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51B1 -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51B1
KR102598451B1 KR1020160163353A KR20160163353A KR102598451B1 KR 102598451 B1 KR102598451 B1 KR 102598451B1 KR 1020160163353 A KR1020160163353 A KR 1020160163353A KR 20160163353 A KR20160163353 A KR 20160163353A KR 102598451 B1 KR102598451 B1 KR 10259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member
light transmitting
frame bod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921A (ko
Inventor
김주환
강기영
신상교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51B1/ko
Priority to US15/661,973 priority patent/US20180157090A1/en
Priority to EP17192795.7A priority patent/EP3330781B1/en
Priority to CN201711170652.XA priority patent/CN108153014B/zh
Publication of KR2018006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3Means for protecti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integrated waveguide
    • G02F2201/06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integrated waveguide channel; buri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으로서, 함몰부가 형성된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를 포함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접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Description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MOLDFRAM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몰드 프레임,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의 전계 생성 전극이 형성된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광원과 도광판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과 표시 패널을 결합하고,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된 바텀 샤시와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은 양면 테이프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양면 테이프는 접착제에 비해 접합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외부 충격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여 접합 불량과 빛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의 경우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기 위해 표시 장치가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이는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표시 장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베젤부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가 있으며, 베젤부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는 접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 사이의 새로운 접합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몰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 사이의 새로운 접합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으로서, 함몰부가 형성된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를 포함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접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테두리부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차광 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프레임 바디와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광학 밀도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광학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접합 부재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바디는 플라스틱, 비금속무기재료, 또는 카본 파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라스, 또는 석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 부재는 광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접합 부재와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프레임 바디와 맞닿아 접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가 상기 프레임 바디와 접하는 면의 거칠기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상면의 거칠기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프레임 바디와 접하는 측면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하면에 형성된 출광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두께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하면에 형성된 출광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타단 부근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 부근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의 두께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타단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노출된 측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연결된 제2 투광 부재, 및 상기 제1 투광 부재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2 투광 부재 측으로 입사시키도록 구성된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은,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와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 부재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은, 몰드 프레임 상부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광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면에 함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된 투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화성 조성물을 상기 투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 부재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상기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투광 부재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면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광을 도광시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투광 부재의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도광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상면을 통해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시켜 상기 광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몰드 프레임 상부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광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전에, 도광판 및 광원이 수납된 바텀 샤시와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광을 도광시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후에, 도광판 및 광원이 수납된 바텀 샤시와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접합 부재와 중첩하는 위치에 투광 부재를 배치하여 몰드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접합 부재로서 광 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 없이 충분한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조립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베젤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몰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21의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몰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소정의 상면 면적을 제공하는 몰드 프레임(200) 및 표시 패널(100)과 몰드 프레임(200)을 결합하는 접합 부재(3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도 1 등은 표시 패널(10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0)은 하부 기판(110) 및 상부 기판(120)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기판(110)은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배치된 기판이고 하부 기판(110)의 평면상 면적은 상부 기판(120)의 평면상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기판의 평면상 면적은 하부 기판의 평면상 면적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또, 표시 패널(100)은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가 정의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평면 시점에서, 표시영역은 비표시영역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구동 회로 및/또는 구동 소자와 연결되는 패드부가 위치하며 상기 패드부는 구동 회로부(700)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차광 패턴(130)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130)은 표시 패널(100)의 테두리부를 둘러싸는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차광 패턴(130)은 적어도 특정 파장 대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130)은 비표시영역으로 광이 투과하여 의도치 않은 빛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내부의 구성요소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등은 차광 패턴(130)이 상부 기판(120)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광 패턴(130)은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 사이에 배치되거나, 하부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하부 기판(110) 또는 상부 기판(120) 내에 포함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몰드 프레임(200)은 표시 패널(100)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200)은 대략 사각띠 형상의 프레임 바디(250) 및 프레임 바디(250) 상에 배치된 제1 투광 부재(21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200)은 한 쌍의 장변(도 3에서 가로변)과 한 쌍의 단변(도 3에서 세로변)으로 이루어진 사각띠 형상이고 몰드 프레임(200)의 상기 장변을 이루는 부분들과 상기 단변을 이루는 부분들은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장변과 하나의 단변은 서로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는 중앙에 개구(OP)를 정의하는 평면상 대략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바디(250)는 대략 사각띠 형상의 측벽부(250a) 및 측벽부(250a)의 내측벽으로부터 개구(OP) 방향(즉,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의 돌출부(250b)는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가지고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일 수 있다. 돌출부(250b)는 표시 패널(100)의 테두리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250b)의 상면에는 함몰부(250t)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함몰부(250t)는 마주하는 두 개의 내측벽과 기저면을 갖는 트렌치(trench)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함몰부(250t)는 하나의 내측벽과 기저면으로 이루어진 단차부일 수도 있다. 함몰부(250t)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평면상 대략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측벽부(250a)와 돌출부(250b)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비금속무기재료, 또는 카본 파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빛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바디(250)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는 약 0.3 이상, 약 0.5 이상, 또는 약 0.7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밀도는 투과광의 세기에 대한 입사광의 세기의 로그 값을 의미한다.
제1 투광 부재(2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대략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바디(250)의 함몰부(250t)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광 패턴(130)과 중첩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가 평면상 제1 방향(X)으로의 장변과 제2 방향(Y)으로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사각띠 형상인 경우 제1 투광 부재(210)는 프레임 바디(250)의 장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0)의 단면 형상은 함몰부(250t)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 등은 제1 투광 부재(210)를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투광 부재(210)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제1 투광 부재(210)의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함몰부(250t)가 돌출부(250b)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제1 투광 부재(210)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0)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250)의 돌출부(250b)의 상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0)의 두께는 함몰부(250t)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바디(250)와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와 하면은 프레임 바디(250)와 맞닿아 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0)의 하면과 프레임 바디(250)의 함몰부(250t)의 기저면 사이에 반사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0)의 제1 방향(X) 일단에 위치하는 측면(210a)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방향(X)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측면(210a)은 프레임 바디(250)의 측벽부(250a)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1 투광 부재(210)의 제1 방향(X) 타단에 위치하는 측면(210b)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1 방향(X) 상기 타단에 위치하는 측면(210b)은 프레임 바디(250)의 측벽부(250a)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는 프레임 바디(250)의 제1 방향(X)으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1 투광 부재(210)의 측면(210a, 210b)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는 프레임 바디(250)와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0)는 프레임 바디(2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투광 부재(210)의 광학 밀도는 프레임 바디(250)의 광학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는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글라스(glass), 또는 석영(quartz)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은 프레임 바디(25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은 약 1.0 초과, 약 1.05 이상, 약 1.1 이상, 약 1.2 이상, 또는 약 1.5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을 프레임 바디(250)의 굴절률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입사되는 광이 제1 투광 부재(210)와 프레임 바디(250) 사이의 계면에서 용이하게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20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제2 투광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바디(250)의 함몰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광 패턴(130)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는 프레임 바디(250)의 단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는 제1 투광 부재(2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투광 부재(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0)의 상면과 제2 투광 부재(230)의 상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투광 부재(230)의 제2 방향(Y) 일단에 위치하는 측면(230a)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방향(Y)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측면(230a)은 프레임 바디(250)의 측벽부(250a)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2 투광 부재(230)의 제2 방향(Y) 타단에 위치하는 측면(230b)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2 방향(Y) 상기 타단에 위치하는 측면(230b)은 프레임 바디(250)의 측벽부(250a)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0)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는 프레임 바디(25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2 투광 부재(230)의 측면(230a, 230b)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과 몰드 프레임(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부재(300)는 평면상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접합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 기판(110)의 하면과 몰드 프레임(200)의 상면과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접합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과 몰드 프레임(200)을 결합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양면 접착 테이프,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광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 부재(300)는 열 경화성 수지 및 광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 부재(300)의 굴절률은 제1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접합 부재(300)의 굴절률을 제1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입사되는 광이 제1 투광 부재(210)와 접합 부재(300) 사이의 계면에서 용이하게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합 부재(300)는 제1 투광 부재(2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은 제1 투광 부재(210)의 폭(W210)보다 작을 수 있다. 접합 부재(300)는 몰드 프레임(200)의 제1 투광 부재(210)와 맞닿아 접하되 프레임 바디(250)와 맞닿아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은 제1 투광 부재(210)의 폭(W210)보다 작고 접합 부재(300)는 제1 투광 부재(210) 및 프레임 바디(250)와 동시에 맞닿아 접할 수도 있다.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이 제1 투광 부재(210)의 폭(W210)보다 작을 경우,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접합 부재(300)의 중앙 부분에 비해 광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중앙 부분에 비해 경화되는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접합 부재(300)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은 제1 투광 부재(210)의 폭(W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접합 부재(300)는 차광 패턴(13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0), 접합 부재(300) 및 차광 패턴(1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500),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측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도광판(550) 및 광원 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550)은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여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550)은 광원 유닛(51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100) 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550)의 광원 유닛(510)과 인접한 측면은 입광면이고 도광판(550)의 표시 패널(100)과 대향하는 상면은 출광면일 수 있다. 도광판(550)은 광원 유닛(51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손실 없이 가이드할 수 있도록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 유닛(510)은 도광판(550)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510)은 광원(510b)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및 전원을 제공하는 광원 회로 기판(510a) 및 광원 회로 기판(510a)의 일면 상에 실장된 광원(51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회로 기판(510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광원(510b)은 광원 회로 기판(510a)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광원(510b)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광원(510b)은 백색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청색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자외선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도 1 등은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510)이 도광판(550)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에지형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광원 유닛(510)은 도광판(550)의 하부에 배치된 직하형 구조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바텀 샤시(4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고 내부에 백라이트 어셈블리(50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400)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자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바텀 샤시(400)의 측벽부는 몰드 프레임(200)의 측벽부(250a)와 밀착될 수도 있다. 바텀 샤시(4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 예컨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40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텀 샤시(400)는 몰드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00)은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00)은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광학 시트(610), 반사 시트(630), 보강 부재(670), 스페이서(650), 구동 회로부(700) 및 수납 용기(800, 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610)는 도광판(550)의 출사면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610)는 도광판(550)의 출사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측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및/또는 편광 특성을 변조하여 표시 장치(1000)의 휘도, 시야각 특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학 시트(610)는 프리즘 시트, 렌즈 시트, 확산 시트 및/또는 반사형 편광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630)는 도광판(5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630)는 도광판(550)으로부터 하측으로 누설된 광을 표시 패널(100)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 유닛(510)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00)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반사 시트(63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630)의 일면은 티타늄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은(Ag) 등의 금속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보강 부재(67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500)의 위치를 정렬(align)하고 지지하기 위한 바텀 몰드일 수 있다. 보강 부재(670)는 바텀 샤시(400) 내에 수납되어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70)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자 형상일 수 있다. 광원 유닛(510)은 고정 부재(530)를 개재하여 보강 부재(670)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강 부재(670)의 측벽부는 바텀 샤시(400)의 측벽부와 밀착될 수도 있다. 또, 보강 부재(670)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져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일 수 있다. 보강 부재(67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67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누설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강 부재(670)는 몰드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부재(670)와 몰드 프레임(200)은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보강 부재(670)와 몰드 프레임(200)은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650)는 보강 부재(6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650)는 도광판(550) 및 반사 시트(630)를 위치를 정렬하고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일 수 있다. 스페이서(650)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 시트(630)의 하면은 보강 부재(670)의 바닥부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650)는 적어도 특정 파장 대역의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700)는 연성 회로 필름(710) 및 인쇄 회로 기판(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71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일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710)은 인쇄 회로 기판(730)과 표시 패널(100)의 패드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710)은 가요성 재질,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바텀 샤시(4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바텀 샤시(400)의 배면측으로 만곡되어 구동 회로부(700)가 표시 장치(1000) 내에서 차지하는 평면상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710)의 일면 상에는 구동 집적 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 회로 기판(730)에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30)은 바텀 샤시(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과 연성 회로 필름(710)은 제1 도전 부재(750)를 통해 결합하고 연성 회로 필름(710)과 인쇄 회로 기판(730)은 제2 도전 부재(770)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1 도전 부재(750) 및 제2 도전 부재(77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일 수 있다. 제1 도전 부재(750) 및 제2 도전 부재(770)는 도전 입자(미도시)가 포함된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제1 도전 부재(750) 및 제2 도전 부재(770)가 예컨대, 상하 방향의 압력을 받을 경우 내부에 분산된 도전 입자 간의 인접 거리가 상호 도통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지고, 이를 통해 압력이 가해진 양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납 용기(800, 900)는 표시 패널(100), 몰드 프레임(200) 및 백라이트 유닛(500)이 수납된 바텀 샤시(400)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일 수 있다. 수납 용기(800, 900)는 배면 커버(800) 및 전면 커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커버(800)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자 형태일 수 있다. 만곡된 연성 회로 필름(710)은 몰드 프레임(200)의 측벽부(250a)와 배면 커버(800)의 측벽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인쇄 회로 기판(730)은 바텀 샤시(400)의 바닥부와 배면 커버(800)의 바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면 커버(900)는 평면상 대략 사각띠 형상을 가지고 표시 장치(1000)의 테두리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커버(900)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9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전면 커버(900)와 배면 커버(800)는 결합되고 배면 커버(800)와 몰드 프레임(200)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1) 및 몰드 프레임은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이 제1 투광 부재(211)의 폭(W211)보다 큰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접합 부재(300)는 몰드 프레임의 제1 투광 부재(211) 및 프레임 바디(251)와 동시에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접합 부재(300)의 폭(W300)이 제1 투광 부재(211)의 폭(W211)보다 클 경우,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의 중앙 부분은 접합 부재(3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광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중앙 부분에 비해 경화되는 정도가 더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접합 부재(300)에 소정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어 표시 장치(1001)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투광 부재(211), 접합 부재(300) 및 차광 패턴(1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4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 및 몰드 프레임은 몰드 프레임의 함몰부(252t)의 내측벽이 경사를 갖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2)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하면과 프레임 바디(252)는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2)의 단면 형상은 함몰부(252t)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투광 부재(212)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광 부재(212)의 상단부의 폭은 제1 투광 부재(212)의 하단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제1 투광 부재(212)를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투광 부재(21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평행사변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제1 투광 부재(212)의 경사진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투광 부재(212)의 측면, 즉 몰드 프레임의 함몰부(252t)의 내측벽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제1 투광 부재(212)를 통해 진행하는 광이 상측, 즉 접합 부재(300) 측으로 용이하게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8은 도 4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3) 및 몰드 프레임은 제1 투광 부재(213)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하면이 소정의 거칠기를 갖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3)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하면과 프레임 바디(253)는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3)의 단면 형상은 함몰부(253t)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함몰부(253t)의 내측벽과 기저면은 소정의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함몰부(253t)의 내측벽과 기저면은 불규칙한 요철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 바디(253)와 맞닿아 접하는 제1 투광 부재(213)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하면의 거칠기는 프레임 바디(253)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1 투광 부재(213)의 상면의 거칠기보다 클 수 있다. 즉, 프레임 바디(253)와 제1 투광 부재(213) 사이의 계면의 거칠기는 제1 투광 부재(213)의 상면의 거칠기에 비해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제1 투광 부재(213)를 통해 진행하는 광이 상측으로 산란되어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몰드 프레임의 제1 투광 부재(213)와 프레임 바디(253)를 이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할 경우 제조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1 투광 부재(213)와 프레임 바디(253) 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0은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4) 및 몰드 프레임은 제1 투광 부재(214)의 하면이 경사를 갖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함몰부가 몰드 프레임의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제1 투광 부재(214)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 제1 투광 부재(214)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일단(도 1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4a)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타단(도 10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4b)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의 두께는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의 두께(te)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214)의 중앙부의 두께(tc)는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의 두께 및 상기 타단의 두께(te)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에서 제1 투광 부재(214)의 중앙부로 갈수록 제1 투광 부재(214)의 두께는 점차 감소하고,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에서 제1 투광 부재(214)의 중앙부로 갈수록 제1 투광 부재(214)의 두께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투광 부재(214)의 중앙부의 두께(tc)가 0보다 크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4)의 두께(tc)는 0이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투광 부재(214)와 타측의 제1 투광 부재(214)는 단속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하는 제1 투광 부재(214)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의 측면(214a) 및 상기 타단의 측면(214b)에서 각각 멀어지는 방향(즉,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투광 부재(214)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이 제1 투광 부재(214)와 프레임 바디 사이의 계면에서 용이하게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광부로부터의 거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합 부재(300)가 균일하게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면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11은 도 3에 대응되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5) 및 몰드 프레임(205)은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일단(도 12의 좌측 단부)의 두께(ta)가 제1 투광 부재의 제1 방향(X) 타단(도 12의 우측 단부)의 두께(tb)보다 크고,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타단이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커버되는 점이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1004) 및 몰드 프레임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5)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대략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바디(255)의 함몰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가 프레임 바디(255)의 돌출부(255b)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제1 투광 부재(215)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5)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일단(도 12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5a)은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타단(도 12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5b)은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는 프레임 바디(255)의 제1 방향(X)으로의 폭보다 짧을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일단 측면(215a)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한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일단의 두께(ta)는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타단의 두께(tb)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에서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제1 투광 부재(215)의 두께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타단의 두께(tb)가 0보다 크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타단의 두께(tb)는 0이고 제1 투광 부재(215)의 상기 타단은 측면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하는 제1 투광 부재(215)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의 측면(215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투광 부재(215)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이 제1 투광 부재(215)와 프레임 바디(255) 사이의 계면에서 용이하게 반사 및/또는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광부로부터의 거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합 부재(300)가 균일하게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투광 부재(235)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대략 막대 형상이되 제2 투광 부재(235)의 하면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바디(255)의 함몰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5)는 제1 투광 부재(21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투광 부재(2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5)의 상면과 제2 투광 부재(235)의 상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5)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투광 부재(235)의 제2 방향(Y) 일단(도 11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35a)은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투광 부재(235)의 제2 방향(Y) 타단(도 11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은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5)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는 프레임 바디(255)의 제2 방향(Y)으로의 폭보다 짧을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5)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2 투광 부재(235)의 상기 일단 측면(235a)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한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5)와 마찬가지로 제2 투광 부재(235)의 제2 방향(Y) 상기 일단에서 제2 투광 부재(235)의 제2 방향(Y)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제2 투광 부재(235)의 두께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3은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6) 및 몰드 프레임은 제1 투광 부재(216)의 하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광 패턴(216p)을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6)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하면과 프레임 바디는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제1 투광 부재(216)는 함몰부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출광 패턴(216p)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단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 패턴(216p)의 폭 및/또는 높이는 대략 균일할 수 있다. 출광 패턴(216p)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반사 및/또는 전반사를 반복하며 제1 투광 부재(216)를 통해 진행하는 광이 상측, 즉 접합 부재(300) 측으로 용이하게 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출광 패턴(216p)이 제1 투광 부재(216)의 하면으로부터 제1 투광 부재(216)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이고 프레임 바디가 상기 함몰된 부분을 충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출광 패턴(216p)은 제1 투광 부재(216)의 하면으로부터 프레임 바디 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다. 즉, 출광 패턴(216p)은 함몰 패턴 또는 돌출 패턴일 수 있다.
또, 제1 투광 부재(216)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일단(도 13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6a)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타단(도 13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6b)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216)의 중앙부에서의 출광 패턴(216p)의 배열 밀도는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 및 타단에서의 출광 패턴(216p)의 배열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열 밀도는 단위 면적에 대해 출광 패턴(216p)이 차지하는 평면상 면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에서 제1 투광 부재(216)의 중앙부로 갈수록 제1 방향(X)으로 인접한 출광 패턴(216p)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짧아지고,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에서의 제1 투광 부재(216)의 중앙부로 갈수록 제1 방향(X)으로 인접한 출광 패턴(216p)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짧아질 수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하는 제1 투광 부재(216)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의 측면(216a) 및 상기 타단의 측면(216b)에서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출광 패턴(216p)의 배열 밀도가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이 접합 부재(300) 측으로 용이하게 출광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광부로부터의 거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합 부재(300)가 균일하게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4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7) 및 몰드 프레임은 제1 방향(X)으로 인접한 출광 패턴(217p) 간의 이격 거리는 대략 균일하고, 제1 투광 부재(217)의 중앙부로 갈수록 복수의 출광 패턴(217p)의 폭이 커지는 점이 도 13에 따른 표시 장치(1006) 및 몰드 프레임과 상이한 점이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하는 제1 투광 부재(217)의 제1 방향(X) 일단(도 14의 좌측 단부)의 측면(217a) 및 타단(도 14의 우측 단부)의 측면(217b)에서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출광 패턴(217p)의 배열 밀도가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이 접합 부재(300) 측으로 용이하게 출광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광부로부터의 거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합 부재(300)가 균일하게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5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8) 및 몰드 프레임은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일단(도 15의 좌측 단부)에서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타단(도 15의 우측 단부)으로 갈수록 출광 패턴(217p)의 배열 밀도가 커지고, 제1 투광 부재(218)의 상기 타단이 프레임 바디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커버되는 점이 도 13에 따른 표시 장치(1006) 및 몰드 프레임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8)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일단(도 15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8a)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타단(도 15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8b)은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제1 투광 부재(218)의 상기 일단 측면(218a)은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한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 부근에서의 출광 패턴(218p)의 배열 밀도는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 부근에서의 출광 패턴(218p)의 배열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5는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에서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제1 방향(X)으로 인접한 출광 패턴(218p) 간의 이격 거리가 점차 짧아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출광 패턴(218p)의 크기(폭 및/또는 높이)가 점차 커질 수도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접합 부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광의 입광부를 형성하는 제1 투광 부재(218)의 제1 방향(X) 상기 일단(도 15의 좌측 단부)의 측면(218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출광 패턴(218p)의 배열 밀도가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이 접합 부재(300) 측으로 용이하게 출광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광부로부터의 거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합 부재(300)가 균일하게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불규칙할 수 있다. 즉, 제1 투광 부재의 제1 방향(X) 일단에서 타단으로 감에 따라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규칙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제1 투광 부재의 제1 방향(X)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배열 밀도가 밀한 부분과 소한 부분이 반복되되, 출광 패턴의 배열 및/또는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불규칙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의 평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6은 도 3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몰드 프레임(209)은 제1 투광 부재(219) 및 제2 투광 부재(239)를 포함하되, 제1 투광 부재(219)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하여 제2 투광 부재(239) 측으로 입사시키도록 구성된 반사 부재(270)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투광 부재(219)는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가 프레임 바디(259)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제1 투광 부재(219)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 제1 투광 부재(219)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 부재(219)의 제1 방향(X) 일단(도 16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9a)은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1 투광 부재(219)의 제1 방향(X) 타단(도 16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은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투광 부재(239)는 대략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투광 부재(239)의 상면은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투광 부재(239)의 측면은 모두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투광 부재(239)는 상면을 제외하고 모두 프레임 바디(259)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209)은 제1 투광 부재(219)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하여 제2 투광 부재(239) 측으로 입사시키도록 구성된 반사 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제1 투광 부재(219)와 제2 투광 부재(239)의 연결 부위 부근에 위치하고, 프레임 바디(259)의 함몰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270)의 일면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동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입광부(즉, 제1 투광 부재(219)의 측면(219a))이 몰드 프레임(209)의 평면상 꼭지점 부근에 한 개가 형성되고 반사 부재(270)가 몰드 프레임(209)의 평면상 꼭지점 부근에 세 개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입광부는 두 개 이상이거나, 상기 입광부는 몰드 프레임(209)의 평면상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 모서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표시 장치(1000) 및 몰드 프레임(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우선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한다(S11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미도시) 및 도광판(55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보강 부재(670) 등은 바텀 샤시(4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바텀 샤시(400)의 측벽부와 몰드 프레임의 측벽부(250a)를 나사 결합하거나, 후크 결합하거나, 또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몰드 프레임은 평면상 사각띠 형상의 측벽부(250a), 측벽부(250a)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250b)를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250) 및 프레임 바디(250) 상에 배치된 투광 부재(210)를 포함한다. 투광 부재(210)는 대략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막대 형상으로, 투광 부재(2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면은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210, 250)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중사출을 통해 프레임 바디(250)와 투광 부재(210)가 결합된 몰드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도광판(55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프레임 바디(250)와 투광 부재(210)를 포함하는 몰드 프레임 등의 형상, 배치, 재질 등은 도 1 등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400)가 결합된 몰드 프레임(210, 250) 상부에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고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제공한다(S120).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은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은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몰드 프레임의 투광 부재(2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투광 부재(210)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도포한 후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거나, 또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도포한 후 몰드 프레임의 투광 부재(210)와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몰드 프레임(210, 25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투광 부재(210)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한다(S130).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하는 단계(S130)는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광 부재(210)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하는 단계(S130)는,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측면을 통해 투광 부재(210)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S131),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광 부재(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단계(S132) 및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상면을 통해 가이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함으로써 접합 부재(300)를 형성하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투광 부재(210)의 제1 방향(X) 일단(도 2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0a) 및 제1 방향(X) 타단(도 20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210b)은 입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측면을 통해 투광 부재(210)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S131)는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측면(210a, 210b)을 통해 투광 부재(210) 내부로 레이저(L)를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L)는 자외선 파장 대역을 갖는 레이저일 수 있다.
투광 부재(210) 내부로 입사된 광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투광 부재(210)를 따라 가이드되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광 부재(210)와 프레임 바디(250) 사이의 계면 및 투광 부재(210)와 경화성 조성물(300')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 및/또는 전반사를 반복하며 대략 제1 방향(X)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 투광 부재(210) 내부로 입사된 광 및 투광 부재(210)에 의해 가이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광 부재(210)의 상면, 즉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 측으로 출사될 수 있다. 투광 부재(210)의 상면을 통해 출사된 광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의 경화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광에 의해 경화된 접합 부재(3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S130) 후에 배면 커버 및 전면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21의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은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된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하기 전에,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을 결합하는 점이 도 17 등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과 상이한 점이다.
우선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210, 250) 상부에 표시 패널(100)을 배치하고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제공한다(S210).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은 몰드 프레임의 투광 부재(210) 상에서 투광 부재(2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에 대해서는 도 17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투광 부재(210)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한다(S220).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하는 단계(S220)는 몰드 프레임(210, 250)과 표시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광 부재(210)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하는 단계(S220)는,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측면을 통해 투광 부재(210)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S221),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광 부재(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단계(S222) 및 투광 부재(210)의 노출된 상면을 통해 가이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시켜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을 경화함으로써 접합 부재(300)를 형성하는 단계(S2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광 부재(210)의 굴절률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30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17 등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한다(S23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미도시) 및 도광판(55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보강 부재(670) 등은 바텀 샤시(4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나사 결합, 후크 결합,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텀 샤시(400)와 몰드 프레임(210, 250)을 결합하는 단계(S230) 후에 배면 커버 및 전면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몰드 프레임 및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은 몰드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투광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경화성 수지 조성물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온에서 장시간 동안 경화 공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표시 패널과 몰드 프레임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몰드 프레임
300: 접합 부재
400: 바텀 샤시
500: 백라이트 유닛
1000: 표시 장치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으로서, 함몰부가 형성된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투광 부재를 포함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접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테두리부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차광 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중첩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프레임 바디와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광학 밀도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광학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접합 부재의 굴절률보다 큰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플라스틱, 비금속무기재료, 또는 카본 파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라스, 또는 석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 부재는 광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접합 부재와 직접 맞닿아 접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상기 프레임 바디와 맞닿아 접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가 상기 프레임 바디와 접하는 면의 거칠기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상면의 거칠기보다 큰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프레임 바디와 접하는 측면은 경사를 갖는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하면에 형성된 출광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두께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투광 부재는 하면에 형성된 출광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타단 부근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 부근에서의 상기 출광 패턴의 배열 밀도보다 큰 표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일단의 두께는,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상기 타단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부재의 노출된 측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정렬되어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투광 부재와 연결된 제2 투광 부재, 및
    상기 제1 투광 부재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2 투광 부재 측으로 입사시키도록 구성된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표시 장치.
  16.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와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 부재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투광 부재의 일 측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벽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몰드 프레임.
  17. 몰드 프레임 상부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면에 함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된 투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상기 투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 부재를 통해 광을 도광시켜 상기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투광 부재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면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고,
    상기 광을 도광시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투광 부재의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도광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상면을 통해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시켜 상기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 상부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전에,
    도광판 및 광원이 수납된 바텀 샤시와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도광시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후에,
    도광판 및 광원이 수납된 바텀 샤시와 상기 몰드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60163353A 2016-12-02 2016-12-02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59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53A KR102598451B1 (ko) 2016-12-02 2016-12-02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US15/661,973 US20180157090A1 (en) 2016-12-02 2017-07-27 Mold fram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EP17192795.7A EP3330781B1 (en) 2016-12-02 2017-09-25 Mold fram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CN201711170652.XA CN108153014B (zh) 2016-12-02 2017-11-2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53A KR102598451B1 (ko) 2016-12-02 2016-12-02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21A KR20180063921A (ko) 2018-06-14
KR102598451B1 true KR102598451B1 (ko) 2023-11-06

Family

ID=5996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53A KR102598451B1 (ko) 2016-12-02 2016-12-02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57090A1 (ko)
EP (1) EP3330781B1 (ko)
KR (1) KR102598451B1 (ko)
CN (1) CN108153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8367B1 (en) * 2017-08-28 2023-1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0827687B (zh) * 2018-12-05 2022-05-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624015B1 (ko) * 2019-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72707A1 (zh) * 2019-10-17 2021-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2669703B (zh) * 2020-12-31 2022-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框以及显示装置
CN114754048A (zh) * 2022-04-13 2022-07-15 深圳金立翔视效科技有限公司 框架及显示屏
CN114859606B (zh) * 2022-07-05 2022-10-28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646A (ja) * 2008-09-24 2010-04-0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0223999A (ja) 2009-03-19 2010-10-0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4119672A (ja) 2012-12-19 2014-06-30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WO2015177866A1 (ja) 2014-05-20 2015-11-26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0625B (en) * 2002-09-27 2007-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0383638C (zh) * 2003-08-28 2008-04-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系统
CN100510884C (zh) * 2004-01-05 2009-07-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及其制造方法
TWI240121B (en) * 2004-01-07 2005-09-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38258A (ko) * 2004-10-29 2006-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1385474B1 (ko) * 2007-10-26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JP5097060B2 (ja) * 2008-09-04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20100039013A (ko) * 2008-10-07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5469329B2 (ja) * 2008-11-27 2014-04-16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10019823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US20120176567A1 (en) * 2009-09-15 2012-07-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540586A (zh) * 2010-12-15 2012-07-04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202057922U (zh) * 2011-04-26 2011-1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液晶显示装置的固定结构及液晶显示装置
KR101796732B1 (ko) * 2011-04-18 2017-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35146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1964B1 (ko) * 2012-06-11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KR101975214B1 (ko) * 2012-08-06 2019-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과 이의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KR102050382B1 (ko) * 2012-11-28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 장치
KR101472752B1 (ko) * 2012-12-24 2014-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013699B1 (ko) * 2012-12-26 2019-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1834A (ko) * 2013-01-14 2014-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 2014-09-11 2021-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503131B (zh) * 2015-01-08 2017-06-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及显示器件
CN104777662A (zh) * 2015-04-02 2015-07-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制造液晶盒的方法、液晶盒以及显示器
KR20160126160A (ko) * 2015-04-22 2016-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652523B (zh) * 2016-04-12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组件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646A (ja) * 2008-09-24 2010-04-0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0223999A (ja) 2009-03-19 2010-10-0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4119672A (ja) 2012-12-19 2014-06-30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WO2015177866A1 (ja) 2014-05-20 2015-11-26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781B1 (en) 2019-06-19
KR20180063921A (ko) 2018-06-14
EP3330781A1 (en) 2018-06-06
CN108153014B (zh) 2022-09-20
CN108153014A (zh) 2018-06-12
US20180157090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451B1 (ko)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1347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9875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4959971B2 (ja) 光学パッケージ、光学レンズ、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1013832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63488A1 (en)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200916313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18348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4170159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332024A (ja) 面状光源装置
KR2014002015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법
JP6170257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JP2018072515A (ja) 表示装置
JP5355920B2 (ja) 収納容器とそれ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
US20180157117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2019003436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83690A (ko) 표시장치
US11307349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module
KR201400836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206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60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4992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304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2153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60988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반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