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278B1 -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278B1
KR102599278B1 KR1020230114273A KR20230114273A KR102599278B1 KR 102599278 B1 KR102599278 B1 KR 102599278B1 KR 1020230114273 A KR1020230114273 A KR 1020230114273A KR 20230114273 A KR20230114273 A KR 20230114273A KR 102599278 B1 KR102599278 B1 KR 10259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manned watercraft
link
assembly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유재관
이원희
민재홍
최원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계류 장치는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무인 수상정의 고정부와 체결되는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 및 무인 수상정 조립체에 연결되며, 무인 수상정을 계류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당기는 윈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AUTOMATIC MOORING EQUIPMENT FOR UNMANNED SURFACE VEHICLE}
본 발명은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잠전, 기뢰 대함전, 감시, 정찰, 해양 정보 조사, 정보 작전 등 다양한 군사 작전에 무인 수상정이 활용될 수 있으며, 해양 조사, 해양 정찰 감시, 해양 사고 대응 및 다양한 작업 분야를 수행하기 위해 무인 수상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인 수상정은 일반 선박과 마찬가지로 폰툰이나, 부잔교에 줄을 통해 해상계류를 하고 있다. 무인 수상정은 자동 접안 기능이 있어 접안까지는 가능하지만 계류 및 정박을 위해 반드시 인력을 통해 볼라드, 클리트, 비트 등 구조물에 고정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무인 수상정을 장시간 해상 계류를 하게 되면, 선저 바닥이나 추진기에 따개비 등 수중 미생물이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수중 미생물은 무인 수상정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마찰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인 수상정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추진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중 미생물을 헤라고 직접 긁어내거나,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508204호
본 발명은 별도의 인력없이 무인수상정을 자동적으로 계류할 수 있는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계류 장치는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무인 수상정의 고정부와 체결되는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 및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시키기 위해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당기는 윈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인 수상정의 선저 바닥과 접촉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상기 무인 수상정의 선저 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제2 면의 일측에 한 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진입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가 진출하는 진출 방향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을 진수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진입 방향 또는 상기 진출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링크 조립체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 구조체와 연결되는 몸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드라이브 링크; 상기 드라이브 링크와 회전축을 통해 조립되어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 가이드를 제공하는 커플러 링크; 및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링크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링크는 상기 고정부의 진입에 따라 상기 진입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의 진출에 따라 상기 진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링크는 상기 드라이브 링크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 보다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바깥쪽에서 상기 드라이브 링크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고정부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라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링크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브 링크가 상기 진입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여 체결되는 경우,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가 진출하는 경우,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브 링크가 상기 진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고정핀은 상기 고정부가 진입 완료하면 상승되고, 상기 고정부가 진출 시작하면 하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링크 고정핀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실린더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 완료하면 상기 링크 고정핀을 상승시키고, 상기 고정부가 진출 시작하면 상기 링크 고정핀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상기 몸체 프레임을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 및 상기 진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 회전체가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회전체는 한 쌍의 레일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계류 장치는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에 고정된 상기 무인 수상정의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력의 개입없이 윈치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게 무인 수상정을 이동시켜 계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소에는 무인 수상정을 물 밖으로 이동시켜 놓을 수 있으므로 선저 바닥이나 추진기에 따개비 등의 수중 미생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무인 수상정의 성능을 유지시키고 신속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따개비 등의 수중 미생물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제거할 수 있어, 무인 수장성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에 계류된 무인 수상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프레임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에 계류된 무인 수상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100)는 항구, 함정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10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인 수상정의 계류 및 정박이 필요한 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100)는 베이스(110), 레일(120),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 및 윈치 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100)는 롤러(150) 및 안전 난간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무인 수상정(UV)을 계류 및 정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10)는 무인 수상정(UV)의 선저 바닥과 접촉하는 면(이하, "제1 면"이라 함)(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면(111)은 무인 수상정(UV)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UV)의 선저 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0)은 베이스(110)의 상면(이하, "제2 면"이라 함)(112)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120)은 베이스(110)의 제2 면(11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120)은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가 이동되도록 베이스(110)의 제2 면(112)의 일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120)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와 무인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가 진입하는 방향(이하, "진입 방향"이라 함) 또는 진출하는 방향(이하, "진출 방향"이라 함)으로 레일(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UV)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와 체결되고, 무인 수상정(UV)와 고정부(UV)와 체결된 상태에서 레일(120)을 따라 진입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을 진수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UV)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무인 수상정(UV)을 진수시키기 위해, 고정부 (UVP)와 체결된 상태에서 진출 방향으로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고, 무인 수상정(UV)이 진수된 상태에서 고정부(UVP)와의 체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윈치 조립체(140)는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에 연결될 수 있다. 윈치 조립체(140)는 무인 수상정(UV)을 계류 및 정박(즉, 해수면 밖으로 이탈)시키기 위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를 진입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윈치 조립체(140)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가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에 도킹(즉, 체결) 완료되면, 무인 수상정(UV)이 해수면 밖으로 이탈되도록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을 당길 수 있다.
롤러(150)는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에 의해 고정된 무인 수상정(UV)의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150)는 베이스(110)의 제1 면(111)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안전 난간대(160)는 베이스(110)의 재2 면(11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난간대(160)는 인력의 안전을 위해 베이스(110)의 제2 면(112)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이용하여 무인 수상정의 고정부를 체결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이용하여 무인 수상정의 고정부를 체결 해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의 전동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링크 조립체(310) 및 몸체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조립체(310)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310)는 고정부(UVP)의 진입 방향 또는 진출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UVP)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310)는 드라이브 링크(311), 커플러 링크(312) 및 링크 고정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조립체(310)는 전동 실린더(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브 링크(311)는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라이브 링크(311)는 진입 방향 또는 진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플러 링크(312)는 드라이브 링크(311)와 회전축을 통해 조립되어 드라이브 링크(312)의 회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러 링크(312)는 제1 회전축(312_1) 및 제2 회전축(312_2)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전축(312_1)은 드라이브 링크(311)를 관통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312_2)은 제1 회전축(312_1) 보다 드라이브 링크(311)의 바깥쪽에서 드라이브 링크(311)를 관통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전축(312_1) 또는 제2 회전축(312_2)은 고정부(UVP)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라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 링크(3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입하는 경우, 제1 회전축(312_1)을 기준으로 드라이브 링크(311)가 진입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회전축(122)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 링크(3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입하여 체결되는 경우, 드라이브 링크(3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1 회전축(312_1) 및 제2 회전축(312_2)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 링크(31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출하는 경우, 제2 회전축(312_2)을 기준으로 드라이브 링크(311)가 진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축(312_2)이 고정될 수 있다.
링크 고정핀(313)은 드라이브 링크(3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고정부(UVP)가 진입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 고정핀(31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입 완료하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링크(311)는 돌출된 링크 고정핀(313)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수상정(UV)은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 고정핀(313)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출 시작하면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링크(311)는 하강된 링크 고정핀(313)에 의해 진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수상정(UV)은 고정 해제되어 진수될 수 있다.
진동 실린더(314)는 링크 고정핀(313)과 연동될 수 있다. 전동 실린더(314)는 고정부(UVP)의 진입 또는 진출 시에 링크 고정핀(313)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실린더(314)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실린더(314)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실린더(314)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UVP)가 진입 완료하면 링크 고정핀(313)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실린더(314)는 고정부(UVP)가 진출 시작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고정핀(313)을 하강시킬 수 있다.
몸체 프레임(320)은 링크 구조체(31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 프레임(320)의 일단은 레일(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 프레임(320)은 윈치 구조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계류 장치(100)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동 실린더(3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무인 수상정(UV)의 진입 또는 진출 시에 링크 고정핀(313)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수행하기 위해 전동 실린더(3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윈치 조립체(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무인 수상정(UV)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에 고정되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를 당기도록 윈치 조립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수상정(UV)이 베이스(110)에 진입함에 따라 고정부(UVP)가 드라이브(311)를 밀치면서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링크(311)는 커플러 링크(312)의 제1 회전축(312_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 링크(312)의 제2 회전축(312_2)은 드라이브 링크(1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무인 수상정(UV)이 베이스(110)로 진입하여 고정부(UPV)가 링크 조립체(310)에 체결되면, 드라이브 링크(311)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때, 링크 고정핀(313)은 전동 실린더(314)에 의해 상승되어 드라이브 링크(311)가 진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312_1) 및 제2 회전축(312_2)은 드라이브 링크(31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라이브 링크(311)는 무인 수상정(UV)이 후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인 수상정(UV)의 고정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전동 실린더(314)는 고정부(UVP)가 진출 시작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고정핀(313)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라이브 링크(311)는 진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무인 수상정(UV)이 후진함에 따라 고정부(UVP)가 드라이브 링크(311)를 밀치면서 지나가는 경우, 드라이브 링크(311)는 커플러 링크(312)의 제2 회전축(312_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축(312_1)은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링크(311)가 제2 회전축(312_2)을 기준으로 회전 시 커플러 링크(312)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무인 수상정(UV)이 자동 계류 장치(100) 측으로 이동하여 무인 수상정(UV)의 고정부(UVP)가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에 체결 완료되면,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130)는 윈치 조립체(140)에 의해 레일(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수상정(UV)은 해수면 밖으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프레임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몸체 프레임(320)는 몸체 프레임(320)을 지지하는 지지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510)는 몸체 프레임(320)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510)의 일단에는 레일(120)을 따라 무인 수상정(UV)의 진입 방향 및 진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 회전체(52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회전체(520)는 복수의 레일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 회전체(52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 롤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110: 베이스, 120: 레일, 130: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 140: 윈치 조립체, 150: 롤러, 160: 안전 난간대, 310: 링크 조립체, 311: 드라이브 링크, 312: 커플러 링크, 312_1: 제1 회전축, 312_2: 제2 회전축, 313: 링크 고정핀, 314: 전동 실린더, 320: 몸체 프레임, 510: 지지부, 520: 레일 회전체, 521: 레일 롤러, UV: 무인 수상정, UVP: 고정부

Claims (19)

  1.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로서,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무인 수상정의 고정부와 체결되는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 및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시키기 위해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를 당기는 윈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진입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가 진출하는 진출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링크 조립체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 조립체와 연결되는 몸체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은 상기 몸체 프레임을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 및 상기 진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 회전체가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회전체는 한 쌍의 레일 롤러를 포함하는 자동 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인 수상정의 선저 바닥과 접촉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상기 무인 수상정의 선저 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 계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제2 면의 일측에 한 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자동 계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상기 진입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가 진출하는 상기 진출 방향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자동 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을 계류 및 정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자동 계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을 진수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진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자동 계류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드라이브 링크;
    상기 드라이브 링크와 회전축을 통해 조립되어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 가이드를 제공하는 커플러 링크; 및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링크 고정핀
    을 포함하는 자동 계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링크는 상기 고정부의 진입에 따라 상기 진입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의 진출에 따라 상기 진출 방향으로 회전되는 자동 계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링크는
    상기 드라이브 링크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 보다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바깥쪽에서 상기 드라이브 링크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제2 회전축
    을 포함하는 자동 계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고정부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라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자동 계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링크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브 링크가 상기 진입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가 진입하여 체결되는 경우,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가 진출하는 경우,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브 링크가 상기 진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이 고정되는 자동 계류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고정핀은 상기 고정부가 진입 완료하면 상승되고, 상기 고정부가 진출 시작하면 하강되는 자동 계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링크 고정핀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전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자동 계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실린더는 상기 고정부가 진입 완료하면 상기 링크 고정핀을 상승시키고, 상기 고정부가 진출 시작하면 상기 링크 고정핀을 하강시키는 자동 계류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수상정 고정 조립체에 고정된 상기 무인 수상정의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
    를 더 포함하는 자동 계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자동 계류 장치.
KR1020230114273A 2023-08-30 2023-08-30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KR10259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273A KR102599278B1 (ko) 2023-08-30 2023-08-30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273A KR102599278B1 (ko) 2023-08-30 2023-08-30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278B1 true KR102599278B1 (ko) 2023-11-07

Family

ID=8874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273A KR102599278B1 (ko) 2023-08-30 2023-08-30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687A (en) * 1998-01-21 1999-12-28 Marine Floats, Inc. Modular floating boat lift
US20120227656A1 (en) * 2011-03-07 2012-09-13 Mactaggart, Scott (Holdings) Limited Marine craft depolyment and recovery
KR102508204B1 (ko)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687A (en) * 1998-01-21 1999-12-28 Marine Floats, Inc. Modular floating boat lift
US20120227656A1 (en) * 2011-03-07 2012-09-13 Mactaggart, Scott (Holdings) Limited Marine craft depolyment and recovery
KR102508204B1 (ko)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a marine vessel
US7350475B2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EP2397400A2 (en) Floatover arrangement and method
US20040102107A1 (en) Wave powered propulsion systems for submarines and quasi-dipped watercrafts
KR102599278B1 (ko) 무인 수상정용 자동 계류 장치
KR20220050793A (ko) 보트 진수 및 복구 플랫폼 및 진수 및 복구의 관련된 방법
US4697533A (en) Device for hoisting boats on board ships
KR102533392B1 (ko) 충돌방지부를 구비한 수중무인 탐사기 진회수장치
EP00205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102466590B1 (ko) 톱니형 부두
US11066132B2 (en) Boat transfer system
US20230303221A1 (en) Launch and recovery of underwater units or vehicles
US10112689B2 (en) Watercraft positioning system
US20050164571A1 (en) Submersible manoeuvring device
RU2581804C1 (ru) Катер буксирно-моторный и способ буксировки плавучих средств при помощи катера буксирно-моторного (варианты)
US10364008B2 (en) Watercraft immobilizing apparatus and system
Pitchersky et al. Handling Problems at the Ocean-Air Interface
KR20240012110A (ko) 무인잠수정 진수 및 회수 장치와, 그것의 통제 장치, 무인잠수정 진수 방법 및 회수 방법
KR20220154625A (ko) 선박
KR20220154626A (ko) 대형 선박
SU895803A1 (ru) Кранц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SU354061A1 (ru) Причально-навод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SU311812A1 (ko)
Munier Installation of an Ocean Haul Down Facility
Ju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stern-boat deployment system for Coast Guard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