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366B1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1366B1 KR100281366B1 KR1019980031300A KR19980031300A KR100281366B1 KR 100281366 B1 KR100281366 B1 KR 100281366B1 KR 1019980031300 A KR1019980031300 A KR 1019980031300A KR 19980031300 A KR19980031300 A KR 19980031300A KR 100281366 B1 KR100281366 B1 KR 100281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fishing net
- rope
- cage
- buoyancy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어망(2)의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력부재(10)를 취부하고, 어망(2)의 하단부에는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가 설치되며,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로부터 연장된 로우프(7)가 바다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부력부재(10)는 약 0.5∼1.5m의 일정간격으로 어망(2)에 취부되며, 이 부력부재(10)는 복수개의 단위부재(101)를 조립한 형태로서 원형을 비롯하여 4각, 6각, 8각, 10각 등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를 이루고, 각각의 단위부재(101)에는 서로 인접하는 단위부재와 조립되도록 그 단부에 각각 암나사부(105)와 숫나사부(106)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부력을 부여하여 수심이 낮아진 경우에 바다 표면쪽으로 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력물질(104)이 충진된다. 이 부력물질(104)로는 우레탄을 발포시킨 발포우레탄을 충진하거나 압축공기를 주입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안에서 각종 수산자원을 양식하기 위한 가두리 양식장의 어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다의 수심에 관계없이 연안은 물론 근해에까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의 어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수산자원을 양식하기 위한 가두리 양식장은 육지와 인접하고 있는 바다의 연안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연안을 벗어난 근해지역은 파도가 심하고 수심이 깊기 때문에, 파도가 심하지 않고 수심이 깊지 않은 연안지역에서 가두리 양식장은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바다 표면 상부에 가두리틀이 뜨도록 설치하고, 그 틀 내부의 바다 속으로 어망이 위치한다. 어망은 그 상부에서 끈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가두리에 고정된다. 어망의 하부에는 로우프를 연장하여 고정추를 고정시킨다. 어망의 내부는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의 활동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서 성장하게 된다. 가두리틀은 그 저면에 복수개의 부력물질을 필요한 만큼 고정시켜 가두리틀이 부력에 의해 바다위로 뜰 수 있도록 한다. 가두리틀은 그 폭이 약 60㎝∼1m 정도로써 사람이 걸어다니면서 입출구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하며, 기타 필요한 작업을 한다.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어망의 폭이 약 5∼15m 정도이고, 어망의 길이(깊이)가 통상 약 3∼4m 정도이다. 경우에 따라 10m 까지의 길이(깊이)를 갖는 어망 구조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어망 구조물은 주로 연안에 설치되며, 어망은 고정추의 바닷속에서의 중력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종래의 어망 구조물은 수심이 10m 이상되어 20∼30m되는 근해지역에는 파도가 심하기 때문에 설치할 수 없다. 어망의 길이가 짧은 어망 구조물을 파도가 심한 장소에 설치하면 어망이 뒤집혀서, 그 내부에 있던 양식 어류가 모두 바다로 흘러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어망의 길이가 긴 어망 구조물은 파도가 심한 경우에 어망이 서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 결과 양식 어류가 폐사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망 구조물은 조류가 심하거나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 지역에서는 수심의 큰 변화로 인하여 어망의 깊이가 변하게 되고, 이 때에도 어망이 꼬이거나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어망 구조물은 주로 수심이 얕은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설치하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연안지역에서의 가두리 양식장은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양식 어류의 먹이가 되는 사료를 다량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연안지역의 오염을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연안지역의 바닷물이 육지의 오염된 하천, 공장폐수 등에 의하여 오염되어 양식 어류도 오염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가두리 양식장을 근해지역에 설치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와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수심이 얕은 연안지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어류가 그 적조층을 피할 공간이 없어서 거의 전량의 어류가 폐사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의 폐단을 해결할 수 있고, 연안지역은 물론 근해지역에도 아무런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8-28383호(1998. 7. 14.출원)로서 특허출원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출원의 어망 구조물을 개량한 것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파도가 심하게 치는 해안지역도 아무런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는 어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통 수심이 30∼40m인 근해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도 심한 근해나 연안 부근에도 설치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심이 깊은 곳에 설치함으로써 바다의 표면이나 일정 깊이의 표면층에 적조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어류의 폐사를 예방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망의 깊이(길이)를 수심에 따라 조절하여 어망이 뒤집히거나 꼬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해에 설치함으로써 연안지역의 바닷물 오염을 예방하고 청정한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심이 깊은 근해지역에 설치함으로써 각종 질병으로부터 어류를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치료제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어서 양식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망 본체에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력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어망을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재(102)에 부착된 로우프고리(103)에 로우프(200)가 삽입되고 로우프(200)는 추(201)에 의하여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 구조물에 일정한 간격으로 취부되어 고정되는 부력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력부재의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력부재(10)가 에어튜브(103)인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두리 틀 2: 어망
7 : 로우프 10: 부력부재
11, 12 : 고정추 13 : 로우프 권취수단
14, 15 : 도르래 16 : 잠금장치
20 : 부표 21 : 에어주입구
22 : 에어호스 30 : 해면
101 : 단위부재 102 : 연결부재
103 : 로우프고리 104 : 부력물질
105 : 암나사부 106 : 숫나사부
200 : 로우프 201 : 추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어망의 상단부를 로우프 등으로써 가두리틀에 고정시키고 어망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고정추를 달아서 어망을 고정시킨다.
파도가 심한 경우에 종래의 어망 구조물은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조류나 조석간만의 차에 의하여 수심이 달라질 경우, 즉 수심이 얕아질 때, 어망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망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하여 수심이 깊고 파도가 심한 근해지역에도 안전하게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어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조류나 조석간만의 차에 의한 수심의 변화에 따라 어망의 깊이(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바닷속에 잠겨 항상 팽팽하게 펼친 상태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그 어망 내부에서 어류가 충분히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어망의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력부재(10)를 취부하고, 어망(2)의 하단부에는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가 설치되며,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로부터 연장된 로우프(7)가 바다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에는 a 부터 x 까지 x 개의 부력부재(10)가 어망(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취부되며, 최하단부의 부력부재(10x)는 어망하부 부력부재(10y)와 함께 고정된다. 어망하부 부력부재(10y)는 쇠파이프와 같은 강철재로 제조된다.
상기 부력부재(10)는 약 0.5∼1.5m의 일정간격으로 어망(2)에 취부된다. 우리나라의 남해안 근해지역에서는 부력부재(10)의 간격이 1.0∼1.5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서해안 근해지역에서는 조류와 조석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부력부재의 간격이 1.0m 이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부재의 간격은 어망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역의 조류상태나 조석간만의 차를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부력부재(10)는 복수개의 단위부재(101)를 조립한 형태로서 원형을 비롯하여 4각, 6각, 8각, 10각 등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를 이룬다. 도 3은 8각 형상의 부력부재(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력부재의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4각의 부력부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연결부재(102)의 굴절각도는 90°를 이루어야 하고, 6각, 8각, 10각으로 갈수록 그 각도는 점점 더 커진다. 부력부재는 각각의 단위부재를 나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나사방식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위부재(101)의 양 단부에는 숫나사부(106)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02)의 양 단부에는 암나사부(105)가 형성된다.
부력부재(10)의 내부에는 부력물질(104)이 밀폐된 상태로 충진된다. 부력물질(104)은 부력부재(10)가 부력을 받아서 위로 뜨게 함으로써 바닷속에 잠긴 어망(2)이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부력물질(104)로는 우레탄을 발포시킨 발포우레탄을 충진하거나 압축공기를 주입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상에 취부되는 부력부재인 최상부 고정부재(10a)는 끈(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가두리 틀(1)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어망 구조물의 하부에는 부력부재(10)와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가 일체로 조립되어 취부된다.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에는 복수개의 로우프(7)를 연장시켜 바닷속의 고정추(11)에 고정시킨다. 고정추(11)로는 시멘트 구조물과 같은 것으로, 부력을 고려하더라도 어망(2)을 충분히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닷속 표면에 고정될 수 있는 추를 사용하여야 한다.
어망(2)의 하부가 고정추(11)에 의하여 고정되면, 어망(2)의 길이(깊이)는 수심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어망(2)의 길이가 수심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지 않으면 어망(2)이 접히거나 꼬이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렇게 되면 어망(2) 내부에 있는 양식 어류는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도 1은 간만의 차만큼 수심이 얕아질 때, 그 차이에 해당하는 어망의 길이가 물속에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망 구조물이다. 즉 위에서 두 번째의 부력부재(10b)와 세 번째의 부력부재(10c)의 차이가 바로 간만의 차에 의한 수심의 변화량이다. 예를들어 간만의 차가 3m인 해안에서는 10b와 10c의 사이를 3m로 유지하고 5m인 경우에는 그 사이를 5m로 유지시킨다. 간만의 차에 의하여 어망이 겹칠 때 부력부재(10b)는 그대로 유지되고 부력부재(10c)가 위로 상승하여 부력부재(10b)와 겹치게 된다. 물론 나머지 부분의 어망(2)은 모두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부력부재(10b)가 그대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하중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부력부재(10b)는 충분한 하중을 갖도록 강철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부력부재(10c)는 다른 부력부재와 같이 부력에 의하여 상승할 수 있는 부력물질이 충진되어야 한다.
도 2는 간만의 차에 의하여 어망이 겹쳐질 때 부력부재(10c)가 부력부재(10b)에 용이하게 겹쳐지도록 로우프(200)에 추(201)가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다. 로우프(200)는 부력부재(10c)에 고정되어 부력부재(10b, 10a)의 로우프고리(103)를 지나 추(201)에 연결되고, 추(201)의 하중에 의하여 부력부재(10c)가 상승하는 것을 돕게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로우프고리(103)는 부력부재(10a, 10b, 10c)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부력부재에는 로우프고리(103)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어망 구조물을 간만의 차에 의하여 수심이 변화되는 지역에 아주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의 특징은 상단부에 가두리틀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점과 어망의 중간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단부의 어망은 로우프에 의하여 밀봉되고 로우프의 단부 즉, 해면(30)의 부력에 의하여 뜰 수 있는 부표(20)를 고정시킨다. 가두리틀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파도가 칠 때 가두리틀이 함께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심에 잠겨 있는 어망(2)은 해면(30)보다 파도가 더 심하지 않기 때문에 큰 요동없이 물속에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어망(2) 내부로 사료를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부의 부표(20)와 로우프를 해제하여 사료를 공급한다.
어망 구조물을 연안이나 해안지역에 설치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어망을 해면(30) 위로 상승시켜야 한다. 이때에는 로우프(13)를 해제한 후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으로 어망(2)을 들어올려야 한다. 특히 양식어가 충분히 성장한 경우에는 그 무게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하다. 이 경우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에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5에서 어망(2)을 부력부재(103)의 위치까지 들어올리고자 한다면,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에 에어를 주입시켜 그 부력에 의하여 어망을 상승시킬 수 있다. 어망(2)을 부력부재(106)의 위치까지 들어올리고자 한다면,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6)에도 에어를 주입시켜 그 부력에 의하여 어망을 상승시킨다.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에 에어를 주입시키는 수단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는 다른 부력부재(10)와 같이 8각 또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제작상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자전거 튜브와 같이 원형으로 제작하여도 좋다.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에는 평상시에는 다른 부력부재(10)와 동일한 부력을 나타내도록 에어가 주입되며, 어망(2)을 위로 들어올릴 경우에 더 많은 에어를 주입시킨다. 에어주입은 해면위에 에어주입구(21)를 설치하고 그 사이를 에어호스(22)로 연결한다. 에어를 주입하는 수단은 자전거 또는 자동차의 에어주입수단을 그대로 전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각각의 에어튜브에는 각각의 분리된 에어주입구(21)를 설치하여 필요한 에어튜브마다 각각 에어를 주입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를 갖는 어망구조물을 해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로우프(13)를 해제하는 각각 필요한 에어주입구(21)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시킨다.
본 발명의 도 1 또는 도 5에 나타낸 어망구조물은 2개 이상 서로 조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정도의 어망구조물을 서로 인접시켜 각각 종류가 다른 어종을 양식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어망 구조물을 서로 조합시켜 설치하는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심이 30∼40m로 깊고 파도가 심한 근해나 연안 부근에도 설치할 수 있어 연안지역의 바닷물 오염을 예방하고, 바다표면이나 일정 깊이의 표면층에 적조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어류의 폐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생활폐수를 비롯한 각종 질병요인으로부터 어류를 보호하여 청정한 어류를 양식할 수 있고, 치료비등의 양식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어망의 깊이가 수심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어망이 뒤집히거나 꼬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에 있어서, 어망(2)의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력부재(10)를 취부하고, 최상단의 부력부재(10a)는 끈에 의하여 복수개의 위치에서 가두리 틀(1)과 결합하고, 최하단의 부력부재(10x)에는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가 일체로 결합되며, 두 번째의 부력부재(10b)는 강철재로 이루어져 하중에 의하여 위로 뜨지 않고 간만의 차에 의하여 수심이 얕아질 때 세 번째 부력부재(10c)가 위로 상승하여 두 번째 부력부재(10b)와 겹쳐지고, 상기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에 연결된 로우프(7)가 바다 바닥면에 위치하는 고정추에 고정되고, 수심의 변화에 따라 상부쪽의 부력부재(10)가 그 변화한 깊이만큼 겹치게 됨으로써 어망(2)이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10)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단위부재(101)와 연결부재(102)에 의하여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10)의 단위부재(101)는 그 단부에 숫나사부(106)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부력물질(104)이 충진되며, 상기 부력주배(10)의 연결부재(102)는 그 단부에 암나사부(105)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부력물질(104)이 충진되고, 상기 부력물질(104)은 발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가 두 개의 고정추(11, 12)로 이루어지고, 바다표면 부근에서 상기 로우프(7)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추(12)에는 로우프(7)를 권취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1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02)의 안쪽에는 로우프(200)가 통과하기 위한 로우프고리(103)가 형성되고, 수심이 낮아져서 어망 구조물이 겹쳐질 때, 겹쳐지는 부력부재(10c)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어망의 상단부가 로우프에 의하여 밀봉되고 그 로우프의 상단부에는 해면(30)에 뜰 수 있는 부표(20)가 설치되고, 어망(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일정간격의 부력부재(10)가 a 부터 x 까지 x 개 설치되며, 최하단의 부력부재(10x)에는 어망 하부 부력부재(10y)가 함께 고정되고, 어망을 부력에 의하여 상승시키도록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103, 106)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어망구조물의 하부에는 두 개의 고정추(11, 12)에 고정되고, 바다표면 부근에서 상기 로우프(7)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추(12)에는 로우프(7)를 권취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1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부력부재는 외부에 설치된 에어주입구(21)로부터 에어호스(22)를 통하여 각각 에어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어망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31300A KR100281366B1 (ko) | 1998-07-31 | 1998-07-31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31300A KR100281366B1 (ko) | 1998-07-31 | 1998-07-31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2210A KR19980072210A (ko) | 1998-10-26 |
KR100281366B1 true KR100281366B1 (ko) | 2001-04-02 |
Family
ID=6589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1300A KR100281366B1 (ko) | 1998-07-31 | 1998-07-31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136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120B1 (ko) | 2007-06-29 | 2008-01-21 | 문창영 |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
KR101341945B1 (ko) * | 2013-04-26 | 2013-12-16 | 대한민국 | 파일보강형 침하부상식 가두리 양식장치 |
KR101415103B1 (ko) * | 2013-04-05 | 2014-07-07 | 정은진 | 위치조절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시스템 |
KR20210135091A (ko) * | 2020-05-04 | 2021-11-12 | (사) 한국해양안전협회 | 해양레포츠 또는 생존체험수영 공간을 포함하는 부유식 수영장 |
-
1998
- 1998-07-31 KR KR1019980031300A patent/KR1002813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120B1 (ko) | 2007-06-29 | 2008-01-21 | 문창영 |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
KR101415103B1 (ko) * | 2013-04-05 | 2014-07-07 | 정은진 | 위치조절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시스템 |
KR101341945B1 (ko) * | 2013-04-26 | 2013-12-16 | 대한민국 | 파일보강형 침하부상식 가두리 양식장치 |
KR20210135091A (ko) * | 2020-05-04 | 2021-11-12 | (사) 한국해양안전협회 | 해양레포츠 또는 생존체험수영 공간을 포함하는 부유식 수영장 |
KR102402140B1 (ko) * | 2020-05-04 | 2022-05-25 | (사) 한국해양안전협회 | 해양레포츠 또는 생존체험수영 공간을 포함하는 부유식 수영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2210A (ko) | 1998-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1277114B2 (en) | Fish farming system and method | |
ES2968020T3 (es) | Red para corral sumergible de peces marinos | |
KR102146159B1 (ko) |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 |
AU2001277114A1 (en) | Fish farming system and method | |
KR20080088200A (ko) |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 |
RU2765309C2 (ru) | Рыбная ферм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жесткого материала | |
KR101947319B1 (ko) |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 |
US5884585A (en) | Underwater high relief fence habitat | |
KR100308581B1 (ko) |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 |
JP2007135429A (ja) |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 |
KR102306835B1 (ko) |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 |
CN114521521B (zh) | 锚定浮式立体仿生鱼礁装置 | |
CN104351103A (zh) | 大型浅海围网养殖装置 | |
KR100423152B1 (ko) |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 |
KR100281366B1 (ko)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
KR102188713B1 (ko) |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가두리 구조 | |
CN117770184A (zh) | 一种深度可调的漂浮式网箱及其调节方法 | |
KR100281365B1 (ko) |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 |
KR102225015B1 (ko) | 가두리 양식장 | |
CN107155995B (zh) | 一种筒桩式浮鱼礁 | |
KR101947320B1 (ko) |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 |
JP2004305042A (ja) | ヒラメ・カレイ等の底層魚類の海底養殖方法とその給餌方法 | |
KR200195068Y1 (ko) | 패류양식장치 | |
KR100353083B1 (ko) | 부어초 | |
KR100441614B1 (ko) | 인공 부어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