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668Y1 - 목재 파쇄기 - Google Patents

목재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668Y1
KR200173668Y1 KR2019990018984U KR19990018984U KR200173668Y1 KR 200173668 Y1 KR200173668 Y1 KR 200173668Y1 KR 2019990018984 U KR2019990018984 U KR 2019990018984U KR 19990018984 U KR19990018984 U KR 19990018984U KR 200173668 Y1 KR200173668 Y1 KR 200173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late
coupled
shaf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열
Original Assignee
김택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열 filed Critical 김택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2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shav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garden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펄프나 각종 공업원료 및 농업원료나 지면 포장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칩 크기의 파쇄물을 생산함에 있어서, 원목 또는 폐잡목이 위치한 벌목지까지 자체 이동한 후 곧바로 벌목지의 원목이나 폐잡목을 파쇄하여 포장백에 담아 운반차에 직접 적재시키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목재를 칩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물을 송풍시키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가 내장된 파쇄통과, 상기 파쇄통으로 목재가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공물공급호퍼와,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에 의해 송풍되는 파쇄물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파쇄물안내덕트와, 상기 파쇄물안내덕트를 따라 송풍되는 파쇄물을 포집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있도록 복수개의 파쇄물배출구를 갖는 파쇄물배출호퍼가 기대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목재를 파쇄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엔드리스형상의 컨베이어바퀴가 이송됨에 따라 자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상기 기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재 파쇄기{WOOD CHIPPER}
본 고안은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펄프나 각종 공업원료 및 농업원료나 지면 포장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칩 크기의 파쇄물을 생산함에 있어서, 원목 또는 폐잡목이 위치한 벌목지 까지 자체 이동한 후 곧바로 벌목지의 원목이나 폐잡목을 파쇄하여 포장백에 담아 운반차에 직접 적재시키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재소에서 원목을 원하는 모양의 재단하는 경우 발생되는 폐목이나 가로수 과수원 또는 임야의 수목을 가지치기하는 경우 발생되는 잡목 등은 대부분 칩과 같은 형태로 파쇄되어 동물사육장 과수원 농토 등의 깔개나 퇴비와 같은 농업원료 또는 펄프나 연료 등과 같은 공업원료로 재활용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폐목이나 잡목을 파쇄하여 농업원료 또는 공업원료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파쇄물로 가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대부분 제지 공장과 같은 생산공정 라인상에 설치된 거대한 설비에 의해서만 원목이나 폐잡목이 파쇄되어 칩 형태의 파쇄물 생산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벌목지로 부터 원목을 그대로 공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적재와 하역 및 보관상의 번거로움이 따랐으며, 그로 인해 목재 칩의 생산량이 적어지고 가격이 높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6a)가 달린 트레일러(6)의 상단에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목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물을 송풍시키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내장된 파쇄통(2)과, 상기 파쇄통(2)으로 목재가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공물공급호퍼(3)와,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의해 송풍되는 파쇄물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파쇄물안내덕트(4)와, 상기 파쇄물안내덕트(4)를 따라 송풍되는 파쇄물을 포집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파쇄물배출호퍼가 장착된 목재 파쇄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목재 파쇄기는 목재를 벌목지에서 즉시 칩 형태의 파쇄물로 가공하기에는 용이하나 장소를 이동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다른 장비 예를 들어 트럭이나 중장비 등과 같은 것으로 견인하여 이동시켜야 함으로 설치 및 이동이 번거로움은 물론 그로 인해 원목이나 폐잡목의 파쇄작업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목 또는 폐잡목이 위치한 벌목지 까지 자체 이동한 후 곧바로 벌목지의 원목이나 폐잡목을 파쇄하여 칩 크기의 파쇄물로 가공한 다음 포장백에 담아 운반차에 직접 적제시키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목재 파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목재를 칩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물을 송풍시키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가 내장된 파쇄통과, 상기 파쇄통으로 목재가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공물공급호퍼와,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에 의해 송풍되는 파쇄물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파쇄물안내덕트와, 상기 파쇄물안내덕트를 따라 송풍되는 파쇄물을 포집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있도록 복수개의 파쇄물배출구를 갖는 파쇄물배출호퍼가 기대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목재를 파쇄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엔드리스형상의 컨베이어바퀴가 이송됨에 따라 자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상기 기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의 주요부인 이동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의 주요부인 이동수단의 밋션과 감속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의 주요부인 구동력제어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의 주요부인 이동수단의 제어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목재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파쇄통
2a : 송풍디스크 3 : 가공물공급호퍼
4 : 파쇄물안내덕트 5 : 파쇄물배출호퍼
5a : 파쇄물배출구 7 : 기대프레임
10 : 이동수단 100 : 컨베이어바퀴
110 : 밸트부 120 : 지면접촉돌기
130 : 걸림홈 140 : 안내돌기
200 : 안내지지프레임 210 : 플레이트부
220 : 안내롤러 230 : 종동휠
231 : 걸림기어 240 : 길이조절수단
241 : 지지바 242 : 가이드바
242a : 가이드공 243 : 길이조절샤프트
243a : 나사부 244 : 길이조절브라켓
244a : 안내공 245 : 고정너트
300 : 서브프레임 400 : 구동축
410 : 구동휠 411 : 걸림기어
500 : 밋션 600 : 감속기
700 : 제어박스 710 : 설치브라켓
711 : 설치판 712 : 잠금걸림편
712a : 걸림턱 713 : 지지리브
713a : 통공 720 : 회동암
721 : 샤프트 722 : 브레이크걸림편
722a : 걸림턱 722b : 체결공
723 : 방향제어걸림편 723a : 걸림턱
724 : 체결볼트 725 : 스프링
730 : 브레이크레버 731 : 수직회동판
731a : 요입홈 731b : 체결공
732 : 손잡이부 740 : 방향조절레버
741 : 회동판 741a : 결합공
742 : 회전리브 742a : 통공
743 : 연결바 744 : 손잡이부
800 : 구동력제어수단 810 : 구동링
811 : 기어홈 820 : 구동샤프트
830 : 허브플레이트 831 : 보스부
831a : 기어부 840 : 드라이브플레이트
841 : 통공 842 : 기어부
850 : 클러치플레이트 851 : 기어공
852 : 슬라이딩슬리브 853 : 링크
860 : 단속레버 861 : 포크
870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 파쇄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과,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목재를 칩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물을 송풍시키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내장된 파쇄통(2)과, 상기 파쇄통(2)으로 목재가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공물공급호퍼(3)와,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의해 송풍되는 파쇄물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파쇄물안내덕트(4)와, 상기 파쇄물안내덕트(4)를 따라 송풍되는 파쇄물을 포집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있도록 복수개의 파쇄물배출구(5a)를 갖는 파쇄물배출호퍼(5)가 기대프레임(7)의 상단에 장착되어 목재를 파쇄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엔드리스형상의 컨베이어바퀴(100)가 이송됨에 따라 자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수단(10)이 상기 기대프레임(7)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파쇄통(2)의 파쇄 및 송풍디스크(2a)로 전달되는 엔진(1)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구동력제어수단(8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폭을 갖는 엔드리스 형상의 밸트부(110) 외면에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의 지면접촉돌기(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면접촉돌기(120) 사이 사이에는 걸림홈(130)이 밸트부(110)의 폭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홈(130)과 인접된 밸트부(110)의 내측면에는 두 개가 한조를 이루는 안내돌기(140)가 적정간격을 유지하여 밸트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복수개의 컨베이어바퀴(100)와, 플레이트부(210)의 양측면 하부와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바퀴(100)의 안내돌기(140)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다수의 안내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일단부 상면에는 컨베이어바퀴(100)의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기어(231)를 갖는 종동휠(230)이 전후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수단(240)의 지지바(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 복수개의 안내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복수개의 안내지지프레임(200)을 기대프레임(7)의 저면에 지지 고정하는 서브프레임(300)과,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바퀴(100)를 구동시키도록 단부에 상기 컨베이어바퀴(100)의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기어(411)를 갖는 구동휠(410)이 결합된 복수개의 구동축(400)과, 상기 복수개의 구동축(400)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엔진(1)의 구동력이 상기 복수개의 구동축(400)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밋션(500)과, 상기 밋션(500)으로 전달되는 엔진(1)의 구동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감속기(600)와, 상기 밋션(500)의 구동을 제어하여 목재 파쇄기의 이동방향및 정지 등을 조정하는 다수의 레버가 구비된 제어박스(700)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1)과 감속기(600)의 구동력 전달은 엔진(1)의 동력전달샤프트(1a)와 감속기(600)의 입력축(610)에 풀리(611)(612)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풀리(611)(612)는 풀리밸트(613)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엔진(1)의 동력전달샤프트(1a)의 회전에 따라 감속기(600)의 입력축(610)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600)와 밋션(500)의 구동력 전달은 상기 감속기(600)의 출력축(620)과 밋션(500)의 입력축(510)에 풀리(621)(511)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풀리(621)(511)는 풀리밸트(512)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600)의 출력축(620) 회전에 따라 밋션(500)의 입력축(510)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지지프레임(200)의 플레이트부(210)에 지지 결합된 종동휠(2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2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휠(230)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지지바(241)와, 내부에 상기 지지바(241)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공(242a)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바(242)와, 상기 가이드바(242)와 인접되는 플레이트부(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243a)가 형성된 길이조절샤프트(243)와, 상기 가이드바(242)를 통과한 지지바(241)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샤프트(243)의 나사부(243a)가 삽입되는 안내공(244a)이 형성된 길이조절브라켓(244)과, 상기 길이조절샤프트(243)에 결합된 길이조절브라켓(244)을 고정하는 고정너트(245)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길이조절샤프트(243)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브라켓(244)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바(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휠(230)과 안내지지프레임(200)의 플레이트부(2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안내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된 컨베이어바퀴(100)의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 제어박스(7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밋션(500) 및 감속기(600)와 인접된 기대프레임(7)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설치판(711)의 일면 상측부에 걸림턱(712a)을 갖는 잠금걸림편(71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설치판(711)의 하측부는 통공(713a)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리브(713)가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고정 결합된 설치브라켓(710)과, 상기 설치브라켓(710)의 지지리브(7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721)의 중간에 걸림턱(722a)을 갖는 단면 ㄴ형상의 브레이크걸림편(72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721)의 양단부위에 각각 걸림턱(723a)를 갖는 단면 ㄴ형상의 방향제어걸림편(723)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걸림편(722)의 상부에는 체결볼트(724)가 삽입되는 체결공(722b)이 형성된 회동암(720)과, 상기 회동암(720)의 브레이크걸림편(722)에 인접되는 샤프트(7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단면에 상기 회동암(720)의 샤프트(721)가 삽입되는 하측 개구된 요입홈(731a)이 형성된 수직회동판(731)의 상측에 상기 체결볼트(724)가 삽입되는 체결공(731b)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동판(731)의 상단면에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732)가 수직으로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레버(730)와, 상기 회동암(720)의 방향제어걸림편(723)에 인접되는 샤프트(721)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공(742a)을 갖는 회전리브(742)가 하측에 구비된 회동판(741)의 상측에 밋션(500)과 연결되는 연결바(743)가 결합되도록 결합공(741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741)의 회전리브(742)에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744)가 수직으로 고정 결합된 복수개의 방향조절레버(7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암(720)의 체결공(722b) 및 브레이크레버(730)의 체결공(731b)에 삽입되는 체결볼트(724)에는 양단이 각각 체결볼트(724)의 머리부(724a)와 회동암(720)의 브레이크걸림편(722)에 지지되는 스프링(725)이 끼워지고, 상기 일치되는 체결공(722b)(731b)을 지난 체결볼트(724)의 나사부(243a)에는 너트(724b)가 체결되어져 상기 브레이크레버(730)의 수직회동판(731)이 설치브라켓(710)의 잠금걸림편(712)에 탄성적으로 걸림 해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수단(10)의 전후 방향을 제어하는 전후방향레버(750)와 이동수단(1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다단기어레버(760)는 밋션(50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력제어수단(8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구동축(400)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내부면에 다수의 기어홈(811)이 형성된 구동링(810)과, 상기 파쇄통(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구동샤프트(82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면에 다수의 기어부(831a)를 갖는 보스부(831)가 연이어 형성된 원형상의 허브플레이트(83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 상에 이송 가능하게 끼워지며 중앙부위에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의 보스부(831)가 삽입되는 통공(84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구동링(810)의 기어홈(811)과 치합되는 기어부(842)가 다수 형성된 드라이브플레이트(84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 상에 이송 가능하게 끼워지며 중앙부위에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의 보스부(831)가 치합되는 기어공(851)이 형성되고, 일면에 슬라이딩슬리브(852)가 다수의 링크(853)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플레이트(850)와, 상기 클러치플레이트(850)의 슬라이딩슬리브(852)를 밀어 상기 클러치플레이트(850)가 드라이브플레이트(840)를 밀면서 허브플레이트(830)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포크(861)가 구비된 단속레버(86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단속레버(860)를 회동시켜 포크(861)가 슬라이딩슬리브(852)를 밀게되면, 상기 클러치플레이트(850)가 구동샤프트(820)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허브플레이트(83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엔진(1)의 구동링(810) 치합되어 연동되는 드라이브플레이트(840)를 허브플레이트(830)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클러치플레이트(850)의 기어공(851)이 허브플레이트(830)의 기어부(831a)에 치합되어 상기 엔진(1)의 구동력이 구동링(810)에 치합된 드라이브플레이트(840)와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의 상호 밀착력에 의해 구동샤프트(820)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 사이에는 스프링(870)이 내재되어 상기 회동시킨 단속레버(860)를 원위치시키면, 상기 스프링(870)의 탄성력에 의해 드라이브플레이트(840)를 밀착한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의 사이가 벌어지게되어 상기 구동링(810)에 치합된 드라이브플레이트(840)와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를 통해 구동샤프트(820)로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이 단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벌목된 원목이 위치한 장소로 목재 파쇄기를 이동 시킬 경우에는 우선 구동력제어수단(800)의 단속레버(860)를 회동시켜 서로 밀착되며 연동되도록 결합된 드라이브플레이트(840)와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샤프트(820)로 전달되는 엔진(1)의 구동력을 단절하여 파쇄통(2)의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엔진(1)에 시동을 걸어 구동시키면, 상기 엔진(1)의 동력은 감속기(600)의 입력축(610)에 전달되어 그 구동력이 적절히 조절된 후 출력축(620)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감속기(600)의 출력축(620) 구동력은 밋션(500)의 입력축(510)에 전달된 후 밋션(500)의 구동축(400)으로 전달되며, 상기 밋션(500)의 구동축(400)으로 출력되는 구동력은 안내지지프레임(200)에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된 컨베이어바퀴(100)를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목재 파쇄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지지프레임(200)의 상단에 설치된 길이조절수단(240)은 구동휠(410)과 종동휠(230) 사이의 거리를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안내지지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컨베이어바퀴(100)의 장력을 조절하게되며, 상기 안내지지프레임(200)의 안내롤러(220)는 상기 컨베이어바퀴(100)가 원활히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이동되는 목재 파쇄기의 방향전환은 제어박스(700)의 방향조절레버(740)를 움직여 상기 방향조절레버(740)와 연결바(743)에 의해 연결된 밋션(5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양 구동축(400) 중 어느한 구동축(4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일시 정지시켜 목재 파쇄기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전환되도록 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700)에 설치된 브레이크레버(730)를 잡아당겨 설치브라켓(710)의 잠금걸림편(712)에서 걸리도록 하면, 상기 회동되는 브레이크레버(730)에 의해 회동암(720)이 밀리며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회동암(720)의 샤프트(721)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방향조절레버(740)는 회동암(720)의 방향전환걸림편에 밀려 회동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레버와 연결바(743)에 의해 연결된 밋션(5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양 구동축(400)을 모두 정지시켜 목재 파쇄기의 이동을 정지시키게된다.
이후, 벌목된 원목이 위치한 장소로 목재 파쇄기를 이동된 후에는 상기 구동력제어수단(800)의 단속레버(860)를 회동시켜 엔진(1)의 구동링(810)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드라이브플레이트(840)가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 사이 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엔진(1)의 구동력이 구동샤프트(820)를 통해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전달되어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후, 목재 파쇄기의 가공물공급호퍼(3)를 통해 폐목이나 잡목을 파쇄통(2)으로 넣게되면, 회전되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폐목 및 잡목을 칩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송풍하여 파쇄물을 파쇄물안내덕트(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보관백에 담기에 용이하도록 파쇄물배출호퍼(5)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엔드리스형상의 컨베이어바퀴가 구동되어 자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구비된 본 고안인 목재 파쇄기는 이송수단에 의해 폐목이나 잡목 등이 위치한 벌목지 까지 자체 이동이 가능함으로 간편하게 운반설치하여 폐목이나 잡목의 파쇄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도로의 따라 양측으로 심어진 가로수를 가지치기하여 발생된 잡목을 목재 파쇄기가 이동하면서 즉시 파쇄하여 칩모양의 파쇄물로 가공한 후 보관백에 담아 차량에 적재할 수 있음으로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게 폐목이나 잡목의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과,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목재를 칩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물을 송풍시키는 파쇄 및 송풍디스크(2a)가 내장된 파쇄통(2)과, 상기 파쇄통(2)으로 목재가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공물공급호퍼(3)와, 상기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의해 송풍되는 파쇄물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파쇄물안내덕트(4)와, 상기 파쇄물안내덕트(4)를 따라 송풍되는 파쇄물을 포집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있도록 복수개의 파쇄물배출구(5a)를 갖는 파쇄물배출호퍼(5)가 기대프레임(7)의 상단에 장착되어 목재를 파쇄하여 보관백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엔드리스형상의 컨베이어바퀴(100)가 이송됨에 따라 자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수단(10)이 상기 기대프레임(7)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통(2)의 파쇄 및 송풍디스크(2a)로 전달되는 엔진(1)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구동력제어수단(80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은 소정폭을 갖는 엔드리스 형상의 밸트부(110) 외면에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의 지면접촉돌기(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면접촉돌기(120) 사이 사이에는 걸림홈(130)이 밸트부(110)의 폭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홈(130)과 인접된 밸트부(110)의 내측면에는 안내돌기(140)가 밸트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복수개의 컨베이어바퀴(100)와; 플레이트부(210)의 양측면 하부와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바퀴(100)의 안내돌기(140)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다수의 안내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일단부 상면에는 컨베이어바퀴(100)의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기어(231)를 갖는 종동휠(230)이 길이조절수단(240)의 지지바(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 복수개의 안내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복수개의 안내지지프레임(200)을 기대프레임(7)의 저면에 지지 고정하는 서브프레임(300)과; 상기 엔진(1)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바퀴(100)를 구동시키도록 단부에 상기 컨베이어바퀴(100)의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기어(411)를 갖는 구동휠(410)이 결합된 복수개의 구동축(400)과; 상기 복수개의 구동축(400)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엔진(1)의 구동력이 상기 복수개의 구동축(400)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밋션(500)과; 상기 밋션(500)으로 전달되는 엔진(1)의 구동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감속기(600)와; 상기 밋션(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레버가 구비된 제어박스(70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제어수단(800)은 엔진(1)의 구동축(400)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내부면에 다수의 기어홈(811)이 형성된 구동링(810)과; 상기 파쇄통(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파쇄 및 송풍디스크(2a)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구동샤프트(82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면에 다수의 기어부(831a)를 갖는 보스부(831)가 연이어 형성된 원형상의 허브플레이트(83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 상에 이송 가능하게 끼워지며, 중앙부위에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의 보스부(831)가 삽입되는 통공(84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구동링(810)의 기어홈(811)과 치합되는 기어부(842)가 다수 형성된 드라이브플레이트(840)와; 상기 구동샤프트(820) 상에 이송 가능하게 끼워지며, 중앙부위에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의 보스부(831)가 치합되는 기어공(851)이 형성되고, 일면에 슬라이딩슬리브(852)가 다수의 링크(853)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플레이트(850)와; 상기 허브플레이트(830)와 클러치플레이트(850) 사이에 내재되는 스프링(870)과; 상기 클러치플레이트(850)의 슬라이딩슬리브(852)를 밀어 상기 클러치플레이트(850)가 드라이브플레이트(840)를 밀면서 허브플레이트(830)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포크(861)가 구비된 단속레버(86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240)은 상기 종동휠(230)이 회전 가능 하게 지지 결합되는 지지바(241)와; 내부에 상기 지지바(241)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공(242a)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바(242)와; 상기 가이드바(242)와 인접되는 플레이트부(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243a)가 형성된 길이조절샤프트(243)와; 상기 가이드바(242)를 통과한 지지바(241)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샤프트(243)의 나사부(243a)가 삽입되는 안내공(244a)이 형성된 길이조절브라켓(244)과; 상기 길이조절샤프트(243)에 결합된 길이조절브라켓(244)을 고정하는 고정너트(245)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700)는 밋션(500) 및 감속기(600)와 인접된 기대프레임(7)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설치판(711)의 일면 상측부에 걸림턱(712a)을 갖는 잠금걸림편(71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설치판(711)의 하측부는 통공(713a)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리브(713)가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고정 결합된 설치브라켓(710)과; 상기 설치브라켓(710)의 지지리브(7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721)의 중간에 걸림턱(722a)을 갖는 단면 ㄴ형상의 브레이크걸림편(72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721)의 양단부위에 각각 걸림턱(723a)를 갖는 단면 ㄴ형상의 방향제어걸림편(723)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걸림편(722)의 상부에는 스프링(725)이 탄지된 체결볼트(724)가 삽입되는 체결공(722b)이 형성된 회동암(720)과; 상기 회동암(720)의 브레이크걸림편(722)에 인접되는 샤프트(7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단면에 하측 개구된 요입홈(731a)이 형성된 수직회동판(731)의 상측에 상기 체결볼트(724)가 삽입되는 체결공(731b)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동판(731)의 상단면에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732)가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레버(730)와; 상기 회동암(720)의 방향제어걸림편(723)에 인접되는 샤프트(721)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공(742a)을 갖는 회전리브(742)가 하측에 구비된 회동판(741)의 상측에 밋션(500)과 연결되는 연결바(743)가 결합되도록 결합공(74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리브(742)에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744)가 고정 결합된 복수개의 방향조절레버(74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KR2019990018984U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KR2001736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966A KR100348805B1 (ko)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66A Division KR100348805B1 (ko)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668Y1 true KR200173668Y1 (ko) 2000-03-15

Family

ID=19610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66A KR100348805B1 (ko)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KR2019990018984U KR200173668Y1 (ko)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66A KR100348805B1 (ko) 1999-09-07 1999-09-07 목재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8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119A (zh) * 2013-08-28 2013-12-18 江军 一种木材削片机的给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24B1 (ko) 2007-07-27 2009-03-23 (주)한서정공 목재 파쇄기
KR100795096B1 (ko) * 2007-10-09 2008-01-17 (주)풍림이엔지 휴대용 조립식 잔가지 파쇄기
KR200468416Y1 (ko) 2011-07-12 2013-08-12 황금수 목재 칩의 배출위치조절이 용이한 목재 파쇄기
KR101684262B1 (ko) * 2016-06-29 2016-12-08 김순영 복합 작업용 임업 기반 차량
CN109500959A (zh) * 2018-10-23 2019-03-22 东莞理工学院 一种移动式木材垃圾收集处理装置
KR102163666B1 (ko) 2020-05-27 2020-10-07 (주)한성티앤아이 동력 파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554A (en) * 1978-07-21 1980-12-02 Nicholson Manufacturing Company Land clearing machine
KR960008080B1 (ko) * 1993-06-24 1996-06-19 김택열 톱밥제조기
JPH07314411A (ja) * 1994-05-26 1995-12-05 Shiyarufueefu Shokai:Kk 山林作業機
KR19980061716U (ko) * 1997-03-27 1998-11-16 김택열 자주형 톱밥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119A (zh) * 2013-08-28 2013-12-18 江军 一种木材削片机的给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8805B1 (ko) 2002-08-17
KR2001002659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950A (en) Portable shredding machine
US5372316A (en) Waste processing machine
US508218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KR100508324B1 (ko)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US7878434B2 (en) Wood chipper
CA2120692C (en) Comminuting machine with comminution grates
US5484110A (en) Comminuting machine with communication cover plate
KR200173668Y1 (ko) 목재 파쇄기
US5042730A (en) Multi-purpose rotating disc shredding device
EP0894025B1 (en) Covered rotating drum grinding machine
WO2006050259A1 (en) Portable, on-site wood shredder
EP0212194B1 (de) Kompostiergerät zum Zerkleinern von organischem Abfall
CN111921654A (zh) 一种微片微粒联合机组
CA1321528C (en) Combination log debarker-chipper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US20180161779A1 (en) Discharge System for a Wast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WO2012096560A1 (en) Cutter drum for use in tree trunk pulverizer
CA3099165A1 (en) Portable grinding/shredding/chipping system having manipulable track drive and other improvements
JP4390329B2 (ja) 自走式粉砕処理装置
CN212468380U (zh) 一种微片微粒联合机组
KR100653612B1 (ko) 산지 이송형 목재파쇄기
KR200468416Y1 (ko) 목재 칩의 배출위치조절이 용이한 목재 파쇄기
KR100889724B1 (ko) 목재 파쇄기
EP0304870A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CA2103633A1 (en) Waste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