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037B1 -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037B1
KR102641037B1 KR1020230064640A KR20230064640A KR102641037B1 KR 102641037 B1 KR102641037 B1 KR 102641037B1 KR 1020230064640 A KR1020230064640 A KR 1020230064640A KR 20230064640 A KR20230064640 A KR 20230064640A KR 102641037 B1 KR102641037 B1 KR 102641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e shaft
cutter
crushing
cigarette but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록
오준민
Original Assignee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공아이엔씨(주) filed Critical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23006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71Stands for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6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 rotor elements extending axially in close radial proximity of a concentrically arranged slotted or perforated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concentric circles of intermeshing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호퍼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호퍼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호퍼유닛로부터 배출되는 담배꽁초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분쇄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분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유닛을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수용되는 수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쇄유닛은 상면 일측에 상기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설치하우징 및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축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면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회전방향 측 상단으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의 후방으로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커터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커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커터부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제1 분쇄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분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집이 가능하므로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를 재분쇄해야 하는 추가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통해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어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Grinding apparatus for recyling cigarette butts}
본 발명은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집이 가능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통해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환경보호를 위한 자구책을 강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각국의 정부들도 환경보호를 위한 운동 및 법령의 제정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친환경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상품의 제조공정에서부터 포장 생산품까지 점차적으로 친환경적인 공정과 재료로 대체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일부 제조업체들의 경우 환경 보호에 기여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환경 영향 평가 방법인 LCA(Life Cycle Assessment)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LCA 기법은 서비스를 포함한 제품 생산의 전과정, 즉, 원료 공급 및 가공, 제조, 수송, 유통, 사용, 재활용 및 폐기물 관리 과정에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개선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원료의 이용 및 자원의 재활용과 친환경 생산 공정의 개발 및 제품 생산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반면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흡연인구는 많고 흡연자가 머무는 장소, 예를 들면, 일반 가정과 길거리 혹은 공원 등에 담배꽁초가 버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담배꽁초의 경우 담배필터는 잘 썩지도 않지만, 썩는 데 5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아무데나 버려지고 있는 담배꽁초는 환경오염의 주요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담배필터의 경우 통상적으로 아세테이트 섬유로 만들어지는데 아세테이트 섬유는 상당히 고급원단의 재료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3312호에는 실내 또는 실외 및 흡연부스에 구비되어 흡연자의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꽁초를 파쇄하여 담배재 및 담배잎과 필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공용 재떨이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3312호는 담배재 및 담배잎과 필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는 있으나, 담배꽁초를 파쇄하는 파쇄부가 단순이 담배꽁초의 담배재 및 담배잎과 필터부분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수거된 필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재분쇄하는 추가공정이 요구됨에 따라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3312호는 수거 호퍼, 파쇄부, 분리부 및 수거부를 거쳐 담배꽁초가 분리 수거되는 수거라인을 통해 외부공기가 쉽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가 수거부로 투입되는 경우, 수거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불씨가 발화되어 수거된 담배재 및 담배잎과 필터가 연소됨에 따라 이를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3312호(공용 재떨이, 2017.03.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집이 가능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통해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호퍼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호퍼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호퍼유닛로부터 배출되는 담배꽁초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분쇄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분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유닛을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수용되는 수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쇄유닛은 상면 일측에 상기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설치하우징 및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축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면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회전방향 측 상단으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의 후방으로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커터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커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커터부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분쇄부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된 저면 중 상기 칼날의 후방에 적어도 하나의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고, 각각의 인입공간의 후방으로 배출로가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로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다수의 배출공이 상기 커터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을 1조로 하는 다수 조가 상기 커터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쇄날은 각각의 배출공의 인접한 일측 중 상기 커터의 회전방향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조의 배출공은 이웃하는 각 조의 배출공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 구조의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상기 설치하우징의 개구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집이 가능하므로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를 재분쇄해야 하는 추가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통해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어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본체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을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커터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와 제1 분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인입공간으로 담배꽁초가 인입 또는 배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본체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을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커터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1)는 본체(10), 호퍼유닛(20), 분쇄유닛(30), 수거유닛(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호퍼유닛(20), 분쇄유닛(30) 및 수거유닛(40)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1) 및 커버(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S1)이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에 수거유닛(40)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출구(11a)에는 인출구(11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1b)가 설치된다.
커버(12)는 대향하는 상단부 양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서 측면을 따라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구(12aa)가 형성된 상부커버(12a)와, 상단부가 상부커버(12a)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바으로 절곡된 하단부가 하우징(11)의 외면에 결합되는 함체형상의 하부커버(12b)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입구(12aa)는 담배꽁초 이외의 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담배꽁초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2a)의 외면 일측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커버(12a)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오목부가 투입구(12a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투입구(12aa) 방향으로 담배꽁초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12ab)가 설치된다.
호퍼유닛(20)은 하우징(11)의 내부 중 상단부에 설치되어 투입구(12b)을 통해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21) 및 배출관(22)을 포함한다.
호퍼(21)는 상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에 호퍼(21)의 양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격벽(21a)에 의해 하부가 분할 형성되며, 커버(12)의 투입구(12aa)로 투입되는 담배꽁초가 유입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배출관(22)은 사각형의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호퍼(21)의 분할 형성된 하부에 결합되어 호퍼(21)의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호퍼(21)로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분쇄유닛(30)을 구성하는 설치하우징(31)의 개구(31a)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출관(22)은 설치하우징(31)의 개구(31a)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단에 외측방향으로 플랜지(22a)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위와 같은 호퍼유닛(20)은 상광하협 구조의 호퍼(21)와 호퍼(21)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배출관(22)의 구조를 통해 호퍼(21)의 상부의 큰 공기압력이 배출관(22)의 상부에 작용함에 따라 가이드관(22)의 상부로 담배꽁초의 소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유닛(30)은 하우징(10)의 내부 중 호퍼유닛(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호퍼유닛(20)으로부터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절단 및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설치하우징(31), 구동부(32), 커터부(33), 제1 분쇄부(34) 및 제2 분쇄부(35)를 포함한다.
설치하우징(31)은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설치공간(S2)이 형성되고, 대향하는 상면 가장자리 양측에 호퍼유닛(20)으로부터 배출되는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한 쌍의 개구(31a)가 형성되며, 상면 중앙 일측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관(31b)가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하우징(31)은 후술하는 구동부(32), 커터부(33), 제1 분쇄부(34) 및 제2 분쇄부(35)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구동부(32)는 후술하는 커터부(33) 및 제2 분쇄부(3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설치하우징(31)의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몸체(32a)와, 구동몸체(3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32b)이 설치하우징(31)의 가이드관(31b)을 관통하여 설치하우징(31)의 설치공간(S2) 내부에 배치된다.
커터부(33)는 설치하우징(31)으로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절단함과 아울러, 투입된 담배꽁초를 제1 분쇄부(34)의 상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33a) 및 커터(33b)를 포함한다.
몸체(33a)는 원형의 블록형상으로서 중앙이 구동축(32b)에 고정결합되어 커터(33b)를 구동축(32b)과 함께 동반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터(33b)는 한 쌍이 몸체(33a)의 대향하는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방향 측 상단으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칼날(33ba)이 형성되고, 칼날(33ba)의 후방으로 담배꽁초가 인입되는 인입공간(S3)이 형성된다.
여기서, 칼날(33ba)은 설치하우징(31)의 개구(31a)를 통해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인입공간(S3)은 절단된 담배꽁초를 수용하여 칼날(33ba)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담배꽁초가 후술하는 제1 분쇄부(34)의 분쇄날(34b)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터(33b)는 인입공간(S3)이 형성된 저면 중 칼날(33ba)의 후방에 다수개의 인입홈(33bb)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병렬배치된다.
이러한 인인홈(33bb)은 설치하우징(31)으로 투입된 담배꽁초가 칼날(33ba)의 인입공간(S3)으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커터(33b)는 인입공간(S3)의 후방으로 배출로(33bc)가 형성되되, 각각의 커터(33b)에 형성된 배출로(33bc)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위와 같이, 커터(33b)는 배출로(33bc)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커터(33b)의 배출로(33bc)를 통해 배출된 담배꽁초는 다른 하나의 커터(33b)의 인입공간(S3)으로 유입되어 회전하면서 제1 분쇄부(34)의 분쇄날(34b)에 분쇄되고, 미분쇄된 담배꽁초는 다른 하나의 커터(33b)의 배출로(33bc)를 통해 배출된 후, 어느 하나의 커터(33b)의 인입공간(S3)으로 유입되어 회전하면서 제1 분쇄부(34)의 분쇄날(34b)에 의해 분쇄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터(33b)가 인입공간(S3)에 가득 채워진 담배꽁초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1 분쇄부(34)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중앙이 구동축(32b)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커터부(30)의 하부에 결합되고, 가장자리 일측이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설치하우징(3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설치하우징(31) 내에 고정설치되며, 상면을 통해 설치하우징(31)으로 유입되는 담배꽁초가 커터(33b)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커터(33b)의 인입공간(S3)에 유입되어 커터(33b)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담배꽁초를 잘게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분쇄부(34)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형성되되, 구동축(32b)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34a)을 1조로 하는 다수조가 상기 커터부(3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이웃하는 각 조의 배출공(34a)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분쇄부(34)는 각각의 배출공(34a)과 인접한 일측 중 커터(33b)의 회전방향 측에 담배꽁초를 잘게 분쇄하는 분쇄날(34b)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분쇄부(34)는 인접한 일측에 분쇄날(34a)이 형성된 각 조의 배출공(34a)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커터(33b)의 인입공간(S3)에 유입되어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담배꽁초를 보다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분쇄부(34)에 형성된 배출공(34a)은 재활용에 적합한 크기로 분쇄되지 않은 담배꽁초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분쇄부(34)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회전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분쇄날(34a)을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배출공(34a)의 하향 경사진 구조는 이하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분쇄부(35)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중앙이 구동축(32b)에 결합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35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구동축(32b)와 동반회전하면서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담배꽁초를 한번 더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분쇄부(35)는 회전동작에 의해 제1 분쇄부(34)에 형성된 배출공(34a)을 반복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되도록 함으로써, 제1 분쇄부(34)에 형성된 배출공(34a)을 통해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터부(33), 제1 분쇄부(34) 및 제2 분쇄부(35)는 구동축(32b)의 하단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를 통해 구동축(32b)에 결합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분쇄부(35)가 더 형성됨에 따라 제1 분쇄부(34)를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를 한번 더 분쇄하여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게로 분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가 후술하는 수거유닛(40)으로 유입되더라도 미소화된 불씨가 발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수거유닛(40)에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거유닛(4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설치하우징(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분쇄부(34) 및 제2 분쇄부(35)를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수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거유닛(40)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단이 설치하우징(31)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단에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는 커터부를 통해 1차적으로 절단된 담배꽁초를 제1 분쇄부 및 제2 분쇄부를 통해 2차, 3차에 걸쳐 분쇄함에 따라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집이 가능하므로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를 재분쇄해야 하는 추가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동작에 의해 제1 분쇄부의 배출공을 반복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2 분쇄부에 의해 수거유닛으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수집된 담배꽁초가 연소되어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와 제1 분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인입공간으로 담배꽁초가 인입 또는 배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분쇄유닛의 설치하우징으로 투입되는 담배꽁초는 커터(33b)에 칼날(33ba)의해 1차적으로 절단되고, 커터(33b)의 칼날(33ba)에 의해 1차적으로 절단된 담배꽁초는 커터부(33)의 인입공간(S3)으로 유입된 후, 커터부(33)와 함께 커터부(3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분쇄부(34)의 분쇄날(34b)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된 후, 제1 분쇄부(34)의 배출공(34a)을 통해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분쇄부(34)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공(34a)이 커터(33b)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쇄날(34b)을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배출공(34a)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됨에 따라 분쇄된 담배꽁초가 배출공(34a)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 분쇄부(34)의 상부에 쌓여 커터부(30)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터(33b)의 후방에 인입공간(S3)과 연통되는 배출로(33bc)가 형성되되, 각각의 커터(33b)에 형성된 배출로(33bc)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커터(33b)의 인입공간(S3)에 일정량의 담배꽁초가 채워지게 되면 각 커터(33b)에 형성된 배출로(33bc)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하여 각 커터(33b)의 인입공간(S3)으로 교대로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각 커터(33b)의 인입공간(S3)에 담배꽁초가 가득 채워져 커터부(33)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커터부(33)의 미회전으로 인해 구동부(32)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분쇄부(34)의 하부에 배치되어 구동축(32b)과 동반회전하는 제2 분쇄부(35)가 더 구비됨에 따라 제2 분쇄부(35)에 형성된 장공(35a)의 내면을 통해 제1 분쇄부(34)의 각 조의 배출공(34a)을 통해 배출되는 분쇄된 담배꽁초를 한번 더 분쇄함에 따라 수거유닛으로 수집되는 분쇄된 담배꽁초를 재활용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분쇄부(35)가 회전하면서 제2 분쇄부(35)의 장공(35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의해 각 조의 배출공(34a)이 반복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됨에 따라 각 조의 배출공(34a)을 통해 제1 분쇄부(34)의 하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담배꽁초의 미소화된 불씨가 발화되어 수거유닛에 수집된 분쇄된 담배꽁초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10 : 본체
11 : 하우징 11a : 인출구
11b : 개폐도어 12 : 커버
12a : 상부커버 12aa : 투입구
12ab : 가이드플레이트 12b : 하부커버
20 : 호퍼유닛 21 : 호퍼
21a : 격벽 22 : 배출관
22a : 플랜지 30 : 분쇄유닛
31 : 설치하우징 31a : 개구
32 : 구동부 32a : 구동몸체
32b : 구동축 33 : 커터부
33a : 몸체 33b : 커터
33ba : 칼날 33bb : 인입홈
33bc : 배출로 34 : 제1 분쇄부
34a : 배출공 34b : 분쇄날
35 : 제2 분쇄부 35a : 장공
40 : 수거유닛 S1 : 수용공간
S2 : 설치공간 S3 : 인입공간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호퍼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호퍼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호퍼유닛로부터 배출되는 담배꽁초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분쇄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 중 상기 분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유닛을 통해 분쇄된 담배꽁초가 수용되는 수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쇄유닛은 상면 일측에 상기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설치하우징과;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축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면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회전방향 측 상단으로부터 회전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의 후방으로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커터부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커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커터부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설치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분쇄부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동반 회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는 각각의 인입공간의 후방으로 배출로가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로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된 저면 중 상기 칼날의 후방에 적어도 하나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다수의 배출공이 상기 커터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을 1조로 하는 다수 조가 상기 커터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쇄날은 각각의 배출공의 인접한 일측 중 상기 커터의 회전방향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조의 배출공은 이웃하는 각 조의 배출공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 구조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담배꽁초를 상기 설치하우징의 개구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KR1020230064640A 2023-05-18 2023-05-18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KR102641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40A KR102641037B1 (ko) 2023-05-18 2023-05-18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40A KR102641037B1 (ko) 2023-05-18 2023-05-18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037B1 true KR102641037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640A KR102641037B1 (ko) 2023-05-18 2023-05-18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2883A1 (en) * 1994-05-20 1995-11-22 SERVICE POINT S.r.l. Device for chopping up small sized objects, particularly cigarette butts
KR20110120681A (ko) * 2010-04-29 2011-11-04 양개석 다용도 탈피기
KR20170023312A (ko) 2015-08-20 2017-03-03 (주)비앤에스 공용 재떨이
US10342257B2 (en) * 2015-03-12 2019-07-09 Eric S. Zeitlin Containers with multi-functional ca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2883A1 (en) * 1994-05-20 1995-11-22 SERVICE POINT S.r.l. Device for chopping up small sized objects, particularly cigarette butts
KR20110120681A (ko) * 2010-04-29 2011-11-04 양개석 다용도 탈피기
US10342257B2 (en) * 2015-03-12 2019-07-09 Eric S. Zeitlin Containers with multi-functional caps
KR20170023312A (ko) 2015-08-20 2017-03-03 (주)비앤에스 공용 재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4024B1 (en) Pulverizer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KR100954222B1 (ko) 폐기물 처리시스템
SU854268A3 (ru) Молоткова дробилка
KR100883783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 선별기
KR102641037B1 (ko) 담배꽁초 재활용 분쇄장치
KR20170023312A (ko) 공용 재떨이
US3806048A (en) Reversible over-running down-running shredder machine
KR102594862B1 (ko) 화재방지 파쇄 시스템
US7168642B2 (en) Glass bottle breaking apparatus
KR100574063B1 (ko) 음식물 파쇄기
CN212328556U (zh) 一种煤块破碎磨粉一体化装置
KR20210097509A (ko) 담배꽁초 처리장치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CN105107605A (zh) 秸秆、粪块粉碎机
EP2266768B1 (fr) Broyeur de végétaux pour la production de plaquettes ou particules de bois calibrées
CN215029353U (zh) 一种破碎机
CN205606557U (zh) 一种垃圾燃烧炉
CN205462579U (zh) 一种园林废料处理装置
CN205182904U (zh) 秸秆、粪块粉碎机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0704553B1 (ko) 젤리충전 통신선 차핑방법 및 차핑기
JP2974657B1 (ja) 二段式破砕装置
KR200445378Y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기
KR102450650B1 (ko) 식물성 재료 미세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