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580B1 -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 Google Patents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580B1
KR102129580B1 KR1020180125416A KR20180125416A KR102129580B1 KR 102129580 B1 KR102129580 B1 KR 102129580B1 KR 1020180125416 A KR1020180125416 A KR 1020180125416A KR 20180125416 A KR20180125416 A KR 20180125416A KR 102129580 B1 KR102129580 B1 KR 10212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agnetic
support
wheel
tir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526A (ko
Inventor
최임철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60B21/125Bead clam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0Rim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yre-seat or flange, e.g. corrugated
    • B60B21/108Rim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yre-seat or flange, e.g. corrugated the surface of bead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에 결합되는 타이어 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어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타이어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Tire wheel and tire s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휠 및 타이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는 타이어휠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된 것을 타이어 세트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대한 안정적 장착 및 이러한 장착 상태를 차량 주행 시 용이하게 유지하기 곤란하여 타이어의 안정성 및 이를 장착한 차량 안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내구성 및 안정적인 주행 특성을 향상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에 결합되는 타이어 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어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타이어휠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이 타이어에 결합 시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가 장착되는 타이어휠을 포함하는 타이어 세트로서, 상기 타이어는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비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휠은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어의 상기 비드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세트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는 타이어의 내구성 및 안정적인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L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L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L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8의 타이어 세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5 내지 도 18의 타이어 세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L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100)은 본체부(110), 지지부(120) 및 자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타이어휠(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타이어휠(100)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경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120)는 타이어의 비드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굴곡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0)보다 본체부(110)는 더 깊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20)와 본체부(110)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바텀 지지면(121) 및 사이드 지지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122)은 바텀 지지면(1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121)으로부터 타이어휠(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1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0)의 사이드 지지면(122)과 바텀 지지면(121)의 사이에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123)는 사이드 지지면(122)과 바텀 지지면(1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1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100)은 사이드 지지면(122)과 연결되는 꺾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160)는 사이드 지지면(1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1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1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 (100)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10) 및 지지부(1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150)는 지지부(1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1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1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150)는 타이어휠(100)의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50)는 타이어휠(100)의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150)는 지지부(1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1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1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1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150)는 지지부(120)의 면 중 바텀 지지면(121)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1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1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1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100)은 타이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150)는 타이어휠(100)의 원주 방향(도 4의 RT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50)는 타이어휠(100)의 원주 방향(도 4의 RT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자성부(150)는 타이어휠(100)의 원주 방향(도 4의 RT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150)는 지지부(1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150)를 지지부(1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1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100)의 운동에도 자성부(150)가 지지부(1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120)상에 자성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L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200)은 본체부(210), 지지부(220) 및 자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타이어휠(2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2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는 타이어휠(200)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경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220)는 타이어의 비드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본체부(210)로부터 굴곡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20)보다 본체부(210)는 더 깊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20)와 본체부(210)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220)는 바텀 지지면(221) 및 사이드 지지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222)은 바텀 지지면(2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2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2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20)의 사이드 지지면(222)과 바텀 지지면(221)의 사이에 연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223)는 사이드 지지면(222)과 바텀 지지면(2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2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200)은 사이드 지지면(222)과 연결되는 꺾임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260)는 사이드 지지면(2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2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2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200)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210) 및 지지부(2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250)는 지지부(2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2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2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250)는 타이어휠(200)의 본체부(2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250)는 타이어휠(200)의 본체부(2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2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250)는 지지부(2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2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2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250)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성부(250)의 면 중 지지부(220)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220)를 기준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250)는 지지부(220)의 면 중 바텀 지지면(221)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2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2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2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200)은 타이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250)는 타이어휠(200)의 원주 방향(도 8의 RT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250)는 타이어휠(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2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이 자성부(250)는 타이어휠(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250)는 지지부(2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250)를 지지부(2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2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200)의 운동에도 자성부(250)가 지지부(2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220)상에 자성부(2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자성부의 일면, 즉 지지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지지부에 형성된 자성부의 볼록한 형태가 타이어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 또는 미끌어짐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300)은 본체부(미도시), 지지부(320) 및 자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미도시)는 타이어휠(3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3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미도시)는 타이어휠(300)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경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본체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3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320)는 타이어의 비드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바텀 지지면(321) 및 사이드 지지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322)은 바텀 지지면(3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3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3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320)의 사이드 지지면(322)과 바텀 지지면(321)의 사이에 연결부(3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23)는 사이드 지지면(322)과 바텀 지지면(3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3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300)은 사이드 지지면(322)과 연결되는 꺾임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360)는 사이드 지지면(3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3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3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300)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310) 및 지지부(3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350)는 지지부(3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3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3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350)는 타이어휠(300)의 본체부(3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350)는 타이어휠(300)의 본체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3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350)는 지지부(3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3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3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3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350)는 지지부(320)의 면 중 사이드 지지면(3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35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하도록 볼록하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3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3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3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300)은 타이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350)는 타이어휠(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350)는 타이어휠(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3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이 자성부(350)는 타이어휠(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350)는 지지부(3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3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350)를 지지부(3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3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300)의 운동에도 자성부(350)가 지지부(3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320)상에 자성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자성부가 지지부의 일면, 예를들면 사이드 지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지지면은 타이어의 측면의 가장자리의 일 영역, 구체적으로 비드부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자성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비드부와 지지부간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400)은 본체부(미도시), 지지부(420) 및 자성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미도시)는 타이어휠(4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4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미도시)는 타이어휠(400)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경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20)는 본체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420)는 타이어의 비드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20)는 바텀 지지면(421) 및 사이드 지지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422)은 바텀 지지면(4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4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4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20)의 사이드 지지면(422)과 바텀 지지면(421)의 사이에 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423)는 사이드 지지면(422)과 바텀 지지면(4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4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400)은 사이드 지지면(422)과 연결되는 꺾임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460)는 사이드 지지면(4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4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4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400)으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410) 및 지지부(4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450)는 지지부(4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4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4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450)는 타이어휠(400)의 본체부(4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450)는 타이어휠(400)의 본체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4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450)는 지지부(4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4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4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4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450)는 지지부(420)의 면 중 연결부(423)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450)는 연결부(423)에 형성되고 사이드 지지면(422) 또는 바텀 지지면(421)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23)에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자성부(450)는 연결부(423)에 대응된영역에서 타이어와 타이어휠(400)간의 접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와,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와 밀착된 영역을 증가할 수 있고,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45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가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하도록 볼록하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4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4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4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400)은 타이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450)는 타이어휠(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450)는 타이어휠(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4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이 자성부(450)는 타이어휠(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450)는 지지부(4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450)를 지지부(4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4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400)의 운동에도 자성부(450)가 지지부(4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420)상에 자성부(4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자성부가 지지부의 일면, 예를들면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이드 지지면 또는 바텀 지지면에까지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휠과 타이어 일 영역, 구체적으로 비드부의 외면과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결합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L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500)은 본체부(510), 지지부(520) 및 자성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타이어휠(5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5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0)는 타이어휠(500)에 타이어가 장착되는 경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20)는 본체부(510)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520)는 타이어의 비드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20)는 본체부(510)로부터 굴곡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20)보다 본체부(510)는 더 깊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20)와 본체부(510)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520)는 바텀 지지면(521) 및 사이드 지지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522)은 바텀 지지면(5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5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5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20)의 사이드 지지면(522)과 바텀 지지면(521)의 사이에 연결부(5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523)는 사이드 지지면(522)과 바텀 지지면(5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5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500)은 사이드 지지면(522)과 연결되는 꺾임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560)는 사이드 지지면(5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5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5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500)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510) 및 지지부(5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550)는 지지부(5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5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5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550)는 타이어휠(500)의 본체부(5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5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550)는 타이어휠(500)의 본체부(5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5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550)는 지지부(5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5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5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5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550)는 제1 영역(551) 및 제2 영역(5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552)은 제1 영역(551)보다 본체부(5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551)과 제2 영역(552)은 최상면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551)의 최상면의 연장선은 제2 영역(552)은 최상면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경계부(553)을 기준으로 제1 영역(551) 및 제2 영역(552)은 굴곡진 상면, 구체적 예로서 단차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551)은 일 단부(BP)가 지지부(520)의 연결부(523)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 단부(BP)로부터 시작되어 제1 영역(551)의 상면이 형성되고, 경계부(553)에서 꺽여서 제2 영역(552)의 상면을 형성한 후 지지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단부(BP)에서 경계부(553)까지의 제1 영역(551)의 상면의 길이는 경계부(553)부터 지지부(520)의 일 면까지의 제2 영역(552)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5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500)에 장착 시 타이어에 지나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고, 장착 및 분리 시 타이어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영역(551)의 상면의 길이를 제2 영역(552)의 상면의 길이보다 길도록 하여 타이어,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의 외측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자성부(550)의 제1 영역(551)이 용이하게 대응되도록 하여 타이어와 타이어휠(500)간의 안정적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550)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550)의 경계부(553)를 중심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5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5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5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500)은 타이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550)는 타이어휠(500)의 원주 방향(도 14의 RT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550)는 타이어휠(5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5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이 자성부(550)는 타이어휠(5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550)는 지지부(5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550)를 지지부(5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5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500)의 운동에도 자성부(550)가 지지부(5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520)상에 자성부(5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자성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의 상면과 제2 영역의 상면이 나란하지 않고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경계부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데, 이러한 돌출된 형태를 통하여 자성부와 타이어간의 결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의 단부가 지지부, 예를들면 연결부에 대응될 수 있고, 여기서부터 제1 영역의 상면을 형성하고, 경계부로부터 지지부까지 연장되어 제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비교적 작은 양으로 자성부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타이어에 불필요하게 자성부로 인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여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6에는 타이어만 도시하고 타이어휠은 도시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세트(1000)는 타이어(1100) 및 타이어휠(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1100)는 타이어휠(12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휠(1200)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타이어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의 타이어휠을 적용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타이어(1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 휠(1200)이 결합될 수 있다.
타이어(1100)는 트레드부(1110), 사이드월(1180) 및 비드부(114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10)는 타이어(1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10)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1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1180)은 트레드부(11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1180)은 트레드부(1110)와 비드부(1140)의 사이에 배치되고, 타이어(1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1180)을 통하여 타이어(1100)는 굴신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이드월(1180)은 타이어(1100)의 트레드부(1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데, 일측의 사이드월(1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180)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180)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180)의 조성물을 다르게 하여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
비드부(1140)는 사이드월(1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140)는 타이어(1100)를 타이어휠(1200)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어 영역(BW) 및 완충 영역(BF)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140)의 코어 영역(BW)은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비드부(1140)의 완충 영역(BF)은 코어 영역(BW)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영역(BW)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비드부(1140)는 내면(1141) 및 외면(1142)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부(1140)의 내면(1141)은 타이어(1100)의 내측에 대응될 수 있다.
비드부(1140)의 외면(1142)은 타이어(1100)의 외측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140)의 외면(1142)은 굴곡부(1142a)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1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130)는 타이어(1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160)는 타이어(1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120)가 바디 플라이(1130)와 트레드부(1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170)이 캡플라이(1120)와 바디 플라이(1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170)은 타이어(1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타이어휠(1200)은 본체부(1210), 지지부(1220) 및 자성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10)는 타이어휠(12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타이어휠(120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10)는 타이어휠(1200)에 타이어(1100)의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본체부(1210)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1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타이어(1100)의 단부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1220)는 타이어(1100)의 비드부(1140)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바텀 지지면(1221) 및 사이드 지지면(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텀 지지면(1221) 및 사이드 지지면(1222)은 비드부(1140)와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면(1222)은 바텀 지지면(1221)에 연결되고, 바텀 지지면(12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텀 지지면(1221)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20)의 사이드 지지면(1222)과 바텀 지지면(1221)의 사이에 연결부(1223)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1223)는 사이드 지지면(1222)과 바텀 지지면(1221)가 굴곡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1223)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휠(1200)은 사이드 지지면(1222)과 연결되는 꺾임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1260)는 사이드 지지면(12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타이어가 타이어휠(12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꺾임부(1260)는 타이어를 타이어휠(1200)로부터 분리 시,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210) 및 지지부(1220)는 내구성이 높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1250)는 지지부(122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부(1250)는 타이어가 타이어휠(1200)에 장착 시 타이어의 일 영역을 대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의 비드부와 중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일측의 지지부(12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부(12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성부(1250)는 지지부(12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지부(12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성부(1250)는 예를들면 적절한 두께, 예를들면 지지부(1220)보다 얇은 두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부(1250)는 다양한 자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네오디뮴 (Neodymium), 코발트(Cobalt), 알루미늄, 니켈 또는 철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1250)는 상기 재료들 중 선택적인 재료들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12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휠(1200)은 타이어(11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부(1250)는 적어도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이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성부(1250)는 지지부(12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20)를 형성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자성부(1250)를 지지부(122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용접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휠(1200)에 타이어가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지속적인 타이어휠(1200)의 운동에도 자성부(1250)가 지지부(12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 예를들면 도포나 인쇄 등의 금속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부(1220)상에 자성부(125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자성부(1250)는 타이어(1100)의 영역, 예를들면 비드부(1140)로 완전히 덮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자성부(1250)의 폭은 비드부(1140)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성부(1250)가 비드부(1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비드부(1140)와 타이어휠(12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세트는 타이어와 타이어휠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휠은 본체부, 지지부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는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장착 시 타이어를 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의 비드와이어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성부는 비드부의 비드 와이어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적 인력은 지지부와 비드부간의 안정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가 타이어휠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가 타이어휠로부터 이탈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운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가 타이어휠의 지지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슬립됨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간의 마모 및 열 발생을 검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자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자성부가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안정적 관리 및 사용 주기 향상을 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8의 타이어 세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타이어 세트(1000')는 타이어(1100) 및 타이어휠(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타이어휠(1200)의 자성부(1250)는 타이어휠(1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1100)의 양측에 배치된 비드부(11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5 내지 도 18의 타이어 세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0 내지 도 22는 타이어휠(1200)의 지지부(1220)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원주 방향(RT)은 타이어휠(1200)의 원주 방향 또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부(1220)에 자성부(1250)가 일 영역에 한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1을 참조하면 지지부(1220)에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2개의 자성부(12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 및 타이어휠의 설계 조건에 따라서 자성부(1250)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2을 참조하면 지지부(1220)에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자성부(1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9의 자성부의 구조 또는 도 20 내지 도 23의 자성부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타이어휠의 구조 모두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자성부가 타이어의 양측 중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어 타이어와의 타이어휠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자성부가 길이를 갖고 예를들면 타이어 또는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균일한 결합 유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합 상태를 통하여 타이어와 타이어휠간의 비정상적인 공기 누출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통한 차량의 안정적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1200: 타이어휠
110, 210, 310, 410, 510, 1210: 본체부
120, 220, 320, 420, 520, 1220: 지지부
150, 250, 350, 450, 550, 1250: 자성부
1100: 타이어
1000: 타이어 세트

Claims (5)

  1. 타이어에 결합되는 타이어 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어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바텀 지지면 및 상기 바텀 지지면과 연결되고 상기 바텀 지지면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갖는 사이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적어도 상기 바텀 지지면의 영역 중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바텀 지지면과 구별되도록 상기 바텀 지지면과 별개로 상기 바텀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타이어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형성된 타이어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타이어휠이 타이어에 결합 시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타이어휠.
  5.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가 장착되는 타이어휠을 포함하는 타이어 세트로서,
    상기 타이어는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비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휠은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어의 상기 비드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바텀 지지면 및 상기 바텀 지지면과 연결되고 상기 바텀 지지면으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갖는 사이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적어도 상기 바텀 지지면의 영역 중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바텀 지지면과 구별되도록 상기 바텀 지지면과 별개로 상기 바텀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세트.
KR1020180125416A 2018-10-19 2018-10-19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12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416A KR102129580B1 (ko) 2018-10-19 2018-10-19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416A KR102129580B1 (ko) 2018-10-19 2018-10-19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526A KR20200044526A (ko) 2020-04-29
KR102129580B1 true KR102129580B1 (ko) 2020-07-02

Family

ID=7046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416A KR102129580B1 (ko) 2018-10-19 2018-10-19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818A (ja) 1999-02-05 2000-08-1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タイヤリム組立体
KR101385369B1 (ko) 2012-12-14 2014-04-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702A (ko) * 2002-06-28 2004-01-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20040062710A (ko) * 2003-01-03 2004-07-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비드와 림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818A (ja) 1999-02-05 2000-08-1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タイヤリム組立体
KR101385369B1 (ko) 2012-12-14 2014-04-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526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202B1 (ko)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2017136876A (ja) 不整地用モーターサイクルタイヤ
JP5370633B2 (ja) 更生タイヤ用トレ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更生タイヤ
KR102129580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057884B1 (ko) 타이어
JP515631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35890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1652565B1 (ko) 타이어용 비드와이어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타이어
KR102007923B1 (ko) 타이어
KR10218726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200528B1 (ko) 타이어
KR102127454B1 (ko) 타이어
KR102361671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005516B1 (ko) 타이어
KR102268664B1 (ko) 타이어
KR102376518B1 (ko) 타이어
KR102001983B1 (ko) 타이어
KR100529780B1 (ko)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102015869B1 (ko) 타이어
KR20210103316A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20190015875A (ko) 타이어
KR10178262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635390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210081893A (ko) 타이어
KR20220094705A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