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332B1 - 낙엽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낙엽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332B1
KR102596332B1 KR1020230049809A KR20230049809A KR102596332B1 KR 102596332 B1 KR102596332 B1 KR 102596332B1 KR 1020230049809 A KR1020230049809 A KR 1020230049809A KR 20230049809 A KR20230049809 A KR 20230049809A KR 102596332 B1 KR102596332 B1 KR 10259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grinding
fallen leaves
compres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천
Original Assignee
일월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월조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월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낙엽을 분쇄하는 분쇄장치(100); 상기 분쇄장치(100)에서 분쇄된 낙엽을 일정 크기로 압축하는 압축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100)는, 상측에 투입구(111)가 형성된 분쇄하우징(110);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낙엽을 1차 분쇄하는 제 1 분쇄어셈블리(200);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에서 분쇄된 낙엽을 2차 분쇄하는 제 2 분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낙엽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낙엽을 1차 분쇄 및 2차 분쇄한 후, 압축장치를 통해 소정크기 이상의 잉곳으로 압축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낙엽처리장치{Fall leaf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낙엽을 분쇄하여 압축할 수 있는 낙엽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나뭇잎은, 광합성 작용을 하는 엽록체에 의해 초기 녹색을 나타내다가 계절 변화에 따라 잎으로 통하는 물관과 체관이 막혀 활동이 중지되면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색이 변하게 되고 연속해서 나무에서 떨어져 주변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쌓이는 낙엽이 도로 및 도로 주변에 쌓여 흩어지는 경우 일반 쓰레기와 함께 혼합되어 도심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장에 청소 인력을 투입시켜 떨어진 낙엽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경우 많은 인력 및 시간, 그리고 비용이 소모되게 되고, 이를 배제하고라도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자 또는 운행하는 차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 및 도심의 도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 통행이 가능한 곳에서는 청소 인력이 아닌 떨어진 낙엽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기능을 갖는 청소차량을 통해 수거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청소 차량이 다양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지며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청소 차량은 단순히 낙엽만을 수거하여 운반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낙엽을 새로운 용도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낙엽을 특정한 일정장소로 운반한 후 태워서 소각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대기오염 및 산불 발생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산속에 떨어진 낙엽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햇빛이 토양으로 전달되지 못해 나무의 정상적인 성장을 억제하는 문제점도 있다.
낙엽을 퇴비로 활용할 경우 토질을 윤택하게 하는 등 어떠한 비료보다도 훌륭한 거름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수거 및 적재에 따른 난점 때문에 현재에는 청소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그대로 태워버리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92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91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1196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거된 낙엽을 분쇄하여 압축하여 처리 및 운송이 용이한 낙엽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투입된 낙엽을 분쇄하는 분쇄장치(100); 상기 분쇄장치(100)에서 분쇄된 낙엽을 일정 크기로 압축하는 압축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100)는, 상측에 투입구(111)가 형성된 분쇄하우징(110);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낙엽을 1차 분쇄하는 제 1 분쇄어셈블리(200);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에서 분쇄된 낙엽을 2차 분쇄하는 제 2 분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낙엽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는, 상기 분쇄하우징(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분쇄축(211)이 배치된 제 1 분쇄드럼(210); 상기 분쇄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쇄축(211)과 평행하게 제 2 분쇄축(221)이 배치된 제 2 분쇄드럼(220);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분쇄모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는, 상하 방향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실린더그라인더(310);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분쇄모터(320);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의 회전 시 낙엽을 2차 분쇄시키는 아우터그라인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축장치(500)와 연통된 토출호퍼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상하 방향으로 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장치(500)는, 상기 토출구(113)와 연통된 압축공간(501)이 형성된 압축바디(510); 상기 압축공간(501)을 개폐하는 도어(520); 상기 압축바디(510)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501)으로 이동된 낙엽을 상기 도어(520) 측으로 가압하여 압축하는 액추에이터(550); 상기 액추에이터(550)에 의해 압축된 낙엽이 소정크기의 잉곳으로 압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잉곳감지센서(56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낙엽을 1차 분쇄 및 2차 분쇄한 후, 압축장치를 통해 소정크기 이상의 잉곳으로 압축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압축된 낙엽이 설정크기 이상의 잉곳으로 생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잉곳감지센서가 배치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셔터가 분쇄공간 및 압축공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셔터가 압축장치의 작동 중 2차 분쇄된 낙엽이 압축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이동할 수 있는 캐스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낙엽이 수거된 곳으로 이동하여 낙엽의 분쇄 및 압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낙엽처리장치가 도시된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그라인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치형 및 아우터치형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래킷레그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압축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낙엽처리장치가 도시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그라인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치형 및 아우터치형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래킷레그의 설치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압축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엽처리장치는, 투입된 낙엽을 분쇄하는 분쇄장치(100)와, 상기 분쇄장치(100)에서 분쇄된 낙엽을 일정 크기로 압축하는 압축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장치(100)가 상기 압축장치(5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자중에 의해 분쇄된 낙엽이 상기 압축장치(500)로 이동된다.
상기 압축장치(500)의 하부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570)가 배치된다.
상기 분쇄장치(100)는, 상측에 투입구(111)가 형성된 분쇄하우징(110)과,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낙엽을 1차 분쇄하는 제 1 분쇄어셈블리(200)와,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에서 분쇄된 낙엽을 2차 분쇄하는 제 2 분쇄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상기 압축장치(5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장치(500)와 조립된다.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호퍼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축장치(500)와 연통된 토출호퍼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상하 방향으로 토출구(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의 작동을 고려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분쇄공간(115)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공간(115)에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 및 제 2 분쇄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상기 투입호퍼부(112)에 낙엽이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호퍼부(112)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원추형태 또는 원뿔대 형상이다. 상기 투입호퍼부(112)는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투입구(111)가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평면중심(본 실시예에서 원의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평면중심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축(C)이라 정의한다.
상기 중심축(C) 선상에 상기 투입구(111) 및 토출구(113)가 배치된다.
상기 투입구(111)의 하측에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호퍼부(114)는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측면(110a)에서 상기 중심축(C)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경사면(116)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경사면(116)의 하단이 상기 토출구(113)와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측면(110a)과 연결된다.
상기 토출호퍼부(114)는 하측으로 오목한 원추형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토출호퍼부(114)는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호퍼부(114)가 별도 제작된 후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측면(110a)에 결합된다. 상기 토출호퍼부(11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토출구(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가 상기 분쇄하우징(110)을 저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하 방향 배치로 볼 때, 상기 투입호퍼부(112)의 하측에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 상측에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는, 상기 분쇄하우징(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분쇄축(211)이 배치된 제 1 분쇄드럼(210)과, 상기 분쇄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쇄축(211)과 평행하게 제 2 분쇄축(221)이 배치된 제 2 분쇄드럼(220)과,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분쇄모터(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분쇄축(211) 및 제 2 분쇄축(221)이 상기 분쇄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상기 제 1 분쇄축(211) 및 제 2 분쇄축(221)에 동시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의 외주면에 피니언기어 또는 헬리컬기어 형태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이 수평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분쇄드럼(210)의 치형은 제 1 드럼치형이라 하고, 제 2 분쇄드럼(220)의 치형을 제 2 드럼치형이라 한다.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의 치합면이 상기 중심축(C) 선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가 상기 중심축(C)을 향해 하향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쇄축(211) 및 제 2 분쇄축(22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1 분쇄축(211)의 외측단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쇄모터(25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제 1 분쇄기어(230)와, 상기 제 2 분쇄축(221)의 외측단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쇄모터(25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제 2 분쇄기어(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제 1 분쇄기어(230) 또는 제 2 분쇄기어(24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쇄기어(230)를 관통한 제 1 분쇄축(211)에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분쇄모터(250), 제 1 분쇄기어(230) 및 제 2 분쇄기어(240)가 상기 분쇄하우징(11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모터(250), 제 1 분쇄기어(230) 및 제 2 분쇄기어(240)를 커버하는 구동하우징(27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상기 구동하우징(270) 또는 분쇄하우징(110)에 조립되고, 동력전달부재인 체인(260)을 통해 상기 제 1 분쇄축(211)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쇄모터(250)가 상기 제 1 분쇄축(211)에 직접 구동력을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상기 1차 분쇄된 낙엽을 2차 분쇄시키는 실린더그라인더(310)와,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분쇄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는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낙엽을 2차 분쇄시키는 아우터그라인더(340)를 더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 내측에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가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를 감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는 반원통형상으로 2개 제작된 후, 양단이 맞닿게 조립된다.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아우터그라인더(340a)라 하고, 타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아우터그라인더(340b)라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가 호형상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의 호형상 아우터그라인더가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복수개의 호형상 아우터그라인더가 배치되는 경우, 이격된 간격을 통해 2차 분쇄된 낙엽이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의 외측면(341)이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의 내측면(342)에 아우터치형(345)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의 실린더치형(315)과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치형(345)이 상기 중심축(C)을 향하게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치형(345)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된다.
상기 실린더치형(315) 역시 상기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아우터치형(345)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분쇄된 낙엽이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아우터치형(345)이 복수개로 분할된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치형(345)은 4개로 분할된다.
분할된 아우터치형(345)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아우터치형(345a), 제 2 아우터치형(345b), 제 3 아우터치형(345c) 및 제 4 아우터치형(345d)라 한다.
상기 제 1 아우터그라인더(341)에 제 1 아우터치형(345a) 및 제 2 아우터치형(345b)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그라인더(342)에 제 3 아우터치형(345c) 및 제 4 아우터치형(345d)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치형(345a) 및 제 2 아우터치형(345b)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제 1 배출홈(3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치형(345b) 및 제 3 아우터치형(345c)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제 2 배출홈(352)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아우터치형(345c) 및 제 4 아우터치형(345d)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제 3 배출홈(353)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아우터치형(345d) 및 제 1 아우터치형(345a)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제 4 배출홈(35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출홈(351), 제 2 배출홈(352), 제 3 배출홈(353) 및 제 4 배출홈(354)를 배출홈(350)이라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배출홈(350)이 더 많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측 행에 배치된 아우터치형(345)의 배출홈(350) 폭이 하측 행에 배치된 아우터치형(345)의 배출홈(350)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분쇄된 낙엽의 입자가 더 크기 때문에, 상측 배출홈을 넓게 형성하여 분쇄된 낙엽을 신속하게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낙엽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는, 외주면에 실린더치형(315)이 형성된 메인실린더(312)와, 상기 메인실린더(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된 어퍼실린더(314)와, 상기 메인실린더(31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실린더(312) 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실린더샤프트(316)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실린더(312)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아우터그라인더(340)가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치형(315)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실린더치형(315)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1열의 실린더치형(315)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아우터치형 높이 중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의 회전 시 상기 아우터치형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치형(315) 및 아우터치형(345) 사이로 낙엽이 진입하여 분쇄된다.
즉, 상기 실린더치형(315) 및 아우터치형(345)은 상하 방향으로 높이차를 형성하면 어긋나게 배치된다.
1열 실린더치형(315)은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분쇄된 낙엽을 톱니형상들 사이사이에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분쇄낙엽들이 자중에 의해 하측의 배출홈(3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어퍼실린더(314)의 꼭지점이 상기 중심축(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실린더(314)는 평면 중심이 가장 높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어퍼경사면(313)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경사면(313)이 1차 분쇄된 낙엽을 상기 실린더치형(315) 및 아우터치형(345) 사이로 안내한다. 상기 실린더치형(315) 및 아우터치형(345)를 분쇄간격이라 정의한다.
1차 분쇄된 낙엽이 상기 어퍼실린더(314)로 낙하된 후,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1차 분쇠된 낙엽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어퍼경사면(313)이 1차 분쇄된 낙엽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분쇄모터(320)가 상기 실린더샤프트(316)에 구동력을 직접 전달한다. 상기 제 2 분쇄모터(320)는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 하측에 배치되어 2차 분쇄된 낙엽에 의한 작동 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분쇄모터(320)가 상기 분쇄하우징(110)에 지지되고, 이를 위해 모터브래킷(360)이 배치된다.
상기 모터브래킷(360)은 상기 제 2 분쇄모터(320)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분쇄모터(320)를 지지하는 브래킷베이스(362)와, 상단이 상기 브래킷베이스(362)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토출경사면(116)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브래킷레그(364)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베이스(362)가 상기 제 2 분쇄모터(320)의 저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쇄모터(320)에 체결결합된다.
상기 브래킷베이스(362)가 상기 토출구(11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레그(364)가 복수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3개가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브래킷레그, 제 2 브래킷레그 및 제 3 브래킷레그라 한다.
상기 브래킷레그(364)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레그(364)의 상단이 상기 브래킷베이스(362)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토출경사면(116)에 조립된다. 상기 브래킷레그(364)의 상단이 상기 중심축(C)에 가깝게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축(C)과 멀게 배치된다.
2차 분쇄된 낙엽이 상기 브래킷레그(364)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레그(364)의 하단이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삽입되어 은닉된다.
상기 토출호퍼부(114)는 상기 토출경사면(116)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레그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레그(364)는 하단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그홈(117)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레그체결부(366)를 더 포함하고, 레그체결부재(367)가 상기 레그체결부(366)를 관통하여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체결된다.
상기 분쇄어셈블리(300)는 상기 레그홈(117)에 삽입되는 홈캡(3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홈캡(370)의 하단이 상기 레그체결부(366)에 지지되고, 상측면이 상기 토출경사면(116)과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2차 분쇄된 낙엽이 상기 레그홈(117)에 걸려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레그체결부(366)가 상기 토출호퍼부(114) 내부로 은닉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2차 분쇄낙엽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압축장치(500)는, 상기 토출구(113)와 연통된 압축공간(501)이 형성된 압축바디(510)와, 상기 압축공간(501)을 개폐하는 도어(520)와, 상기 압축바디(510)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501)으로 이동된 낙엽을 상기 도어(520) 측으로 가압하여 압축하는 액추에이터(550)와, 상기 액추에이터(550)에 의해 압축된 낙엽이 소정크기의 잉곳으로 압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잉곳감지센서(56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바디(510)는 상기 분쇄하우징(110) 하단에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113)와 연결되어 2차 분쇄된 낙엽을 공급받는다.
상기 압축바디(51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압축공간(501)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바디(510)가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510)는 상기 압축공간(501) 및 토출구(113)을 연결하는 인입공간(5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입공간(50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간(501)과 교차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바디(510)의 상측벽(511)에 상기 인입공간(502)을 개폐하는 셔터(580)가 더 배치되고, 상기 상측벽(511)에 상기 셔터(580)가 설치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간(502)이 상기 압축공간(501)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공간(501)의 일측 상부 또는 타측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입공간(502)이 상기 액추에이터(550) 측에 치우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520)가 압축공간(501)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550)가 상기 압축공간(501)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50)는, 상기 압축바디(510)의 우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551)와, 상기 실린더(551)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압축바디(510)를 관통하여 상기 압축공간(501)에서 직선이동되는 피스톤(552)과, 상기 피스톤(552)이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공간(501)의 낙엽을 상기 도어(520) 측으로 밀어 압축하는 압축판(553)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판(553)이 상기 압축공간(50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다.
인가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실린더(551)가 작동되고, 상기 피스톤(552)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축판(553)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바디(510)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551)가 내부에 은닉되는 액추에이터케이스(555)가 더 배치된다.
상기 압축바디(510) 및 액추에이터케이스(555)의 하단에 복수개의 캐스터(570)가 배치되고, 상기 캐스터(570)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낙엽처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린더(551)가 상기 액추에이터케이스(555)의 저면에 지지되고, 작동 시 피스톤(552)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510)의 우측벽(513)을 관통하는 피스톤홀(51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552)이 상기 피스톤홀(515)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압축판(553)이 상기 압축바디(510)의 우측벽(513)에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인입공간(502) 상측에서 볼 때, 상기 압축판(553)이 노출되지 않게 한다.
즉, 상기 인입공간(502)의 우측단에서 압축바디(510)의 우측벽까지 상기 압축판(553)이 수납되는 수납홈(504)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판(553)이 낙엽을 좌측으로 밀어서 압축할 때, 상기 도어(520)가 압축되는 낙엽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52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축공간(501)의 좌측단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520)의 상단 및 상측벽(511)을 연결하는 도어축(521)이 배치된다. 상기 도어축(521)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520)가 압축공간(50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상측벽(511)의 좌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상기 도어(520)가 수납되는 도어홈(511a)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홈(511a)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520)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축(521)이 상기 도어홈(511a)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도어(520)의 하단이 상기 압축바디(510)의 하측벽(5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벽(512)이 상기 압축공간(50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측벽(512)에 상기 도어(5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530)이 더 배치된다.
상기 락(530)은 상기 도어(520)의 전면에 배치되는 락바디(532)와, 상기 락바디(53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락축(535)을 포함한다.
상기 락축(535)을 중심으로 상기 락바디(532)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락바디(532)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상기 도어(520)의 회전방향을 막을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도어(520)의 회전반경 밖에 위치된다.
작업자가 상기 락바디(532)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50)의 압축판(553)이 낙엽을 가압하고, 상기 도어(520)의 내측면이 압축되는 낙엽을 지지하여 소정크기의 잉곳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잉곳감지센서(560)가 생성된 낙엽 잉곳의 크기를 판단한다.
상기 압축판(553)이 반복적으로 왕복이동되어 2차 분쇄된 낙엽잉곳이 점점 크게 생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압축공간(501)에서 압축된 잉곳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잉곳감지센서(560)가 잉곳의 크기를 판단한다.
상기 잉곳감지센서(560)는 적외선 센서 또는 포토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잉곳감지센서(560)는 상기 상측벽(511)에 배치된 발광부(561)와, 하측벽(512)에 배치된 수광부(562)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561)에서 발광된 신호를 상기 수광부(562)에서 수신할 경우, 잉곳의 크기가 소정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광부(562)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잉곳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압축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잉곳이 설정크기 이상으로 압축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또는 LED를 점등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알린다.
상기 잉곳감지센서(560)는 상기 액추에이터(550)의 작동 중에 감지되는 신호를 제외하고, 상기 압축판(553)이 상기 수납홈(504)에 수납된 후에 잉곳의 크기를 판단한다.
상기 잉곳이 설정크기 이상으로 압축된 후, 작업자가 상기 락(530)을 해제하고, 도어(520)를 개방하여 압축된 낙엽 잉곳을 인출할 수 있다.
잉곳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55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축판(553)이 잉곳을 밀어 상기 압축공간(501)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셔터(580)는 상기 인입공간(502)을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580)는 상기 액추에이터(550)의 작동 전에 상기 인입공간(502)을 폐쇄하여 압축판(553) 및 실린더(551) 사이로 낙엽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낙엽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2차 분쇄낙엽이 지속적으로 낙하할 경우, 상기 압축판(553) 및 실린더(551) 사이에 침투할 수 있고, 압축판(553)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수납홈(504)에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셔터(580)는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셔터(580)는,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셔터플레이트(582)와, 상기 셔터플레이트(582)를 회전시키는 셔터모터(585)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상기 인입공간(502)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셔터플레이트(582)는 상기 인입공간(502)의 평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모터(585)가 압축바디(510)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모터(585)의 모터축(586)에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결합되고, 상기 셔터모터(585)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상기 인입공간(502)을 폐쇄하지 않을 때, 상기 셔터플레이트(582)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압축바디(510)의 상측벽(511)에 셔터수납홈(516)이 형성된다.
상기 셔터수납홈(516)은 상기 인입공간(502)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수납홈(516)에서 상기 인입공간(502)까지 상기 셔터플레이트(582)를 안내하는 셔터안내홈(517)이 더 형성된다. 상기 셔터안내홈(517)은 상기 셔터플레이트(582)의 회전반경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셔터안내홈(517)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측에 2차분쇄된 낙엽이 적층되어도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셔터안내홈(517)의 반경(R)이 상기 인입공간(502)의 직경(P)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셔터플레이트(582)가 셔터안내홈(517)을 따라 회전되어 인입공간(502)을 폐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셔터수납홈(516)에 수납되어 상기 인입공간(502)을 개방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분쇄장치 110 : 분쇄하우징
200 : 제 1 분쇄어셈블리 210 : 제 1 분쇄드럼
220 : 제 2 분쇄드럼 250 : 제 1 분쇄모터
300 : 제 2 분쇄어셈블리 310 : 실린더그라인더
320 : 제 2 분쇄모터 340 : 아우터그라인더
500 : 압축장치 501 : 압축공간
502 : 인입공간 510 : 압축바디
520 : 도어 530 : 락
550 : 액추에이터 560 : 잉곳감지센서
580 : 셔터

Claims (5)

  1. 낙엽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낙엽을 분쇄하는 분쇄장치(100);
    상기 분쇄장치(100)에서 분쇄된 낙엽을 일정 크기로 압축하는 압축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100)는,
    상측에 투입구(111)가 형성된 분쇄하우징(110);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낙엽을 1차 분쇄하는 제 1 분쇄어셈블리(200);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에서 분쇄된 낙엽을 2차 분쇄하는 제 2 분쇄어셈블리(3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하우징(110)은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축장치(500)와 연통된 토출호퍼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호퍼부(114)에 상하 방향으로 토출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장치(500)는,
    상기 토출구(113)와 연통된 압축공간(501)이 형성된 압축바디(510);
    상기 압축공간(501)을 개폐하는 도어(520);
    상기 압축바디(510)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501)으로 이동된 낙엽을 상기 도어(520) 측으로 가압하여 압축하는 액추에이터(550);
    상기 액추에이터(550)에 의해 압축된 낙엽이 소정크기의 잉곳으로 압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잉곳감지센서(560);를 포함하는 낙엽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쇄어셈블리(200)는,
    상기 분쇄하우징(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분쇄축(211)이 배치된 제 1 분쇄드럼(210);
    상기 분쇄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쇄축(211)과 평행하게 제 2 분쇄축(221)이 배치된 제 2 분쇄드럼(220);
    상기 제 1 분쇄드럼(210) 및 제 2 분쇄드럼(2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분쇄모터(250);를 포함하는 낙엽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쇄어셈블리(300)는,
    상하 방향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실린더그라인더(310);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분쇄모터(320);
    상기 분쇄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그라인더(310)의 회전 시 낙엽을 2차 분쇄시키는 아우터그라인더(340);를 포함하는 낙엽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30049809A 2023-04-17 2023-04-17 낙엽처리장치 KR10259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809A KR102596332B1 (ko) 2023-04-17 2023-04-17 낙엽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809A KR102596332B1 (ko) 2023-04-17 2023-04-17 낙엽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332B1 true KR102596332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809A KR102596332B1 (ko) 2023-04-17 2023-04-17 낙엽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3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702Y1 (ko) * 2000-12-30 2001-06-01 주식회사현준파우텍 분쇄기
KR101019144B1 (ko) 2010-11-29 2011-03-03 김정이 낙엽 분쇄기
KR101069219B1 (ko) 2009-11-09 2011-09-30 김정이 낙엽 분쇄장치
KR20190119689A (ko) 2018-04-12 2019-10-23 류종우 낙엽용 펠릿 성형장치
KR102059599B1 (ko) * 2019-06-28 2019-12-26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곡물분쇄장치
CN216094068U (zh) * 2021-10-26 2022-03-22 湖南三一工业职业技术学院 枯叶粉碎装置
CN218712519U (zh) * 2022-11-07 2023-03-24 于小洁 一种具有落叶压缩功能的落叶清理车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702Y1 (ko) * 2000-12-30 2001-06-01 주식회사현준파우텍 분쇄기
KR101069219B1 (ko) 2009-11-09 2011-09-30 김정이 낙엽 분쇄장치
KR101019144B1 (ko) 2010-11-29 2011-03-03 김정이 낙엽 분쇄기
KR20190119689A (ko) 2018-04-12 2019-10-23 류종우 낙엽용 펠릿 성형장치
KR102059599B1 (ko) * 2019-06-28 2019-12-26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곡물분쇄장치
CN216094068U (zh) * 2021-10-26 2022-03-22 湖南三一工业职业技术学院 枯叶粉碎装置
CN218712519U (zh) * 2022-11-07 2023-03-24 于小洁 一种具有落叶压缩功能的落叶清理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2773A1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solid waste
US3412770A (en) Portable pulverizer
KR102596332B1 (ko) 낙엽처리장치
EP0894025B1 (en) Covered rotating drum grinding machine
US4852816A (en) Composting equipment
WO2012096560A1 (en) Cutter drum for use in tree trunk pulverizer
CN205462579U (zh) 一种园林废料处理装置
ES2359901B2 (es) Máquina recogedora, trituradora e impulsadora de biomasa.
US3876158A (en) Low noise level chipper
KR20080077482A (ko) 자체 구동형 임폐목 파쇄설비장치
KR200173668Y1 (ko) 목재 파쇄기
US5762273A (en) Mulcher apparatus
CN210187351U (zh) 一种微型自走式茶杆粉碎机
JPS586250A (ja) 廃棄物の粉砕装置
JP4204741B2 (ja) 破砕機付き塵芥収集車
KR102641037B1 (ko)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KR100889724B1 (ko) 목재 파쇄기
JPS5926738B2 (ja) 塵埃等の破砕、圧縮および空気輪送システム
JP4855033B2 (ja) ごみ焼却施設
JPS6113088Y2 (ko)
WO2022247152A1 (zh) 一种园林废弃物破碎分离装置
KR101495279B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S6116096Y2 (ko)
CN209829169U (zh) 一种履带自走式树枝粉碎机
FR2768352A1 (fr) Procede pour reduire des vegetaux tels que, notamment des branches denudees ou non, des arbustes, des fleurs, des herbes ou autres, en morceau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