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12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12B1
KR102598512B1 KR1020210109071A KR20210109071A KR102598512B1 KR 102598512 B1 KR102598512 B1 KR 102598512B1 KR 1020210109071 A KR1020210109071 A KR 1020210109071A KR 20210109071 A KR20210109071 A KR 20210109071A KR 102598512 B1 KR102598512 B1 KR 10259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ire
rim
bead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900A (ko
Inventor
조용범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09Supplementary means for securing the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및 트레드부와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를 포함하고, 림과 마주보는 비드부의 일면 상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가 구비되며, 패턴부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며, 림과 비드부 사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 및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차는 모터에 의한 초기 토크(torque)가 크기 때문에, 타이어의 슬립 또는 휠과 타이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자동차의 휠과 타이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게 되면 에너지 소비 및 타이어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형성되는 패턴부로 인하여 타이어와 휠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및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를 포함하고, 상기 림과 마주보는 상기 비드부의 일면 상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가 구비되며, 상기 패턴부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패턴부는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패턴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과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비드부에 형성되는 패턴부가 림과 밀착 접촉함으로 인하여 림과 비드부 간에 마찰을 증가시키고, 림과 비드부 사이에서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부의 폭이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함으로 인하여 패턴부의 후방측에서 림과 접촉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마찰이 발생하여 비드부와 림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부가 복수 개가 구비되며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비드부와 림이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A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림과 비드부가 접촉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턴부를 도 5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A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림과 비드부가 접촉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를 도 5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00), 비드부(140), 사이드월(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RM)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0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정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드부(100)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0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 개의 트레드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트레드홈(115)은 적어도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레드홈(115)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레드홈(115)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홈(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차량에 타이어(1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00)와 비드부(140)를 연결할 수 있다. 트레드부(100), 사이드월(180) 및 비드부(140)는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00)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연결될 수 있고, 타이어(100)를 림(RM)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드부(140)는 사이드월(180)의 양단에 구비되어 림(RM)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가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 인하여 타이어(100)를 림(RM)에 안착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는 와이어, 예를 들면 스틸 와이어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며 완충 효과를 발휘하는 비드 필러(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외측으로는 사이드월(180)과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이너 라이너(16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의 영역 중에서 사이드월(180)과 연결되는 비드부(140)의 일면은 림(RM)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비드부(140)의 상기 일면은 타이어(100)에 림(RM)이 결합되면서 상기 림(RM)과 접촉할 수 있다.
도 2, 도 4, 도 5, 도 6,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림(RM)과 접촉가능한 외측 일면 상에 외측 방향, 구체적으로 림(RM)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패턴부(141)의 '폭'은 원주 방향(RT)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VL) 상의 일 지점에서 상기 기준선(VL)에 수직인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패턴부(141)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전진 시 원주 방향(RT)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도 1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타이어(100)는 림(RM)이 구비되는 휠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게 되고, 휠이 모터 등의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면 휠, 구체적으로 림(RM)과 접촉하는 타이어가 휠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차량이 주행 중인 지면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의 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림(RM)과 마주보는 비드부(140)의 일면 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패턴부(141)는 기준선(VL)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기준선(VL)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141)는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RT)을 따라 비드부(140)에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141)와, 패턴부(141)가 돌출 형성되는 비드부(140)의 일면과 마주보는 림(RM)과의 접촉이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RT)을 따라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 구체적으로 차량의 전진 이동 시 타이어(100)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 사이의 거리'는 패턴부(141)의 폭을 의미한다.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는 기준선(VL)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는 일측(도 5 기준 좌측)이 연결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측(도 5 기준 우측)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측(도 5 기준 좌측)은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방측이고, 상기 타측(도 5 기준 우측)은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후방측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기준선(VL)을 중앙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VL)은 타이어(100)의 중심축(AX)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가지며 둘레 방향(RT)을 따라 비드부(140)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림(RM)과 접촉 가능한 비드부(14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 구체적으로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는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중심축(AX)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기준선(VL)을 중앙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연결되는 일측(도 5 기준 좌측)은 상기 기준선(V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서로 이격되는 타측(도 5 기준 우측)은 상기 기준선(VL)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각각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는 대면홈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대면홈부(145)의 너비는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의 전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홈부(145)는 마주보는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의 각 면이 연결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대면홈부(145)의 너비는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이격 배치되는 영역에서 연결되는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홈부(145)의 내각은 0도 내지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면홈부(145)의 내각은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홈부(145)의 내각이 60도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비드부(140), 구체적으로 패턴부(141)와 림(RM)이 접촉된 상태에서, 림(RM)이 회전하게 되면, 밀착 접촉되는 패턴부(141)에 형성되는 대면홈부(145)가 외측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패턴부(141)가 이를 지지하고,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 상대 이동, 즉, 슬립(slip)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홈부(145)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의 각 면이 연결되며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의 마주보는 각 면은 기준선(VL)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와 기준선(VL)이 이루는 각도는 0도 내지 45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는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기준선(VL)을 기준으로 양측(도 6 기준 상하측)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됨으로 인하여, 모터 등의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휠, 구체적으로 림(RM)이 전진을 위해 반시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기준선(VL)과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기준선(VL)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균일하게 지지함으로써 비드부(140)와 림(RM)이 순간적인 회전으로 인해 미끄러지거나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에 형성되는 패턴부(141)는,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비드부(140)와 접촉되는 림(RM)이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순간적인 가속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 방향인 둘레 방향을 따라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후방측(도 6 기준 우측)이 먼저 지지하게 되며, 기준선(VL)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비드부(140), 구체적으로 패턴부(141)와 림(RM)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고, 패턴부(141)와 림(RM)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여 패턴부(141), 구체적으로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기준선(VL)과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각각 형성됨으로 인하여,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와 기준선(VL)과 이루는 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이를 마찰 지지함으로써 순간적인 림(RM)의 회전에도 타이어(100)가 림(RM)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패턴본체(142a, 142b)가 기준선(VL)과 이루는 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은 패턴부(141)에 형성되는 대면홈부(145)의 내각이 커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 상에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141)에 관한 것으로, 패턴부(141)는 기준선(VL) 방향을 따라 두께, 즉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측(도 5 기준 좌측)의 제1높이(h1)와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후방측(도 5 기준 우측)의 제2높이(h2)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높이(h1), 제2높이(h2)는 0.05mm 내지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패턴부(141)가 형성되지 않는 비드부(140) 상의 영역과 림(RM)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에 관한 것으로, 패턴부(141)는 기준선(VL) 방향을 따라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측(도 5 기준 좌측)의 제1높이(h1)가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후방측(도 5 기준 우측)의 제2높이(h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의 제1높이(h1)는 0.05mm 내지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패턴부(141)가 형성되지 않는 비드부(140) 상의 영역과 림(RM)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준선(VL) 방향을 따라 패턴부(141)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림(RM)이 전진을 위해 가속을 하는 경우, 림(RM)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패턴부(141)로 인해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패턴부(141)가 림(RM)을 효과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패턴부(141)가 림(RM)을 효과적으로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비드부(140)가 구비되는 타이어(100)가 림(RM)의 갑작스런 회전을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의 슬립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에 관한 것으로, 패턴부(141)는 기준선(VL) 방향을 따라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측(도 5 기준 좌측)의 제1높이(h1)를 가지고, 패턴부(141)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후방측(도 5 기준)은 높이를 최소화하며 패턴부(141)가 형성되지 않는 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패턴부(141)의 측면은 제1높이(h1)로 형성되는 패턴부(141)의 전방측(도 5 기준 좌측)으로부터 패턴부(141)의 후방측(도 5 기준 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부(141)의 제1높이(h1)는 0.05mm 내지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패턴부(141)가 형성되지 않는 비드부(140) 상의 영역과 림(RM)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준선(VL) 방향을 따라 패턴부(141)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림(RM)이 전진을 위해 가속을 하는 경우, 림(RM)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패턴부(141)로 인해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패턴부(141)가 림(RM)을 효과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패턴부(141)가 림(RM)을 효과적으로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비드부(140)가 구비되는 타이어(100)가 림(RM)의 갑작스런 회전을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의 슬립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캡플라이(120)가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0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00)는, 비드부(140)에 형성되는 패턴부(141)가 림(RM)과 밀착 접촉함으로 인하여 림(RM)과 비드부(141) 간에 마찰을 증가시키고, 림(RM)과 비드부(141) 사이에서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부(141)의 폭이 미리 설정되는 방향, 구체적으로 차량의 전진 시 타이어(100)의 회전 방향(도 1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함으로 인하여 패턴부(141)의 후방측에서 림(RM)과 접촉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마찰이 발생하여 비드부(140)와 림(RM)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부(140)가 복수 개가 구비되며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RT)을 따라 일렬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비드부(140)와 림(RM)이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AX: 중심축
R: 림
RT: 원주 방향
VL: 기준선
110: 트레드부
115: 트레드홈
120: 캡플라이
130: 바디 플라이
140: 비드부
141: 패턴부
142a, 142b: 패턴본체
145: 대면홈부
160: 이너 라이너
170: 벨트층
180: 사이드월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지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및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를 포함하고,
    상기 림과 마주보는 상기 비드부의 일면 상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패턴부가 구비되며,
    상기 패턴부는 한 쌍의 패턴본체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패턴본체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패턴본체는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측은 이격되고,
    한 쌍의 상기 패턴본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차량의 전진 이동 시 상기 타이어의 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패턴부는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패턴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타이어.
KR1020210109071A 2021-08-18 2021-08-18 타이어 KR10259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71A KR102598512B1 (ko) 2021-08-18 2021-08-18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71A KR102598512B1 (ko) 2021-08-18 2021-08-18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900A KR20230026900A (ko) 2023-02-27
KR102598512B1 true KR102598512B1 (ko) 2023-11-07

Family

ID=8532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71A KR102598512B1 (ko) 2021-08-18 2021-08-18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9B1 (ko) 2006-06-29 2007-11-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슬립방지용 공기입 타이어
KR200441971Y1 (ko) 2007-09-13 2008-09-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JP2009006763A (ja) 2007-06-26 2009-01-15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組付体
JP4388357B2 (ja) 2003-12-09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2020594A (ja) 2010-07-12 2012-02-0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76B1 (ko) * 2012-12-26 2015-03-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드부 및 림이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
KR20190056591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드부 내구성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357B2 (ja) 2003-12-09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0779309B1 (ko) 2006-06-29 2007-11-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슬립방지용 공기입 타이어
JP2009006763A (ja) 2007-06-26 2009-01-15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組付体
KR200441971Y1 (ko) 2007-09-13 2008-09-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JP2012020594A (ja) 2010-07-12 2012-02-0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900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5663B1 (en) Pneumatic tire
KR20190032053A (ko) 에어리스 타이어
KR102598512B1 (ko) 타이어
KR102057884B1 (ko) 타이어
KR101905117B1 (ko) 타이어
KR102547888B1 (ko) 타이어
KR102605815B1 (ko) 레이싱용 공기입 타이어
KR102007923B1 (ko) 타이어
KR102372898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280795B1 (ko) 타이어
KR10218726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200528B1 (ko) 타이어
KR102135890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20210081893A (ko) 타이어
KR10233589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20210103316A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005516B1 (ko) 타이어
US20220194145A1 (en) Tire and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205464B1 (ko) 타이어
KR102463569B1 (ko) 방열을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129580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20240038379A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15869B1 (ko) 타이어
KR20230072158A (ko) 타이어
KR102304422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