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380B1 - 지폐 입금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입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380B1
KR102598380B1 KR1020217034534A KR20217034534A KR102598380B1 KR 102598380 B1 KR102598380 B1 KR 102598380B1 KR 1020217034534 A KR1020217034534 A KR 1020217034534A KR 20217034534 A KR20217034534 A KR 20217034534A KR 102598380 B1 KR102598380 B1 KR 10259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ndle
bills
banknote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813A (ko
Inventor
고우이치 나베야마
고우이치 니시다
가즈토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폐 입금 장치에 있어서의 입금 처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금되는 지폐를 금고 내의 수납고에 수납하는 지폐 입금 장치를, 입금되는 지폐를 계수하는 식별부와, 이동 가능한 스테이지를 갖고, 식별부에서 계수된 지폐를 스테이지 상에 입위 상태로 집적하는 집적부와, 집적부에 집적된 다발 수납 장수분의 지폐의 다발을 입위 상태로 수납고에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다발 수납 장수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스테이지 및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구성한다.

Description

지폐 입금 장치
이 발명은, 지폐를 입금하기 위한 지폐 입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폐의 입금 처리를 실시하는 지폐 입금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지폐의 입금을 접수하여, 하부의 금고 내에 형성된 수납 카세트에 수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입금되는 지폐를 수용부로부터 장치 내로 수용하여 반송로를 따라 반송한다. 지폐는, 반송로의 도중에 형성된 식별부에 의해 금종이 식별된 후, 입위 상태로 집적부에 집적된다. 조작자가 지시 접수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지폐의 수납 지시에 기초하여, 집적부의 복수 장의 지폐가 금고 내의 수납 카세트에 수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92004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집적부의 지폐를 금고 내에 수납하기 위해 지시 접수부에 수납 지시를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집적부에 집적할 수 있는 지폐의 장수에는 상한이 있으며 미리 최대 장수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최대 장수를 초과하는 지폐를 입금하는 경우, 집적부의 지폐 장수가 최대 장수에 도달할 때마다, 조작자는 지시 접수부에 수납 지시를 입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악화된다. 특히, 조작자가 다른 작업과 병행하여 지폐의 입금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다른 작업을 실시하면서 수납 지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해야만 하여 작업 효율이 나빠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폐를 효율적으로 입금할 수 있는 지폐 입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금되는 지폐를 금고 내의 수납고에 수납하는 지폐 입금 장치로서, 입금되는 지폐를 계수하는 식별부와, 이동 가능한 스테이지를 갖고, 상기 식별부에서 계수된 지폐를 상기 스테이지 상에 입위 상태로 집적하는 집적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다발 수납 장수분의 지폐의 다발을 입위 상태로 상기 수납고에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상기 다발 수납 장수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발 수납 장수는, 상기 집적부에 집적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를 상한으로 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발 수납 장수는 복수의 정보 각각과 관련지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발 수납 장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고는,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1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한 제 1 셔터를 갖고, 상기 수납고는, 상기 금고의 제 1 개구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제 2 셔터를 갖고, 상기 금고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수납고에 지폐 다발을 수납할 때에 열리고 수납 후에는 닫히며, 상기 제 2 셔터는, 상기 수납고가 상기 금고 내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으로 진출하여 지폐를 지지함과 함께, 지지하는 지폐의 장수가 증가하였을 때에는 상기 집적 공간으로부터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회동 (回動)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부터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는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발 반송부는, 반송하는 지폐 다발의 지폐면에 접하여 반송력을 부여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지폐 다발을 상기 제 1 부재에 가압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롤러 또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롤러, 또는 복수의 롤러에 걸쳐 놓여진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코어의 외주면에,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부드러운 재료를 포함하는 외주 부재가 배치된 롤러이고,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집적 공간에 노출시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지폐 다발을 구성하는 모든 지폐가, 상기 제 1 부재에 접하는 지폐와 함께 이동하도록 각 지폐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힘으로 상기 지폐 다발을 상기 제 2 부재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조작자의 승인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수납을 승인하는 승인 조작이 상기 조작부에서 실시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조작자에게 상기 승인 조작을 요구할지의 여부는 복수의 정보 각각과 관련지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변경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지폐 입금 장치에서는, 집적부에 미리 설정된 다발 수납 장수의 지폐를 집적할 때마다 집적부의 지폐를 자동적으로 수납고에 수납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이 설정으로 함으로써, 조작자는, 다발 수납 장수를 초과하는 지폐를 입금하는 경우에도, 수납 지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지폐의 입금 처리를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입금 처리에 관련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폐 입금 장치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계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수납고 및 지폐 입금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 는,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다발을 수납고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지지 부재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반송 롤러 및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가압부 및 스테이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가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집적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집적과 집적된 지폐 다발의 반송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지폐 다발의 반송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은, 가압부 및 반송 롤러와 수납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센서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수납 모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 는, 압출 부재를 이용하는 다발 반송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지폐 입금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폐 입금 장치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지폐 입금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각 도면에는, 도시한 각 구성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직교하는 X, Y, Z 의 3 축을 나타내고 있다. XY 평면을 수평면으로 하여 X 축 정방향이 장치 전방을 나타내고, Y 축 정방향측이 장치 우측을 나타내고, Z 축 정방향이 상방을 나타내고 있다.
지폐 입금 장치 (1)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지폐를 식별 계수하는 계수 장치 (2) 와, 지폐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금고 (3) 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금고 (3) 는,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고 (4) 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계수 장치 (2) 가 식별 계수한 지폐는, 금고 (3) 의 내부에 장착된 수납고 (4) 에 수납된다.
수납고 (4) 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400) 과, 프레임 (400) 에 장착된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수납부 (41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프레임 (400) 에 나일론제의 수납부 (410) 를 장착한 것이 수납고 (4) 로서 이용된다. 수납고 (4) 의 상면, 즉 프레임 (400) 의 상면에, 장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 (400a) 가 형성되어 있다. 계수 장치 (2) 가 식별 계수한 지폐는, 프레임 (400) 의 개구부 (400a) 로부터 수납부 (410) 에 수납된다.
금고 (3) 내에서 수납고 (4) 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 (400) 의 폭 측면 각각에 가이드 (401) 가 형성되고, 금고 (3) 의 대향하는 내벽에 각 가이드 (401) 에 대응하여 레일 (301) 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400) 의 좌우의 가이드 (401) 를 금고 (3) 내의 레일 (301) 의 홈에 삽입하여 금고 (3) 내로 압입함으로써, 수납고 (4) 가 금고 (3) 에 장착된다. 압입된 수납고 (4) 는, 금고 (3) 내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 위치에서, 금고 (3) 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수납고 (4) 의 개구부 (400a) 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고, 계수 장치 (2) 의 지폐가, 계수 장치 (2) 의 바닥면 개구부, 금고 (3) 의 상면 개구부 및 수납고 (4) 의 상면 개구부 (400a) 를 거쳐, 수납고 (4) 의 내부에 수납된다.
금고 (3) 는, 전면 (前面) 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 (300) 와, 본체 (300) 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 (310) 을 포함한다. 본체 (300) 의 상면에는, 본체 (300)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수납고 (4) 의 개구부 (400a) 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본체 (300) 및 문 (310) 은 견뢰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금고 (3) 를 포함하는 지폐 입금 장치 (1) 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 (300) 의 바닥면에 복수의 차륜 (320) 이 장착되어 있다. 문 (310) 은 로크 기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 (310) 을 닫고, 열쇠 구멍 (311) 에 꽂은 열쇠에 의해 로크 기구가 시해정 (施解錠) 된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자물쇠의 조작부를 문 (310) 에 형성하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자 자물쇠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에 의해 문 (310) 을 시해정한다. 문 (310) 을 시정함으로써, 금고 (3) 내의 수납고 (4) 에 수납된 대량의 지폐가 훔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는, 계수 장치 (2) 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수납고 (4) 및 지폐 입금 장치 (1) 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a) 는 수납고 (4) 의 상측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 는, 계수 장치 (2) 와, 금고 (3) 의 상측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계수 장치 (2) 가,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고 (3) 의 상면에 설치하여 이용된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수 장치 (2) 에는, 지폐 입금 장치 (1) 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150) 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 (150) 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다. 지폐 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하는 지폐 입금 장치 (1) 의 기능 및 동작은, 기억부에 보존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면서 제어부 (150) 가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400) 내에는, 상면의 개구부 (400a) 를 개폐하는 셔터 (420)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고 (4) 의 개구부 (400a) 는, 통상적으로 셔터 (420)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로써, 수납부 (410) 에 수납된 지폐를 개구부 (400a) 로부터 꺼낼 수 없게 되어 있다.
셔터 (420) 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400a) 를 닫은 폐색 위치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납고 (4) 의 가이드 (401) 를 금고 (3) 의 레일 (301) 에 맞춰, 수납고 (4) 를 금고 (3) 내로 압입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고 (3) 내에 고정되어 형성된 삽입부 (340) 가 프레임 (400) 의 길이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다. 수납고 (4) 가 장치 후방 (X 축 부방향) 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된 삽입부 (340) 에 배면부를 접촉시키는 셔터 (420) 는, 프레임 (400) 내에서 장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프레임 (400) 내에서 셔터 (420) 가 이동함으로써, 셔터 (420) 에 형성된 개구부 (420a) 와 프레임 (400) 의 개구부 (400a) 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고, 수납고 (4) 의 밖으로부터 수납고 (4) 중에 지폐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수납고 (4) 의 개구부 (400a) 는, 수납고 (4) 를 금고 (3) 에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열려 있다. 수납고 (4) 를 금고 (3) 로부터 꺼낼 때에 삽입부 (340) 가 인발되면, 셔터 (420) 가 프레임 (400) 내에서 장치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400a) 가 폐색된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고 (3) 의 본체 (300)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300) 내부에는,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330) 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330) 는 금고 (3) 와 동일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금고 (3) 의 개구부는, 통상적으로 셔터 (330)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금고 (3) 에 장착된 수납고 (4) 의 개구부 (400a) 는 열려 있지만, 금고 (3) 의 개구부는 금속제의 셔터 (330)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로써, 설령 금고 (3) 의 상면으로부터 계수 장치 (2) 를 분리하더라도, 수납고 (4) 에 수납된 지폐를 금고 (3) 의 밖으로 꺼낼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501) 가 집적되는 계수 장치 (2) 의 집적부 (50) 와 금고 (3) 의 본체 (300) 상면 사이에는, 스테이지 (100) 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지 (100) 는, 지폐 (501) 가 집적되는 집적부 (50) 의 집적 공간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집적 공간과 금고 (3) 사이를 접속시키는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로서 기능한다. 계수 장치 (2) 의 스테이지 (100) 및 금고 (3) 의 셔터 (330) 는, 집적부 (50) 의 지폐 (501) 를 수납고 (4) 에 수납할 때에 개폐되는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계수 장치 (2) 는, 장치 상면에 입금부 (20) 를 갖는다. 입금부 (20) 에는, 입금되는 복수 장의 지폐 (500) 가 집적 상태로 재치 (載置) 된다. 입금부 (20) 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 (21) 가, 지폐 (500) 의 집적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계수 장치 (2) 는, 전면에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30) 와, 복수의 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31) 를 갖는다. 입금 처리에 관한 정보가 표시부 (30) 에 표시된다. 지폐 입금 장치 (1) 의 조작자는, 표시부 (30) 의 정보를 확인하면서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입금 처리의 설정 및 실행에 관련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표시부 (30) 및 조작부 (31) 의 하방에, 입금할 수 없는 리젝트 지폐가 집적되는 리젝트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리젝트부 (40) 의 하방에, 입금 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 (50) 가 형성되어 있다. 집적부 (50) 에는, 장치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5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를 폐색하는 셔터 (51) 는,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 (50) 를 개방한다.
셔터 (51) 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자동 개폐된다. 셔터 (51) 는, 계수 장치 (2) 가 지폐 처리를 개시할 때에 자동적으로 닫힌다. 셔터 (51) 는,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 (501) 를 꺼낼 필요가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열린다. 또, 지폐 처리가 완료되면 셔터 (51) 가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어 있다.
지폐 입금 장치 (1) 는, 장치 전면의 집적부 (50) 의 개구부로부터 금고 (3) 내부의 수납고 (4) 에 수납된 지폐에 이르는 사이에, 집적부 (50) 의 셔터 (51) 와, 셔터로서 기능하는 스테이지 (100) 와, 금고 (3) 의 셔터 (330) 와, 수납고 (4) 의 셔터 (420) 를 갖는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수 장치 (2) 는, 3 개의 유닛 (11 ∼ 13) 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부 유닛 (11) 은, 도 2 의 우하측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장치 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이 상방으로 열린다. 입금부 (20), 표시부 (30) 및 조작부 (31) 를 포함하는 중간 유닛 (12) 도 동일하게 장치 내 우하측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좌측이 상방으로 열린다. 리젝트부 (40) 및 집적부 (50) 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 (13) 의 우측면에는 프린터 (17)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롤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서멀 프린터가 프린터 (17) 로서 이용된다. 정보가 인쇄된 롤지 (18) 가, 프린터 (17) 로부터, 즉 하부 유닛 (13) 의 우측면으로부터 배출된다.
하부 유닛 (13) 에는, 도 2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수 장치 (2) 의 배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먼지 받이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 받이부 (14) 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갖는다. 장치 내에서 지폐로부터 낙하한 먼지를 받을 수 있도록, 먼지 받이부 (14) 는, 장치 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부 (70)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유닛 (13) 의 배면측으로부터 먼지 받이부 (14) 를 꺼내어 분리하여, 트레이에 모인 먼지를 버릴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수 장치 (2) 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그부 (15, 16) 가 형성되어 있다. 집적부 (50) 의 셔터 (51) 를 하방향으로 열 때, 도 3(b)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의 레그부 (16) 내에 셔터 (51) 가 수납된다. 금고 (3) 의 상면에서 계수 장치 (2) 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금고 (3) 의 본체 (300) 의 상면에, 계수 장치 (2) 의 각 레그부 (15, 16) 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계수 장치 (2) 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레그부 (15, 16) 를 각각 대응하는 오목부에 끼워넣어 금고 (3) 상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로써, 계수 장치 (2) 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금고 (3) 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고, 스테이지 (100) 및 셔터 (330) 를 엶으로써, 집적부 (50) 의 지폐 (501) 를 금고 (3) 중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금부 (20) 는, 키커 롤러 (22), 피드 롤러 (23) 및 게이트 롤러 (24) 를 포함한다. 키커 롤러 (22) 는, 길이를 Y 축과 평행하게 하여 재치된 복수의 지폐 (500) 중, 맨 아래에 있는 지폐를 장치 내의 반송로를 향하여 차낸다. 피드 롤러 (23) 는, 차내어진 지폐를 장치 내의 반송로에 조출한다. 피드 롤러 (23) 와 대향 배치된 게이트 롤러 (24) 는, 피드 롤러 (23) 에 의한 지폐의 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출 대상의 지폐가 데리고 나가려고 하는 다른 지폐를 되밀어낸다. 이로써, 입금부 (20) 의 지폐 (500) 가 1 장씩 분리되어 장치 내의 반송로에 조출된다. 도 3(b) 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계수 장치 (2) 에는, 지폐를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입금부 (20), 리젝트부 (40) 및 집적부 (50) 에는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 입금 장치 (1) 는, 입금부 (20) 의 지폐를 검지하여 지폐의 조출 처리를 개시하거나, 집적부 (50) 의 지폐를 검지하여 셔터 (51) 를 개폐하거나 할 수 있다.
장치 내에 1 장씩 조출된 지폐는 반송부 (70) 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부 (70) 는, 지폐를 반송하는 복수의 벨트 및 복수의 롤러와, 지폐를 반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반송부 (70) 는, 장치 내에 형성된 반송로를 따라 지폐를 반송한다. 반송로는, 입금부 (20) 로부터 장치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반송로의 도중에, 반송부 (70) 가 반송하는 지폐를 식별하는 식별부 (6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상부 유닛 (11) 을 상방으로 열었을 때에는, 상부 반송로의 반송면이 개방되고, 반송로에 가득찬 지폐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식별부 (60) 는, 두께 센서 (61), 라인 센서 (62), 자기 센서 (63) 및 형광 센서 (64) 를 포함한다. 두께 센서 (61) 는 지폐의 두께를 계측한다. 라인 센서 (62) 는, 지폐의 표면 전체면의 반사 화상과, 이면 전체면의 반사 화상과, 투과 화상을 취득한다. 자기 센서 (63) 는, 지폐 전체면의 자기 특성을 검출한다. 형광 센서 (64) 는, 자외광을 조사하여, 지폐의 표면 전체면의 형광 특성과, 이면 전체면의 형광 특성을 검출한다. 식별부 (60) 는, 각 센서 (61 ∼ 64) 에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폐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식별부 (60) 는, 지폐의 금종, 진위 및 정손을 식별한다. 식별부 (60) 는,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입금되는 지폐의 금종별의 지폐 장수 및 금액과, 합계 장수 및 합계 금액을 계수한다. 식별부 (60) 에 의한 식별 계수 결과는,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보존되고, 입금된 지폐의 후처리에 이용된다. 또, 식별 계수 결과는, 프린터 (17) 에 의해 인쇄된다.
식별부 (60) 는, 지폐 화상으로부터 각 지폐의 기번호를 문자 인식한다. 문자 인식한 기번호는,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보존되고, 입금된 지폐의 후처리에 이용된다. 프린터 (17) 에 의해 기번호를 인쇄하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폐 입금 장치 (1) 는, 기번호의 문자 인식 결과의 확실성을 나타내는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문자 인식 결과와, 지폐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기번호 부분의 화상을 프린터 (17) 에 의해 인쇄한다. 조작자는, 인쇄된 기번호의 화상을 확인하여, 문자 인식된 기번호에 잘못이 있으면, 이것을 정정하는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는, 식별부 (60) 의 하류에서 대략 U 자형으로 되접혀 장치 전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반송로는 도중에 2 개로 분기된다. 분기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분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식별부 (60) 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분기부가 제어되고, 지폐는, 상하 2 개로 나뉘어진 분기 반송로 중 어느 일방에 반송된다. 입금할 수 없는 지폐는, 리젝트 지폐로서 상측의 분기 반송로에서 반송되어 리젝트부 (40) 에 집적된다. 입금 가능한 지폐는, 하측의 분기 반송로에서 반송되어 집적부 (50) 에 집적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중간 유닛 (12) 을 상방으로 열었을 때에는, 하부 반송로의 반송면과, 리젝트부 (40) 에 접속된 상측의 분기 반송로의 반송면이 개방되고, 반송로에 가득찬 지폐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집적부 (50) 에는, 외주면에 복수의 날개를 갖는 집적차 (52)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으로 2 개의 집적차 (52) 가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집적차 (52) 는, Y 축 방향에서 본 날개의 위치를 맞춰 1 개의 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있다. 집적부 (50) 에 지폐를 집적할 때에 2 개의 집적차 (52) 가 회전한다. 도 3(b) 에 나타내는 집적차 (52) 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집적차 (52) 는, 반송부 (70) 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2 장의 날개 사이에 받아,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전면측으로 경사진 입위 상태로 집적부 (50) 에 집적한다. 지폐 (501) 는 길이를 스테이지 (100) 의 상면에 접한 입위 상태로 집적된다.
지폐 (501) 를 입위 상태로 집적하기 위해, 집적부 (50) 에는,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집적부 (50) 에는, 200 장의 지폐를 집적 가능한 집적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200 장의 지폐를 집적할 수 있는 집적 공간에서 지폐의 집적을 개시하면, 지폐의 장수가 적은 동안에는, 넓은 집적 공간 내에서 지폐가 넘어져 버려, 지폐를 입위 상태로 집적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지폐의 집적 개시 후, 지폐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집적 공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진출시킨 지지 부재 (110) 에 의해 지폐를 지지한다.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하면, 지지 부재 (110) 는 집적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집적 공간이 확대된다. 지지 부재 (110) 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미리 설정된 장수에 도달하면, 그 지폐를 금고 (3) 내의 수납고 (4) 에 수납한다. 바꿔 말하면,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의 지폐의 장수가 소정의 지폐 장수에 도달할 때까지 지폐를 일시 보류하고 나서, 그 지폐의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한다. 입금되는 지폐의 장수가, 미리 설정된 집적부 (50) 로의 집적 장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집적부 (50) 로의 지폐의 집적과, 집적한 지폐 다발의 수납고 (4) 로의 수납이 복수 회 반복되게 된다.
도 4 는,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 (501) 의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폐 다발 (501) 을 수납고 (4) 에 수납할 때에는, 지폐 다발 (501) 의 반송로를 형성하기 위해 집적부 (50) 의 스테이지 (100) 및 금고 (3) 의 셔터 (330) 가 이동한다. 집적면 (101) 의 밖으로 진출하여 집적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테이지 (100) 는, 집적면 (101) 의 내측으로, 즉 집적 공간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스테이지 (100) 는 스테이지 구동부 (121) 에 의해 개폐된다 (도 7 참조). 금고 (3) 의 셔터 (330) 는, 본체 (300) 상면의 개구부와 셔터 (330) 에 형성된 개구부 (330a) 가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셔터 (330) 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개폐된다.
도 4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 (50) 에서 수납고 (4) 의 내부로 이어지는 지폐 다발 (501) 의 반송로가 형성된다. 지폐 다발 (501) 이 지폐면과 평행한 반송 방향으로 직진할 때에 통과하는 공간이, 다발 반송로로서 확보된다. 이 결과,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 (501) 을 수납고 (4) 중에 수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 에서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발 반송로를 형성하는 계수 장치 (2), 금고 (3) 및 수납고 (4) 의 각 개구부는, Y 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각 개구부는, 집적부 (50) 에 집적 가능한 최대 장수 (예를 들어 200 장) 의 지폐를 다발 반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수 장치 (2) 에는, 입위 상태로 집적된 지폐 다발 (501) 을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발 반송부는, 복수의 반송 롤러 (91, 92) 와, 반송 롤러 (91, 92) 에 지폐 다발 (501) 을 가압하는 가압부 (80) 를 포함한다. 가압부 (80) 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복수의 롤러와, 이들 롤러의 외주면에 걸쳐 놓여진 벨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롤러에 고무제의 벨트를 걸쳐 놓아 가압부 (80) 가 구성된다. 가압부 (80) 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벨트를, 집적부 (50) 에 마지막으로 집적된 지폐의 지폐면에 접촉시켜, 그 지폐를 포함하는 지폐 다발 (501) 을 반송 롤러 (91, 92) 의 외주면에 가압한다.
가압부 (80) 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 (50) 에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에는, 지폐의 집적을 방해하지 않도록 집적 공간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에 있다. 가압부 (80) 는, 지폐 다발 (501) 을 반송할 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전방으로 이동한다. 가압부 (80) 에 의해 반송 롤러 (91, 92) 에 가압된 지폐 다발 (501) 은, 회전 구동되는 반송 롤러 (91, 92) 에 의해, 다발 반송로를 따라 반송된다. 지폐 다발 (501) 은, 지폐면과 평행한 하방향으로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되어 수납고 (4) 에 수납된다.
도 3(b) 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 (11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지지 부재 (110) 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에서는, 지지 부재 (110) 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반송 롤러 (91) 가, Y 축과 평행한 축 (91a) 상에 고정되어 있다. 축 (91a) 과 평행한 축 (92a) 상에, 각 반송 롤러 (91) 에 대응하여, 복수의 반송 롤러 (92) 가 고정되어 있다. 각 반송 롤러 (92) 는, 대응하는 각 반송 롤러 (91) 로부터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부재 (110) 는, 인접하는 반송 롤러 (91) 의 사이에 1 개씩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3 개의 반송 롤러 (91) 의 하방에 3 개의 반송 롤러 (92) 가 형성되고, 3 개의 반송 롤러 (91) 의 상방에 2 개의 지지 부재 (110) 가 형성된다.
지지 부재 (110) 는, 프레임체 (110b) 와, 프레임체 (110b) 에 축 (110c) 을 통하여 장착된 베어링 (110d) 과, 프레임체 (110b) 로부터 베어링 (110d) 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박판 형상의 아암 (110e) 을 포함한다. 베어링 (110d) 은, 상방에서 본 형상이 コ 자형인 프레임체 (110b) 의 내측에서 축 지지되어 있다. 아암 (110e) 은, 프레임체 (110b) 의 측면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체 (110b) 및 아암 (110e) 을 관통하는 축 (110a) 이, 계수 장치 (2) 를 구성하는 부재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 (110) 는, 위치가 고정된 축 (110a)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지지 부재 (110) 의 축 (110a) 은, 반송 롤러 (91, 92) 의 축 (91a, 92a) 과 평행, 즉 Y 축과 평행한 동일 직선상에 있다.
도 6 은, 반송 롤러 (91) 및 지지 부재 (110)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폐가 길이를 접하는 스테이지 (100) 에 대하여 수직으로, 집적면 (101) 이 형성되어 있다. 집적부 (50) 의 지폐는, 길이를 스테이지 (100) 에 접하고, 지폐면을 집적면 (101) 과 평행하게 한 입위 상태로 집적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집적면 (101) 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 (α) 는 45 ∼ 90 도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입위 상태의 집적은, 수평면에 대하여 지폐면을 45 ∼ 90 도의 사이로 한 집적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도 (α) 는 약 65 도로 설정된다. 반송 롤러 (91) 및 아암 (110e) 은, 그 일부가, 집적면 (101) 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도록, 즉 집적부 (50) 의 집적 공간 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롤러 (91) 는, 축 (91a) 에 고정된 코어 (91b) 의 외주면 전체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외주 부재 (91c) 가 고정된 형상을 갖는다. 코어 (91b) 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롤러가 코어 (91b) 로서 이용된다. 외주 부재 (91c) 는, 코어 (91b) 의 재질보다 부드럽고 마찰 계수가 큰 고마찰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스펀지가 외주 부재 (91c) 로서 이용된다. 외주 부재 (91c) 는, 코어 (91b) 의 외주면에 지폐가 직접 대고 눌러져 지폐면에 흠집이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재로서도 기능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가압부 (80) 가 지폐 다발 (501) 을 반송 롤러 (91) 에 가압하여, 도 6 에 나타내는 외주 부재 (91c) 가 변형되어 찌부러진 경우에도, 지폐 다발 (501) 에 반송력을 가할 수 있도록, 반송 롤러 (91) 는, 코어 (91b) 의 외주면의 일부가 집적면 (101) 보다 외측으로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집적면 (101) 의 표면에서 코어 (91b) 의 외주면까지의 치수 (A) (돌출 여유) 는, 2 ∼ 4 ㎜ 정도로 설정된다.
축 (110a) 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지지 부재 (110) 는, 스테이지 (100) 상에 지폐가 없을 때에는 아암 (110e) 의 일부가 집적면 (101) 의 밖으로 노출되고, 아암 (110e) 이 지지하는 지폐의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집적면 (101) 의 내측으로 퇴피하도록, 배치 위치 및 무게 중심을 조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110d) 측의 모멘트와 아암 (110e) 측의 모멘트에 의해 무게 중심이 조정된다.
베어링 (110d) 측과 아암 (110e) 측이 균형잡힌 정지 위치에서, 지지 부재 (110) 의 아암 (110e) 의 일부가 집적면 (101) 으로부터 노출된다. 지지 부재 (110) 는, 집적 공간에 노출된 아암 (110e) 에 의해, 집적 공간에 집적된 지폐를 지지한다. 집적된 지폐에 의해 아암 (110e) 에 힘이 가해지면, 집적면 (101) 의 개구부로부터 튀어나온 아암 (110e) 이 집적면 (101) 의 내측으로 되밀린다. 아암 (110e) 은, 집적 지폐의 증가에 수반하여 서서히 되밀린다. 예를 들어, 10 장의 지폐가 집적되면, 아암 (110e) 전체가 집적면 (101) 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가압부 (80) 및 스테이지 (1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가압부 (80) 및 스테이지 (100)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반송 롤러 (91) 의 축 (91a) 에 고정된 롤러와, 반송 롤러 (92) 의 축 (92a) 에 고정된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의 외주면에 벨트 (132) 가 걸쳐 놓여져 있다. 롤러 구동부 (131) 가 벨트 (132) 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 롤러 (91, 92) 가 지폐 다발을 하방으로 반송하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스테이지 (100) 는, 장치 폭 방향 (Y 축 방향) 양 외측에 있는 유지부 (100a) 를 포함하고, 각 유지부 (100a) 의 관통공에, 계수 장치 (2) 에 위치를 고정시켜 평행하게 형성된 2 개의 축 (120) 을 각각 삽입 통과시켜, 축 (120)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Y 축 정방향측의 유지부 (100a) 에는,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100b) 가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 (100b) 의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판 (133) 이 형성되고, 회전판 (133) 의 외주에 있는 핀 (133a) 이 플레이트 (100b) 의 장공에 삽입되어 있다. 스테이지 구동부 (121) 가 벨트 (122) 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회전판 (133) 을 회전 구동시킨다. 회전판 (133) 의 회전에 수반하여, 핀 (133a) 이, 플레이트 (100b) 의 장공 내를 이동하면서 플레이트 (100b) 를 축 (120) 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 결과, 스테이지 (100) 가 축 (120)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적부 (50) 의 외측으로 퇴피한다. 동일하게 회전판 (133) 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스테이지 (100) 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가압부 (80) 는, 스테이지 (100) 와 동일하게, 장치 폭 방향 (Y 축 방향) 양 외측의 유지부 (80a) 의 관통공에 축 (120) 을 삽입 통과시켜, 축 (120)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유지부 (80a) 의 핀 (80b) 이, 스테이지 (100) 의 각 유지부 (100a) 에 고정된 연결 플레이트 (100c) 의 장공에 삽입되어 있다. 스테이지 (100) 의 2 개의 유지부 (100a) 와 가압부 (80) 의 2 개의 유지부 (80a) 에 대응하여, 2 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 (130)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일 스프링 (130) 은, 일단이 스테이지 (100) 의 유지부 (100a) 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부 (80) 의 유지부 (80a) 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지 구동부 (121) 가 스테이지 (100) 를 축 (120)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코일 스프링 (130) 에 의해 접속된 가압부 (80) 도 스테이지 (100) 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가압부 (80) 의 이동 방향으로,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 다발이 있으면, 지폐 다발의 두께분만큼 가압부 (80) 와 스테이지 (100) 사이의 거리가 확대된다. 확대된 거리에 따라, 가압부 (80) 의 유지부 (80a) 의 핀 (80b) 이, 연결 플레이트 (100c) 의 장공 내를 이동한다. 가압부 (80) 와 스테이지 (100) 사이의 거리의 확대에 의해 코일 스프링 (130) 이 늘어나고, 코일 스프링 (130) 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 (80) 가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에 가압되고, 지폐 다발이 반송 롤러 (91, 92) 의 외주면에 가압된다. 지폐 다발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스테이지 (100) 와 가압부 (80) 사이의 거리가 커지고, 코일 스프링 (130) 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부 (80) 의 가압력도 커진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 (80) 는, 복수의 반송 롤러 (91, 92) 에 대응하여, Y 축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가압부 (80) 는, 지폐 다발을 누르는 벨트의 외주면이, 대응하는 반송 롤러 (91, 92) 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 은, 가압부 (8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압부 (80) 는 가압판 (8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 (80) 는, 가압판 (81)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복수의 롤러 (82) 와, 롤러 (82) 의 외주면에 걸쳐 놓여진 벨트 (83) 를 포함한다.
가압판 (81) 은, 인접하는 가압부 (80) 의 사이가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절결은, 집적부 (50) 의 집적차 (52) 에 맞춰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압부 (80) 를 포함하는 가압판 (81) 은, 집적차 (52) 를 피해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 (80) 의 벨트 (83) 는, 외주면이 가압판 (81) 의 표면보다 외측으로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 (80) 및 가압판 (81) 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다발 (501) 에 접근할 때에는, 벨트 (83) 의 외주면이 지폐 다발 (501) 에 접촉한다. 가압판 (81) 의 표면에서 벨트 (83) 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돌출 여유) 는 2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집적부 (50) 의 측벽 (53a, 53b) 의 사이에서, 지폐의 집적과 지폐 다발의 반송이 실시된다. 측벽 (53a) 와 측벽 (53b) 사이의 거리는, 지폐 입금 장치 (1) 가 입금 대상으로 하는 복수 종류의 지폐 중 길이 치수가 가장 큰 지폐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압부 (80)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일방측으로 지폐 (502a, 502b) 가 치우친 경우에도, 복수의 가압부 (80) 에 의해 지폐 (502a, 502b) 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치수 C1 이 가장 짧은 최소 지폐 (502a) 가, 측벽 (53a) 의 쪽으로 치우친 경우에도, 2 개의 가압부 (80) 가 지폐 (502a) 를 가압하도록, 측벽 (53a) 에서 중앙의 가압부 (80) 의 벨트 (83) 의 폭 방향 중심까지의 거리가 치수 C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C1 > B1 + B2). 동일하게, 최소 지폐 (502b) 가, 측벽 (53b) 의 쪽으로 치우친 경우에도, 2 개의 가압부 (80) 가 지폐 (502b) 를 가압하도록, 측벽 (53b) 에서 중앙의 가압부 (80) 의 벨트 (83) 의 폭 방향 중심까지의 거리가 치수 C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C1 > B3 + B4). 예를 들어, 치수 B1 과 치수 B4 가 동등하고, 치수 B2 와 치수 B3 이 동등해지도록 가압부 (80) 가 배치된다.
지폐의 집적 및 다발 반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집적부 (50) 에 있어서의 지폐의 집적과 집적된 지폐 다발의 반송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는, 집적부 (50) 로의 지폐의 집적을 개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집적부 (50) 에 지폐가 없을 때에는, 지지 부재 (110) 의 아암 (110e) 이 집적면 (101) 의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즉 집적 공간 내로 튀어나온 상태에 있다. 집적차 (52) 는 도 9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송부 (70) 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받아 스테이지 (100) 상에 집적한다.
도 9(a)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손되어 부드러워진 지폐 (503) 가, 집적차 (52) 와 스테이지 (100) 와 집적면 (101) 사이에 형성된 집적 공간에 쓰러져, 지폐면을 스테이지 (100) 의 표면에 접한 상태가 되면 지폐를 입위 상태로 집적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지지 부재 (110) 에 의해 지폐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집적 공간으로 진출한 지지 부재 (110) 의 아암 (110e) 이, 지폐 (503) 의 지폐면을 지지한다. 이로써, 도 9(a)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503) 는, 스테이지 (100) 상에 쓰러지지 않고, 스테이지 (100) 에 길이를 접하고, 지폐면의 일부를 아암 (110e) 에 접한 입위 상태로 집적된다. 아암 (110e) 은, 스테이지 (100) 에 가까울수록, 지폐 (503) 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집적면 (101) 의 밖으로 크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집적차 (52) 가 후속의 지폐를 1 장씩 집적하는 것에 수반하여, 앞서 집적된 지폐가 집적면 (101) 의 쪽을 향하여 눌린다. 지지 부재 (110) 의 아암 (110e) 은, 집적 장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 9(b)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서히 집적면 (101) 의 개구부로부터 안으로 압입된다. 약 10 장의 지폐 (504) 가 집적되면, 지지 부재 (110) 전체가 집적면 (101) 보다 내측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복수 장의 지폐 (504) 는, 길이를 스테이지 (100) 의 상면에 접하고, 지폐면을 집적면 (101) 과 대략 평행하게 하여 집적되어 간다.
집적된 지폐 (504) 의 장수가, 미리 설정된 장수 (일시 보류 장수) 에 도달 하면,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차 (52) 의 회전을 정지하여,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다발 (504) 을 금고 (3) 내의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다발 반송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입금 장치 (1) 는, 스테이지 (100) 를 집적 공간의 외측으로 퇴피 이동시킴과 함께, 가압부 (80) 에 의해 지폐 다발 (504) 을 반송 롤러 (91) 의 외주면에 가압하여, 반송 롤러 (91, 92) 를 회전 구동시킨다. 회전하는 반송 롤러 (91, 92) 에 의해, 지폐 다발 (504) 은, 지폐면과 평행한 하방향으로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된다. 지폐 다발 (504) 은, 반송 롤러 (91, 92) 와 가압부 (80) 사이에서 반송되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고 (4) 에 수납된다.
도 10 은, 지폐 다발 (504) 의 반송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폐 다발 (504) 을 형성하는 복수 장의 지폐 중, 집적부 (50) 에 맨 처음에 집적된 지폐의 지폐면에 반송 롤러 (91) 가 접촉하고, 집적부 (50) 에 마지막으로 집적된 지폐의 지폐면에 가압부 (80) 가 접촉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롤러 (91) 의 외주면이 접하는 지폐에는, 반송 롤러 (91) 의 회전 토크 (F1) 에 따라, 지폐면에 평행한 하방향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력 (f1) 이 가해진다. 한편, 가압부 (80) 의 가압력 (F2) 에 따라, 지폐 다발 (504) 을 형성하는 각 지폐의 사이에 마찰력 (f2) 이 발생한다. 마찰력 (f2) 에 의해, 지폐 다발 (504) 을 형성하는 모든 지폐가, 반송력 (f1) 을 받은 지폐와 함께 이동하도록, 회전 토크 (F1) 및 가압력 (F2) 이 설정되어 있다.
지폐 다발 (504) 중 가압부 (80) 와 접하는 지폐에는, 그 지폐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력 (f3) 이 작용한다. 이 지폐에 저항력 (f3) 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면, 이 지폐는 다른 지폐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러 (82) 및 벨트 (83) 로 가압부 (80) 를 구성함으로써 저항력 (f3) 을 작게 하여, 반송력 (f1) 및 마찰력 (f2) 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저항력 (f3) 을 초과하도록, 회전 토크 (F1) 및 가압력 (F2) 이 설정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력 (f1) 이 지폐 다발 (504) 에 가해졌을 때, 마찰력 (f2) 에 의해 다발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저항력 (f3) 에 의해 다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지폐 다발 (504) 이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반송 롤러 (91) 의 회전 토크 (F1) 및 가압부 (80) 의 가압력 (F2) 이 조정되어 있다. 이로써,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 다발 (504) 을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1 은, 가압부 (80) 및 반송 롤러 (91, 92) 와 수납고 (4) 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Y 축을 축 방향으로 하는 4 개의 축을 축간 거리 (D1) 를 20 ㎜ 로 하여 집적면 (101) 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각 축에 외경이 20 ㎜ 인 베어링의 내륜을 고정시켜 롤러 (82) 로 하고, 이들 4 개의 롤러 (82) 의 외주면에 벨트 (83) 를 걸쳐 놓아 가압부 (80) 가 구성된다.
반송 롤러 (91) 와 반송 롤러 (92) 의 축간 거리 (F) 는, 폭 방향의 치수 (E) 가 가장 작은 지폐의 지폐 다발 (504) 을 반송할 때, 반송 롤러 (91) 및 반송 롤러 (92) 의 양방이 동일 지폐의 지폐면에 동시에 접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E > F). 또, 지폐 다발 (504) 의 반송 방향 최하류에 있는 반송 롤러 (92) 의 회전축에서 수납고 (4) 의 개구부까지의 반송 방향의 거리 (G) 는, 폭 방향의 치수 (E) 가 가장 작은 지폐의 지폐 다발 (504) 의 지폐면에 반송 롤러 (92) 가 접하고 있는 동안에, 그 지폐 다발 (504) 의 반송 방향 전단이 수납고 (4) 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E > G). 예를 들어, 치수 G 가 치수 E 보다 10 ㎜ 이상 짧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지폐 다발 (504) 은, 예를 들어 수평면과의 사이의 각도 (α) 가 약 65 도인 집적면 (101) 과 지폐면을 평행하게 하여 집적된다. 도 11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반송 방향은, 집적면 (101) 및 지폐 다발 (504) 의 지폐면과 평행한 방향이 된다. 가압부 (80) 의 각 롤러 (82) 의 중심은, 집적면 (101) 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있다. 반송 롤러 (91) 및 반송 롤러 (92) 의 중심도, 집적면 (101) 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있다.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의 유무 및 집적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갖는다. 도 12 는, 센서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검지광을 투수광하는 복수의 센서가, 도 12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 (100) 에 길이를 접하여 집적된 지폐 (505a) 의 복수 지점에서 검지광을 투수광하도록 배치된다.
각 센서는, 투수광하는 검지광의 광량이, 지폐가 있을 때와 없을 때에서 변화하는 것에 기초하여, 지폐의 유무를 검지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광을 투수광하는 복수의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지폐 (505a) 가 치우친 상태에서도, 적어도 어느 1 개의 센서에 의해 지폐 (505a) 를 검지할 수 있다.
또, 도 12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를 스테이지 (100) 에 접하여 집적된 지폐 (505a) 의 지폐면보다 상방 외측의 위치를 검지광이 통과하도록 복수의 센서가 배치된다. 지폐의 집적 상태가 흐트러져, 도 12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 (100) 에 길이를 접하지 않고 집적된 지폐 (505b) 가 있는 경우, 센서는 이 지폐 (505b) 를 검지한다. 이로써,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지폐의 집적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지폐의 집적 상태에 흐트러짐이 있으면 수납고 (4) 로의 다발 반송이 잘 실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집적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을 검지한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지폐 처리를 중단하여, 조작자에게 집적 이상을 알림과 함께, 집적부 (50) 의 셔터 (51) 를 연다. 알림은, 예를 들어, 표시부 (30) 에 대한 정보 표시와 알림음을 발함으로써 실시된다. 알림을 받은 조작자는, 집적부 (50) 의 지폐의 집적 상태를 정돈한 후, 조작부 (31) 에서 소정 조작을 실시한다. 이 조작을 받아,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의 셔터 (51) 를 닫고, 중단하고 있던 지폐의 처리를 재개한다.
지폐 입금 장치 (1) 에서 실시되는 지폐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지폐 입금 장치 (1) 의 조작자는,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복수의 입금 모드 중에서 선택한 입금 모드로 입금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입금 모드에는, 지폐를 수납고 (4) 에 수납하지 않는 계수 모드와, 지폐를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수납 모드가 포함된다.
계수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자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계수 모드로 입금 처리를 개시하면, 제어부 (150) 는, 셔터 (51) 를 닫는다. 조작자는, 입금하는 지폐를 입금부 (20) 에 재치한다. 입금부 (20) 는, 재치된 복수의 지폐를 1 장씩 장치 내의 반송로에 조출한다. 반송부 (70) 는, 조출된 지폐를 반송로를 따라 반송한다. 식별부 (60) 는, 반송부 (70) 가 반송하는 지폐를 식별 계수한다.
입금할 수 없는 지폐는, 리젝트 지폐로서 리젝트부 (40) 에 반송된다. 입금 가능한 지폐는 집적부 (50) 에 반송된다. 입금되는 지폐 전부를 식별 계수한 후, 셔터 (51) 가 열려 식별 계수 결과가 표시부 (30) 에 표시된다. 조작자는,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식별 계수 결과를 프린터 (17) 에 의해 인쇄할 수 있다.
수납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 모드에서는, 다발 반송하는 지폐의 장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다발 반송 장수는, 스테이지 (100) 상에 집적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를 상한으로 하여, 최대 장수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발 반송 장수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 장수를 다발 반송 장수로 하여 입금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지 (100) 상에 집적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가 200 장인 경우, 다발 반송 장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다발 반송 장수를 200 장으로 하여 입금 처리가 실시된다. 이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에 200 장의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처리와, 집적한 200 장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다발 반송 처리를 반복하면서 입금 처리를 진행시킨다. 예를 들어, 다발 반송 장수를 100 장으로 설정한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에 100 장의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처리와, 100 장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다발 반송 처리를 반복하면서 입금 처리를 진행시킨다.
수납 모드로 입금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기 전에 승인 조작을 실시하는 설정과, 승인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승인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설정으로 한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다발 반송 장수분의 지폐를 집적부 (50) 에 집적할 때마다 다발 반송 처리를 실행하여,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면서 입금 처리를 진행시킨다. 즉, 집적부 (50) 에서 금고 (3) 내에 이르는 다발 반송로를 형성하고,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을 다발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여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동작이, 지폐 입금 장치 (1) 의 제어부 (150) 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승인 조작을 실시하는 설정으로 한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다발 반송 장수분의 지폐를 집적부 (50) 에 집적할 때마다, 표시부 (30) 에 입금 정보를 표시한다. 입금 정보에는, 집적부 (50) 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 즉 앞으로 다발 반송 처리를 실시하여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지폐의 금종별 장수, 금종별 금액, 합계 장수, 합계 금액 중 적어도 어느 1 개가 포함된다. 또, 입금 정보에는, 입금 처리 개시 후에 수납고 (4) 에 수납한 지폐의 정보와 함께, 식별 계수한 전체 지폐의 금종별 장수, 금종별 금액, 합계 장수, 합계 금액 중 적어도 어느 1 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폐 입금 장치 (1) 는, 입금 정보와 함께, 집적부 (50) 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를 입금하는 것, 즉 지폐를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것에 대해, 조작자에게 승인을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부 (30) 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표시부 (30) 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조작부 (31) 에서 승인 조작을 실시한다.
조작자가 수납고 (4) 로의 지폐의 수납을 승인한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다발 반송 처리를 실행하여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한다. 조작자가 지폐의 수납을 승인하지 않은 경우, 지폐 입금 장치 (1) 는, 집적부 (50) 의 셔터 (51) 를 열어, 집적부 (50) 의 지폐를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조작자는, 집적부 (50) 로부터 지폐를 꺼내고, 입금부 (20) 에 재치하여 재처리시킬 수도 있고, 꺼낸 지폐를 입금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다발 반송 장수로서 설정 가능한 최대값이 200 장인 것에 대하여 다발 반송 장수를 100 장으로 설정함과 함께, 승인 조작을 실시하는 설정으로 한 경우를 예로, 수납 모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3 은, 수납 모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조작자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수납 모드에 의한 입금 처리를 개시하면, 지폐 입금 장치 (1) 의 제어부 (150) 는, 집적부 (50) 의 셔터 (51) 를 닫는다 (스텝 S1). 조작자가, 입금하는 지폐를 입금부 (20) 에 재치하면, 입금부 (20) 의 센서로 이것을 검지한 제어부 (150) 는, 입금부 (20) 의 지폐를 1 장씩 장치 내에 조출하고, 반송부 (70) 에 의해 지폐를 반송한다 (스텝 S2). 제어부 (150) 는, 식별부 (60) 에 의해 지폐를 식별 계수한다 (스텝 S3). 제어부 (150) 는, 입금 가능하다고 판정한 지폐를 (스텝 S4 ; No), 집적부 (50) 에 집적하고 (스텝 S5), 입금할 수 없다고 판정한 리젝트 지폐를 (스텝 S4 ; Yes), 리젝트부 (40) 에 집적한다 (스텝 S6).
입금부 (20) 에 지폐가 남아 있는 경우 (스텝 S7 ; No), 계속해서 제어부 (150) 는, 집적부 (50) 의 지폐 장수가, 다발 반송 장수로서 설정된 100 장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 100 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스텝 S8 ; No), 제어부 (150) 는, 스텝 S2 ∼ S8 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집적부 (50) 의 지폐 장수가 100 장에 도달한 경우 (스텝 S8 ; Yes), 제어부 (150) 는, 집적부 (50) 에 지폐를 집적하는 처리를 중단한다. 즉, 제어부 (150) 는, 입금부 (20) 로부터의 지폐의 조출과 반송부 (70) 에 의한 지폐의 반송을 중단한다. 제어부 (150) 는, 표시부 (30) 에 입금 정보를 표시하여 조작자의 승인을 요구한다 (스텝 S9). 조작자가, 입금을 승인한 경우 (스텝 S9 ; Yes), 즉 100 장의 지폐를 수납고 (4) 에 수납하는 다발 반송 처리의 실행을 승인한 경우, 제어부 (150) 는 다발 반송 처리를 실행하여 집적부 (50) 의 100 장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한다 (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150) 는, 도 9(c)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100) 및 가압부 (80) 를 이동시켜 지폐 다발을 수납한 후, 스테이지 (100) 및 가압부 (80) 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도 9(a)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폐의 집적을 재개한다.
조작자가 입금을 승인하지 않은 경우 (스텝 S9 ; No), 제어부 (150) 는 셔터 (51) 를 열어 100 장의 지폐를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스텝 S11). 조작자가 집적부 (50) 로부터 모든 지폐를 빼내면, 집적부 (50) 의 센서로 이것을 검지한 제어부 (150) 는, 셔터 (51) 를 닫아 처리를 재개한다.
입금부 (20) 에 지폐가 남아 있는 경우 (스텝 S12 ; No), 제어부 (150) 는, 스텝 S2 ∼ S12 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입금부 (20) 의 지폐 전부의 처리를 끝낸 경우 (스텝 S12 ; Yes), 제어부 (150) 는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집적부 (50) 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다발 반송 장수인 100 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입금부 (20) 의 지폐 전부를 리젝트부 (40) 와 집적부 (50) 에 다 집적하면 (스텝 S7 ; Yes), 제어부 (150) 는, 조작자에게 입금의 승인을 요구한다 (스텝 S9). 조작자가 입금을 승인한 경우 (스텝 S9 ; Yes), 제어부 (150) 는, 다발 반송 처리를 실행하여, 집적부 (50) 에 집적된 100 장에 못 미치는 지폐를 수납고 (4) 에 수납한다 (스텝 S10). 조작자가 승인하지 않은 경우 (스텝 S9 ; No), 제어부 (150) 는, 셔터 (51) 를 열어, 집적부 (50) 에 집적된 100 장에 못 미치는 지폐를 조작자에게 반환한다 (스텝 S11). 지폐의 수납 또는 반환을 실시한 후, 전체 지폐의 처리를 끝낸 제어부 (150) 는 (스텝 S12 ; Yes),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조작자에게 승인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 설정으로 한 경우, 도 13 에 나타내는 스텝 S9 ∼ S11 의 처리를 생략하고 입금 처리가 실시되게 된다. 다발 수납 장수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스텝 S8 의 판정에서,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집적부 (50) 의 최대 집적 장수인 200 장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수납 모드에 있어서의 다발 수납 장수는,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미리 조건과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다발 수납 장수를 정한 설정 정보를 준비함으로써, 제어부 (150) 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다발 수납 장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조작자 A 의 다발 수납 장수는 100 장, 조작자 B 의 다발 수납 장수는 150 장과 같이 조작자마다 다발 수납 장수를 정한 설정 정보를 준비한다. 조작자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수납 모드에 의한 입금 처리를 개시하면, 제어부 (150) 는, 조작자에게 인증 조작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ID 및 패스워드를 조작부 (31) 로부터 입력하면, 제어부 (150) 는, 미리 준비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자를 특정한다. 제어부 (150) 는, 특정한 조작자에 대해 정해진 다발 수납 장수를 설정 정보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판독 출력한 다발 수납 장수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입금 처리를 실행한다.
또, 예를 들어, 지폐 입금 장치 (1) 가 점포의 복수 대의 캐시 레지스터로부터 회수한 지폐의 입금에 이용되는 경우, 레지스터 번호마다 다발 수납 장수를 정한 설정 정보를 준비한다. 레지스터계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고, 레지스터 번호를 입력하여 수납 모드에 의한 입금 처리를 개시하면, 제어부 (150) 는, 레지스터 번호에 대해 정해진 다발 수납 장수를 설정 정보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판독 출력한 다발 수납 장수로 입금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구동되는 반송 롤러 (91, 92) 와, 반송 롤러 (91, 92) 의 외주면에 지폐 다발을 가압하는 가압부 (80) 가 다발 반송부로서 기능하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다발 반송부의 구성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송 롤러 (91, 92)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복수의 롤러의 외주면에 걸쳐 놓은 반송 벨트를 회전 구동시켜 지폐 다발을 반송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 예를 들어, 가압부 (80) 의 벨트 (83) 를 회전 구동시켜 지폐 다발에 반송력을 가하고, 반송 롤러 (91, 92)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종동 회전시키는 양태여도 되고, 가압부 (80) 및 반송 롤러 (91, 92) 의 양방을 동기 회전시켜 지폐 다발에 반송력을 가하는 양태여도 된다.
지폐 다발의 반송에 압출 부재를 이용하는 양태여도 된다. 도 14 는, 압출 부재 (181, 281) 를 이용하는 다발 반송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 (182) 에 걸쳐 놓은 가압부 (180) 의 벨트 (183) 의 외주면에 압출 부재 (181) 를 장착한다. 지폐 다발 (506) 에 가압한 가압부 (180) 의 롤러 (182) 를 회전 구동시켜 반송 벨트 (183) 를 회전시키면, 압출 부재 (181) 가 도 14(a)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여 지폐 다발 (506) 을 상방으로부터 반송 방향으로 압출한다. 압출 부재 (181) 의 선단이, 집적면 (101) 의 표면에 형성된 슬릿공을 통과하도록 하면, 지폐 다발 (506) 을 확실하게 압출하여 수납고 (4) 에 수납할 수 있다. 반송 롤러 (91, 92) 는, 회전 구동되는 양태여도 되고, 지폐 다발 (506) 의 이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롤러 (91, 92) 대신에, 복수의 롤러 (282) 에 걸쳐 놓은 벨트 (283) 의 외주면에 압출 부재 (281) 를 장착하여 반송 벨트 (280) 로서 이용하는 양태여도 된다. 가압부 (80) 가 지폐 다발 (506) 을 반송 벨트 (283) 에 가압한 상태에서, 롤러 (282) 를 회전 구동시켜 벨트 (283) 를 회전시키면, 압출 부재 (281) 가 도 14(b)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여 지폐 다발 (506) 을 상방으로부터 반송 방향으로 압출한다. 압출 부재 (281) 의 선단이, 지폐 다발 (506) 을 넘어, 인접하는 가압부 (80) 의 사이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하면, 지폐 다발 (506) 을 확실하게 압출하여 수납고 (4) 에 수납할 수 있다. 가압부 (80) 는 회전 구동되는 양태여도 되고, 지폐 다발 (506) 의 이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하는 양태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적부 (50) 의 셔터 (51) 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셔터 (51) 의 개폐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 (150) 가, 셔터 (51) 의 개폐를 지시하는 정보를 표시부 (30) 에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양태여도 된다. 또, 제어부 (150) 가, 셔터 (51) 의 폐색과 개방 중 어느 일방만을 실시하고, 타방을 조작자에게 수동으로 실시하게 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 통상적으로는 열려 있는 셔터 (51) 를 지폐 처리 개시시에 닫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셔터 (51) 를 닫고, 지폐 처리 개시 후에 집적부 (50) 의 지폐를 꺼낼 필요가 생긴 경우에만 셔터 (51) 를 여는 양태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400) 에,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수납부 (410) 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수납고 (4) 의 예를 나타냈지만, 수납고 (4) 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체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카세트형의 수납고 (4) 를 이용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 수납고 (4) 의 셔터 (420) 가, 도 3(b)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 (340) 에 의해 열리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양태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 (110) 가, 회전축 (110a) 을 중심으로 하는 중량 밸런스에 의해, 지폐 집적 개시시에는 집적 공간 내로 진출하여 지폐를 지지하고, 집적 지폐의 장수가 증가하면 집적 공간으로부터 퇴피하는 구성을 나타냈다. 지지 부재 (110) 의 이용 양태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 (110) 의 진출 및 퇴피를 구동부에 의해 실시하는 양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구동부로서 이용하여, 지지 부재 (110) 의 동작을 제어한다.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지지 부재 (110) 에 의해 지폐를 지지하고, 소정 장수에 도달하여 지지 부재 (110) 에 의한 지지가 불필요해지면 지지 부재 (110) 를 수납 공간으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폐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 (80) 가, 코일 스프링 (130) 에 의해 접속된 스테이지 (100) 와 함께 이동하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가압부 (80) 가 스테이지 (100) 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양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 구동부 (121) 와 별도로 구동부를 형성하여 그 구동부가 가압부 (80) 를 이동시키는 양태여도 된다. 또, 가압부 (80) 가, 코일 스프링 (130) 에 의한 힘을 받아 지폐 다발을 반송 롤러 (91, 92) 에 가압하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가압부 (80) 를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면, 스프링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 부재를 이용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부 (80) 를 구동부에 의해 탄성 지지하는 양태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각 부의 기능 및 동작을 실현할 수 있으면, 각 부의 이동 방법 및 구동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모드로 입금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조작자가, 집적부 (50) 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 (4) 에 수납하기 전에 승인 조작을 실시할지의 여부를 설정 가능한 양태를 나타냈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설정 조작은, 복수 종류의 선택지 중에서 1 개를 선택하는 조작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설정을 해제하는 조작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표시부 (30) 의 설정 화면에, 승인 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체크 박스가 표시된다.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된 상태가 디폴트의 설정으로 되어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는, 지폐 다발의 수납 전에 조작자에게 승인 조작이 요구된다. 조작자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하면 그 조작이 설정 조작이 되어 설정이 변경되고, 조작자에게 승인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지폐 다발의 수납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동일하게, 집적부 (50) 에 있어서의 다발 수납 장수의 설정 조작에 대해서도, 복수 종류의 선택지 중에서 1 개를 선택하거나, 지폐 장수를 입력하거나 하는 조작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설정을 해제하는 조작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표시부 (30) 의 설정 화면에, 다발 수납 장수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체크 박스가 표시된다.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된 상태가 디폴트의 설정으로 되어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는, 다발 수납 장수가 소정 장수로 설정된다. 조작자가 조작부 (31) 를 조작하여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하면, 그 조작이 설정 조작이 되어 설정이 변경되고, 다발 수납 장수가, 집적부 (50) 에 수납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최대 장수가 200 장인 경우,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하면 다발 수납 장수가 100 장이 되고, 체크를 해제하면 다발 수납 장수가 200 장이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폐 입금 장치에 의하면, 식별 계수한 지폐를 입위 상태로 집적하고, 집적한 지폐를 지폐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하여 금고 내의 수납고에 수납할 수 있다. 지폐 다발을 입위 상태인 채로 수납하기 때문에, 지폐 수납용으로 금고에 형성하는 개구부를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지폐면을 수평하게 하여 수납하는 경우에 비해 개구부의 면적이 작아져 지폐 입금 장치의 방도성 (防盜性) 을 높일 수 있다.
지폐 입금 장치는, 대량의 지폐를 다발 상태로 하여 금고 내의 수납고에 수납할 수 있다. 지폐량에 맞춰 집적부의 집적 공간이 커지지만, 집적 개시 직후에 집적 공간 내에서 넘어지려고 하는 지폐를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지폐를 입위 상태로 집적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지폐의 지지가 불필요해지면 수납 공간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하기 때문에 대량의 지폐를 입위 상태로 집적하여 다발 반송할 수 있다.
지폐 입금 장치에서는, 집적부에 집적하여 다발 상태로 수납고에 수납하는 지폐의 장수를 다발 수납 장수로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발 수납 장수는, 집적부에 집적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를 상한으로 하여 임의의 장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입금 처리 장치에서는, 집적부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에 수납하는 다발 반송 처리를, 조작자에 의한 지시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지폐 입금 장치가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이 설정으로 함으로써, 다발 수납 장수를 초과하는 지폐를 입금하는 경우에도, 집적부에 다발 수납 장수의 지폐가 집적될 때마다 집적부의 지폐 다발을 수납고에 수납하는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입금 대상의 지폐 전부가 수납고에 수납될 때까지 집적부로의 지폐의 집적과 수납고로의 지폐 다발의 수납이 자동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입금 처리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지폐 입금 장치는 입금 처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유용하다.
1 : 지폐 입금 장치
2 : 계수 장치
3 : 금고
4 : 수납고
14 : 먼지 받이부
17 : 프린터
20 : 입금부
30 : 표시부
31 : 조작부
40 : 리젝트부
50 : 집적부
51, 330, 420 : 셔터
60 : 식별부
70 : 반송부
80, 180 : 가압부
91, 92 : 반송 롤러
100 : 스테이지 (셔터)
110 : 지지 부재
150 : 제어부
181, 281 : 압출 부재
280 : 반송 벨트

Claims (15)

  1. 입금되는 지폐를 금고 내의 수납고에 수납하는 지폐 입금 장치로서,
    입금되는 지폐가 재치되는 입금부와,
    상기 입금부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계수하는 식별부와,
    이동 가능한 스테이지 및 집적차를 갖고, 상기 식별부에서 계수된 지폐를, 상기 집적차를 사용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입위 상태로 집적하는 집적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다발 수납 장수분의 지폐의 다발을 입위 상태로 상기 수납고에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상기 다발 수납 장수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조작자의 승인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 조작자가 승인 조작을 실시하는 설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에 재치된 모든 지폐가 상기 집적부에 반송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상기 다발 수납 장수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승인 조작을 접수하고, 상기 승인 조작을 접수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상기 다발 수납 장수의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 조작자가 승인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설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승인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상기 다발 수납 장수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집적된 상기 다발 수납 장수의 지폐 다발을 상기 수납고에 수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다발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수납 장수는, 상기 집적부에 집적 가능한 지폐의 최대 장수를 상한으로 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수납 장수는 복수의 정보 각각과 관련지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발 수납 장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고는,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1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한 제 1 셔터를 갖고,
    상기 수납고는, 상기 금고의 제 1 개구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제 2 셔터를 갖고, 상기 금고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수납고에 지폐 다발을 수납할 때에 열리고 수납 후에는 닫히며, 상기 제 2 셔터는, 상기 수납고가 상기 금고 내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으로 진출하여 지폐를 지지함과 함께, 지지하는 지폐의 장수가 증가하였을 때에는 상기 집적 공간으로부터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부터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지폐의 지폐면을 지지하는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반송부는,
    반송하는 지폐 다발의 지폐면에 접하여 반송력을 부여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지폐 다발을 상기 제 1 부재에 가압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롤러 또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롤러, 또는 복수의 롤러에 걸쳐 놓여진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코어의 외주면에,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부드러운 재료를 포함하는 외주 부재가 배치된 롤러이고,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에 노출시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지폐 다발을 구성하는 모든 지폐가, 상기 제 1 부재에 접하는 지폐와 함께 이동하도록 각 지폐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힘으로 상기 지폐 다발을 상기 제 2 부재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게 상기 승인 조작을 요구할지의 여부는 복수의 정보 각각과 관련지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변경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금 장치.
KR1020217034534A 2019-06-13 2020-05-28 지폐 입금 장치 KR102598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0649 2019-06-13
JP2019110649A JP2020201905A (ja) 2019-06-13 2019-06-13 紙幣入金装置
PCT/JP2020/021150 WO2020250701A1 (ja) 2019-06-13 2020-05-28 紙幣入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813A KR20210144813A (ko) 2021-11-30
KR102598380B1 true KR102598380B1 (ko) 2023-11-06

Family

ID=7374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534A KR102598380B1 (ko) 2019-06-13 2020-05-28 지폐 입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201905A (ko)
KR (1) KR102598380B1 (ko)
WO (1) WO202025070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24A (ja) * 1999-09-13 2001-03-30 Glory Ltd 紙幣入金処理機における紙幣挿入口装置
JP2009244978A (ja) 2008-03-28 2009-10-22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16177516A (ja) * 2015-03-19 2016-10-0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4492B2 (ja) * 2009-11-05 2014-04-1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装置
JP5542485B2 (ja) 2010-03-15 2014-07-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入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24A (ja) * 1999-09-13 2001-03-30 Glory Ltd 紙幣入金処理機における紙幣挿入口装置
JP2009244978A (ja) 2008-03-28 2009-10-22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16177516A (ja) * 2015-03-19 2016-10-0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813A (ko) 2021-11-30
WO2020250701A1 (ja) 2020-12-17
JP2020201905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2325B2 (ja) 紙葉搬送機構及び紙葉取り扱い装置
US8727130B2 (en) Sheets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s processing method
JP5474492B2 (ja) 紙幣入金装置
TWI466067B (zh) Banknote handling device
CN109416859B (zh) 接触式推送器/进给轮实现方式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US10287121B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handling method
WO2016136320A1 (ja) 媒体束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2598380B1 (ko) 지폐 입금 장치
JP2011123538A (ja) 紙幣入金装置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6971862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JP6863847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および紙葉類仕分け装置
JP5484935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US20220028202A1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JP2009151703A (ja) 紙幣処理装置
KR101865141B1 (ko) 지폐 처리 장치
JP4652106B2 (ja) 小束紙幣処理機
JPH07257805A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KR102305823B1 (ko)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64143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JP6301093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集積方法
JPH0651492B2 (ja) 紙葉類整理機
JP2019200808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