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311B1 -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311B1
KR102596311B1 KR1020210098364A KR20210098364A KR102596311B1 KR 102596311 B1 KR102596311 B1 KR 102596311B1 KR 1020210098364 A KR1020210098364 A KR 1020210098364A KR 20210098364 A KR20210098364 A KR 20210098364A KR 102596311 B1 KR102596311 B1 KR 10259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module
powered module
drive memb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960A (ko
Inventor
바스카 키론
티에우 웡 샘
피. 스웨이빌 브루스
로버츠 랜디
마스트리아노 메간
구일라니 브래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2001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기 시스템의 실례가 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캡 안에 적어도 하나의 승객 또는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전동식 모듈은 베이스, 베이스 상에 지지된 커넥터 및 베이스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동식 모듈과 캡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립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부재는 수직 표면에 맞물리고, 베이스의 수직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기 위해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구동 부재가 수직 표면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남아있을 때 베이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구동 부재가 선택적으로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게 하기 위해 구동 부재와 연관된다. 전동식 모듈은 전동식 모듈이 캡으로부터 해제될 때 캡과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ELEVATOR SYSTEM INCLUDING A MOTORIZED MODULE}
승강기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빌딩에서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서 승객들, 화물 아이템들, 또는 둘 모두를 나른다. 다양한 승강기 시스템 구성들이 알려져 있다. 몇몇 승강기 시스템들은 원하는 대로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식 기계 배열상에서 동작한다. 다른 승강기 시스템들은 견인-기반이며 승강기 카의 원하는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해 견인 시브 및 승강기 로핑 배열 간의 견인에 의존한다.
승강기 시스템의 구성에 관계없이, 승강기 시스템이 원하는 대로 기능하지 않을 때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들이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들이 캡 안에 있는 임의의 승객들을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열릴 수 없는 위치에서 승강기 카가 승강로(hoistway)에서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소위 구조 동작이 승객들이 캡을 빠져나갈 수 있는 위치로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상이한 승강기 시스템 구성들은 구조 동작들에 대한 상이한 접근법들을 요구한다.
개입을 수반하거나 또는 요구하는 다른 상황들은 유지 또는 보수 절차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 일부에서, 기술자 또는 기계공이 승강로의 내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접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또는 유용할 것이다. 부가적인 노동 시간 및 비용을 도입하는, 시간-소모적일 수 있는 것을 달성한다.
승강기 시스템의 실례가 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캡 안에 적어도 하나의 승객 또는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전동식 모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된 커넥터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동식 모듈과 캡 사이에서 해제 가능한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립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부재는 수직 표면에 맞물리고, 베이스의 수직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기 위해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구동 부재가 수직 표면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남아있을 때 베이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구동 부재가 수직 표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올라가게 하기 위해 구동 부재와 연관된다. 전동식 모듈은 전동식 모듈이 캡으로부터 해제될 때 캡과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전 단락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게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캡을 이동시키도록 캡과 연결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전동식 모듈로부터 원격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캡의 움직임이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해 전동식 모듈이 캡과 연결되는 동안 승강기 서비스에 대한 승객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전동식 모듈 및 캡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캡과 연관된 커넥터 부분에 맞물리는 물림쇠(clasping) 부재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제 1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물림쇠 부재는 제 1 너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캡과 연관된 커넥터 부분은 제 2 너클을 포함하고, 제 2 너클은 캐밍(camming) 표면을 포함하며, 물림쇠 부재는 전동식 모듈이 캡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물림쇠 부재가 캐밍 표면에 맞물릴 때 제 1 너클에 대하여 피봇팅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전동식 모듈이 캡과 연결되는 제 1 모드에서 및 전동식 모듈이 캡으로부터 분리된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전동식 모듈이 캡 위에 있을 때 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전동식 모듈이 캡 아래에 있을 때 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승강기 시스템에서 캡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례가 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동식 모듈을 캡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전동식 모듈이 캡에 연결되는 동안 전동식 모듈의 움직임을 야기함으로써 캡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전동식 모듈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동식 모듈과 캡 사이에서 해제 가능한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립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부재는 수직 표면에 맞물리고, 베이스의 수직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기 위해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구동 부재가 수직 표면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남아있을 때 베이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구동 부재가 수직 표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올라가게 하기 위해 구동 부재와 연관된다. 전동식 모듈은 캡과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전 단락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게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캡을 이동시키도록 캡과 전동식 모듈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전동식 모듈로부터 원격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캡의 움직임이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해 전동식 모듈이 캡과 연결되는 동안 승강기 서비스에 대한 승객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동식 모듈이 캡과 연결되는 제 1 모드에서 및 전동식 모듈이 캡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모드에서 전동식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전 단락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동식 모듈이 캡 위에 있을 때 캡에 전동식 모듈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전 단락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동식 모듈이 캡 아래에 있을 때 캡에 전동식 모듈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전동식 모듈 위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1의 승강기 시스템의 예시적인 전동식 모듈의 선택된 특징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의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는 또 다른 승강기 시스템 구성의 예시적인 조건을 예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커넥터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승강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도시한다. 승강기 카(22)는 적어도 하나의 승객(26) 또는 화물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캡(24)을 포함한다. 승강기 카(22)는 복수의 승강장(landing)들(예시되지 않음) 간에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이드레일(guiderail)들(28)을 따라 이동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되는, 전동식 모듈(30)은 베이스(3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34)는 베이스(32) 상에서 지지된다. 커넥터(34)는 전동식 모듈(30)과 캡(24) 사이에서 해제 가능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예에서, 커넥터(34)는 승강기 카(22)의 프레임의 일 부분과 해제 가능한 연결을 수립한다.
전동식 모듈(30)은 캡(24)과 독립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기(36)는 베이스(32) 상에 지지되는 모터들(38)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들(38)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40)의 움직임이 전동식 모듈(30)의 수직 움직임을 야기하게 한다. 예시된 예는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들(40)이 회전할 때 전동식 모듈(30)이 이동하며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들(40)이 회전하지 않을 때 전동식 모듈(30)이 선택된 수직 위치에서 정지된 채로 있는 방식으로 수직 표면(42)에 맞물리는, 휠들과 같은, 다수의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들(4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전동식 모듈(30)의 원하는 수직 움직임을 야기하는 상이하게 구성된 구동 부재들(40)을 포함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수직 표면(42) 및 가이드레일들(28)은 단일 또는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몇몇 예들에서, 승강기 카(22)의 가이드들은 가이드 레일 구조의 일 부분을 따라가며 구동 부재들(42)은 가이드 레일 구조의 또 다른 부분에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직 표면(42)은 가이드레일들(28)로부터 별개의 컴포넌트이며, 예를 들어, 승강로의 부분으로서 설치된 수직 표면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제어기(36)는 4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6)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디바이스(44)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인가된 개인은 다양한 환경들하에서 전동식 모듈(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전동식 모듈(30)의 움직임 또는 위치에 대한 원격 제어는 승강기 카(22)와 관계없이 전동식 모듈(30)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승강기 카(22)와 연결된 예시적인 전동식 모듈(30)을 예시한다. 상기 조건에서, 전동식 모듈(30)은 승강기 카(22)를 승강로에서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들(28)을 따라 승강기 카(22)를 나아가게 할 수 있다. 전동식 모듈(30)이 카(22)와 연결될 때, 전동식 모듈은 승강기 서비스를 승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카(22)를 이동시킬 책임이 있다. 제어기(30)는 캡(24)에서의 카 동작 패널을 사용하여 층 선택들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승객 요청들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전동식 모듈(30)은 또한 승강기 카(22)를 이동시키기 위해 선택된 환경들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26)이 캡(24)을 빠져나갈 수 없는 위치에서 승강기 카(22)가 승강로 내에서 꼼짝 못하는 소위 구조 동작 동안, 전동식 모듈(30)은 승강기 카(22)와의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며 그 후 승강기 카(22)를 승객(26)이 캡(24)을 빠져나갈 수 있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동식 모듈(30)은 승강기 시스템(20)의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식 모듈(30)은 전동식 모듈(30)이 정상적인 승강기 시스템 동작 동안 평상시와 다른 승강로의 피트에 서며 요구될 때 승강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동식 모듈(30)은 휴대용이며 승강로로부터 제거되고 또 다른 승강로로 위치되거나 또는 전동식 모듈(30)이 승강기 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완전히 상이한 승강기 시스템의 사이트로 옮겨질 수 있다.
도 4는 전동식 모듈(30)이 승강기 카(24) 위에 위치되며 일반적으로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카(24)를 이동시킬 목적들로 지속적으로 승강기 카(24)와 연결되는 일 예시적인 배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승강기 카(24) 위에 있는 전동식 모듈(30)이 적절히 기능하지 않으며 이동할 수 없는 상황에서, 승강기 카(24) 밑에 있는 제 2 전동식 모듈(30)은 승강기 카(24)와의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승강기 카(22) 위에 있는 전동식 모듈(30) 간의 연결은 해제될 수 있으며 하부 전동식 모듈(30)은 승강기 카(22)를 승강로 내에서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절차는 상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 전동식 모듈(30)이 몇몇 이유로 동작하지 않을 때에도 승객(26)이 캡(24)을 빠져나갈 수 있는 위치로 승강기 카(22)를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승강기 카(22)의 이러한 움직임은 또한 일반적으로 승강기 카(22)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듈(30)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승강기 카(22)와 연결되는 전동식 모듈(30)이 승강로에서의 위치에서 서비스를 요구한다면, 제 2 전동식 모듈은 기계공이 작업 플랫폼으로서 카(22)의 최상부를 사용할 수 있는 위치로 카(22)를 내리기 위해 승강기 카(22)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동식 모듈(30)의 또 다른 가능한 사용은 독립적인 유지 또는 설치 플랫폼으로서이다. 개인은 승강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들에서 다양한 승강기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설치하고, 서비스하거나, 또는 보수할 목적들로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기 위해 전동식 모듈(30)을 이용할 수 있다. 전동식 모듈(30)은 개인이 승강로 내에서의 다양한 위치들로 이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특정한 설치 및 유지 절차들을 더 쉽고 더 경제적이게 만든다.
도 5는 재니(Janney) 유형 선로 카 커넥터처럼 동작하는 예시적인 커넥터(34)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커넥터(34)는 베이스(32)와 연결된 제 1 너클(50) 및 캡(24)과 연관된 제 2 너클(52)을 포함한다. 제 1 물림쇠 부재(54)는 물림쇠 부재(54)가 제 2 너클(52) 상에서 캐밍 표면(56)에 맞물릴 때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제 2 잠금 부재(58)는 전동식 모듈(30)이 캡(24)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그것이 제 2 너클(50) 상에서 캐밍 표면(60)을 따라 이동할 때 물림쇠 또는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설명의 이익을 가진 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들은 그들의 특정한 구현에서 유용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 구성들을 실현할 것이다.
상기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예처럼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은 원하는 대로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승강기 카를 모듈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전동식 모듈은 승강로를 따라 승강기 카를 나아가게 하기 위한 1차 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한 상황들을 위한 간헐적인, 선택적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전 설명은 사실상 제한적이기보다는 대표적이다. 개시된 예들에 대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반드시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위는 단지 다음의 청구항들을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8)

  1.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캡(cab)으로서, 상기 캡 안에 적어도 하나의 승객 또는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캡; 및
    전동식 모듈(motorized module)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식 모듈은,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전동식 모듈과 상기 캡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립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는,
    정지된 채로 있는 방식으로 수직 표면에 맞물리고,
    상기 베이스의 수직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기 위해 상기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가 상기 수직 표면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남아있을 때 상기 베이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게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식 모듈은 상기 캡과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은 승강기 서비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캡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캡과 연결되는, 승강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동식 모듈로부터 원격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캡의 움직임이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과 연결되는 동안 승강기 서비스에 대한 승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동식 모듈 및 상기 캡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상기 캡과 연관된 커넥터 부분에 맞물리는 물림쇠 부재(clasping member)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 1 너클(knuckle)을 포함하고,
    상기 물림쇠 부재는 상기 제 1 너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캡과 연관된 상기 커넥터 부분은 제 2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너클은 캐밍 표면(camming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물림쇠 부재가 상기 캐밍 표면에 맞물릴 때 상기 물림쇠 부재는 상기 제 1 너클에 대하여 피봇팅하는, 승강기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은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과 연결되는 제 1 모드에서 및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 위에 있을 때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 아래에 있을 때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승강기 시스템.
  11. 승강기 시스템에서 캡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 안에 적어도 하나의 승객 또는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캡에 전동식 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전동식 모듈의 움직임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시스템에서 캡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 안에 적어도 하나의 승객 또는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캡에 전동식 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전동식 모듈의 움직임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식 모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전동식 모듈과 상기 캡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립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는,
    정지된 채로 있는 방식으로 수직 표면에 맞물리고,
    상기 베이스의 수직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기 위해 상기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가 상기 수직 표면에 대하여 선택된 위치에 남아있을 때 상기 베이스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 표면을 따라 올라가게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구동 부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식 모듈은 상기 캡과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승강기 서비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캡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캡과 상기 전동식 모듈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동식 모듈로부터 원격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캡의 움직임이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모듈인 상기 캡과 연결되는 동안 승강기 서비스에 대한 승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과 연결되는 제 1 모드에서 및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모드에서 상기 전동식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 위에 있을 때 상기 전동식 모듈을 상기 캡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모듈이 상기 캡 아래에 있을 때 상기 전동식 모듈을 상기 캡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98364A 2020-08-01 2021-07-27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 KR102596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45,833 2020-08-01
US16/945,833 US11542123B2 (en) 2020-08-01 2020-08-01 Elevator system including a motorized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60A KR20220015960A (ko) 2022-02-08
KR102596311B1 true KR102596311B1 (ko) 2023-11-01

Family

ID=7712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364A KR102596311B1 (ko) 2020-08-01 2021-07-27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42123B2 (ko)
EP (1) EP3945053A1 (ko)
KR (1) KR102596311B1 (ko)
CN (1) CN114057065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176B2 (ja) * 1991-02-14 1998-04-02 株式会社東芝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ZA964045B (en) 1995-06-02 1996-12-03 Inventio Ag Wheel frame for a lift
JP4190910B2 (ja) * 2003-02-20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及びその故障時運転方法
GB0901342D0 (en) * 2009-01-27 2009-03-11 Godwin Michael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WO2014182284A1 (en) * 2013-05-07 2014-11-13 Otis Elevator Company Connecting cars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DE102016205236A1 (de) * 2016-03-30 2017-10-0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 Aufzuganlage
IL255248B2 (en) * 2017-10-24 2023-09-01 Shmuel Derbarmdiger Elevators
EP3632831A1 (en) * 2018-10-03 2020-04-08 KONE Corporation Movable maintenance robot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aintenance to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nd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2123B2 (en) 2023-01-03
CN114057065A (zh) 2022-02-18
US20220033224A1 (en) 2022-02-03
KR20220015960A (ko) 2022-02-08
EP3945053A1 (en) 202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0991B (zh) 使至少两个电梯轿厢在至少一个井道中独立移动的装置和方法
US20190202665A1 (en) Self-propelled elevators and elevator brake systems
JP5215410B2 (ja) 単一の昇降路内で2つのエレベータかごを運転する制御方法
CN110914183B (zh) 电梯系统
CN110817657A (zh) 电梯电气安全致动器
US20090081010A1 (en) Inclined Conveyance for Multi-storied Automotive Parking
CN110817643A (zh) 电梯电气安全致动器控制器
US20180086604A1 (en) Elevator car wall for access to hoistway
SG181744A1 (en) Double-decker lift installation
CN111792471A (zh) 用于电梯的安全平层高度调整系统
KR102596311B1 (ko) 전동식 모듈을 포함한 승강기 시스템
CN112551282B (zh) 控制电梯系统的电梯轿厢的移动
WO200404824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843773B (zh)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EP3752442B1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7237847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EP3154893B1 (en) Elevator system
EP1398290B1 (en) Elevator device
JP20240412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225052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42128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8681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102085A (ja) エレベータ非常時救出装置
JPH11263557A (ja) エレベ―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