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53B1 -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53B1
KR102604553B1 KR1020230095417A KR20230095417A KR102604553B1 KR 102604553 B1 KR102604553 B1 KR 102604553B1 KR 1020230095417 A KR1020230095417 A KR 1020230095417A KR 20230095417 A KR20230095417 A KR 20230095417A KR 102604553 B1 KR102604553 B1 KR 10260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sofa block
function
slit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용
이영호
용설란
Original Assignee
신평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평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평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파블럭의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기둥에 다수개의 탈출용 안전장치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작업자나 일반인이 부주의로 인해 소파블럭의 미끄러운 표면을 타고 추락하였을 때, 탈출용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의 도움 없이 혼자서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둥에 슬릿 및 해조류 종사 매입줄눈을 형성하여 유어, 치어, 해조류 종사의 부착 및 어류의 은신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수개의 기둥(11)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소파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한 슬릿(20);
상기 슬릿(20)과 슬릿(20)을 서로 연결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종사매입줄눈(30);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선단면의 표면에 해조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식생용홈(40);
상기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출용 안전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Artificial reefs that are easy to attach seaweed and have safety device and sofa block functions}
본 발명은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파블럭의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기둥에 다수개의 탈출용 안전장치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작업자나 일반인이 부주의로 인해 소파블럭의 미끄러운 표면을 타고 추락하였을 때, 탈출용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의 도움 없이 혼자서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둥에 슬릿 및 해조류 종사 매입줄눈을 형성하여 해조류 종사의 부착 및 유어, 치어의 은신처, 어류의 산란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탈출용 안전장치가 형성되고 소파의기능을 갖는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태풍 등 높은 파도가 항구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항내를 정온하게 함으로서 하역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선박 및 여객을 안전하게 수송하는 항만의 기능유지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조물이고, 항만접안시설는 해상교통과 육상교통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예를 들면 저반사안벽, 월파방지호안시설, 물양장, 계류시설, 매립지, 도로, 항로 호안 등을 의미하며, 각종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하면서 승객과 화물을 내리고 실을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의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의 축조는 해저면의 상태, 파랑의 세기 및 간만의 차이 등을 감안하여 설치되는데, 대개 직립체 축조방식과 경사체 축조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한 직립제 축조방식은 방파제를 축조하기 위한 해저면의 상부에 별도로 제작된 콘크리트재질로 이루어진 장방형상의 케이슨(Caisson)을 결합하는 축조방식이고, 상기한 경사제 축조방식은 해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적정량의 사석(捨石) 또는 테트라포드(tetrapod)를 소정의 높이, 즉 해수면의 아래에 설치하거나 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적층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테트라포트는 방파제 내.외항에 쌓아 파도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콘크리트로 만든 4개의 뿔 모양을 가진 삼각뿔형블럭으로 주로 방파제에 파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설치하여 방파제 구성요소인 사석 및 블록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은 무게 중심위치가 낮고 안전성이 좋아 콘크리트 방괴에 비하여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서로 엇물려 안정한 급경사의 비탈면에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테트라포트는 여러개의 기둥을 방사형태로 형성된 형상으로 인해 설치 후 테트라포트의 사이로 추락할 경우, 추락자가 기둥들의 사이를 탈출하지 못하거나, 추락물이 유실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830386호의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테트라포트라 불리는 소파블록 시공시 추락물을 받치는 그믈망을 소파블럭과 소파블럭의 상부측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소파블록의 사이로 추락되는 추락물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시공이 끝나고 난 후, 부주의로 소파블럭 위에서 추락하게 되면 소파블럭 위로 혼자서 올라 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은 소파블럭에 안전장치만 설치한 구성으로 어류 등의 저서생물의 은신처로 사용하는 인공어초 겸용기능을 갖추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07-0040360호의 "친 환경 인공어초 기능성 테트라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테트라포트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방사형태의 기둥 사이를 어류나 치어 등 저서 생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은 테트라포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 안전사고 방지 및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등록실용신안 제20-0312606호의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는 전술한 바와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방사형태의 기둥 표면에도 다수개의 홀을 천공하여 어류나 치어 등 저서 생물이 다양한 방면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 역시 인공어초 기능을 갖출 수 있지만, 안전사고 방지 및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03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036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6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테트라포트라 불리우는 소파블록에 탈출용 안전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시공시 근로자가 추락되었을 때, 또는 시공 후 일반인 등이 소파블록의 미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기둥 사이의 공간으로 미끄러져 추락하였을 때, 외부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소파블럭 사이의 위험한 공간에서 소파블록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트러포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해양생물의 착생과 어족자원을 늘리기 위하여 해조류 종사의 부착 활용성을 높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슬릿을 천공하여 슬릿을 통한 유체의 흐름저항을 감소시켜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슬릿의 간격조정 및 슬릿과 슬릿을 연결하는 종사매입줄눈을 형성하여 유어, 치어의 보호 기능 및 해조류 종사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릿에 삽입고정 할 수 있는 키를 장착하여 해조류 종사를 부착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둥(11)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소파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한 슬릿(20);
상기 슬릿(20)과 슬릿(20)을 서로 연결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종사매입줄눈(30);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선단면의 표면에 해조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식생용홈(40);
상기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출용 안전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릿(2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단부측의 중앙에 절결부(61)를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돌출고정턱(62)이 형성되고, 선단부측에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식공(63)이 형성된 서식용키(6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릿(20)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출용 안전장치(50)는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나사홈(12)과, 상기 나사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고정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볼트(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출용 안전장치(50)는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의 전방측에는 쐐기형의 삼각고정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로 삽입되어 삼각고정홈(15)으로 회전시켜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81)의 단부측에는 삼각고정홈(15)에 대응하는 걸림고정구(82)를 형성하고, 선단부측에는 고정구(8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전손잡이(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파블럭의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기둥의 표면에 다수개의 탈출용 안전장치가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트라포드로서의 기능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나 일반인이 부주의로 인해 소파블럭의 미끄러운 표면을 타고 추락하였을 때, 외부의 도움없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측면에 슬릿을 종사부착시 천공하여 사용하거나, 중앙부에 일부만 부착된 격막은 패류의 서식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슬릿과 슬릿 사이를 연결하는 종사매입줄눈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해조류 종사의 부착이 안전하게 착생하여 유어, 치어의 은신처 및 어류의 산란장 기능과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최적의 인공어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에 해조류 서식용키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해조류의 서식은 물론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조성하므로 수중 생태계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에 인공어초 기능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슬릿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의 주요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파제 내.외항에 쌓아 파도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둥(11)이 방사형태로 소파블럭(10)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슬릿(20)을 관통하게 형성하고, 상기 슬릿(20)과 슬릿(20)을 서로 연결하여 오목하게 종사매입줄눈(30)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선단면의 표면에 해조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식생용홈(40)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출용 안전장치(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소파블럭은 방파제의 유실과 월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안선에 연하여 수중에 잠재를 구성하여 연안침식을 방지하고,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때, 소파블럭은 주로 방파제에서 지속적으로 파도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설치되며, 방파제 구성 요소인 물밑에 배치된 피복석과 상치 콘크리트 블럭을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소파 블록의 구성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콘크리트로 만든 4개의 뿔 모양의 기둥을 가진 삼각뿔형블럭으로 여러개의 기둥을 방사형태로 형성된 형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파블럭에서 미끄러져 기둥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하는 사람들이 외부인의 도움없이도 혼자서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소파블럭에 안전장치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전장치는 두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되는데, 두가지의 안전장치를 혼합하여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고, 각각의 안전장치 한 가지만을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은 것이다.
이하 안전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탈출용 안전장치(50)의 제 1실시예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결합형으로 구성된다. 소파블럭(10)의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암나사가 형성되도록 나사홈(12)을 형성한다. 이때 나사홈은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숫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볼트(70)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사홈(12)에 고정볼트(70)를 나사식으로 삽입할 때, 고정볼트(70)가 나사홈(12)에 완전하게 삽입이 되지 않고 돌출되게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파블럭(10)에서 낙상한 사람이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장착하여 형성된 고정볼트(70)를 하나씩 잡고 또는 발로 걸쳐가면서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탈출용 안전장치(50)의 제 2실시예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잠김용 키(13)가 형성되도록 삽입구(14)를 형성한다. 상기 잠김용 키는 120°간격을 두고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의 전방측에는 쐐기형의 삼각고정홈(15)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로 삽입되어 삼각고정홈(15)으로 회전시켜서 고정할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를 구성한다.
상기 안전손잡이(80)는 봉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봉(81)의 단부측에 전술한 삼각고정홈(15)에 대응하는 걸림고정구(82)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고정구(82)는 전술한 잠김용 키(13)와 대응하도록 120°간격을 두고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고정봉(81)의 선단부측에는 고정구(83)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는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로 안전손잡이(80)의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고정구(82)를 단부측인 삼각고정홈까지 삽입한 후에는 안전손잡이를 회전하게 되면, 걸리고정구는 잠김용키에서 분리되어 안전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역시 안전손잡이는 기둥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삽입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소파블럭(10)에서 추락한 사람이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장착하여 형성된 안전손잡이(80)를 하나씩 잡고 발로 밟으면서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패류들이 은신처, 산란장 및 먹이 활동장으로써 이용토록 하는 소파블록형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해안 회유성 어류 및 저서 어류와 연근해에 서식하는 어류는 물론 패류 등의 은신처 및 산란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 정육면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공어초가 있었으나, 소파블럭에는 많이 적용하지 않고 있다. 적용한 사례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소파블럭과 인공어초로써의 두가지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었기에 본 발명에서는 두가지 기능이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소파블럭(10)은 다수개의 기둥(11)이 방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하거나 얇은 격막을 중앙부에 갖는 슬릿(20)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슬릿(20)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천공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릿(20)과 슬릿(20)을 서로 연결하여 오목하게 종사매입줄눈(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종사매입줄눈(30)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종사매입줄눈(30)에는 유어, 치어의 보호 기능, 어류의 산란장 기능 및 해조류 종사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숨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선단면의 표면에 해조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식생용홈(4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형성되는 슬릿(20), 종사매입줄눈(30)에는 상기 작용이외에도 패조류의 생육장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종사 착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한 슬릿(2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식용키(60)를 구성한다.
상기 서식용키(60)는 단부측의 중앙에 절결부(61)를 형성하여 탄성을 갖는 돌출고정턱(62)을 구성한다. 또한, 선단부측에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식공(63)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서식용키(60)를 기둥(11)에 형성된 슬릿(20)에 삽입하게 되면 서식용키(60)의 단부측에 형성된 돌출고정턱(62)이 절결부(61)의 내측으로 오므라들어 슬릿(2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슬릿(20)을 통과한 돌출고정턱(62)은 반대측 측면으로 돌출한 후에는 다시 탄성을 갖고 원상태로 복귀하여 돌출고정턱(62)이 측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식용키(60)에 형성된 서식공(63)에서는 해조류 등이 서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기둥(11)에 형성된 슬릿(20)은 서식용키(60)를 삽입하지 않을 시에는 유체의 흐름을 감소시켜서 소파블럭(1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인공어초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파블럭(10)의 기둥(11)에 형성되는 슬릿(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소파블록(10)의 기둥(11) 하부측 측면에 슬릿(20)을 형성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슬릿(20)이 기둥(1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구성이 아니라, 슬릿(20)을 관통시키지 않고 중앙에 얇은 격벽(21)을 형성하여 기둥(11)의 양측면에 각각 슬릿(20)(20a)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기둥(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릿(20)(20a)은 패류, 해조류, 유어, 치어 등의 서식처가 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구성이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슬릿(20)과 슬릿(20a)을 구분하고 있는 격벽(21)을 제거하여 관통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관통홀로 형성된 슬릿(20)은 유체의 흐름저항을 감소시키거나 패류, 해조류, 유어, 치어 등의 서식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소파블럭 11. 기둥
20. 슬릿 21. 격벽
30. 종사매입줄눈 40. 식생용홈
50. 탈출용 안전장치 60. 서식용키
70. 고정볼트 80. 안전손잡이


Claims (5)

  1. 다수개의 기둥(11)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소파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하거나 중앙부에 격막이 있는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슬릿(20);
    상기 슬릿(20)과 슬릿(20)을 서로 연결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종사매입줄눈(30);
    상기 다수개의 기둥(11) 선단면의 표면에 해조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식생용홈(40);
    상기 기둥(11)에 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출용 안전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11)에 형성되는 슬릿(20)을 양측면으로 관통하지 않고, 중앙에 얇은 격벽(21)을 형성하여 양측면에 각각 슬릿(20)이 형성되게 하고, 필요시 격벽(21)을 제거하여 관통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2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단부측의 중앙에 절결부(61)를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돌출고정턱(62)이 형성되고, 선단부측에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식공(63)이 형성된 서식용키(6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용 안전장치(50)는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나사홈(12)과, 상기 나사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고정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볼트(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용 안전장치(50)는 기둥(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의 전방측에는 쐐기형의 삼각고정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잠김용 키(13)가 형성된 삽입구(14)로 삽입되어 삼각고정홈(15)으로 회전시켜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81)의 단부측에는 삼각고정홈(15)에 대응하는 걸림고정구(82)를 형성하고, 선단부측에는 고정구(8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전손잡이(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1020230095417A 2023-07-21 2023-07-21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10260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417A KR102604553B1 (ko) 2023-07-21 2023-07-21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417A KR102604553B1 (ko) 2023-07-21 2023-07-21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553B1 true KR102604553B1 (ko) 2023-11-23

Family

ID=8897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417A KR102604553B1 (ko) 2023-07-21 2023-07-21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06Y1 (ko) 2003-02-18 2003-05-12 한국자원재생공사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
KR20070040360A (ko) 2007-03-27 2007-04-16 이순태 친 환경 인공어초 기능성 테트라포트
KR101122408B1 (ko) * 2010-12-24 2012-03-09 주식회사 태화건설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674383B1 (ko) * 2016-08-11 2016-11-09 현경민 테트라포드
KR101830386B1 (ko) 2016-02-17 2018-02-20 김동욱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06Y1 (ko) 2003-02-18 2003-05-12 한국자원재생공사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
KR20070040360A (ko) 2007-03-27 2007-04-16 이순태 친 환경 인공어초 기능성 테트라포트
KR101122408B1 (ko) * 2010-12-24 2012-03-09 주식회사 태화건설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830386B1 (ko) 2016-02-17 2018-02-20 김동욱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74383B1 (ko) * 2016-08-11 2016-11-09 현경민 테트라포드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445B1 (en) Modular artificial reef, sea wall and marine habitat
US9464413B2 (en) Mooring structure with habitat features for marine animals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US6230646B1 (en) Deep ocean, mid-water farming apparatus
KR101336410B1 (ko) 해중림조성장치
US6042300A (en) Concrete and tire artificial reef
KR102604553B1 (ko)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장치 기능과 소파(消波)블럭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100597188B1 (ko) 다목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블록 조립체
CA2310163A1 (en) Artificial seaweed bed
KR102532236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102347953B1 (ko) 치어보호용 쉘터
KR102149503B1 (ko)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20200135238A (ko)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KR100281366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100406917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JP2002000113A (ja)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KR100281365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KR101652211B1 (ko) 강제 테트라포드 어초
KR20190025118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0519738B1 (ko) 인공 해중림
KR200358720Y1 (ko)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GB2303283A (en) Beach net
KR200227406Y1 (ko)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