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781B1 -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781B1
KR102603781B1 KR1020230078398A KR20230078398A KR102603781B1 KR 102603781 B1 KR102603781 B1 KR 102603781B1 KR 1020230078398 A KR1020230078398 A KR 1020230078398A KR 20230078398 A KR20230078398 A KR 20230078398A KR 102603781 B1 KR102603781 B1 KR 10260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module
top module
lower tray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권
제상우
이성웅
김민정
함은경
강은영
Original Assignee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filed Critical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007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빗물을 받아 저장하고 방근기능을 하는 하판 트레이의 상측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된 다수의 콘형 지지대가 형성된 상판 모듈을 체결한 후 상판 모듈 위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하판 트레이에 빗물 저류하였다가 건기 시 상판 지지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수분을 공급하게 구성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이 개시된다.After fastening the upper module with a number of cone-shaped supports with bottom irrigation hole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which catches and stores rainwater and functions as a rooting agent, vegetation is planted on the upper module, and rainwater is stored in the lower tray, and then the upper panel during the dry season.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configured to supply moisture to vegetation by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support part, thereby realizing artificial ground greening by reusing rainwater, and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

Description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nd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을 받아 저장하고 방근기능을 하는 하판 트레이의 상측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된 다수의 콘형 지지대가 형성된 상판 모듈을 체결한 후 상판 모듈 위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하판 트레이에 빗물 저류하였다가 건기 시 상판 지지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수분을 공급하게 구성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nd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with bottom irrig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tray that collects and stores rainwater and functions as a rooting function. After fastening the upper module, vegetation is planted on the upper module, rainwater is stored in the lower tray, and moisture is supplied to the vegetation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upper panel support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rainwater is reused. This is about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configured to implement artificial ground greening and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it.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은 녹지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태계 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화에 따른 미세한 기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continue to progress along with industrial development not only damage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reducing green space, but are also causing subtle weather changes due to urban heat islands.

또한, 녹지공간 대신 증가된 아스팔트 등의 불투수층은 강우가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홍수시 도시의 침수 피해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침투되지 못한 강우를 그대로 방류시킴으로써 비강우시에는 물부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In addition, impermeable layers such as asphalt, which are increased in place of green space, not only aggravate the city's flooding damage during floods by blocking rainfall from penetrating underground, but also cause water shortage problems during non-rainfalls by discharging rainwater that has not penetrated as is. there is.

이에 따라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는 법률과 조례를 개정하여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공공청사의 신ㆍ중ㆍ개축 때는 빗물이용시설을 설치ㆍ운영해야하며,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권고하거나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빗물이용시설 설치에 따른 요금감면 및 설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Accordingl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must revise laws and ordinances to install and operate rainwater use facilities when new, remodeling, or remodeling sports complexes, indoor gymnasiums, and public buildings, and recommend the installation of rainwater use facilities or present management standards. In addition, fee reductions and installation costs are supported for the installation of rainwater use facilities.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655호, 제10-1371394호 등에는 옥상에 빗물저류함을 설치하고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Nos. 10-1461655 and 10-1371394 disclose a system for installing rainwater storage on the rooftop and planting vegetation to create a green space.

그러나 종래의 옥상녹화 시스템는 빗물저류함에 저장된 빗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생식물에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설비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펌프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지 못해 옥상녹화 환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oftop greening system is structured to automatically supply rainwater stored in rainwater storage to vegetation using a pump, so not only is the structure complicated and the equipment costs a lot, but if the pump breaks down, the water is not only used on vege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ftop green environment is damaged due to the inability to supply .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655호(등록일: 2014년11월07일), 발명의 명칭: "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61655 (registration date: November 7, 2014), title of invention: “Flood protection type greening system”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394호(등록일: 2014년03월03일), 발명의 명칭: "빗물저류수단을 갖는 녹화 시스템"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71394 (registration date: March 3, 2014), title of invention: “Greening system with rainwater retention means”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358호(등록일: 2012년09월20일), 발명의 명칭: "녹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물"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86358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0, 2012), title of invention: “Greening panel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523호(등록일: 2015년03월11일), 발명의 명칭: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4)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03523 (registration date: March 11, 2015), title of invention: “Surface runoff rainwater collection system with floating green structure and rainwater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빗물을 받아 저장하고 방근기능을 하는 하판 트레이의 상측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된 다수의 콘형 지지대가 형성된 상판 모듈을 체결한 후 상판 모듈 위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하판 트레이에 빗물 저류하였다가 건기 시 상판 지지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수분을 공급하게 구성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fasten the upper panel module with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formed with bottom irrigation holes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which collects and stores rainwater and functions as a rooting agent. Vegetation plants are planted on top, rainwater is stored in the lower tray, and moisture is supplied to the vegetation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top support during the dry season, so that rainwater can be reused to achieve artificial ground greening. The goal is to provide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nd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it.

상술한 목적은,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하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되고, 빗물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와, 저면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상판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 지지대가 결합홈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하판 트레이에 상판 모듈을 씌워 결합하고, 상판 모듈 위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상기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된 물을 상기 관수 지지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공급하게 구성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purpose is to form a rainwater storage space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rainwater with a rainwater protection function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a lower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t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tra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 slits are formed through it to guid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and are receiv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n the bottom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filled with soil are protruding, and the supports are partially configured to include fastening support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n irrigation support with a bottom irriga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Constructed, the fastening suppor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to cover and couple the upper plate module to the lower plate tray, and vegetation is planted on the upper plate module to drain 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into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irrigation support. This is achieved by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which is configured to supply vegetation by osmotic pressure method, thereby enabling artificial ground greening by reusing rainwater.

또한, 상술한 목적은, 인공지반의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에 안착설치되되,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하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되고, 빗물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와, 저면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상판 모듈로 구성되는 저면관수 모듈과; 상기 상판 모듈 위에 포설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빗물투입슬릿을 통해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된 물이 건기시 상기 관수 지지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토양층에 식재된 식생식물에 공급하게 구성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을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to provide a waterproof sheet constructed on the bottom of artificial grou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form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that has a rainwater prevention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rainwater inside,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n the bottom surface. It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with a groove formed,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 slits are formed through it to guid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and are receiv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filled with soil are formed protruding, and the supports are formed in part with a fastening support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n irrigation support with a bottom irriga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A bottom irrigation module consisting of a top module; It is composed of a soil layer laid on the top module and planted with vegetation, and the 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through the rainwater input slit is transferred to the soil layer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irrigation support during the dry season. This is achieved by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tilizing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which is configured to supply planted vegetation and thus can realize artificial ground greening by reusing rainwater.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은 일정량 저류된 빗물이 토양을 통해 저면관수 되는 방식으로 재이용되어 토양 내 수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식생식물 생육에 지속적인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공지반(특히 건물의 옥상)에 자연 생태계의 기작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녹화 공간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관수 횟수와 관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시공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The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allow a certain amount of stored rainwater to be reused by bottom irrigation through the soil, enabling moisture control in the soil and continuously helping the growth of vegetation. Therefore, not only does it create a green space that function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a natural ecosystem on artificial ground (especially the rooftop of a building), but it can also be constructed in a simple way and the number and amount of irrigation are dramatically reduced, making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easier.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서 상판 모듈만 발췌해서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하판 트레이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상판 모듈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이 인공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을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only the top module in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cking of the lower tra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cking of the top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the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rtificial grou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은 하판 트레이(100) 및 상판 모듈(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tray 100 and an upper plate module 200.

먼저, 하판 트레이(100)는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First, the lower tra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top is open, form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110 that has a rainwater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rainwater.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부는 하판 트레이(100)의 바닥면 전후좌후 측 중앙부분에 십자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100. Here, the coupling groove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cross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lef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100.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측면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130)가 형성된다.And an edge portion 130 bent outwar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100.

따라서 후술하는 상판 모듈(200)이 상기 테두리부(130)에 안착되면서, 상판 모듈(200)에 형성된 지지대가 상기 결합홈부(120)에 체결 고정되면 상판모듈(200)이 흔들리지 않게 하판 트레이(1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plate modul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on the edge portion 130, and the support formed on the upper plate module 20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120, the lower plate module 100 is attached so that the upper plate module 200 does not shake. )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나아가 상기 하판 트레이(100)는 측면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전후좌우 중앙에 저면에 끼움홈부(141)가 형성되게 상측으로 끼움돌부(14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140)상에는 상기 결합홈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ower tray 100 is formed with a side surface inclined upwardly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tting protrusion 140 is formed upwardly so that a fitting groove 141 is formed on the bottom at the front, left, right, and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fitting protrusion 14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 트레이(200)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해, 하판 트레이(100)가 적층될 때 하판 트레이(100)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끼워져 적층되며, 상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100)의 끼움홈부(141)에 하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100)의 끼움돌부(140)가 끼워져 유동되지 않으면서 적층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lower tray 200, when the lower tray 100 is stacked, the side of the lower tray 100 is inclined so that it is easily inserted and stacked,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0 of the lower tray 100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41 of the lower tray 100 and is stacked without moving.

더불어 상기 하판 트레이(200)에는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리브홈(150)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200) 벽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200)의 저면에는 격자형으로 구획되는 배수홈(160)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100)의 하부 바닥에 흐르는 물이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하판 트레이(100) 바닥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 grooves 15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wall of the lower tray 200 to prevent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wall of the lower tray 200, and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200 has Drainage grooves 160 divided into grids are formed to allow water flowing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100 to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100. It is composed.

다음으로, 상판 모듈(200)은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판 모듈(200)에는 빗물저장공간(110)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21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 모듈(200)의 저면에는 상기 빗물저장공간(110)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220)가 돌출 형성된다.Next, the upper plate module 200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ray 1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 slits 210 are formed through the top module 200 to guid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And, on the bottom of the top module 200,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220 are protruding, accommodat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tray 100, and filled with soil.

여기서 상기 지지대(220)는 서로 직교되게 N*N 행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220)는 상판 모듈(200)의 크기에 따라 2*2,3*3,4*4,5*5... 등 서로 직교되게 N*N 행렬 형태로 동일간격으로 배치되어, 하판 트레이(100)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구성됨으로써 상판 모듈(200)의 상부에 토양이 포설될 때 상판 모듈(200)의 내하중과 내구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Here, the supports 220 are preferably formed in an N*N matrix form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supports 22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an N*N matrix orthogonal to each other, such as 2*2, 3*3, 4*4, 5*5...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op module 200, By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100, the load capacity and durability of the upper tray 200 can be increased when soil is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tray 200.

나아가 상기 지지대(220)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120)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221)와, 저면에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물을 공급하는 저면관수홀(222a)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222)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 지지대(221)는 상기 결합홈부(120)에 대응되게 상판 모듈(200)의 바닥면 전후좌후 측 중앙부분에 십자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수 지지대(222)는 상기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된 물을 상판 모듈(200)의 전부분에 걸쳐 흡수하도록 고르게 형성되되, 다수의 지지대(220)에 형성되는 저면관수홀(222a)의 갯수를 조절하여 관수 지지대(222)를 증감함으로써 빗물저장공간(110)에서 토양으로 흡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Furthermore, the support 220 includes a fastening support 221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0, and an irrigation support (222a) formed on the bottom to supply water to vegetation by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22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formed. Here, the fastening support 221 is preferably arranged in a cross shape at the center of the front, lef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top module 20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20, and the irrigation support 222 is used to collect the rainwater. It is evenly formed to absorb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over the entire top module 200, and the number of bottom irrigation holes 222a formed in the plurality of supports 220 is adjusted to control the irrigation supports 222. )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to the soil from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by increasing or decreasing.

더 나아가 상기 지지대(22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S)의 공극에 따라 상기 저면관수홀(222a)을 통해 흡수되는 수분의 흡수량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대(22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S)의 공극이 작아질수록 상기 저면관수홀(222a)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원활해지고, 지지대(22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의 공극이 커질수록 상기 저면관수홀(222a)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어려워져, 상기 저면관수홀(222a)을 통해 흡수되는 수분의 흡수량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2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according to the pores of the soil S filled inside the support 220. That is, as the pores of the soil (S) filled inside the support 220 become smaller, the absorption of moisture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becomes smoother, and as the pores of the soil filled inside the support 220 become larger, the absorption of moisture becomes smoother. It is difficult to absorb moisture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그리고 상기 빗물투입슬릿(210)은 상기 지지대(120)의 전후좌후에 이격되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판 모듈(200)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빗물투입슬릿(210)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서 빗물저장공간(110)으로 물이 저류될 수 있게 구성된다.And the rainwater inlet slit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120 at 90-degree intervals, so that water flows in through the rainwater inlet slit 210 from the entire top module 200, thereby storing rainwater. It is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be stored in the space 110.

한편 상기 상판 모듈(200)의 저면에는 상판 모듈(200)의 가장자리 및 지지대(120)의 사이로 격자리브살(231)이 형성되고, 상기 격자리브살(231)의 꼭지점 및 지지대(220)의 외면을 연결하는 빗살리브살(2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격자리브살(231) 및 빗살리브살(232)에 의해 상판 모듈(200)의 상부 녹화 공간의 하중을 지지하고 제품 제작 및 보관 시 상판 모듈(200)의 뒤틀림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판 모듈(200)이 하판 트레이(100)에 결합 시 상기 테두리부(130)와 상판 모듈(200) 사이에 하판모듈(100)의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된 빗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슬릿(233)이 형성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배수슬릿(233)으로는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된 빗물이 배출되어 빗물저장공간(110)에는 일정량의 빗물만이 저수되고 저수량 이상의 빗물은 배출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하부 바닥에 형성된 배수홈(160)을 통해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구성된다.Meanwhile, on the bottom of the top module 200, lattice ribs 231 are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top module 200 and the support 120, and the vertices of the lattice ribs 23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220 It is desirable that comb ribs 232 connecting the are formed. The grid rib ribs 231 and the comb rib ribs 232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green space of the top module 200 and prevent distortion and deformation of the top module 200 during product manufacturing and storage. In addition, when the upper plate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tray 100,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of the lower plate module 100 between the edge portion 130 and the upper plate module 200 overflows. It is configured so that a slit 233 can be formed. That i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slit 233, so that only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and rainwater exceeding the storage amount is discharged to the bottom tray 100. It is configured to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 through the drain groove 160 formed on the lower floor.

더불어, 상기 상판 모듈(200)의 가장자리에는 후측 및 우측에 콘형상의 연결소켓(241)이 형성되고, 전측 및 좌측에 상기 연결소켓(241)이 끼워지고 외측 상부에 평탄절개홈(242a)이 형성되는 콘형상의 연결부(2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녹화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 모듈(200)을 전후좌우 연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연결소켓(241)이 연결부(242)에 체결 및 고정되어 인접하는 상판 모듈(200)이 분리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평탄절개홈(242a)에 연결되는 상판 모듈(200)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면서 인접하는 상판 모듈(200)이 평탄하게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판 모듈(200)의 연결을 통해 연결된 상판 모듈(200)의 상면에 면밀한 기반층이 형성됨으로 일반적인 인공지반녹화 시공에서 배수층과 토양층의 온전한 분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부직포 깔기를 생략하는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cone-shaped connection sockets 241 are formed on the rear and right sides of the edge of the top module 200, the connection sockets 241 ar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left sides, and a flat cut groove 242a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e-shaped connection portion 242 is formed. That is, when installing the top module 200 by connecting it front, rear, left, and right to expand the green space, the connection socket 241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242, preventing the adjacent top module 200 from separating or moving. This is prevented, the edge of the top module 200 connected to the flat cut groove 242a is accommodated, and the adjacent top module 200 is connected evenly. In this way, a detailed base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ed top modules 200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top modules 200, so that non-woven fabric laying, which is essential for complete separation of the drainage layer and the soil layer in general artificial ground greening construction, is omitted. This becomes possible.

나아가, 상기 상판 모듈(200)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상판 모듈(200)이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한 상판 모듈(200)의 지지부(220)가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220)에 끼워져 유동되지 않으면서 적층가능하게 구성된다.Furthermore, in order to store and transport the top module 200, when the top module 200 is stacked, the support portion 220 of the top module 200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220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does not move. It is configured to be stackable.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모듈(200)의 정중앙 및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220)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결속방지돌기(220a)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측으로 보강돌기(220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돌기(220b)의 외측으로는 공기유입공(220c)이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에 적층되는 상판 모듈(200)의 지지부(220)의 저면이 상기 결속방지돌기(220a)에 걸림 지지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200)의 지지부(220)의 바닥면과 상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200)의 지지부(220)의 저면 사이에 상기 공기유입공(220c)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간(220d)이 형성되어, 상판 모듈(200)이 적층될 때 진공 결속되지 않고 이격되어 상판 모듈(200)의 시공 시 상판 모듈의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 모듈(200)이 하부 트레이(100)에 설치되었을 때, 보강돌기(220b)와 공기유입공(220c)을 통해 저면관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관수 지지대(222)의 저면관수홀(222a)이 하판 트레이(200) 바닥면에 밀착되어 수분 흡수가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보강돌기(220b)에서 지지대 옆면을 관통하여 홀 형태로 형성된 공기유입공(220c)을 통해 저면관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7, a pair of binding prevention protrusions 220a are form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220 formed at the exact center and corner of the top module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upward, and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protrusion (220b)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an air inlet hole (220c) is cut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220b). That is,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220 of the top module 200 stacked at the top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anti-binding protrusion 220a, and the bottom and top of the support portion 220 of the top module 200 located below. An air inlet space 220d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hole 220c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upport part 220 of the top module 200, so that when the top module 200 is stacked, it is not vacuum bound. They are spaced apart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top module 200 during construction. In addition, when the top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lower tray 100, bottom irrig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 220b and the air inlet hole 220c. That is, in case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of the irrigation support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200 and it is difficult to absorb moisture, air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through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220b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 Bottom irrig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inlet hole (220c).

한편, 상기 상판 모듈(200)에는 지지부(220) 내에 인공토양을 충진하여 양분 제공, 수질 정화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100)의 빗물저장공간(110)에는 상기 지지부(220) 내에 충진되는 인공토양 보다 입도가 큰 인공토양을 충진하여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되는 빗물을 정화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top module 200 is configured to provide nutrients, purify water quality, and control humidity by filling the support part 220 with artificial soil, and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of the lower tray 100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art ( 220) It is preferable to purify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by filling the artificial soil with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artificial soil filled within.

이때, 상기 인공토양은 바이오차(Biochar)를 이용한 토양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tificial soil may be soil using biochar.

이러한 인공토양은 잠재적 탄소 격리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 활용을 통한 건전한 생태계 육성 및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녹지 제공 및 빗물 침투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다기능성을 가지면서 무엇보다도 지중 탄소 격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바이오차 20중량%; 코코피트:버섯 폐배지:건이끼가 4:3:3의 중량비로 배합된 유기물 25중량%; 피트모스 20중량%; 바텀애쉬:질석:하이드로겔이 3:3:4의 중량비로 혼합된 무기물 25중량% 및 나머지 미생물 혼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artificial soils not only have a potential carbon sequestration effect, but also foster a healthy ecosystem and promote biodiversity through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nd have multi-functionality that provides various benefits such as providing green space and rainwater infiltration, and above all, sequestering underground carbon. 20% by weight of biochar to increase effectiveness; Coco peat: mushroom waste medium: 25% by weight of organic matter mixed with dried moss in a weight ratio of 4:3:3; Peat moss 20% by weight; Bottom ash: vermiculite: hydrogel may be composed of 25% by weight of inorganic material mixed in a weight ratio of 3:3:4 and the remaining microbial mixture.

이때, 바이오차는 식물 잔사 등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제조한 고형물로서 탄소함량이 높다.At this time, biochar is a solid product manufactured by thermally decomposing biomass such as plant residues under oxygen-free conditions and has a high carbon content.

이 경우, 활용되는 바이오매스로는 왕겨, 콩대, 배 전정가지, 옥수수대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차가 토양과 혼합되면서 토양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면 탄소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해 토양 속에 탄소를 격리할 수 있어 토양내 공기순환 촉진, 식물 뿌리의 생장 촉진, 미생물의 거주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biomass used can be rice husk, bean stalks, pear pruning branches, corn stalks, etc. When this biochar is mixed with the soil and forms part of the soil, it can semi-permanently store carbon and sequester carbon in the soil. It has been reported to promote air circulation in the soil, promote the growth of plant roots, and serve as a habitat for microorganisms.

이렇게 바이오차가 탄소를 격리 고정할 수 있는 이유는 바이오차에 포함된 탄소는 열분해를 거치면서 안정된 형태의 방향족 구조로 재배열되기 때문에 토양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 보고된 바 있다.Research has shown that the reason biochar can isolate and fix carbon is because the carbon contained in biochar is rearranged into a stable aromatic structure through thermal decomposition and is therefore not easily decomposed by soil microorganisms.

이러한 바이오차의 탄소 격리 고정능력은 크게 보면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고, 특히 토양 개량을 통한 작물수확량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In a broad sense, biochar's carbon sequestration and fixation ability can contribute to reducing greenhouse gases and, in particular, contributing to improving crop yields through soil improvement.

그리고, 상기 유기물을 구성하는 코코피트는 코코넛 허스크(coconut husk) 부위에서 섬유질인 코코넛 파이버를 추출한 다음에 생기는 코코넛 부산물을 물리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생산된 재료로서,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밀도가 낮고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으며 분해에 저항성이 있다.In addition, coco peat, which constitutes the organic matter, is a material produced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ing of coconut by-products produced after extracting coconut fiber, which is a fibrous material, from the coconut husk part. It has high water holding capacity and holding capacity, and has good breathability. It has low density, high cation substitution ability, and is resistant to decomposition.

때문에,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는 장점이 있으며, 흡수성이 크기 때문에 빗물에 의한 토양의 유실을 감소시키고 보수력에 의한 가뭄 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the soil has the advantage of lasting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because it has high absorbency,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soil loss due to rainwater and reducing drought damage due to water holding capacity.

아울러, 버섯 폐배지는 코르크화에 따른 수분 조절기능을 강화시키고, 토양 박테리아의 증진 및 식물 뿌리 분비물 증가에 도움을 주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버섯 폐배지는 암모니아태 질소, 질산태 질소, 유효 인산, 칼슘, 칼륨 등의 유무기 양분이 풍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와 결합시 수분 보유력이 급증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aste mushroom medium is added to strengthen the moisture control function due to corkation and to help promote soil bacteria and increase plant root secretions. In particular, the spent mushroom medium is rich in organic and inorganic nutrients such as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available phosphoric acid, calcium, and potassium, and has the advantage of rapidly increasing moisture retention when combined with a highly absorbent polymer.

또한, 건이끼는 수분을 조절하고 인공토양에 염기가 있는 경우 이를 고정하며, 토양의 EC(전기전도도) 조절을 위해 첨가된다.In addition, dry moss is added to regulate moisture, fix base if present in artificial soil, and adjust EC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il.

이때, EC의 수치로 알 수 있는 것은 주로 질소의 양이며, EC 수치는 질산태질소의 양과 관계가 깊다. 즉, 토양이 비옥할 수록 EC 수치가 높으며, 보통 채소가 잘 재배되는 EC의 수치는 대략 0.5~1.0정도이고, 0.5 이하는 비료부족, 2.0이 넘으면 비료의 농도가 진해 뿌리화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t this time, what can be known from the EC value is mainly the amount of nitrogen, and the EC value is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nitrate nitrogen. In other words, the more fertile the soil, the higher the EC value. Usually, the EC value at which vegetables are grown well is approximately 0.5 to 1.0. Below 0.5 is insufficient fertilizer, and when it exceeds 2.0, the concentration of fertilizer is too high and there is a risk of root burns. It is known that

덧붙여, 상기 유기물에는 유기물 100중량부에 대해, 풀빅산(Fulvic acid) 10중량부, 질석(Vermiculite) 10중량부, 시트릭산(citric acid) 15중량부, 초산전분(Acetylated Starch) 10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matter further contains 10 parts by weight of Fulvic acid, 10 parts by weight of Vermiculite, 15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10 parts by weight of Acetylated Starch for 100 parts by weight of organic matter. It can be added.

여기에서, 풀빅산은 토양에 사용시 방사능을 중화하고, 살충제를 중화하며, 제초제를 해독하는 등 토양내 독성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제거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Here, fulvic acid is known to have an excellent removal ability to decompose and remove toxic substances in the soil, such as neutralizing radioactivity, neutralizing pesticides, and detoxifying herbicides when used in soil.

또한, 질석(Vermiculite)은 토양의 입단화(粒團化)를 조장하여 통기성 및 보수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염기치환용량을 증가시켜 보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vermiculite not only improves breathability and water retention by promoting soil agglomeration, but also improves water retention capacity by increasing base exchange capacity.

그리고, 시트릭산은 지중 용존산소 증대를 유도하여 토양 개질 효능을 증대시킨다.Additionally, citric acid increases soil reforming efficiency by increasing dissolved oxygen in the ground.

아울러, 초산전분은 살균 및 토양의 지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첨가된다.In addition, starch acetate is added to sterilize and enhance soil strength.

한편, 상기 피트모스(Peatmoss)는 초탄 또는 이탄토라 하며, 한랭한 늪지대에서 이끼나 수초 등의 유체가 퇴적되어 분해(탄화)된 것을 말한다.Meanwhile, the peat moss is called peat soil or peat soil, and refers to the decomposition (carbonization) of fluids such as moss and water plants deposited in cold swampy areas.

이러한 피트모스는 세포구조가 크기 때문에 물 흡수력이 좋아 토양의 함수율을 조절할 수 있는데, 보통 마른 피트모스 무게의 15-20배까지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고, pH가 3.5-4.5로 산성이기 때문에 알카리성인 바이오차와 혼합되면서 이를 중성화시키기 때문에 인공토양의 개질능력이 우수하다.Because this type of peat moss has a large cell structure, it has a good water absorption capacity and can control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It is reported to have the ability to absorb up to 15-20 times the weight of dry peat moss, and its pH is acidic at 3.5-4.5. Because it is mixed with alkaline biochar and neutralizes it, it has excellent ability to improve artificial soil.

아울러, 상기 무기물은 바텀애쉬:질석:하이드로겔이 3:3: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형태로 첨가된다.In addition, the inorganic material is add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bottom ash: vermiculite: hydrogel in a weight ratio of 3:3:4.

여기에서, 바텀애쉬는 고온 고압 소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석발전 폐기물로서 토양의 공극확보를 통한 물빠짐 조절 기능이 탁월하고 토양 경량화를 위해 첨가된다.Here, bottom ash is a fossil power generation waste generated during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firing process. It has an excellent water drainage control function by securing pores in the soil and is added to lighten the soil.

또한, 질석은 흑운모가 풍화하여 수분을 함유한 광물로서 보온성과 통기성을 함께 갖춘 특징이 있어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환경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 혼합재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수분 유지력이 있어 토양내 보습력 유지, 양분의 보관창고 역할도 하게 된다.In addition, vermiculite is a moisture-containing mineral obtained by weathering biotite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heat retention and breathability, provid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to induce the growth of a microbial mixture. In addition, because it has the ability to retain moisture, it maintains moisture in the soil and serves as a storage warehouse for nutrients.

뿐만 아니라, 하이드로겔은 자체 중량의 수백에서 수천 배의 물을 빠르게 흡수함과 동시에 압력을 가해도 탈수하지 않는 강력한 보수력을 지닌 재료이다.In addition, hydrogel is a material with strong water retention capacity that quickly absorbs hundreds to thousands of times its own weight in water and does not dehydrate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본 발명에서는 질소고정균을 흡착한 유기질 하이드로겔로서 펄라이트 인공토양보다 평균 13% 이상의 식물생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토양수분함량을 장기적으로 지속되게 유지시키는 등 수분조절기능을 위해 첨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rganic hydrogel adsorbing nitrogen-fixing bacteria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average of 13% more plant growth than perlite artificial soil, so it is added for moisture control functions such as maintaining soil moisture conte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아울러, 미생물 혼합재는 수지상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이 접종된 지렁이 분변토를 사용하는데, 수지상균근균을 사용하는 이유는 토양내 탄소 포집(고정) 기능을 촉진하고 인과 질소 등의 무기양분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icrobial mixture uses earthworm feces inoculated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The reason for using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s to promote the carbon capture (fixation) function in the soil and to enhance the absorption of inorganic nutrients such as phosphorus and nitrogen. will be.

이때, 균근(mycorrhiza, 菌根)은 식물의 뿌리와 균류가 서로 탄수화물과 무기양분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는 상리공생을 의미하며, 수지상균근균은 식물의 피층 세포에서 '나뭇가지'와 같은 형태의 수지상체(arbuscule)를 형성하기 때문에 수지상균근이라고 한다.At this time, mycorrhiza (菌根) refers to a mutualistic symbiosis in which plant roots and fungi exchange carbohydrates and inorganic nutrients with each other,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re arbuscular bodies (tree branches) in the form of 'tree branches' in the cortical cells of plants. Because it forms arbuscules, it is called arbuscular mycorrhiza.

본 발명에서는 수지상균근균으로 글로메로균을 접종하여 사용하는데, 수지상균근균은 식물 뿌리에서 포자가 상리공생으로 퍼지는 것이므로 기주 식물없는 배지상에서 배양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glomerular fungi are inoculated and used as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ince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pread spores mutualistically from plant roots, it is known that it is impossible to cultivate them on a medium without host plan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트랩 배양을 통해 증식된 포자(글로메로균)를 추출한 다음 이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미생물 혼합재로 인공토양을 제조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pores (glomerular bacteria) grown through trap culture are extracted and then inoculated into earthworm feces to produce artificial soil using a microbial mixture.

이 경우, 지렁이 분변토 100g당 1500㎕를 접종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inoculate 1500㎕ per 100g of earthworm feces.

여기에서, 지렁이 분변토는 지렁이들이 유기물을 먹고 분해한 것으로 다양한 종의 미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이는 수지상균근균의 포자 활성화와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자연적인 배지 역할을 하게 된다.Here, earthworm fecal soil is made by earthworms eating and decomposing organic matter, and various species of microorganisms live there. This has the effect of promoting spore activation and growth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thereby serving as a natural medium.

특히, 수분과 비료를 보관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토양의 물리적 상태를 좋게 하며, 질소, 인, 칼륨 등 다양한 종류의 미량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작물의 균형 생장에 도움을 준다.In particular, it has an excellent ability to store moisture and fertilizers, improv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oil, and contains large amounts of various types of trace element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which helps in balanced growth of crops.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토양은 잠재적 탄소 격리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 활용을 통해 폐자원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천연 재료 활용을 통한 건전한 생태계 육성 및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녹지 제공 및 빗물 침투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다기능성을 가지면서 무엇보다도 지중 탄소 격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artificial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a potential carbon sequestration effect, but also maximizes the use of waste resources through biomass utilization, fosters a healthy ecosystem and promotes biodivers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natural materials, It has the versatility to provide various benefits such as providing green space and rainwater infiltration, and above all, it can increase the effect of underground carbon sequestration.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의 설치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Now,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설치하는 방법은 하판 트레이(100)를 인공지반(특히 건물의 옥상)에 필요한 갯수만큼 설치하고, 각각의 하판 트레이(100)의 결합홈부(120)에 상판 모듈(200)의 체결 지지대(221)를 끼움하고 각각의 하판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20)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판 모듈(200)을 씌운 후, 이웃되는 상판 모듈(200)의 연결부(242)와 연결소켓(241)을 체결하여 상판 모듈(200)이 흔들림 없이 지지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판 모듈(200)의 저면에 형성된 격자리브살(231) 및 빗살리브살(232)에 의해 상판 모듈(200)이 하판 트레이(100)에 결합 시 테두리부(120)와 상판 모듈(200) 사이에 하판모듈(100)의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된 빗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슬릿(23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8,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required number of lower trays 100 on artificial ground (particularly on the rooftop of a building), and attach them to the coupling groove 120 of each lower tray 100. After inserting the fastening support 221 of the upper plate module 200 and covering the upper plate module 200 so that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20 of each lower plate tray 100,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neighboring upper plate module 200 ( 242) and the connection socket 241 are connected to assemble the top module 200 so that it is supported without shaking. At this time, when the uppe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lower tray 100 by the grid ribs 231 and comb ribs 232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module 200, the edge portion 120 and the upper module 200 ) A drainage slit 233 through which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of the lower plate module 100 overflows is formed.

그러면, 비가 많이 오는 날에 상판 모듈(200)에 형성된 빗물투입슬릿(210)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어 하판 트레이(100)의 빗물저장공간(110)에 가득 채워지고 넘치게 되는 빗물은 상기 배수슬릿(233)을 통해 하판 트레이(100)의 외부로 흘러 하판 트레이(1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홈(160)을 통해 배출된다.Then, on days with heavy rain, rainwater flows in through the rainwater inlet slit 210 formed in the upper plate module 200, fills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of the lower plate tray 100, and the overflowing rainwater flows through the drainage slit ( It flows to the outside of the lower tray 100 through 233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groove 16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100.

이렇게 상판 모듈(200)을 설치하고 나면 상판 모듈(200) 상면에 토양(S) 포설하고 식생식물(P)을 식재하면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하게 된다.After installing the top module 200 in this way, soil (S)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module 200 and vegetation plants (P) are planted to realize artificial ground greening.

이때, 식생식물은 빗물저장공간(110)에 저류된 물을 관수 지지대(222)의 저면관수홀(222a)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공급받기 때문에 별도의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안정적이 성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정량 저류된 빗물을 재이용하고 빗물이 저면관수되어 토양 내 수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식생식물 생육에 지속적인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공지반(특히 건물의 옥상)에 녹화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시공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vegetation plants can grow stably even without separate water supply because they are supplied with 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222a of the irrigation support 222. I do it.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stored rainwater is reused and the rainwater is irrigated at the bottom to control moisture in the soil, thereby continuously helping the growth of vegetation. Not only does it achieve greening on artificial ground (especially the rooftops of buildings), but it also provides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을 활용하여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by utilizing the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은 인공지반의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시트(2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상면에 안착설치되되,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110)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120)가 형성되는 하판 트레이(100)와,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되고, 빗물저장공간(110)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210)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빗물저장공간(110)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10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220)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120)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221)와, 저면에 저면관수홀(222a)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222)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상판 모듈(20)로 구성되는 저면관수 모듈(10)과; 상기 상판 모듈(200) 위에 포설되어 식생식물(P)이 식재되는 토양층(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 9,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proof sheet 2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grou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20, and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form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110 that has a rainwater prevention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rainwater inside, A lower tray 100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100,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s injected to guide th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A slit 210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220,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10 and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100 and filled with soil, are protruding from the bottom. The support is a top module 20 that is formed in part with a fastening support 221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0 and a watering support 222 with a bottom watering hole 222a formed on the bottom. A bottom irrigation module (10) consisting of; It is installed on the top module 200 and includes a soil layer (S) in which vegetation (P) is planted.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은 일정량 저류된 빗물이 토양을 통해 저면관수 되는 방식으로 재이용되어 토양 내 수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식생식물 생육에 지속적인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공지반(특히 건물의 옥상)에 자연 생태계의 기작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녹화 공간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관수 횟수와 관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시공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constructed in this way allows for moisture control in the soil by reusing a certain amount of stored rainwater by irrigation of the bottom through the soil and continuously helps the growth of vegetation, so it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on artificial ground (especially on the roof of a building). Not only does it create a green space that function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an ecosystem,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to construct and dramatically reducing the number and amount of irrigation, making it easy to construct, maintain and manage.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grows up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easily.

100: 하판 트레이 110: 빗물저장공간
120: 결합홈부 130: 테두리부
140: 끼움돌부 150: 보강리브홈
160: 배수홈
200: 상판 모듈 210: 빗물투입슬릿
220: 지지대 221: 체결 지지대
222: 관수 지지대 222a: 저면관수홀
231: 격자리브살 233: 빗살리브살
100: Lower tray 110: Rainwater storage space
120: Coupling groove 130: Edge portion
140: Fitting protrusion 150: Reinforcement rib groove
160: Drainage groove
200: Top module 210: Rainwater input slit
220: support 221: fastening support
222: Irrigation support 222a: Bottom irrigation hole
231: lattice ribs 233: comb ribs

Claims (6)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하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되고, 빗물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와, 저면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상판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 지지대가 결합홈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하판 트레이에 상판 모듈을 씌워 결합하고, 상판 모듈 위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상기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된 물을 상기 관수 지지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식생에 공급하게 구성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상판 모듈은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가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에 끼워져 적층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판 모듈의 정중앙 및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결속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측으로 보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돌기의 외측으로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저면이 상기 결속방지돌기에 걸림 지지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바닥면과 상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저면 사이에 상기 공기유입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상판 모듈이 적층될 때 진공 결속되지 않고 이격되어 상판 모듈의 시공 시 상판 모듈의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는 측면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전후좌우 중앙에 저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게 상측으로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 상에는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의 끼움홈부에 하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의 끼움돌부가 끼워져 적층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판 트레이에는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리브홈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 벽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의 저면에는 격자형으로 구획되는 배수홈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의 하부 바닥에 흐르는 물이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하판 트레이 바닥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top is open, form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with a rainwater protection function and internally configured to collect and store rainwater. A lower tray with a plurality of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It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 slits are formed through it to guid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It is receiv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n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y, and is inside.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filled with soil are protruding, and the supports are partially composed of a fastening support tha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 top module configured to form an irrigation support with a bottom irriga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As the fastening suppor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upper plate module is covered and combined with the lower plate tray, and vegetation is planted on the upper plate module, and 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is passed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irrigation support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method of the soil. It is configured to supply vegetation, so that rainwater can be reused to achieve artificial ground greening,
When the top module is stacked,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top module can be stack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and corner of the top module, a pair of anti-bind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reinforc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and air inlet holes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s. As a resul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stacked on the top is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anti-binding protrusion, and air flows through the air inlet ho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below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above. An air inflow space is formed, so that when the top modules are stacked, they are spaced apart rather than vacuum bound, making it easy to separate the top modules during construction.
The lower tray has a side surface that slopes upwardly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upward to form a fitting groove on the bottom at the front, left, right, and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itting protrusion. Therefore, when the lower trays are stacked,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lower trays located on the lower side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lower trays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stacking is possible,
In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 groov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wall to prevent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lower tray wall,
Grid-shaped drain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to allow water flowing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to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 while preventing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Features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의 측면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서로 직교되게 N*N 행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의 공극에 따라 상기 저면관수홀을 통해 흡수되는 수분의 흡수량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빗물투입슬릿은 상기 지지대의 전후좌후에 이격되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판 모듈의 저면에는 상판 모듈의 가장자리 및 지지대의 사이로 격자리브살이 형성되고, 상기 격자리브살의 꼭지점 및 지지대의 외면을 연결하는 빗살리브살이 형성되어, 상판 모듈의 상부 녹화 공간의 하중을 지지하고 제품 제작 및 보관 시 상판 모듈의 뒤틀림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판 모듈이 하판 트레이에 결합 시 상기 테두리부와 상판 모듈 사이에 하판모듈의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rder portion bent outwar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The supports are formed in an N*N matrix form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according to the pores of the soil filled inside the support,
The rainwater inlet slits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at 90-degree intervals,
Grid rib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op module between the edge of the top module and the support, and comb ribs are formed connecting the vertices of the lattice rib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green space of the top module and the product. It is designed to prevent distortion and deformation of the top module during manufacturing and storage, and when the top module is coupled to the bottom tray, a drainage slit is formed between the edge and the top module through which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f the bottom module overflows.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모듈의 가장자리에는 후측 및 우측에 콘형상의 연결소켓이 형성되고, 전측 및 좌측에 상기 연결소켓이 끼워지고 외측 상부에 평탄절개홈이 형성되는 콘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 모듈을 전후좌우 연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연결소켓이 연결부에 체결 및 고정되어 인접하는 상판 모듈이 분리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평탄절개홈에 연결되는 상판 모듈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면서 인접하는 상판 모듈이 평탄하게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Cone-shaped connection sockets are formed on the rear and right sides of the edge of the top module, and cone-shaped connection part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left sides into which the connection sockets are inserted and a flat cu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When installing the top module by connecting it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connection socke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to prevent the adjacent top module from separating or moving, and the edge of the top module connected to the flat cut groove is accommodated to connect the adjacent top module.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modu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even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모듈에는 지지부 내에 인공토양을 충진하여 양분 제공, 수질 정화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판 트레이의 빗물저장공간에는 상기 지지부 내에 충진되는 인공토양 보다 입도가 큰 인공토양을 충진하여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되는 빗물을 정화하게 구성되되,
상기 인공토양은 바이오차 20중량%; 코코피트:버섯 폐배지:건이끼가 4:3:3의 중량비로 배합된 유기물 25중량%; 피트모스 20중량%; 바텀애쉬:질석:하이드로겔이 3:3:4의 중량비로 혼합된 무기물 25중량% 및 나머지 미생물 혼합재로 조성되고;
상기 미생물 혼합재는 지렁이 분변토 100g당 수지상균근균이 1500㎕ 접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op module is configured to fill the support portion with artificial soil to provide nutrients, purify water quality, and control humidity,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tray is filled with artificial soil with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artificial soil filled in the support portion to purify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The artificial soil contains 20% by weight of biochar; Coco peat: mushroom waste medium: 25% by weight of organic matter mixed with dried moss in a weight ratio of 4:3:3; Peat moss 20% by weight; Bottom ash: vermiculite: hydrogel is composed of 25% by weight of inorganic material mixed in a weight ratio of 3:3:4 and the remaining microbial mixture;
The microbial mixture is a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1500㎕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were inoculated per 100g of earthworm feces.
인공지반의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에 안착설치되되, 바닥면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방근 기능을 가지고 내부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게 구성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하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의 상면을 덮어 밀폐시키게 설치되고, 빗물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안내되도록 다수의 빗물투입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으로 수용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다수의 콘형상의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일부분에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체결 지지대와, 저면에 저면관수홀이 형성되는 관수 지지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상판 모듈로 구성되는 저면관수 모듈과;
상기 상판 모듈 위에 포설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빗물투입슬릿을 통해 빗물저장공간에 저류된 물이 건기시 상기 관수 지지대의 저면관수홀을 통해 토양의 삼투압 방식으로 토양층에 식재된 식생식물에 공급하게 구성됨으로 빗물을 재이용하여 인공지반 녹화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상판 모듈은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가 하측에 위치한 지지부에 끼워져 적층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판 모듈의 정중앙 및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결속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측으로 보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돌기의 외측으로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저면이 상기 결속방지돌기에 걸림 지지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바닥면과 상부에 위치한 상판 모듈의 지지부의 저면 사이에 상기 공기유입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상판 모듈이 적층될 때 진공 결속되지 않고 이격되어 상판 모듈의 시공 시 상판 모듈의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는 측면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전후좌우 중앙에 저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게 상측으로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 상에는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의 끼움홈부에 하측에 위치한 하판 트레이의 끼움돌부가 끼워져 적층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판 트레이에는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리브홈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 벽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의 저면에는 격자형으로 구획되는 배수홈이 형성되어 하판 트레이의 하부 바닥에 흐르는 물이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하판 트레이 바닥면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을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
A waterproof shee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grou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bottom and sides are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form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that has a rainwater prevention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rainwater inside,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n the bottom surface. It is installed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with a groove formed,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 slits are formed through it to guide rainwater to the rainwater storage space, and are receiv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cone-shaped support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filled with soil are formed protruding, and the supports are formed in part with a fastening support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n irrigation support with a bottom irriga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A bottom irrigation module consisting of a top module;
It is composed of a soil layer laid on the top module and planted with veget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through the rainwater input slit is supplied to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soil layer through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il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hole of the irrigation support during the dry season, so that rainwater can be reused to realize artificial ground greening. It is structured so that
When the top module is stacked,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top module can be stack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and corner of the top module, a pair of anti-bind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reinforc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and air inlet holes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s. As a resul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stacked on the top is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anti-binding protrusion, and air flows through the air inlet ho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below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top module located above. An air inflow space is formed, so that when the top modules are stacked, they are spaced apart rather than vacuum bound, making it easy to separate the top modules during construction.
The lower tray has a side surface that slopes upwardly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upward to form a fitting groove on the bottom at the front, left, right, and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itting protrusion. Therefore, when the lower trays are stacked,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lower trays located on the lower side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lower trays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stacking is possible,
In the lower tra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 groov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wall to prevent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lower tray wall,
Grid-shaped drain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to allow water flowing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to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 while preventing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A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ystem using a featured rainwater reuse type bottom irrigation module.
KR1020230078398A 2023-06-19 2023-06-19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KR102603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398A KR102603781B1 (en) 2023-06-19 2023-06-19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398A KR102603781B1 (en) 2023-06-19 2023-06-19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81B1 true KR102603781B1 (en) 2023-11-17

Family

ID=8896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398A KR102603781B1 (en) 2023-06-19 2023-06-19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8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94Y1 (en) * 2010-12-14 2011-08-16 박공영 Ultra-thin Vegetation Unit
KR101186358B1 (en) 2011-10-27 2012-09-26 홍채호 Green panel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71394B1 (en) 2013-03-26 2014-03-10 이문기 Greening system with rainwater storage means
KR101441369B1 (en) * 2014-06-18 2014-09-24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Module for afforestation of artificial ground
KR101461655B1 (en) 2014-05-26 2014-11-21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Gfreenization system for flood prevention
KR101503523B1 (en) 2014-06-16 2015-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green floating typ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94Y1 (en) * 2010-12-14 2011-08-16 박공영 Ultra-thin Vegetation Unit
KR101186358B1 (en) 2011-10-27 2012-09-26 홍채호 Green panel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71394B1 (en) 2013-03-26 2014-03-10 이문기 Greening system with rainwater storage means
KR101461655B1 (en) 2014-05-26 2014-11-21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Gfreenization system for flood prevention
KR101503523B1 (en) 2014-06-16 2015-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green floating type
KR101441369B1 (en) * 2014-06-18 2014-09-24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Module for afforestation of artificial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5776B (en) The method of solid carbon is realized by the herbal plantation of fast-growing, harvesting and landfill
KR100876007B1 (en) Mud-grass
KR101263091B1 (en) Coconut vegetation Mat
CN102301943A (en) Method for producing portable plant cane blanket
Graf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ecosystem restoration applied to industrial peatlands
CN106171793A (en) A kind of Salix variegata cottage method
Pérez et al. Green roofs classifications, plant species, substrates
JP4096121B2 (en) Seedling piece for greening
CN205357219U (en) Take water storage function's ecological turf of non -maintaining building
JP2004041196A (en) Greening device
KR102603781B1 (en) Bottom watering module for rainwater recycling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JP4511200B2 (en) Greening method and multilayer greening mat for prevention of heat island phenomenon
FI10506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ting organic matter and utilizing nutrients in plant cultivation
JP2000262150A (en) Container for greening
CN209861515U (en) Ecological remediation system of rare earth ore waste land
CN204662798U (en) Modularization roof greening body
KR100580927B1 (en) Method manufacturing vegetation mat using of porous film
JP2002084872A (en) Structure for growing plant for roof and rooftop
KR100624746B1 (en) Housetop tree planting system
CN114128556A (en) Growth be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lope repairing method
CN113692855A (en) Straw returning method
KR102557918B1 (en) Non-recovery vegetation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JP2012110249A (en) Gree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CN211241196U (en) Cactus landscape flower bed
KR100625866B1 (en) Mat for vegetation base and, method for growing vegetation using the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