 회전 지지부(33) 사이의 회전은 서로 간의 미소 간극에 의한 미끄럼에 의해 가능하며 이를 돕기 위해 윤할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 사이에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3)는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된 제1 부분(34)과 제1 부분(34)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2 부분(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분(35)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중공 또는 중실인 원통이거나 원형 파이프일 수 있다.
제2 부분(35)의 수직 방향 길이는 회전부 구멍(50)과의 끼워맞춤 및 크레인 전체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회전부(5)는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 질량추 연결 바(bar; 55), 및 질량추(5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5)의 본체(51)는 또한 동일면(도 2 및 도 3에서 좌측 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홈(57)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58)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홈(57)은 폭 전체에서 소정의 거리(제1 홈의 위쪽 부분과 아래 쪽 사이의 거리)를 두고 수평 방향으로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여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홈(57)은 회전부(5)의 회전 시 상기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34) 보다 더 큰 수직방향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1 홈(57)은 회전부 본체(51)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58)은 상기 동일면 상에서 적어도 상기 제1 홈(57)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 아래로 회전부 본체의 바닥까지 파여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구멍(50)과 연결된다.
크레인(1)의 조립 시, 회전 지지부(33) 보다 위에서 회전부 본체(51)의 구멍(50)을 회전 지지부(33)에 맞추어 아래로 내려 놓아, 이들이 서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 및 제2 부분(35)은 상기 제2 홈(58) 및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구멍(50)을 통해 삽입된다.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33)의 제2 부분(35)의 상부 단부는 회전부 본체(51)의 구멍(50)의 안쪽 단부 벽에 맞닿게 되어, 회전부 본체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회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의 제1 부분(34)의 높이는 상기 제1 홈(57)의 높이에 대응된다. 상기 회전부의 본체(51)는 회전 지지부(33)의 제 2 부분(35)을 중심으로(즉,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품을 수평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엔 회전부 본체(51)가 90°가량 회전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 본체(5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은 상기 제1 홈(57) 내로 더 깊이 들어가게 되며, 결국 제1 홈(57)에 의해 형성된 안쪽 벽 부분과 맞닿게 된다. 반대 방향의 회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에 따라 회전 지지부의 가능한 회전 반경이 정해지게 된다. 가능한 회전 반경은 제1 홈의 깊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80°의 회전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전부 본체(51)는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상기 홈들이 형성된 상기 동일면 상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질량추 연결 바(bar; 55)와 이러한 연결 바의 끝 부분에 연결된 질량추(56)를 포함할 수 있다. 질량추 연결 바(55)는 상기 동일면 상에서 상기 제1 홈(57)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3) 보다 위에 위치한다.
질량추(56)는 물품의 이동 시 물품의 무게를 상쇄시켜주는 균형추의 기능을 수행한다. 질량추(56)는 약 40 내지 80KG의 무게를 가질 수 있으며, 대상 물품에 따라 이보다 가볍거나 무거울 수 있고, 질량추 연결 바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작업에 따라 상이한 무게의 질량추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의 면들 중 상기 동일면의 반대편에, 힌지부(52), 크레인 바(53), 및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의 힌지부(52)는 회전부 본체(51)에 대해 크레인 바(53)를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 본체(51) 상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식 연결은 힌지부(52)가 회전부 본체(51)의 내부의 공간에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 넣어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도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전부 본체(51)는 위쪽 부분에 힌지부(51)가 삽입 될 수 있는 관통 구멍(5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구멍은 크레인 바(53)의 선회를 위해 외부로 개방된 상부 부분의 홈(512)과 연통되며, 상기 홈(512) 및 관통 구멍(511)을 통해 크레인 바(53)가 힌지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힌지부(52)의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크레인 바(53)는 중공 또는 중실일 수 있으며, 길이 방향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개방된 빔일 수 있으며,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사각형 파이프일 수 있다.
크레인 바(53)와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은 크레인 바(53)의 근위 측 부분(531)과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52) 및 이에 연결된 크레인 바(53)는 상기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파지부(7)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레인 바(53)의 끝 부분에 파지부(7)가 상기 크레인 바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연결 부재(들)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연결 부재(들)는 크레인 바(53)의 선회 시에 파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는 힌지 연결부, 볼-소켓 조인트, 줄, 와이어, 및 체인 중의 한 가지 이상일 수 있다.
도 2,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크레인 바(53)는 힌지식 연결부(535)를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부재(533)와 제2 부재(534)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바(53)가 수평 상태일 때, 제2 부재(534)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에서 제1 부재(533)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부재(533)와 제2 부재(534)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제1 및 제2 부재들의 한쌍의 관통 구멍들엔 힌지축을 형성하는 핀, 볼트, 나사와 같은 수단이 삽입되며, 제1 및 제2 부재들의 다른 한쌍의 관통 구멍들에 핀,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해 회전 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2 부재(534)는 외부에 위치한 제1 부분(536) 및 상기 제1 부분(536)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부분(5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이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분(537)이 상기 제1 부분(536) 내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 한 후 이들의 구멍들을 통해 핀,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크레인 바(5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2 부재(534)는 말단부에 크레인 바(53)의 길이 조정을 위한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파지부(7)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2 부재(534)를 크레인 바(53)의 제1 부재(533)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그리고/또는 상기 회전부(5)를 상기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평면상에서 수동으로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1)은 파지부(7)의 360°회전을 가능케 하는 회전용 부품(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용 부품(6)의 하나의 단부가 줄, 와이어, 또는 체인(63)을 통해 상기 크레인 바(53)의 원위 측 부분에 매달려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그 아래에 매달린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용 부품(6)은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과 파지부(7)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용 부품(6)은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중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2)은 서로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용 부품(6)은 상하로 배치된 제1 부분(61)과 제2 부분(62), 및 이들을 수직 중심 축을 통해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은 그 일 단부가 상기 회전용 부품(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매달려 연결되며 다른 단부는 파지부(7)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은 그 일 단부가 상기 상기 크레인 바(53)의 원위 측 부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매달려 연결된다.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의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파지부(7)의 높이가 조정되게 된다.
크레인(1)은 상기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 또는 상기 회전용 부품(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매달려 연결된 파지부(7)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집게부(7)일 수 있다. 대안이 되는 실시예에선 크레인은 이러한 집게부(7) 대신 물품을 걸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집게부(7)는 서로를 향해 벌어지고 오므려질 수 있는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집게부의 제1 부재(71)는 도 10에 도시된 제1 선회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부재(72)는 제2 선회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7)는 제1 및 제2 부재들(71, 72) 사이에 제3 피스톤-실린더 유닛(7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피스톤-실린더 유닛(77)의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도 8 및 도 9에 도시) 상기 2개의 부재들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식으로, 대상 물품을 파지하고 내려 놓을 수 있다.
상기 집게부의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은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오므려진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의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은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평행하게 제 연장하는 제2 부분, 제2 부분으로부터 아래 쪽을 향해 오므려진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의 좌측도).
상기 집게부의 제1 및 제2 부재들은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및 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평행하게 제 연장하는 제2 부분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도 10의 우측도), 이때 상기 제2 부분의 끝 부분은 파지를 돕기 위해 약간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0의 우측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집게부의 제1 및 제2 부재들의 안쪽에는 파지되는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고무판과 같은 보호층(76)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들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유압 라인들 또는 공압 라인들이 압축기와 같은 공압 소스 또는 유압 소스와 제1 내지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 라인들 또는 공압 라인들은 크레인의 각 구성요소의 외부면을 따라 배치되거나, 그 일부는 각 구성요소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작업자가 조정하기 적합한 위치의 구성요소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는 또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 리모컨을 통해 원격으로 제1 내지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들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지주(4) 및 이에 연결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바닥부(2)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연결부(3) 및 이에 연결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지주(4)로부터 분리되어 차량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지주(4)에 연결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바닥부(2)로부터 분리되어 차량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 질량추 연결 바(55), 및 질량추(56)를 포함하는 회전부(5)는 크레인 바(53)에 연결된 구성요소들과 함께 상기 회전 지지부(33)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회전부(5)가 처음부터 본 실시예로만 사용되기 위한 경우엔 회전부 본체(51)는 상기 회전 지지부(33)와의 회전 연결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 홈들(57, 58) 및 상기 구멍(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천정에 가깝게 설치된 레일들(91)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레일들(91)은 수직 및/또는 수평 이동을 가능케하는 경로로 배치된 레일들일 수 있으며, 레일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들은 H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일들엔 레일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링 장치(9)가 배치될 수 있으며, 롤링 장치(9)는 2개, 4개, 또는 이보다 많은 복수의 롤러들(9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링 장치(9)는 구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터는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롤링 장치(9)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상부면 사이에 연결 부재(93)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롤링 장치(9)와 상기 연결 부재(93) 사이에, 또는 상기 연결부재(93)와 상기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360°회전을 가능케 하는 상기 회전용 부품(6)과 동일한 구조의 회전용 부품(11)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용 부품(11)은 상기 회전용 부품(6) 보다 더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인 작업 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하부엔 질량추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적 작업이 가능한 경우 회전부 본체(51)는 질량추 연결 바(55) 및 질량추(56)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1 크레인
2 바닥부
3 연결부
4 지주
5 회전부
6 회전용 부품
7 파지부 또는 집게부
8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
9 롤링 장치
11 회전용 부품
21 바퀴들
22 사각 파이프
23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
24 넘어짐 방지 부재
25 바닥부의 코너
31 연결부의 연결부 본체
32 연결부의 연장부
33 회전 지지부
34 회전 지지부의 제1 부분
35 회전 지지부의 제2 부분
41 지주의 구멍
42 지주 수용 부재
50 회전부 본체의 하부 구멍
51 회전부 본체
511 회전부 본체의 관통 구멍
512 회전부 본체의 홈
52 힌지부
53 크레인 바
531 크레인 바의 근위 측 부분
532 크레인 바위 원위(말단) 측 부분
533 크레인 바의 제1 부재
534 크레인 바의 제2 부재
535 크레인 바의 힌지식 연결부
536 크레인 바의 제2 부재의 제1 부분
537 크레인 바의 제2 부재의 제2 부분
54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
55 질량추 연결 바
56 질량추
57 회전부 본체의 제1 홈
58 회전부 본체의 제2 홈
59 선회 축
61 회전용 부품의 제1 부분
62 회전용 부품의 제2 부분
63 줄, 와이어, 또는 체인
71 집게부의 제1 부재
72 집게부의 제2 부재
73 집게부의 제1 선회축
74 집게부의 제2 선회축
76 집게부의 보호층
77 제3 피스톤-실린더 유닛
91 레일
92 롤링 장치의 롤러들
93 연결 부재

Claims (17)

  1. 소형 크레인으로서,
    소형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2)의 상부 상에 수직으로 연결된 지주(4), 회전부(5), 및 파지부(7)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4)는 지주(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33)는 지주(4)의 중간 높이 보다 윗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및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일부가 상기 회전부 본체(51)에 형성된 구멍(50)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 본체(5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부(5)가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의 힌지부(52)는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부 본체(51) 상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바(53)가 상기 힌지부(52)에 연결되어 힌지부(52)의 회전에 따라 크레인 바(5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크레인 바(53)와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이 장착되어,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 바(53)는 상기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에 파지부(7)의 높이가 변경되며,
    상기 크레인 바(53)의 끝 부분에 파지부(7)가 상기 크레인 바(53)와 상기 파지부(7) 사이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아래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7)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회전부(5)가 상기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평면상에서 수동으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
  2. 소형 크레인으로서,
    소형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2)의 상부 상에 수직으로 연결된 지주(4), 상기 지주(4)에 대해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3), 회전부(5), 및 파지부(7)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4)는 상부면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41)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41)은 지주(4)의 일부 또는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는 연결부 본체(31), 연결부 본체(31)의 바닥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중공 또는 중실의 원통형 연장부(32), 및 연결부 본체(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지지부(33)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연장부(32)가 상기 지주의 구멍(4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3)가 상기 지주(4) 위에 놓이며,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및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의 일부가 상기 회전부 본체(51)에 형성된 구멍(50)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 본체(5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부 본체(51)가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의 힌지부(52)는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부 본체(51)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바(53)가 상기 힌지부(52)에 연결되어 힌지부(52)의 회전에 따라 크레인 바(5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크레인 바(53)와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이 배치되어,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 바(53)는 상기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에 파지부(7)의 높이가 변경되며,
    상기 크레인 바(53)의 끝 부분에 파지부(7)가 상기 크레인 바(53)와 상기 파지부(7) 사이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아래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7)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회전부(5)가 상기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평면상에서 수동으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
  3. 소형 크레인으로서,
    소형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2)의 상부에 배치된 지주 수용 부재(42),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 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지주(4), 회전부(5), 및 파지부(7)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는 지주(4)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고, 지주(4)는 적어도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지주 수용 부재(42)는 호를 이루어 배열되는 위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호를 이루어 배열되는 아래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는 총 3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4)의 위쪽 관통홀과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의 위쪽 관통홀을 통해 고정용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지주(4)의 아래쪽 관통홀과 상기 지주 수용 부재(42)의 아래쪽 관통홀을 통해 고정용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지주(4)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위쪽 및 아래쪽 고정용 부재들 중의 하나를 제거한 후 지주(4)를 위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또는 아래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용 부재를 다시 삽입하여, 상기 지주(4)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경사진 지면으로 인한 크레인의 바닥부(2)의 기울어짐을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주(4)는 지주(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33)는 지주(4)의 중간 높이 보다 윗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및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일부가 상기 회전부 본체(51)에 형성된 구멍(50)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 본체(5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부(5)가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의 힌지부(52)는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부 본체(51) 상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바(53)가 상기 힌지부(52)에 연결되어 힌지부(52)의 회전에 따라 크레인 바(5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크레인 바(53)와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이 장착되어,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 바(53)는 상기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에 파지부(7)의 높이가 변경되며,
    상기 크레인 바(53)의 끝 부분에 파지부(7)가 상기 크레인 바(53)와 상기 파지부(7) 사이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아래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7)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회전부(5)가 상기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평면상에서 수동으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
  4. 소형 크레인으로서,
    소형 크레인(1)은 바닥부(2), 바닥부(2)의 상부에 배치된 지주(4), 상기 지주(4) 내에 수용되는 부분을 갖는 연결부(3), 회전부(5), 및 파지부(7)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4)는 상부면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41)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41)은 지주(4)의 일부 또는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는 연결부 본체(31), 연결부 본체(31)의 바닥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연장부(32), 및 연결부 본체(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가 상기 지주의 구멍(4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3)가 상기 지주(4) 위에 놓이며, 상기 지주의 구멍(41)은, 상기 연장부(3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멍(41) 내에서 선회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32)는 적어도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4)는 호를 이루어 배열되는 위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호를 이루어 배열되는 아래쪽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4)는 총 3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32)의 위쪽 관통홀과 지주(4)의 위쪽 관통홀을 통해 고정용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2)의 아래쪽 관통홀과 지주(4)의 아래쪽 관통홀을 통해 고정용 부재가 삽입되며, 연장부(32)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위쪽 및 아래쪽 고정용 부재들 중의 하나를 제거한 후 연장부(32)를 위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또는 아래쪽 고정용 부재를 중심으로 선회시킨 후, 고정용 부재를 다시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3)의 연장부(32)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경사진 지면으로 인한 크레인의 바닥부(2)의 기울어짐을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는 회전부 본체(51), 힌지부(52), 크레인 바(53), 및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의 일부가 상기 회전부 본체(51)에 형성된 구멍(50)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 본체(5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부 본체(51)가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의 힌지부(52)는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부 본체(51)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바(53)가 상기 힌지부(52)에 연결되어 힌지부(52)의 회전에 따라 크레인 바(5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크레인 바(53)와 회전부 본체(51) 사이에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이 배치되어, 제1 피스톤-실린더 유닛(54)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 바(53)는 상기 선회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에 파지부(7)의 높이가 변경되며,
    상기 크레인 바(53)의 끝 부분에 파지부(7)가 상기 크레인 바(53)와 상기 파지부(7) 사이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아래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7)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회전부(5)가 상기 연결부(3)의 회전 지지부(33) 주위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평면상에서 수동으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인 바(53)는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부재(533)와 제2 부재(534)를 포함하며, 크레인 바(53)가 수평 상태일 때, 상기 제2 부재(534)는 수평면 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부재(533)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1 부재(533)와 제2 부재(534)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1개 이상의 관통 구멍들을 각각 포함하며, 이들 중 제1 부재의 하나의 관통 구멍과 제2 부재의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해 힌지축을 형성하는 부재가 삽입되는,
    소형 크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2 부재(534)는 외측에 위치한 제1 부분(536) 및 상기 제1 부분(536)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53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536) 및 상기 제2 부분(537)은 이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537)이 상기 제1 부분(536) 내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 한 후, 상기 제1 부분(536) 및 제2 부분(537)의 대응하는 구멍들을 통해 고정용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크레인 바(5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상기 크레인 바(53)의 제2 부재(534)는 말단부에 크레인 바(53)의 길이 조정을 위한 제4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포함하는,
    소형 크레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3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34)과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2 부분(35)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35)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중공 또는 중실인 원통이거나, 또는 원형 파이프이며,
    상기 회전부 본체(51)는 회전부 본체(51)의 하부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부 본체(51)의 일부에 걸쳐 형성된 구멍(50), 및 제1 홈(57)과 제2 홈(5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57)과 제2 홈(58)은 동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57)은 상기 동일면의 폭 전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부 본체(51)의 안쪽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57)은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34) 보다 더 큰 수직 방향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홈(58)은 상기 제1 홈(57)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 아래로 회전부 본체(51)의 바닥까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구멍(50)과 연결되도록 안쪽으로 연장하며,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 및 제2 부분(35)은 상기 제2 홈(58) 및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끼워지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제2 부분(35)의 상부 단부가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구멍의 안쪽 단부 벽을 지지하여, 회전부 본체(51)가 회전 지지부(3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부 본체(51)는 끼워진 상태에서 물품의 이동을 위해 상기 회전 지지부(3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부 본체(5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제1 부분(34)은 상기 제1 홈(57) 내로 더 깊이 들어가게 되어 제1 홈(57)에 의해 형성된 안쪽 벽 부분과 맞닿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33)의 가능한 회전 반경이 결정되는,
    소형 크레인.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줄, 와이어, 또는 체인(63), 회전용 부품(6), 및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용 부품(6)은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중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2)은 서로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피스톤-실린더 유닛(8)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파지부(7)의 높이가 변경되는,
    소형 크레인.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7)는 집게부(7)로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7)는 서로를 향해 벌어지고 오므려질 수 있는 양 측에 배치된 제1 부재(71) 및 제2 부재(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71)는 제1 선회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부재(72)는 제2 선회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부(7)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 사이에 제3 피스톤-실린더 유닛(77)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피스톤-실린더 유닛(77)의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되는,
    소형 크레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은,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오므려진 제2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아래 쪽을 향해 오므려진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소형 크레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은,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의 상기 제2 부분들은 전체가 평행하게 연장하거나, 또는 그 끝부분이 안쪽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71, 72)의 상기 제2 부분들의 안쪽 면들 상에 고무 층이 부착되는,
    소형 크레인.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7)는 후크로 구성되는,
    소형 크레인.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가 차량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소형 크레인.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본체(51)는 상기 회전부 본체(51)의 상기 힌지부(52)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바깥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질량추 연결 바(bar; 55) 및 상기 질량추 연결 바의 끝 부분에 연결된 질량추(56)를 포함하는,
    소형 크레인.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는 사각형 형상이며, 바닥부(2)는 4개의 코너에서 바닥부(2)의 하부에 부착된 4개의 바퀴들(21)을 포함하는,
    소형 크레인.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는, 사각형 형상이며, 바닥부(2)의 하부 상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인 하나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되어 부착되며 상기 방향을 따라 바닥부(2)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2개의 중공 사각 파이프들(22)을 포함하며, 2개의 중공 사각 파이프들(22)의 내부로 팔레트 리프터의 2개의 포크들이 삽입될 수 있는,
    소형 크레인.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는 사각형 형상이며, 복수의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가 바닥부(2)의 4개의 각 코너(25) 설치되며,
    바닥부(2)의 4개의 각 코너(25)의 하부에 한 단부 또는 양 단부가 개방된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가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는 외부로 개방된 바닥부(2) 내의 중공 공간이며,
    바닥부(2)의 각 코너는 수평 방향으로 1개와 수직 방향으로 1개의 2개의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를 갖거나, 또는 상기 바닥부(2)는, 바닥부(2)의 각 코너에 1개씩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하는 방향(수평-수직-수평-수직)으로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23)를 가지며,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 내로 넘어짐 방지 부재들(24)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들(24) 각각은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 수용부들(23)의 바깥으로 그리고 바닥부(2)의 둘레 바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이에 따라 크레인(1)이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해당 방향에 배치된 넘어짐 방지 부재(24)의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소형 크레인.
KR1020230049356A 2023-04-14 2023-04-14 소형 크레인 KR10260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356A KR102605424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356A KR102605424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424B1 true KR102605424B1 (ko) 2023-11-22

Family

ID=8897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356A KR102605424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834A (ja) * 2010-06-03 2011-12-15 Shimizu Corp クレーン装置
JP2019099362A (ja) * 2017-12-07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19127378A (ja) * 2018-01-25 2019-08-01 株式会社 日興工機 移動式ジブ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834A (ja) * 2010-06-03 2011-12-15 Shimizu Corp クレーン装置
JP2019099362A (ja) * 2017-12-07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19127378A (ja) * 2018-01-25 2019-08-01 株式会社 日興工機 移動式ジブクレー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312B2 (ja) 長尺材搬送用吊り具装置
KR102326550B1 (ko)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JPH05229779A (ja) 遠隔操作つき駆動化荷物係合装置
US3090494A (en) Lift truck attachments
US3923163A (en) Crane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2605424B1 (ko) 소형 크레인
JP7045936B2 (ja) 床版架設機における吊具ユニット
US5083895A (en) Stacking device for mine cribbing
CN106241622A (zh) 移动式吊机
US3861498A (en) Counterbalancing chassis for aerial platform apparatus
JP2021147123A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移動方法
US4029217A (en) Pipe-handling crampon
RU169192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грузоподъемная поворотная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трела
US10450175B2 (en) System for holding cabinets in place during installation
JPH06305683A (ja) クレーン用吊荷装置
JP4362305B2 (ja) 搬送装置
EP3045417B1 (en) Stabilizing group for a tower crane and tower crane comprising such a group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JP2021008362A (ja) 重量物の荷役方法
JPH0726313Y2 (ja) クレーン車等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取付装置
KR20220016102A (ko) 신축식 포크를 구비한 틸팅 포크 캐리지 조립체를 가지는 자재 취급 차량
KR102469180B1 (ko) 건물의 층간 설치형 크레인
CN219792310U (zh) 一种起重葫芦
FI128584B (fi) Rengasvaras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