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91B1 -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91B1
KR102333491B1 KR1020210130769A KR20210130769A KR102333491B1 KR 102333491 B1 KR102333491 B1 KR 102333491B1 KR 1020210130769 A KR1020210130769 A KR 1020210130769A KR 20210130769 A KR20210130769 A KR 20210130769A KR 102333491 B1 KR102333491 B1 KR 10233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moving
e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4Stationary devices
    • B23Q3/1546Stationary devices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1Later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30/00Details of chip evacuation
    • B23C2230/04Transport of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m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 테두리의 에지 부위 가공시 플레이트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좌,우 이동가능한 정렬스톱퍼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폭 변화에 관계없이 플레이트의 일측을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에지 가공전에 플레이트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에 따라 에지부위의 가공량 변화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플레이트의 에지 밀링 가공중에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승강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플레이트 부품의 에지 정밀 가공에 적합하도록 밀링커터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MILLING DEVICE FOR EDGE OF PLATE}
본 발명은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 테두리의 에지 부위 가공시 플레이트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좌,우 이동가능한 정렬스톱퍼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폭 변화에 관계없이 플레이트의 일측을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에지 가공전에 플레이트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에 따라 에지부위의 가공량 변화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플레이트의 에지 밀링 가공중에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승강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플레이트 부품의 에지 정밀 가공에 적합하도록 밀링커터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에지 밀링장치 즉, 상기 파이프 공정중 개선각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에지 밀링장치는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부위의 반대부위를 클램핑하고,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부위를 장비내 하부 로울러와 상부 로울러 사이에 삽입하며, 상부 로울러를 하부 로울러 방향으로 밀어 철판과 상/하부 로울러를 밀착시킨 다음, 장비를 이동하여 개선가공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에지 밀링장치는 철판의 일측면을 클램핑하고, 타측면을 개선 가공하도록 되어 있어 가공물의 양쪽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가 없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가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반대 부위를 클램핑하도록 되어 있어 개선가공시, 발생되는 가공물 진동으로 가공물의 고속 가공이 불가능하고, 가공툴의 팁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가공물 양쪽면을 한번에 가공할 수 있도록 가공물 전후면을 클램핑하고 철판의 양쪽면 즉, 가공부위를 장비내 하부 로울러와 상부 로울러 사이에 삽입하고, 상부 로울러를 하부 로울러 방향으로 밀어 삽입된 철판의 양쪽면과 상/하부 로울러를 밀착시킨 다음, 가공물을 이동하여 개선가공을 하는 장치도 있으나, 철판을 클램핑한 부위가 철판의 전/후면이므로, 철판의 개선가공시 가공물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되는 가공물 진동으로 인해 가공물의 고속 가공이 불가능하며, 가공툴의 팁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가공물 이동방식이므로 구간별 진동 및 소음이 서로 다르게 발생되며, 별도의 칩 수거장치가 없어 가공으로 발생되는 칩이 그대로 가공물위로 비산되어 가공완료후 수동으로 제거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6653호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등록일자 : 2004.03.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제조시, 철판을 유입하여 용접되는 철판의 양 끝단 용접부위에 개선각을 가공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는 메인 크레인에 의해 다수개의 철판이 적재되는 이송용 체인 컨베이어부와; 상기 이송용 체인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철판이 연결 디버터에 의해 유입되는 인 컨베이어부와; 상기 인 컨베이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인 컨베이어부로 유입된 철판을 가공위치로 셋팅시키고, 일측면의 가공이 끝난 철판을 이송시키는 제 1 셋팅 유니트와; 상기 제 1 셋팅 유니트에 의해 일측면 가공이 끝난 철판이 유입되고, 양측면 가공이 끝난 철판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아웃 컨베이어와; 상기 아웃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셋팅 유니트에 의해 아웃 컨베이어로 이송된 철판의 가공된 일측면을 클램핑하고, 타측 가공면을 가공위치로 셋팅시키는 제 2 셋팅 유니트와; 상기 인 컨베이어와 아웃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 컨베이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각각 설치되어 제 1, 2 셋팅 유니트에 의해 가공위치로 이송된 철판을 각각 클램핑하는 제 1, 2 클램핑 장치와; 상기 제 1, 2 클램핑 장치에 의해 클램핑된 철판을 메인 지지대의 공간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가공하는 스핀들 유니트와; 상기 스핀들 유니트 하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지지대에 설치되어 스핀들 유니트에 의한 철판의 가공으로 인해 발생되는 철판 칩을 칩 박스로 이송하는 칩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2장의 철판을 동시에 개선 가공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에지 밀링장치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816호 "에지 밀링머신의 밀링커터 모듈"(등록일자 : 2014.07.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직선 이동을 위한 가이딩부재들이 형성되는 탑재대; 상기 탑재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하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스크류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빙유닛; 상기 무빙유닛들과 인접되게 상기 탑재대 상면에 마련되며, 외면에 출몰 가능한 복수의 고정용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램핑유닛; 하부면에서 상기 무빙유닛의 스크류잭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면에 상기 클램핑유닛이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된 가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블록이 가이딩홈에 밀착됨으로써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는 무빙프레임; 상기 무빙프레임에 장착되는 밀링커터용 모터; 상기 무빙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밀링커터용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밀링커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플레이트의 에지 밀링장치는 커터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 테두리 에지 부위를 가공하는 중에 플레이트가 틀어질 경우, 에지 가공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플레이트를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정렬수단의 구조적 특성상 에지 가공을 위한 플레이트의 폭 변화에 따라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구조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으며, 제조비용의 증가 요인이 된다.
그리고, 피가공물인 플레이트의 두께 변화에 따른 에지 가공량 변화에도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기존 리듀서(REDUCER) 등의 관 연결 부품의 가공시 직선 형태가 아닌 라운드진 곡선 형태의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는 커터의 복잡한 움직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6653호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등록일자 : 2004.03.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816호 "에지 밀링머신의 밀링커터 모듈"(등록일자 : 2014.07.1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 테두리의 에지 부위 가공시 플레이트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좌,우 이동가능한 정렬스톱퍼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폭 변화에 관계없이 플레이트의 일측을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에지 가공전에 플레이트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에 따라 에지부위의 가공량 변화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의 에지 밀링 가공중에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승강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플레이트 부품의 에지 정밀 가공에 적합하도록 밀링커터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에 이동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대와; 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한 밀링커터가 배치되는 제1,2지지블록과; 상기 밀링커터에 의해 커팅된 칩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지지대와 받침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가 밀착되어 정렬되는 정렬스톱퍼;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 상,하측 및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지지블록의 좌,우측 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고정기어가 형성된 고정바 및 상기 제1,2지지블록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1,2기어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이동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을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두께감지센서와, 상기 두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두께 수치에 따라 상기 밀링커터의 승강 높이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프레임을 제1,2지지대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은 제1지지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결합바와, 이동프레임의 일측면 외측에 장착되고 결합바의 기어와 기어맞물림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른 회전 구동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2지지블록의 상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시 제1,2승강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승강모터와, 상기 제1승강모터의 제1승강축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가 배치되는 제1승강블록, 및 상기 제2승강모터의 제2승강축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가 배치되는 제2승강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력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마그네틱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중간 하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에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며 복원스프링에 의해 하단부가 하방향을 향해 복귀 가능한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되는 지지롤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정렬스톱퍼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정렬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정렬조절수단은 상기 정렬스톱퍼의 외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좌,우측으로 신축시키는 정렬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에지 부분을 밀링 가공하는 중에 정렬스톱퍼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정렬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렬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폭이 가변되더라도 신속하게 정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승강수단은 제1,2승강모터 및 승강실린더에 의해 밀링커터의 높이 조절작업이 2회 수행됨에 따라 밀링커터의 높이 조절작업이 신속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두께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밀링커터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의 두께 변화에 관계없이 에지 밀링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지지롤러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종방향 이동시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므로, 상기 플레이트측에 하방향 지지압력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요동 및 틀어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승강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플레이트의 에지 부위에 대한 정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횡방향 이동수단과 승강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종방향 이동수단 및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정렬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제1,2지지블록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지지롤러와 연결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가공물인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에 이동프레임(200)이 상기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대(310,320)와; 횡방향 이동수단(600)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승강수단(700)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한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1,2지지블록(510,520)과; 상기 밀링커터(550)에 의해 커팅된 칩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400); 및 상기 제1지지대(310)와 받침대(100)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 테두리가 밀착되어 정렬되는 정렬스톱퍼(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10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좌,우측 및 길이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밀링커터(550)는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밀링커터(550)의 커팅작업시 사각형 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 사이드 에지 부위를 경사면의 형태로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는 상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0)의 요동 및 틀어짐을 예방하도록 상측에 복수의 마그네틱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150)는 자체 자성을 가지며, 자력(磁力)으로 플레이트(10)를 받침대(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좌,우측 하부가 상기 제1,2지지대(310,320)의 상측에 상기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송컨베이어(400)는 받침대(100)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궤도회전됨에 따라 상기 밀링커터(550)에 의한 커팅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을 이송시켜 별도의 수집함측으로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밀링커터(55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6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측면 상,하측 및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좌,우측 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610)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고정기어가 형성된 고정바(640), 및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1,2기어축(625,63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이동모터(620,6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64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전면)에 랙기어 형태의 고정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어와 제1,2기어축(625,635)은 랙과 피니언기어 치합방식에 따라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6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모터(620)가 제1기어축(625)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바(640)의 고정기어에 기어 맞물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이동모터(620)의 회전 구동시 제1기어축(6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지지블록(510)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2이동모터(630)가 제2기어축(635)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제2지지블록(520)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상기 제1,2지지대(310,32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동수단(350)을 구비한다.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3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3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결합바(355)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측면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바(355)의 기어와 기어맞물림결합되는 회전축(354)을 가지며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른 회전 구동시 상기 회전축(354)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35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70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상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시 제1,2승강축(715,72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승강모터(710,720)와, 상기 제1승강모터(710)의 제1승강축(715)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1승강블록(730), 및 상기 제2승강모터(720)의 제2승강축(725)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2승강블록(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700)은 상기 제1,2승강블록(730,740)에 배치되고 상기 밀링커터(550)가 장착된 승강판(76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750)와, 상기 승강실린더(750)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상기 밀링커터(550)가 각각 장착되는 승강판(76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승강실린더(750)와 승강판(760)은 상기 제1,2승강블록(730,740)의 높이가 선 조절된 후에 상기 밀링커터(550)의 높이를 후 조절하여 상기 밀링커터(550)의 승강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승강수단(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모터(710)의 회전 구동시 제1승강축(715)을 회전시켜 상기 제1승강축(715)과 나사 체결된 제1승강블록(730)을 상,하로 승강시키게 되고, 상기 제2승강모터(720)의 회전 구동시 제2승강축(725)을 회전시켜 상기 제2승강블록(740)을 상,하로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700)은 상기 제1,2승강모터(710,720)는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되고, 동일 높이의 밀링커터(550)가 상기 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 사이드의 에지 부위를 모따기 가공 형태로 밀링 가공하도록 상기 밀링커터(5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렬스톱퍼(800)는 받침대(100)와 일측의 제1지지대(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에지 밀링 가공시 플레이트(10)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에지 부위 가공시 가공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렬스톱퍼(800)는 제1지지대(310)와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플레이트(10)의 정렬시 상기 정렬스톱퍼(800)의 일측면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 테두리 부위와 면접촉됨에 따라 플레이트(10)의 틀어짐없이 길이방향으로 신속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정렬스톱퍼(80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정렬스톱퍼(80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정렬조절수단(8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정렬조절수단(8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스톱퍼(800)의 외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852)과, 상기 고정브라켓(852)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이동로드(853)를 좌,우측으로 신축시키는 정렬실린더(854)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조절수단(8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실린더(854)의 이동로드(853)를 좌,우측으로 수축 또는 신장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852)을 매개로 상기 정렬스톱퍼(80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레이트(10)의 폭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정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0)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을 제어부(950)측으로 출력하는 두께감지센서(910)와, 상기 두께감지센서(910)로부터 감지된 두께 수치에 따라 상기 밀링커터(550)의 승강 높이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9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950)는 상기 두께감지센서(910)로부터 플레이트(10)의 두께에 따른 수치가 입력된 후에 상기 플레이트(10)의 두께에 따라 제어신호를 상기 승강수단(700)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밀링커터(550)의 높낮이 조절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이동프레임(200)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동프레임(200)은 중간 하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에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며 복원스프링(256)에 의해 하단부가 하방향을 향해 복귀 가능한 연결브라켓(252)과, 상기 연결브라켓(25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0)의 상측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되는 지지롤러(255)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지지롤러(255)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상측과 접촉되면서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플레이트(10)의 요동 및 틀어짐 현상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52)은 상기 플레이트(10)의 표면에 요철 등의 결합이 있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255)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해소하도록 회전동작된 후에 상기한 압력이 해소된 후에는 복원스프링(2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플레이트(10)의 에지 부위에 대한 밀링 가공을 위해 플레이트(10)를 받침대(100) 상의 마그네틱부재(150) 상측에 안착시키고, 정렬스톱퍼(800)를 플레이트(10)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면접촉되도록 밀착시켜 플레이트(10)를 정렬시킨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10)의 폭에 적합하도록 횡방향 이동수단(600)을 이용하여 제1,2지지블록(510,520)을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600)은 상기 제1,2이동모터(620,63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제1,2기어축(625,635)과 기어 맞물림 결합된 상기 고정바(640)의 고정기어에 의해 제1,2지지블록(510,5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에, 상기 승강수단(700)을 이용하여 밀링커터(5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는 두께감지센서(910)와 제어부(950)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밀링커터(5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700)은 제1,2승강모터(710,720)의 회전 구동시 제1,2승강축(715,725)이 회전되고, 상기 제1,2승강축(715,725)에 체결된 제1,2승강블록(730,740)이 승강동작되어 밀링커터(550)의 높이를 먼저 조절한 후에, 승강실린더(750)의 로드 신축동작에 따라 승강판(76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동작되면서 밀링커터(550)의 높이를 재차 조절하게 되어 상기 밀링커터(550)의 높이 조절작업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이동프레임(200)을 종방향 이동수단(350)을 이용하여 제1,2지지대(310,32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링커터(550)로 하여금 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 에지부위에 대한 밀링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밀링커터(550)에 의한 밀링 가공시 발생된 플레이트(10)의 칩들은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된 이송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400)의 단부 하측에 배치되는 수집함(미도시)에 수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 에지 부분을 밀링 가공하는 중에 정렬스톱퍼(8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의 정렬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렬조절수단(850)을 이용하여 플레이트(10)의 폭이 가변되더라도 신속하게 정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승강수단(700)은 제1,2승강모터(710,720) 및 승강실린더(750)에 의해 밀링커터(550)의 높이 조절작업이 2회 수행됨에 따라 밀링커터(550)의 높이 조절작업이 신속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두께감지센서(910)와 제어부(95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의 두께에 따라 밀링커터(55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10)의 두께 변화에 관계없이 에지 밀링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지지롤러(255)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종방향 이동시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므로, 상기 플레이트(10)측에 하방향 지지압력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10)의 요동 및 틀어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승강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플레이트의 에지 부위에 대한 정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플레이트 100 : 받침대
150 : 마그네틱부재 200 : 이동프레임
252 : 연결브라켓 255 : 지지롤러
256 : 복원스프링 310,320 : 제1,2지지대
350 : 종방향 이동수단 352 : 이송모터
354 : 회전축 355 : 결합바
400 : 이송컨베이어 510,520 : 제1,2지지블록
550 : 밀링커터 600 : 횡방향 이동수단
610 : LM가이드 620,630 : 제1,2이동모터
625,635 : 제1,2기어축 640 : 고정바
700 : 승강수단 710,720 : 제1,2승강모터
715,725 : 제1,2승강축 730,740 : 제1,2승강블록
750 : 승강실린더 760 : 승강판
800 : 정렬스톱퍼 850 : 정렬조절수단
852 : 고정브라켓 853 : 이동로드
854 : 정렬실린더 910 : 두께감지센서
950 : 제어부

Claims (7)

  1.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에 이동프레임(200)이 상기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대(310,320)와;
    횡방향 이동수단(600)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승강수단(700)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한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1,2지지블록(510,520)과;
    상기 밀링커터(550)에 의해 커팅된 칩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400); 및
    상기 제1지지대(310)와 받침대(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 테두리가 밀착되어 정렬되는 정렬스톱퍼(800);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600)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측면 상,하측 및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좌,우측 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610)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고정기어가 형성된 고정바(640) 및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1,2기어축(625,63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이동모터(620,6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0)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치값을 제어부(950)측으로 출력하는 두께감지센서(910)와,
    상기 두께감지센서(910)로부터 감지된 두께 수치에 따라 상기 밀링커터(550)의 승강 높이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9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제1,2지지대(310,32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동수단(35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350)은 제1지지대(3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결합바(355)와, 이동프레임(200)의 일측면 외측에 장착되고 결합바(355)의 기어와 기어맞물림 결합되는 회전축(354)을 가지며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른 회전 구동시 회전축(354)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3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700)은 상기 제1,2지지블록(510,520)의 상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시 제1,2승강축(715,72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2승강모터(710,720)와,
    상기 제1승강모터(710)의 제1승강축(715)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1승강블록(730), 및
    상기 제2승강모터(720)의 제2승강축(725)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밀링커터(550)가 배치되는 제2승강블록(7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상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력으로 상기 플레이트(10)를 고정시키는 마그네틱부재(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중간 하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에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며 복원스프링(256)에 의해 하단부가 하방향을 향해 복귀 가능한 연결브라켓(252)과,
    상기 연결브라켓(25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0)의 상측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되는 지지롤러(25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스톱퍼(80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정렬조절수단(85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정렬조절수단(850)은 상기 정렬스톱퍼(800)의 외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852)과,
    상기 고정브라켓(852)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이동로드(853)를 좌,우측으로 신축시키는 정렬실린더(8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KR1020210130769A 2021-10-01 2021-10-01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KR10233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769A KR102333491B1 (ko) 2021-10-01 2021-10-01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769A KR102333491B1 (ko) 2021-10-01 2021-10-01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491B1 true KR102333491B1 (ko) 2021-12-01

Family

ID=7890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769A KR102333491B1 (ko) 2021-10-01 2021-10-01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0852A (zh) * 2021-12-28 2022-03-11 潍坊华光数码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坡口设备及其坡口方法
CN116140676A (zh) * 2023-02-09 2023-05-23 江苏双友智能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钢板四边全自动数控铣边机
CN116197436A (zh) * 2023-03-08 2023-06-0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管道开检修孔的全自动机器人及方法
KR102599096B1 (ko) * 2023-05-26 2023-11-07 김성주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CN116140676B (zh) * 2023-02-09 2024-05-24 江苏双友智能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钢板四边全自动数控铣边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53B1 (ko) 1998-10-23 200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에지밀링장치
KR101079281B1 (ko) * 2010-12-03 2011-11-04 김복인 작업부의 확인이 가능한 중,대형 가공기
KR101420816B1 (ko) 2012-08-29 2014-07-17 서광기연 주식회사 에지 밀링머신의 밀링커터 모듈
KR101612539B1 (ko) * 2015-12-16 2016-04-26 남광산업(주) 천공 위치 이동식 건축 자재용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 천공 방법
KR20190114758A (ko) * 2018-03-29 2019-10-10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가공 시스템 및 가공 방법
KR20190125845A (ko) * 2018-04-30 2019-11-07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멀티홀 가공장치
JP2021027093A (ja) * 2019-08-01 2021-02-22 株式会社竹原理研 基板分割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53B1 (ko) 1998-10-23 200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에지밀링장치
KR101079281B1 (ko) * 2010-12-03 2011-11-04 김복인 작업부의 확인이 가능한 중,대형 가공기
KR101420816B1 (ko) 2012-08-29 2014-07-17 서광기연 주식회사 에지 밀링머신의 밀링커터 모듈
KR101612539B1 (ko) * 2015-12-16 2016-04-26 남광산업(주) 천공 위치 이동식 건축 자재용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 천공 방법
KR20190114758A (ko) * 2018-03-29 2019-10-10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가공 시스템 및 가공 방법
KR20190125845A (ko) * 2018-04-30 2019-11-07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멀티홀 가공장치
JP2021027093A (ja) * 2019-08-01 2021-02-22 株式会社竹原理研 基板分割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0852A (zh) * 2021-12-28 2022-03-11 潍坊华光数码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坡口设备及其坡口方法
CN114160852B (zh) * 2021-12-28 2024-03-05 潍坊华光数码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坡口设备及其坡口方法
CN116140676A (zh) * 2023-02-09 2023-05-23 江苏双友智能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钢板四边全自动数控铣边机
CN116140676B (zh) * 2023-02-09 2024-05-24 江苏双友智能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钢板四边全自动数控铣边机
CN116197436A (zh) * 2023-03-08 2023-06-0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管道开检修孔的全自动机器人及方法
CN116197436B (zh) * 2023-03-08 2023-11-28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管道开检修孔的全自动机器人及方法
KR102599096B1 (ko) * 2023-05-26 2023-11-07 김성주 스마트 콘크리트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491B1 (ko) 플레이트 에지 밀링장치
US4018134A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edge-cutting a plate-like metallic workpiece
US3922951A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edge-cutting a plate-like metallic workpiece
CN110355830B (zh) 一种高效率数控六面钻孔机及其加工方式
KR101483856B1 (ko)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CN113305708A (zh) 一种磨削机
EP2620257A1 (en) Automatic correction method for processing size of glass plate, and glass plate processing device
WO2022262076A1 (zh) 一种输送型上下料机器人及上下料方法
JPH0885011A (ja) ガイドローラ付きカッター、切削装置及び加工機械
KR20180052746A (ko) 톱니부들을 제조 및 디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26654B1 (ko) 파이프심밀링장치
KR101622145B1 (ko)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면취값 및 면취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면취기
CN218642633U (zh) 基板的切割装置
EP1066906B1 (en) Method of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r saws and for accurately aligning a circular saw and associated notching tool
KR101873173B1 (ko) 복합 밀링 장치
EP4023392A1 (en) Apparatus for deburring and trimming the edges of slab-shaped objects
EP1074326A2 (en) Cu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accurately aligning a circular saw and associated notching tool
CN107127361A (zh) 一种轴状工件的加工装置
US5887325A (en)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CN110561568A (zh) 雕铣机
KR100835810B1 (ko) 원통형 복관부재 제작에 있어서의 원주방향 외면 개선 가공장치
US20230060723A1 (en) Machine for processing slabs
KR100748783B1 (ko) 단관 외면 개선 가공 장치
CN212266285U (zh) 一种用于制备金刚石的夹持装置
CN218811374U (zh) 一种用于玻璃加工的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