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20Y1 -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Google Patents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8720Y1 KR200358720Y1 KR20-2004-0013649U KR20040013649U KR200358720Y1 KR 200358720 Y1 KR200358720 Y1 KR 200358720Y1 KR 20040013649 U KR20040013649 U KR 20040013649U KR 200358720 Y1 KR200358720 Y1 KR 2003587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tle
- seaweed
- artificial reefs
- beams
- protection ne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21152 breakfas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422 Ur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08 Urtica dio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957 Aste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3014 Chazara brise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512722 Ecklonia ca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261506 Undaria pinnatif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2 bio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2 sea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중림 조성을 위해 제작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해조류의 종묘가 완전히 성장할 때까지 조식동물로부터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제거될 수 있도록 어초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은 해조류의 생장 및 어류의 위집을 위해 해저 바닥에 투하되는 어초틀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의 소정 위치에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플레이트가 설치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 및 수직 강제빔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또는 어초 전체를 덮어씌우도록 육면체 형태의 망틀이 마련되고, 이 망틀의 상면 및 측면에는 차단 부재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중림 조성을 목적으로 해저에 투하되는 인공어초에서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부분 또는 어초 전체를 덮어씌워 조식성 동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해조류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갯녹음 현상에 의해 연안어장이 황폐화되고 있다. 갯녹음(백화, Whitening) 현상이란 연안 암반지역에서 여러 가지 형태 또는 색을 지닌 엽상형 해조류가 사라지는 대신 흰색의 석회조류가 번식하여 암반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이 갯녹음 현상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해수 내 이산화탄소 분압의 증가,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 연안 지역의 해수 오염도 증가 등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지역별로는 동해 연안이, 월별로는 4∼5월 사이에 특히 심하다.
갯녹음 현상이 발생하면 해중림이 소멸하고, 이는 어류의 산란장, 유치어 육성장과 같은 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져 수산 자원의 고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다시마, 미역과 같은 식용 해조류를 감소시켜 어민 소득원에 커다란 타격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갯녹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안 암반에 미역과 같은 해조류의 포자를 인공적으로 부착시키거나, 방파제에 구멍을 뚫어 해수의 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 해수 온도의 상승을 막는 등의 여러 가지 방안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더불어 갯녹음이 발생한 해역에 투하되어 해중림을 조성하는 인공어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어초는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된 인공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해중림을 위한 인공어초는 어초틀 상에 설치된 플레이트나 로프 등에 각종 해조류의 종묘를 착생시켜 이를 성장시킴으로써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해중림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플레이트나 로프에 착생된 해조류의 종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기도 전에 소라, 성게와 같은 조식(藻食)동물에 의해 섭식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이 섭식 피해는 해중림의 조성을 막는 주요 원인으로 갯녹음 현상에 의해 황폐화된 해양 생태계를 복원함과 동시에 연약해역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해중림 조성을 위해 제작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해조류의 종묘가 완전히 성장할 때까지 조식동물로부터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제거될 수 있도록 어초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조류 보호망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해조류 보호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해조류 보호망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해조류 보호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어초틀 11: 수직 프레임
12: 수평 프레임 13: 사석
14: 플레이트 20: 보호망
21: 망틀 22: 상부 수평 강제빔
23: 하부 수평 강제빔 24: 수직 강제빔
25: 차단 부재 30: 보호망
31: 망틀 32: 상부 수평 강제빔
33: 하부 수평 강제빔 34: 수직 강제빔
35: 상면 지지 강제빔 36: 측면 지지 강제빔
37: 차단 부재 38: 고정 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은크게 인공어초의 일부분을 덮는 것과 인공어초의 전체를 덮는 것으로 구성된다. 인공어초의 일부분을 덮는 보호망은, 해조류의 생장 및 어류의 위집을 위해 해저 바닥에 투하되는 어초틀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의 소정 위치에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플레이트가 설치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 및 수직 강제빔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덮어씌우도록 육면체 형태의 망틀이 마련되고, 이 망틀의 상면 및 측면에는 차단 부재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며, 상기 망틀의 하부를 이루는 수평 강제빔이 상기 어초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는 상호 경사지게 교차되는 것 또는 상호 수직하게 교차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이고,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만들어지는 구멍의 크기는 한변의 길이가 0.5~3.0㎝이다.
한편, 인공어초의 전체를 덮는 보호망은, 해조류의 생장 및 어류의 위집을 위해 해저 바닥에 투하되는 어초틀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의 소정 위치에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플레이트가 설치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 및 수직 강제빔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어초틀 전체를 덮어씌우도록 육면체 형태의 망틀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 강제빔과 수직 강제빔 사이에는 망틀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지지 강제빔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망틀의 상면 및 측면에는 차단 부재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망틀의 각 꼭지점 위치와 인공어초 사이에는 고정 와이어가 연결 설치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인공어초의 일부분을 덮는 보호망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보호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해조류 보호망(20)이 설치된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과 수평 프레임(12)이 연결 설치되어 직육면체의 어초틀(10)이 구성되고, 이 어초틀(10)의 내부에는 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어류의 산란장 역할을 하는 사석(13)이 놓여지며, 상부에는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된 플레이트(14)가 배치된다. 이 플레이트(14)는 어초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도1과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특히, 이 플레이트(14)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335013호에 게시된 바이오 세라믹 조성물로 만들어지면 그 환경 친화적인 기능으로 인해 해조류의 생장에 더욱 도움을 된다. 상기한 인공어초의 구성은 해중림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의 일예로서 도시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조류의 종묘가 소정의 형태로 착생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14)에는 미역, 감태, 모자반, 우뭇가사리와 같은 다년생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고 이들이 성장하여 해중림을 조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해조류의 종묘는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되기 전에는 조식 동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므로 도1에서와 같은 보호망(20)을 마련하여 상기 플레이트(14)를 덮어씌우도록 어초틀(10)에 설치한다. 이 보호망(20)은 수평 강제빔(22,23)과 수직 강제빔(24)이 연결 설치된 육면체 형태의 망틀(21)로 만들어진다. 이 망틀(21)의 형태는 돔형 등이 될 수도 있으나 해조류의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면체의 보호망(20)에는 플레이트(14)를 덮는 하면을 제외한 상면 및 사방 측면에 차단 부재(25)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됨으로써 조식동물이 내부로 침범하는 것을 차단시켜준다. 이 차단 부재(25)는 상기 수평 강제빔 및 수직 강제빔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상호 교차되게 설치하여 만들 수도 있고,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과 같이 기존에 망 형태로 제조된 철망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25)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호 경사지게 교차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구멍의 형태가 다이아몬드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이 상호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만들어져 구멍의 형태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차단 부재(25)가 상호 경사지게 교차되면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미세한 와류 또는 상승류 등을 발생시킴으로써 해조류의 성장이나 치어 등의 위집에 효과적이다. 한편, 차단 부재(25)가 상호 수직하게 교차되면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해류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 부재(25)의 설치 형태는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해류의 세기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차단 부재(25)에 의해 만들어지는 망 구멍의 크기 또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해조류의 섭식 피해를 입히는 것은 주로 완전히 성장한 조식동물이므로 이들 소라, 성게 고둥 등의 크기를 고려할 때 한변의 길이는 0.5∼3㎝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변의 길이가 0.5㎝ 미만이 되면 망눈에 해조류가 부착하여 망눈이 막혀해수유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해조류의 성장을 방해하고 해류로부터 가해지는 응력이 높아져 구조적 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반면, 한변의 길이가 3.0㎝를 초과하게 되면 작은 크기의 소라, 성게, 고둥 등이 보호망 내부로 침범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20)은 그 하부 수평 강제빔(23)이 어초틀(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해조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여 해중림이 완전히 조성되면 조식동물로부터의 섭식 피해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호망(20)의 존재 자체가 오히려 해조류의 성장을 방해하게 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보호망(20)의 하부 수평 강제빔(23)은 어초틀(10)의 프레임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야 하는데, 그 부착 방법은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주어지면 탈거될 수 있도록 점용접을 하거나 하부 수평 강제빔(23)에 볼트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마련하고 이 플랜지에 고정 볼트를 체결하여 어초틀(1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공어초 전체를 덮는 보호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보호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보호망(30)은 해중림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가 어초 전체에 걸쳐 해조류가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32,33)과 수직 강제빔(34)이 연결 설치되어 육면체의 형태 망틀(31)을 이루고, 그 상면 및 사방 측면에 차단 부재(37)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다는 점에서는 상기한 인공어초의 일부분을 덮는 보호망(20)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인공어초 전체를 덮는 보호망(30)은 상기 수평 강제빔(32,33)과 수직강제빔(34)을 사이에 보호망(3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 강제빔(35,36)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망(3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 수평 강제빔(32) 사이에는 상면 지지 강제빔(35)이 수평을 이루며 상호 수직되게 교차되며, 보호망(30)의 측면을 이루는 수직 강제빔(34) 사이에는 측면 지지 강제빔(36)이 상호 수직되게 교차된다.
이들 수평 강제빔(32,33), 수직 강제빔(34), 지지 강제빔(35,36)에 의해 이루어지는 면 상에 차단 부재(37)가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망 형태를 이룸으로써 보호망의 내부로 조식동물이 침범하는 것을 차단해준다. 그밖에, 이 차단 부재(37)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의 형태나 크기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보호망(30)은 인공어초 상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고정을 위해 어초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공어초가 투하되어 해저 바닥에 안착되고 보호망(30)이 그 어초의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씌워진 후에는 육면체를 이루는 망틀(31)의 각 꼭지점 위치에서 상기 어초틀 사이에 고정 와이어(38)가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에 의하면, 인공어초에 착생된 해조류의 종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할 때까지 이를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해 줌으로써, 해중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어 갯녹음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Claims (4)
- 해조류의 생장 및 어류의 위집을 위해 해저 바닥에 투하되는 어초틀(10)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10)의 소정 위치에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22,23) 및 수직 강제빔(24)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4)를 덮어씌우도록 육면체 형태의 망틀(21)이 마련되고, 이 망틀(21)의 상면 및 측면에는 차단 부재(25)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며, 상기 망틀(21)의 하부를 이루는 수평 강제빔(23)이 상기 어초틀(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5)는 상호 경사지게 교차되는 것 또는 상호 수직하게 교차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5)가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만들어지는 구멍의 크기는 한변의 길이가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해조류의 생장 및 어류의 위집을 위해 해저 바닥에 투하되는 어초틀(10)이마련되고 이 어초틀(10)의 소정 위치에 해조류의 종묘가 착생되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된 인공어초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32,33) 및 수직 강제빔(34)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어초틀(10) 전체를 덮어씌우도록 육면체 형태의 망틀(31)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 강제빔(32,33)과 수직 강제빔(34) 사이에는 망틀(31)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지지 강제빔(35,36)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망틀(31)의 상면 및 측면에는 차단 부재(37)가 망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망틀(31)의 각 꼭지점 위치와 인공어초 사이에는 고정 와이어(38)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3649U KR200358720Y1 (ko) | 2004-05-17 | 2004-05-17 |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3649U KR200358720Y1 (ko) | 2004-05-17 | 2004-05-17 |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8720Y1 true KR200358720Y1 (ko) | 2004-08-12 |
Family
ID=4943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3649U KR200358720Y1 (ko) | 2004-05-17 | 2004-05-17 |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872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725B1 (ko) * | 2005-11-14 | 2007-06-27 |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 해조류의 인공종묘 보호망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
-
2004
- 2004-05-17 KR KR20-2004-0013649U patent/KR2003587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725B1 (ko) * | 2005-11-14 | 2007-06-27 |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 해조류의 인공종묘 보호망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4157U (ja) | 稚魚保護育成礁 | |
KR101001828B1 (ko) |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 |
KR100572070B1 (ko) | 조림초와 해중림 조성부재의 고정 방법 | |
KR200473631Y1 (ko) |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 |
KR101657439B1 (ko) |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 |
KR100720121B1 (ko) |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 |
KR100998034B1 (ko) |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 |
JP3841817B1 (ja) | 防護フェンス及びそれを用いた海底生物の防護方法 | |
KR100572066B1 (ko) |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 |
JP3130124U (ja) | 植生、水質浄化、稚魚幼虫保護を行う人工浮島 | |
CA2310163A1 (en) | Artificial seaweed bed | |
KR200358720Y1 (ko) | 인공어초용 해조류 보호망 | |
KR100797938B1 (ko) |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 |
KR102347953B1 (ko) | 치어보호용 쉘터 | |
KR200406383Y1 (ko) | 해중림 조성 시스템 | |
KR100570938B1 (ko) | 인공어초 | |
KR100622634B1 (ko) | 해조류 종묘패널 부착식 인공어초 | |
KR101849169B1 (ko) | 바다 숲 조성용 인공어초 설치 시스템 | |
KR100720124B1 (ko) | 해중림조성용 계단식 조림초 | |
KR100764798B1 (ko) | 해중림 조성 시스템 및 방법 | |
KR200477377Y1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
KR200379995Y1 (ko) | 개비온을 이용한 인공 어초 | |
KR200353471Y1 (ko) | 인공어초 | |
KR200369962Y1 (ko) |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 |
KR20060132233A (ko) |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