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096B1 -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096B1
KR102599096B1 KR1020230068559A KR20230068559A KR102599096B1 KR 102599096 B1 KR102599096 B1 KR 102599096B1 KR 1020230068559 A KR1020230068559 A KR 1020230068559A KR 20230068559 A KR20230068559 A KR 20230068559A KR 102599096 B1 KR102599096 B1 KR 10259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rtical bars
cutting
vertic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최기철
김진
김영호
남근영
Original Assignee
김성주
최기철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최기철,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102023006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385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using a gear and rack mechanism or a friction wheel co-operating with a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05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내용물에 따라 가변되는 커팅 부하로 인해 커팅 블레이드의 절단 방향이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자의 도움없이도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벽체의 절단 작업을 굴삭기의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작업 상황을 원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벽체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제1,2수직대에 마련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벽체의 절단 작업 중에 커팅 블레이드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SMART CUTTING MACHINE FOR WALLS}
본 발명은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절단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내용물에 따라 가변되는 커팅 부하로 인해 커팅 블레이드의 절단 방향이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자의 도움없이도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벽체의 절단 작업을 굴삭기의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작업 상황을 원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벽체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제1,2수직대에 마련된 거센서를 이용하여 벽체의 절단 작업 중에 커팅 블레이드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 커팅기(월쏘(wall saw))는 고정되도록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고정된 혹은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면서 커팅날(혹은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벽면을 커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커팅날이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등을 커팅하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레일이 강도 높게 고정되도록 설치해야만 한다.
종래의 월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면서 커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만약 다른 경로로 이동하면서 커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기존의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걷어내고 다른 경로에 다시 가이드 레일을 고정되도록 설치해야 하므로 커팅 작업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이 콘크리트 벽을 지면의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커팅날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팅 작업을 수행하다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팅이 필요한 경우에는 설치된 수평 방향의 가이드 레일을 해체하고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다시 설치해서 고정해야 하는 등 커팅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만 커팅 작업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가이드 레일의 길이를 무한히 길게 할 수는 없으므로 가이드 레일을 다시 옮겨서 고정 설치해야 계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커팅 작업을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커팅 작업 이외에 불필요한 작업과 시간 소모로 작업 오버헤드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벽체 절단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96000호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등록일자 : 2023.01.3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천공된 2개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절단용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와이어쏘장치; 상기 구조물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절단용 와이어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롤러 지그; 상기 구조물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절단 부위를 덮어서 밀폐하는 커버부재; 상기 절단 부위에 압축 공기를 상기 커버부재 방향으로 분사하는 에어건;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서 집진호스로 연결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한다.
기존 벽체 절단과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727호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등록일자 : 2022.01.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양쪽에 위치하는 제 1앞 바퀴 및 제 2 앞바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뒷바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부근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커팅 프레임; 상기 커팅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커팅날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 모터; 및 상기 커팅 프레임의 타측 부근에 커팅축이 위치하고, 상기 커팅축의 일 측에 끼워져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조물을 커팅하는 커팅날을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벽체 절단기는 단순히 벽체 절단을 위한 커팅기를 벽체에 근접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으나, 벽체 전달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절단시 직선 방향으로 반듯하게 절단해야 하지만 벽체 내에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철근 등의 구조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내용물(철근 등)에 따라 커팅 부하가 달라지기 때문에, 벽체를 직선 형태로 절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작업 숙련자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작업 숙련자는 건설 분야 신규인력 충원이 부족한 현실로 인해 인력 보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난이도로 인해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96000호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등록일자 : 2023.01.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727호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등록일자 : 2022.01.1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절단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내용물에 따라 가변되는 커팅 부하로 인해 커팅 블레이드의 절단 방향이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자의 도움없이도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벽체의 절단 작업을 굴삭기의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작업 상황을 원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벽체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제1,2수직대에 마련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벽체의 절단 작업 중에 커팅 블레이드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와; 상기 제1,2수직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와; 상기 제1,2수직대 중 적어도 하나에 승강수단으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벽체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를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와; 상기 제1,2수직대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벽체에 고정된 앵커를 지지하는 앵커파지부; 및 상기 승강수단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2수직대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기어부와, 상기 제1,2기어부 중 어느 하나와 연동기어를 통해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동기어와 모터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관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2기어부 중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연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레일, 및 상기 구동모터와 커팅기 본체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절실린더는 상기 제1수직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대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조절실린더는 상기 제2수직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대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부가 제1,2수직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수직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파지부는 상기 앵커의 좌,우측을 파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파지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기 본체는 상부에 벽체의 절단작업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지그 본체에 배치된 제어부를 통해 캐빈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하는 영상촬영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2수직대는 상기 제1,2수직대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2수직대의 높이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레벨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그 본체는 상기 지그 본체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지그 본체의 수평과 수직상태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팅기 본체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블레이드 커버와,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벽체를 절단하는 커팅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커버는 벽체의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쇄석에 의한 충격이 영상촬영부의 카메라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투명창이 구비된다.
상기 지그 본체는 벽체에 마주보는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벽체에 접촉되도록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는 패드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굴삭기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와; 상기 제1,2수직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및 상기 제1,2수직대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벽체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의 천정 구조물을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2수직대의 상단부에 착탈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절곡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착탈부재의 절곡된 단부에 형성되고 커팅기 본체의 구동모터의 전,후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천정 구조물에 밀착되는 받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기 본체는 연결축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는 벽체의 천정 구조물과 밀착되는 부위에 개재되는 패킹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은 모터축에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레일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절단을 위한 절단 커팅기의 수직방향 높낮이 조절을 승강부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조절하고, 절단작업시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커팅기 본체를 제1,2수직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커팅기 본체의 수직방향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의 폭 간 거리를 확장 또는 수축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절단과정에서 형성되는 창문이나 문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팅기 본체의 블레이드 커버에 마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벽체에 대한 커팅 블레이드의 절단작업상태를 원격의 굴삭기 운전자가 계기판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의 폭 간 거리 간격을 계측할 수 있으므로, 제1,2수직대의 폭 간 거리 변화를 원격에 위치한 굴삭기의 운전자가 캐빈 내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1,2수직대의 폭 간 거리의 변화 발생을 신속하게 확인한 후에 제1,2수직대 간의 거리를 피드백 수정하여 벽체의 수직방향 절단 작업시 커팅기 본체의 틀어짐없이 벽체를 직선 형태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2수직대에 각각 마련된 레벨센서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의 높이를 계측하고 제1,2수직대를 동일한 높이에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벽체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팅기 본체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커팅기 본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계측함으로써, 커팅기 본체의 절단과정에서 틀어짐없이 직선형태로 벽체를 절단할 수 있게 되어 벽체 절단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제1,2수직대가 승강부에 의해 하강동작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2수직대가 수평방향으로 벽체를 절단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승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2조절실린더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수직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지그 본체와 굴삭기의 암대 연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에 의해 벽체가 절단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310,320)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100)와; 상기 지그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210,22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40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 중 적어도 하나에 승강수단(600)으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벽체(50)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50)를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50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벽체(50)에 고정된 앵커(30)를 지지하는 앵커파지부(900); 및 상기 승강수단(600)에 구비된 구동모터(610)와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무인 이동체는 캐터필러(caterpillar) 또는 바퀴를 매개로 콘크리트 벽체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까지 이동 가능한 굴착기, 불도저 등의 건설용 중장비를 지칭하며, 운전자의 유무에 따라 유인 또는 무인 이동체로 구분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 본체(100)는 굴삭기(10)의 암대(15)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인 제1,2조절실린더(310,32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150)는 상기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퀵 커플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커플링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핀(152)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조절실린더(310)는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대(21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수직대(2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조절실린더(320)는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대(22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수직대(2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수직대(210,220)는 상기 지그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도록 지지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기어부(215,225)와, 상기 제1,2기어부(215,225) 중 어느 하나와 연동기어(625)를 통해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동기어(617)와 모터축(615)을 갖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이 관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2기어부(215,225) 중 하나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연동기어(62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레일(620), 및 상기 구동모터(610)와 커팅기 본체(500)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연결축(630)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은 단부에 구동기어(617)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617)는 상기 제1,2기어부(215,225)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연동기어(625)를 매개로 기어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연결레일(620)은 상기 연동기어(6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2기어부(215,225)가 형성된 제1,2수직대(210,220)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구동모터(610)의 상,하 승강동작시 좌,우 방향 흔들림을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수직대(210,220)는 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승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동작되고,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를 계측하고 계측된 정보를 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거리센서(7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제1,2수직대(210,22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제1,2수직대(210,220) 간의 폭 거리를 계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일 예로 레이저센서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제1,2기어부(215,225)는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기어부(215,225)는 상기 커팅기 본체(5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에 형성된 구동기어(617)와 연동기어(625)를 매개로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상기 구동모터(61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블레이드 커버(510)와, 상기 블레이드 커버(510)에 의해 지지되고 벽체(50)를 절단하는 커팅 블레이드(520)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커버(510)는 상기 커팅 블레이드(520)에 의해 수행되는 벽체(50)의 절단 작업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의 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에게 전송하는 영상촬영부(550)가 배치된다.
상기 영상촬영부(5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커버(5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벽체(50)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쇄석에 의한 충격이 영상촬영부(550)의 카메라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투명창(54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400)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부가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호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인 승강실린더(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수직대(210,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레벨센서(7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레벨센서(7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레벨센서(720)는 승강동작되는 제1,2수직대(210,220)의 수직방향 높이를 각각 계측하고 계측된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정보를 외부(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측)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지그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 본체(100)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지그 본체(100)의 수평과 수직 상태 정보를 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73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센서(7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 본체(100)에 상,하로 배치되어 지그 본체(100)의 수평 및 수직 상태 정보를 계측하고 각각 계측된 지그 본체(100)의 수평 및 수직 상태 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본체(100)에 마련되며,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의 캐빈(20)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25)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받기 위한 송수신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60)는 거리센서(710), 레벨센서(720), 및 감지센서(730)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캐빈(20) 내에 마련된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25)를 통해 캐빈(20) 내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굴삭기 운전자에게 초기 절단 정보를 근거로 구동장치의 높이 또는 기울기 등의 올바르게 조정하는 수치를 연산하고, 각 구동장치(구동모터, 유압실린더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캐빈(20) 내의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는 초기 절단 정보에 대한 수치를 입력하거나, 영상촬영부(550)로부터 촬영된 절단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본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50)에 마주보는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벽체(50)에 접촉되도록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는 패드부재(8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패드부재(8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드를 채용하여 벽체(50)에 진공 흡착력으로 접착되며, 지그 본체(100)를 벽체(5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수직대(210,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벽체(50)에 고정된 앵커(30)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파지부(900)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앵커파지부(900)는 벽체(50)에 고정피스로 고정된 앵커(30)를 파지하도록 제1,2수직대(210,22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앵커파지부(900)는 상기 앵커(30)의 좌,우측을 파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파지홈(9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앵커파지부(9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50)에 고정된 앵커(30)에 결합됨에 따라, 제1,2수직대(210,2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방향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수직방향 높낮이를 상측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수직방향 높낮이를 하측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0)는 유압실린더인 승강실린더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를 각각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커팅기 본체(500)의 벽체(50) 절단 위치를 조절하여 벽체(50)에 문이나 창문의 구멍(55)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승강부(400)를 이용한 제1,2수직대(210,22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벽체(50)의 절단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0)를 이용한 제1,2수직대(210,220)의 하강동작시 벽체(50)의 창문이나 문의 하부가 건물 실내 바닥면과 근접된 위치까지 벽체(50)의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6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610)는 제1,2수직대(210,220)의 전면에 형성된 제1,2기어부(215,225) 중 적어도 하나에 연동기어(625)를 매개로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610)의 구동시 모터축(615)의 기어 회전력이 구동기어(617)를 통해 연동기어(625)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부(215) 또는 제2기어부(225)와 치합된 연동기어(625)가 회전 동작되면서 발생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연결레일(620)과 연동된 구동모터(610) 및 상기 커팅기 본체(500)가 상기 제2기어부(225)를 따라 상,하로 승강동작된다.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직대(220)의 제2기어부(225)에 승강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1수직대(210)의 제1기어부(215)에도 같이 설치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벽체(50)의 창문이나 문 절단작업시 창문이나 문의 좌,우측면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절단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벽체(50)에 형성되는 문이나 창문을 형성하는 구멍(55)의 폭은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폭 거리가 조절되는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50)의 창문이나 문의 상,하측면에 해당하는 수평방향 절단작업시에는 굴삭기(10)의 암대(15) 또는 이동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150)를 로테이팅 회전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수직대(210,220)를 상,하로 서로 이격된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제1,2수직대(210,220)의 제1,2기어부(215,225)를 따라 상기 커팅기 본체(500)를 수평방향(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벽체(50)를 횡방향으로 절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벽체(50)에 고정된 앵커(30)의 양측 단부를 제1,2수직대(210,22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앵커파지부(90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를 유지하면서 하방향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수평방향 회전은 굴삭기(10)의 암대(15) 또는 이동체의 암대에 별도로 마련된 로테이터(미도시됨)에 의해 회전되거나, 상기 연결링크(150)를 지그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90°의 각도로 연결링크(150)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지그 본체(100)에 다시 결합시킨 후에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와의 커플링 결합으로 굴삭기(10)의 암대(15) 또는 이동체를 지그 본체(100)에 커플링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벽체(50)의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창문이나 문을 형성하는 구멍(5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50)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문이나 창문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50)의 절단을 위한 절단 커팅기의 수직방향 높낮이 조절을 승강부(40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조절하고, 절단작업시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커팅기 본체(500)를 제1,2수직대(210,2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커팅기 본체(500)의 수직방향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조절실린더(310,32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를 확장 또는 수축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50)의 절단과정에서 형성되는 창문이나 문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팅기 본체(500)의 블레이드 커버(510)에 마련된 영상촬영부(550)를 이용하여 벽체(50)에 대한 커팅 블레이드(520)의 절단작업상태를 원격의 굴삭기(10) 운전자가 계기판의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벽체(50)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거리센서(71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 간격을 계측할 수 있으므로,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 변화를 원격에 위치한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의 운전자가 캐빈(20) 내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간 거리의 변화 발생을 신속하게 확인한 후에 제1,2수직대(210,220) 간의 거리를 피드백 수정하여 벽체(50)의 수직방향 절단 작업시 커팅기 본체(500)의 틀어짐없이 벽체(50)를 직선 형태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2수직대(210,220)에 각각 마련된 레벨센서(720)를 이용하여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를 계측하고 제1,2수직대(210,220)를 동일한 높이에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벽체(50)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팅기 본체(500)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감지센서(730)를 이용하여 커팅기 본체(500)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계측함으로써, 커팅기 본체(500)의 절단과정에서 틀어짐없이 직선형태로 벽체(50)를 절단할 수 있게 되어 벽체(50) 절단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벽체의 천정 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굴삭기(10)의 암대(12)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310,320)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100)와; 상기 지그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도록 지지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210,22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400); 및 상기 제1,2수직대(210,220)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벽체(50)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50)의 천정 구조물(52)을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단부에 착탈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절곡되는 착탈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착탈부재(70)의 절곡된 단부에 형성되고 커팅기 본체(500)의 구동모터(610)의 전,후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과 연결되는 이동레일(75)과, 상기 이동레일(75)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천정 구조물(52)에 밀착되는 받침부재(74)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74)는 상측에 패킹재(77)가 더 구비되며, 상기 패킹재(77)는 상기 받침부재(74)와 상기 벽체의 천정 구조물(52)과 밀착되는 부위에 개재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패킹재(77)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고, 벽체의 천정 구조물(52)과의 접촉시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동레일(75)은 모터축(615)에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617)와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레일기어(75a)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630)은 구동모터(610)와 커팅기 본체(500)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천정 구조물(52)을 절단하는 데 사용되며, 승강부(4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그 본체(100)의 제1,2수직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착탈부재(70)와 착탈볼트(72)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받침부재(74)를 천정 구조물(52)에 밀착시킨 후에, 절단 블레이드(520)를 천정 구조물(52)에 연결시킨다.
이후에 커팅기 본체(50)를 구동시켜 벽체의 천정 구조물(52)을 절단하고, 구동모터(610)를 동작시켜 이동레일(7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절단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켜 전,후 방향으로 벽체의 천정 구조물(52)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한 벽체의 천정 구조물(52) 절단작업시 전,후 방향으로 절단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를 회전시키거나 굴삭기의 암대 단부에 배치된 로테이터를 이용하여 지그 본체를 90°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벽체의 천정 구조물(52)을 좌,우측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굴삭기 15 : 암대
20 : 캐빈 30 : 앵커
50 : 벽체 55 : (창문이나 문을 형성하는)구멍
52 : 천정 구조물 60 : 제어부
70 : 착탈부재 72 : 착탈볼트
74 : 받침부재 75 : 이동레일
75a : 레일기어 77 : 패킹재
100 : 지그 본체 150 : 연결링크
210,220 : 제1,2수직대 215,225 : 제1,2기어부
310,320 : 제1,2조절실린더 400 : 승강부
500 : 커팅기 본체 510 : 블레이드 커버
520 : 커팅 블레이드 540 : 투명창
550 : 영상촬영부 600 : 승강수단
610 : 구동모터 615 : 모터축
617 : 구동기어 620 : 연결레일
625 : 연동기어 630 : 연결축
710 : 거리센서 720 : 레벨센서
730 : 감지센서 800 : 패드부재
900 : 앵커파지부 910 : 파지홈

Claims (9)

  1.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310,320)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100)와;
    상기 지그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210,22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40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 중 적어도 하나에 승강수단(600)으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벽체(50)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50)를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50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벽체(50)에 고정된 앵커(30)를 지지하는 앵커파지부(900); 및
    상기 승강수단(600)에 구비된 구동모터(610)와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기어부(215,225)와, 상기 제1,2기어부(215,225) 중 어느 하나와 연동기어(625)를 통해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동기어(617)와 모터축(615)을 갖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이 관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2기어부(215,225) 중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연동기어(62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레일(620), 및 상기 구동모터(610)와 커팅기 본체(500)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연결축(6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실린더(310)는 상기 제1수직대(2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대(21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조절실린더(320)는 상기 제2수직대(2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지그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대(22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400)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부가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파지부(900)는 상기 앵커(30)의 좌,우측을 파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파지홈(9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상부에 벽체(50)의 절단작업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지그 본체(100)에 배치된 제어부(60)를 통해 캐빈(2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측(25)으로 전달하는 영상촬영부(5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직대(210,220)는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2수직대(210,220)의 높이 정보를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레벨센서(7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100)는 상기 지그 본체(100)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지그 본체(100)의 수평과 수직상태 정보를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감지센서(7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상기 구동모터(61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블레이드 커버(510)와, 상기 블레이드 커버(510)에 의해 지지되고 벽체(50)를 절단하는 커팅 블레이드(520)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커버(510)는 벽체(50)의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쇄석에 의한 충격이 영상촬영부(550)의 카메라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투명창(5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100)는 벽체(50)에 마주보는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벽체(50)에 접촉되도록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는 패드부재(8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8. 굴삭기(10) 또는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되고, 제1,2수직대(210,220)의 폭 거리를 조절하는 제1,2조절실린더(310,320)가 연결되는 지그 본체(100)와;
    상기 지그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조절실린더(310,320)에 의해 좌,우 양측 폭 거리가 조절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승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1,2수직대(210,220)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400); 및
    상기 제1,2수직대(210,220)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벽체(50)의 절단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벽체(50)의 천정 구조물(52)을 절단하는 커팅기 본체(500);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2수직대(210,220)의 상단부에 착탈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절곡되는 착탈부재(7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착탈부재(70)의 절곡된 단부에 형성되고 커팅기 본체(500)의 구동모터(610)의 전,후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15)과 연결되는 이동레일(75)과, 상기 이동레일(75)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50)의 천정 구조물(52)에 밀착되는 받침부재(7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 본체(500)는 연결축(630)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610)와 연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재(74)의 상측에는 벽체의 천정 구조물(52)과 밀착되는 부위에 개재되는 패킹재(7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75)은 모터축(615)에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617)와 기어 치합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레일기어(75a)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KR1020230068559A 2023-05-26 2023-05-26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KR10259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559A KR102599096B1 (ko) 2023-05-26 2023-05-26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559A KR102599096B1 (ko) 2023-05-26 2023-05-26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096B1 true KR102599096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559A KR102599096B1 (ko) 2023-05-26 2023-05-26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515B1 (ko) * 2023-12-29 2024-04-03 김성주 스마트 와이어쏘우 절단기
CN117870617A (zh) * 2024-03-12 2024-04-12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山岭公路隧道断面智能检测装置
CN117870617B (zh) * 2024-03-12 2024-06-0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山岭公路隧道断面智能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15B1 (ko) * 2016-02-16 2016-11-29 박재문 굴삭기 장착용 코어 드릴 장치
KR101830086B1 (ko) * 2016-09-21 2018-02-21 김진선 굴삭기 장착용 커팅장치
KR102196328B1 (ko) * 2019-10-28 2020-12-29 정연규 석재 절단 장치
KR102333491B1 (ko) * 2021-10-01 2021-12-01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KR102351727B1 (ko) 2020-12-14 2022-01-14 주식회사 이건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KR102496000B1 (ko) 2022-06-15 2023-02-06 주식회사 이건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15B1 (ko) * 2016-02-16 2016-11-29 박재문 굴삭기 장착용 코어 드릴 장치
KR101830086B1 (ko) * 2016-09-21 2018-02-21 김진선 굴삭기 장착용 커팅장치
KR102196328B1 (ko) * 2019-10-28 2020-12-29 정연규 석재 절단 장치
KR102351727B1 (ko) 2020-12-14 2022-01-14 주식회사 이건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KR102333491B1 (ko) * 2021-10-01 2021-12-01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KR102496000B1 (ko) 2022-06-15 2023-02-06 주식회사 이건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515B1 (ko) * 2023-12-29 2024-04-03 김성주 스마트 와이어쏘우 절단기
CN117870617A (zh) * 2024-03-12 2024-04-12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山岭公路隧道断面智能检测装置
CN117870617B (zh) * 2024-03-12 2024-06-0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山岭公路隧道断面智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096B1 (ko)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US20070127990A1 (en) Lead alignment attachment
KR101676415B1 (ko) 굴삭기 장착용 코어 드릴 장치
KR101919920B1 (ko) 지면에 트렌치를 생성하기 위한 다이아프램 벽 장치 및 방법
MX2010007395A (es) Dispositivo con ruedas para emparejar.
JP6906776B2 (ja) 打ち込み機
CN109162180A (zh) 一种公路路面自动拼铺车
US8061435B2 (en) System for mounting a pile driver
KR102396543B1 (ko) 프레임 워크에 기반하는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포털 스크레이퍼
JP4558591B2 (ja) 桟橋下面コンクリート自動はつり装置
CN209397470U (zh) 一种公路混凝土路面砌块自动拼铺车
CN113998616B (zh) 基于举升车的架棚钢梁安装方法
KR100833751B1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이동 지지장치
CN113979348B (zh) 架棚钢梁举升装置
JP4090369B2 (ja) アースオーガ掘削機および削孔方法
CN211368391U (zh) 混凝土摊铺栈桥
CN212445715U (zh) 一种空心板梁双面行走式凿毛装置
CN211340423U (zh) 一种混凝土摊铺栈桥
CN211201076U (zh) 一种刮平机穿越施工洞的装置
JPH0776983A (ja) 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アームに取付けて使用する削岩機
CN113235444A (zh) 一种装配式桥梁悬臂盖梁拼装工装结构
KR102613994B1 (ko) 스마트 콘크리트 천공장치
JP3110304B2 (ja) 型鋼の把持装置
KR101882192B1 (ko)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CN113737797B (zh) 一种打桩空间位置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